작성일 : 2023.11.17 작성자 : 양시영
제   목 : 삼증.tong.sms.입출금내역. 스미다.Npay.말라리아
첨부파일 :

((은행 앱에서 입출금 내역 보기))..앱 오픈 첫화면상, 아래컬럼[전체계좌/거래내역] 선택==>새로 뜨는 입출금 계좌[저축예금 78*-**제체를 선택시.최근 일자별.입출금내역나옴..메시지SMS문제..메시지우상3점/설정/스팸관/수신차/해..삼증@kkyk공인5987.@kkyk..

인히비까냥죠스 스미다 Npay.sec.No.029905_240710

((말라리아))급성[3일간]HCQ10mg/kg-->repeat-->5mg/kg ==>재발방지[14일간]primaq(vivaq).3mg/kg..

https://jej6385.tistory.com/m/6277287

I. 부위혈 동통-운동기 질환 

1. 동통 일반

##모든 경항통<충소>: 인중-승장 + 후계/속골 + 폐심+중자/중선 +신관 ##모든 요통<위중>: 이각명-폐심, 영골/대백- 신맥, 정근-정종

1) 골극-퇴행성관절증 : 삭골침(골극 특효): 뼈에 붙여.

①mm경추, 요추 : 상삼황(슬개상연-경골내과선에서, 상부 내측광근-대내전근사이 경계점에서 간경을 따라 올라간 선의 1/2(6.5촌 부)이 명황, 상3촌은 천황, 하3촌은 기황, 기황상1.5촌은 화지, 하1.5촌은 화전.) mm무릎, 발뒤꿈치 : 사화중(조구상방0.5촌, 사화상에서 4.5촌 하방 부위, 사화중 내측1.2촌은 사화리, 사화중 외측1.5촌은 사화외, 사화중2.5촌하방은 사화부, 사화부2.5촌 하방은 사화하, 부장은 사화하 상1.5촌부위), 사화외 ===주1회 위중 사혈

②전신: 구리(*외측광근과 장경인대사이인 장경인대내측선과 슬개상연선 교점에서 상 7촌인 풍시는 중구리, 평행선상에서 내1.5촌은 상구리, <그 연장선상에 사마중 위치>외1,5촌은 하구리, 풍시 하방2촌은(즉 5촌 부위는) 칠리=중독, 풍시 상2촌은 상풍시, 삼천의 상천혈은 장경인대중간으로서 5-5.5촌부), 완순1(후계상방 0.5촌, 완순2 는 1혈의 0.5촌 상방), 인중

③골극 치료 정경혈: 인중, 후계, 속골, 풍시 (심하면 10일~2주에 한번씩 사혈) === 골극 치료하면 살 빠짐

2) 유주통(경혈착란) : 기공/침 맞고 생긴 이동성 유주통

①족해혈(슬개외상각 상측 1촌 내측 0.3촌, *슬개외상각 상1촌은 금전하, 그 상부1.5촌 부위는 금전상, 위경극혈인 양구는 슬개외상각 상2촌, 3촌처는 음시, 슬개 내상각 2촌 상방은 비경 혈해=통위.)  **두면제창(얼굴과 머리 영역의 모든 염증)에 족해혈

3)사지통 : 내과첨상 4촌(혹 4.5촌 부위, 4촌에서 부터 상사자), 삼음교(인황) 상부 1촌에 해당하는 사지혈에 1.5촌 이내로 자입(음릉천하2촌부위인신관과 주-견통에 배용. 신관은 내하사자). 경항증까지 듣는다. ****하퇴냉통 동반시는 목화(소지방향으로 자침, 통증이 옮겨 다니는 풍증 동반시 선택)/차백, 통천(슬개상연-곡골상부18촌의 1/2, 하방2촌은 통산, 4촌은 통관, 일측만 사용)/통위(슬개내상연인 통신혈의 2촌 상부), 인중/승장-신관/삼음교를.


2. 두면부

1) 두통(일반) **전두통 -중백 또는 공손(화국), 측두통-외관 또는 지구/태양1,2/지삼중/함곡(문금), 후두통-완순1,2/속골,  두정통-삼간(대백) **전체두통 : 태충(화주)> 중상-상양-소택 사혈 후 영골-대백-토수2 자침

①대백 즉효, == 중백 차삼 배용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 **대백은 두통과 열이 있을 때 특히 좋다. 해열효과의 우선순위는 지구>중저>연곡>소상 또는 음곡의 순서.

②측삼리(양릉천 하방 1촌, 척골연에서 0.5촌 전방 인접, 평형침의 담낭혈위), 측하삼리(측삼리하방2촌처, 1촌 밑은 평형침의 중평혈 또는 견통혈, 하2촌-후0.5촌부위에 족천금, 그 밑 2촌처에 족오금이 위치), 신관 (음릉천하 2횡지, 45분 류침) : 경증인 경우에는 2-3차, 중증일 경우에는 4-5차로 소실. 특히 몇 년 경과한 만성적인 두통에 매우 좋은 효과가 있다. **양릉천위치 : 비골소두내연과 하연이 만나는 곳.

③영골 즉효 : 대백과 함께 쓸 때는 영골 먼저 자침

④오령혈(독맥선<화>T2-3-4-5-6-7 <토>T8-9-10,   방3촌선<금>T2-3-4-5(즉 삼금) T6-7-8 , 방6촌선 T3-4-5(즉 정지) <목=금림>T5-6-7,  배유혈선<수>삼초유-신유 중에서 선택하여) 점자 + 대추혈 점자 출혈 

⑤태양혈(사죽공 하방, 동자료 외측방, 눈꼬리와 눈썹외측단 중간정도의 위치, 씹을 때 근육 움직임이 있고, 누르면 압통이 있는 측두근 부위)의  사혈이 가장 효과적, 경증인 경우 1-2차, 중증일 경우에는 3-4차로 완치.

※차삼3 (액문혈부위인 적백육제-물갈퀴사이의 지간돌기부위인 액문혈은 직자, 3차는 지간돌기에 바싹 붙여서 횡자. 수지골사이중간함요인 팔사혈은 직자3-5푼/사혈, 사봉혈은 동일 위치에서 횡자, 3차는 손을 살짝 펴서, 팔사/사봉혈은 살짝 주먹쥐고 하백혈방향으로 진침2촌까지.) : 보통 4-5지 사이를 지칭하나 때로 2-3지 사이를 3차로 지칭. 중감모-두훈두현, 좌골신경통-모든 원인의 대퇴통, 장골자, 요산(허리가 시림)-요통, 신우염-신장병수종에 사용) *모든 좌골신경통=영골/대백(또는 비익/상인당)-차삼1/3-차백, ***차삼의 효용 : ①두통-②감기(차삼+대백) ③인후염(차삼+토수)② ④피로해소(차삼 + 담경상의 좌골신경통과 어지럼증을 동시에 다스리는 피로예방혈인 비익혈을 배용) ⑤견통(환측 차삼) ⑥좌골신경통/대퇴통(건측 차삼) ⑦오심,구토 ⑧경부염좌 낙침(기상후 생긴 척추 동작장애) ⑨늑간통, 요통 ⑩오관과질환 모두(콧물많은 알레르기비염에도 좋다) ⑪각종 알러지, 피부소양증

2) 편두통

①측삼리, 측하삼리 저효 ②중구리(풍시, 슬개상연선-장경인대전연선 교차점에서 대퇴외측인 장경인대전연선 상7촌부) 유효 ③삼중(외과첨상3촌인 현종혈에서 1촌전방을 1중, 1중의 2촌상방을 2중, 그 4촌 상방을 3중)/사화외 점자출혈 즉효 ④태양혈부위의 동통 : 문금(함곡 0.5촌 상방) 저효

⑤태양혈에 직접 점자출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몇 년된 편두통에 경증인 경우에는 1-2차, 중증일 경우에는 3-4차로 완전히 낫는다. 

3) 후두통 : ①충소(S2345 사이) 방혈 즉효 ②정근(위중-정근선은 16촌 그 중앙 8촌이 승산, 승산하 1.5촌은 박구, 정근은 아킬레스건 주름이 끝나는 곳의 접힘/함요 주름. 엎드린 상태에서 발등에 베게 받치고 힘을 빼게하고서 취혈)/정종(정근2촌 상방, 정종상2촌은 정사, 정사상2.5촌은 박구) 효과 ③위중 사혈 저효. 특히 만성화된 후두통에 매우 효과적, 속골도 좋다. 

4) 전두통  : ①신관(=천황부, 음릉천하 2횡지), 천황(=음릉천 **천황-지황-인황을 비삼황이라 함, 인황은 삼음교 혈, 지황은 음릉천-내과첨선상 1/2, 또는 삼음교상3촌부위인 누곡혈로 하기도 함, 때때로 필요시는 신관-지황-인황을 쓰기도 한다.) 저효 ②화국(공손혈) 즉효 ③오호3,1혈 효과 ④사화중 점자 유효   ☞14경혈: 중완 탁효 

5) 미릉골통(안와밖 내상부통) : ①화국(공손혈 부근) 특효 ②천황, 신관 유효 **비익혈

6) 구안와사

*1>환측 삼중, 사화외 방혈 + 완골 사 (안면근 마비, 특히 중추성일 때 매우 좋다, 유양돌기후변에서 1촌뒤로 나간, 근육하나 넘어선 부위에서 대측 눈을 향해 3cm이내 자입하여 염전 사 : 삼중-사화외 방혈+ 완골 사는 구안와사의 기본 ) 해계 사 (특히 안검마비에 중요)

*2>식체 있을 때(명치 밑 답답) : 내관/공손-해계 사

*3>간허증 시 : 음곡 보/경거 사(간정격) + 전곡 사 조해 사

*4>심실증 시 : 액문 사(특히 눈주위 이상시, 4-5지사이 물갈퀴상방0.5촌 직자. 보법은 주먹쥐고 지간돌기 바로위에서 중저향 2촌 사자. *차삼은 지간돌기 밑구멍에서 자입), 연곡사, 소해 보, + 완골 사(얼굴 뻣뻣할 때 특히)

*5>후두통 동반 시 : 양보 사 ==>곤륜 사

*6>입이나 입주위에 문제가 있을 때 : 여태 사 /임음 보/ 양곡 보, **위허(양곡 보 내정 사 해계 보) **위실(임읍 보 여태사 함곡 보)해계 사, 삼천

*7>눈에 이상 있을 때 : 태계 사 행간 사 (내정 사) 상백-간문

*8>안면경련이 있어서 당기거나 씰룩거릴 때 : 사마 (상중하) 환측 담견정(이수 직전5촌부)

*9>지창-협거 투자 : 건측이 더 좋다, 건측:환측 유효비율은 3-5:1 정도.

*10>측삼리 측하삼리

*11>구갈이 있는 경우 : 통신

*12>입주위 이상 : 삼천(상중하, 장경인대중간선과 슬개 상연 교차점에서 상부 0.5-1.5촌(대개1촌) 사이(또는  슬개중앙횡측연장점에서 2.5촌 상방)가 하천, 그 상방2촌이 중천, 그 상방2촌이 상천, 풍시는 장경인대전연선을 따라 상방으로 7촌 부위이고, 중독/칠리는 5촌 부위, 상천혈은 중독혈외측0.5촌임)

*13>풍시(효과 있으면 중독혈과 도마로 사용)

*14>환부 도장침

###구안와사 구급통치방 : 삼중-사화외 방혈, 해계사+완골사 **안검마비 : 삼중-사화외, 공손/내관, 해계사  -눈물(+): 목혈  **입가 마비 : 삼천, 인중-승장 작탁, 견정(이수 직전), 구강점막/이첨 방혈

+++①우선 사화외혈(사화상에서4.5촌하방, 즉 조구상 0.5촌인 사마중혈에서 1.5촌 외방)/삼중 점자, 완골 사==> 측삼리, 측하삼리 자침 ② ==>풍시/사마혈(풍시 전방3.5촌부위가 사마중, 사마중 상방2촌은 사마상, 사마중 하방2촌은 사마하. 사마혈은 그 혈성이 폐경과도 통한다.), 통신혈(슬개 내상연 부위, 통신 상방2촌은 통위, 통위 상방2촌은 통배) 자침, 1>2>를 교대로 번갈아 시행 ③입주위 이상시는 환측의 구강점막에 점자출혈이 가장 효과적 (=이첨 사혈로 대치 가능, 주1회)④오래된 환자의 경우 : 상거허(족삼리하 3촌 또는 조구상2촌으로 대장경을 대표, *하거허는 조구하 1촌부위로 소장경을 대표), 족삼리 혹은 측삼리를 교차로 추가 자침(45도로 머리방향으로 2촌 상사자, 유침 오래) @@@여기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영골/대백(또는 비익) + 눈과 입의 치료 추가

7) 안면신경경련/감각마비 - 중풍 잘 옴. **얼굴 반쪽의 감각 이상인 안면신경/삼차신경통, 관골통 모두 측삼리-측하삼리-풍시에 유효, 심하면 삼중혈을 사혈.

①측삼리, 측하삼리 및 중구리(풍시) 유효 ②면부신경긴장에는 사마혈 ③완순 1,2(완순1혈 상부1.5촌) 

8) 면마 :①삼중혈 방혈, 측삼리 측하삼리 자침 ②얼굴반쪽 마비에는 풍시 측삼리

9) 관골동통 : ①삼중혈 방혈 ②측삼리 측하삼리 ③완순1, 양릉천

10) 삼차신경통 : ①측삼리/측하삼리(+ 외슬안 배용), 목두/목류(족부 3-4중족골 사이, 양명-소양을 치료, 1-2지 사이의 화경-화주를 취혈하듯이 취혈) ③건측대백+환측후계 ④완순 1,2 ⑤오랜 병에는 환측태양혈 점자

3. 경항부

1) 항강, 경통 **전후로 목동작 제한 : 속골(전굴제한 ; 승장, 신전제한 : 인중)**좌우제한 : 후계 상백(상백은 눈 통증문제, 엄지-검지 이상이 오는 경추디스크 때에 유효)

①정근(외과첨-내과첨을 발목뒤로 잇는 선과 아킬레스건 중앙을 잇는 점, 족저에서3.5촌, 그 상방 2횡지는 정종, 정종2촌상방을 정사, 정사2.5촌 상방, 승산하1.5촌부위는 박구, **승산혈은 정근선상7촌부, 외측에 외과첨7촌부위인 비양이 있다.) 정종혈 자침-심할 때 위중 사혈. ②후계, 속골 - 승장(견인침) ④심할 때: 화골1혈(발바닥1,2족지 사이-용천까지) ***참고 : 화골1혈 - 얼굴과 눈/목주위 통증, 2혈-어깨/등 통증,  3혈 - 허리주위 통증/좌골신경통  @방광경상의 통증은 먼저 정근-정종을 사용, 척추교정의 효과, @중자-중선 <측경부+경견완흉에 가장 광범하게 사용가능. 중선혈은 차삼1-태연선, 대릉-견응/편견(2-3간 사이)선의 교점이고, 중자는 모지와 식지를 90도로 세웠을 때 모지의 기선 주름과 중선혈 사이 중간점을 중자혈로 취혈, 모두 합곡-영골혈을 향해 가능한한 심자, 중자는 경추쪽의 경항통, 중선은 어깨/등쪽의 경항통에 좋다.> @보통의 경추디스크에는 정척123(대장경상횡문상2촌 간격3혈)+페심, 항강증과 함께 온 경추디스크는 정근정종/곤륜/칠호를 먼저 시술, 과로후에 온 급성경추디스크일 때는 행간 상1촌, 여기에 +<경락별>상백(대장경12지)/지구(삼초경234지)/후계(소장경45지) + <경추디스크 부가 증상>에 따라 추가로 @비관<슬개상12촌, 위기능이상 + 목의 전면 측면 통증(족천금/족오금도 동일)+목에 힘이 없을 때> @소골(상하4촌 까지 3혈-요추디스크, 경추디스크, 슬통치료에 사용)@위십이장궤양-위식도역류-위산과다 : 신관<견통>/음릉천<경부통> @삼상황(간기능이상으로 인한 경추디스크, 요추디스크) @통곡[-](방광경상 문제) ☞목 뻣뻣(항강): 완순1, 풍시

2) 낙침 :자고난 뒤 운동제한-뻣뻣

①중자/중선 중 택일 (+승장을 배용하면 더욱 좋다) (경부쪽에 치우쳐 아플 때 중자, 어깨 쪽으로 치우칠 때 중선, 다 아플 때는 같이 사용.)

②정근 정종 ③목류 (3-4중족골간 상부경계) 

3) 견경통 : ①신관, 비관 -- 견통 ②중자, 중선 --경통이 함께 있을 때

4. 상지부

1) 수비불능거(팔을 들 수 없음: 심한 경우는 반대쪽 머리나 귀를 만질 수 없는 견응=동결견)

①신관 특효(건측, 음릉천하2촌) + 환측 척택 사혈 : 금방 상지거상 가능. ②사화중 사혈 특효(환측, 조구상0.5촌) ③척택(=곡릉, 환측) 사혈(심한 동결견에는 꼭 사혈) ④족천금(목의 앞과 옆쪽으로 아프면서 목에 힘이 없을 때, 풍륭외1, 상2촌 : 김씨일침에서는 현종수직선과 풍륭선이 만나는 지점의 1촌 상방을 족천금, 1촌하방을 족오금으로 하며, 족천금을 더 자주 사용.. **측하삼리하방2촌-후방0.5촌을 족천금으로 하기도 하며 이때에도 족오금은 족천금하2촌처. 실음혈1혈 횡자-2혈 직자와 함께 사용시 목쉰데 탁효, 족천금/족오금은 가시걸린느낌/매핵기에도 좋다)-족오금(풍륭외1촌) 유효 ; H-S 즉, 후전이 힘들 때 좋다. ⑤화골제2혈(족저부2-3중족골사이의 2개혈)  ⑦견중(건측, 견첨에서 3촌부, 가장 두드러진 부분), **좌우로 팔의 LOM 있을 때는 외삼관 상중하(외과첨-비골소두상의 상1/4, 중간점, 하1/4)중의 중관혈을 선택.

*외슬안-해계(조구 사화리), 양릉천-외과첨전연(측삼/측하삼리), 비골전연(삼중선) 수직가상선에 주의. 내과-외과하부선(=해계선)-슬안선의 1/2 :소절융기, 소절-비골전연 간격은 약4횡지, 소절선과 외슬안-해계수직선 교점은 조구, 조구횡선외방1횡지는 풍륭, 조구횡선과 비골중앙수직선교차점은 중관혈,  풍륭외방1촌수직가상선상에서 상1촌은, 하1촌은 족오금, 족오금후방 0.5촌(비골전연)은 가끔 삼중혈과 일치.

*조구상0.5촌은 사화리, 사화리 외측1.2촌은 사화중, 사화중외측1.5촌은 사화외혈. 

##오십견(견응, 동결견)

초창기나 말기(8-9개월)에 잘 낫는다 3-4개월이 제일 힘들다 팔을 들어서 반대쪽 귀 만질 수 있으면 치료효과 좋다

☞침: 환측 척택 사혈하고, 건측 신관/견중 자침 

***손의 통증으로 물건 잡기 힘들 때-- 1>측삼리, 측하삼리-->2>중자/중선-->3>신관, ***운동: ①올리고 내리기  ②팔돌리기(시계방향, 반시계방향)  ③벽을 따라서 올리기

<<<경추디스크>>> 견정-천료압통(경추) 천종-고황압통(흉추의 경우도 의심)==>경추/흉추부 국소 극돌기 압박진단 ==>중저-양지-외관 + 천료-천종-고황 자침 ***모든 경추디스크: 신관-중자/중선-측삼리/측하삼리-구리(쌍봉혈점자)

2) 견관절 뉴상 : ①오십견과 동일  ②견중(견첨부하 3촌, 최고 융기부) 

3) 견통 : ①오십견과 동일 ②신관, 구리 ***견부, 배부, 상비, 쇄골 부위 모두 : 신관 + 중자혈 자침으로 해결 가능

4) 견봉통(발종) : ①통신, 통위, 통배(슬개상내연이 통신, 그 상부 2촌이 통위, 그 상부 2촌이 통배혈) ②구리, 측하삼리 ③신관 유효 ④중자, 중선 유효 ***신관=천황부. 천황(음릉천)하 2횡지, 음릉천(=천황)-태계선의 1/2이 지황혈, 하1/4이 인황혈(=삼음교), 천황지황인황을 하삼황이라 함. 보통 지황혈위는 삼음교3촌부위인 누곡혈로 쓴다. 때로 신관-지황-인황을 하삼황 대신 대용.

5) 상비통(=상완통) : ①측삼리, 육완(협계 상0.5촌) 유효(건측) ②신관 매우 유효 ③좌비통에 슬안 자침하면 즉효. 사화중(조구상방0.5촌은 사화리, 사화리1.5촌 외방이 사화중혈) 방혈 유효 ④견중/양릉천, 칠리/구리(건측)

6) 주관절통 : ①영골 특효 ②중구리 특효 ③사화중 특효

7) 테니스엘보(완외과상염 : ①건측 곡지(골격에 붙여 자입), 수삼리(=화부해:곡지2촌 앞 근육부) ②환측 영골(견인침)

8) 골프엘보 : ①건측 심문(척골내측 주첨에서 3횡지, 뼈에 바싹붙여 닿게 자침, 슬관절DJD골자, 미골골절이나 통증에도 효과), + 환측 후계 

9) 완관절(손목)통 : ①측삼리, 측하삼리

10) 수통불능악물(주먹 못 쥠) : ①측삼리 측하삼리(건측) ②중자, 중선③신관

11) 수산(손이 시큼하게 저림) : ①측삼리, 측하삼리 ②건측 외관 ③건측 신관

󰠆손목의 측면통: 건측 측삼리, 측하삼리 󰠌손목 다른 부위 통증: 건측 완골, 환측 후계

12) 수지마(손저림) : ①신관 부류 특효 ②화국(공손혈 후방5푼) 유효 ③쌍봉혈(제2흉추 방 1.5촌부터 이하 7개혈) 점자 더욱 효과 : 경추디스크로 인한 손저림

13) 수추근(손에 쥐남) : ①화산(건측, 천정-양지선의1/2 **1.5촌 밑에 화릉, 그 밑 2촌부위에 화관인데, 화관은 완횡문 상3촌위치) ②척택 방혈(건측) ③외관(건측) ④대응법으로 승산혈

14) 양수구련(양손을 펼 수 없음) : ①곡릉(=척택)(강자극하여 사해준다: 이때는 목극효과는 없다) + 신관(*손바닥질환도 치료 가능) ②중자, 중선 ③양릉천(혈성은 근회)

15) 수지관절통  :①오호1혈 특효, 2혈과 함께 사용 ②인사(태연-척택선 하1/3, 상1/3은 천사, 1/2은 지사) 

16) 식지통  : ①사화중 특효 ②오호1혈 특효 **모지-식지통은 해표혈(대도후방-은백전방의 적백육제부, 각막염, 부과음도염에도 들음) **엄지통 : 중백-하백/오호1/담혈/곡택/해표(은백해표-대도해표)

17) 중지마(손발가락의 중지 마비) : ①통관, 통산

18) 건초염

①오호1혈 특효 (건측, 환측(견인침) 모두 자침) : ․엄지를 위로 들거나 아래로 내려도 통증

․===원인: 손을 많이 써서 생김 (기자손, 엄마손) ․치료동안은 당분간 손을 쓰지 않도록.

cf)오십견은 많이 움직여야.

5. 하지부 **중백: 기립요통시, **영골-대백-차삼1 : 심한 대퇴통/만곡불능시, **상백 : 낙침시, **목화 : 열감회복 필요시, ###경견요배각통 --상인당/인중/승장, 마금수/마쾌수<요련배통>, 오호<요방형근>, 중자/중선<고황>, 영골/대백, 중백/하백/완순12, 복원/폐심/심슬<정중선통+브라끈부위>,

1) 좌골신경통

①영골, 대백 특효(태양경 소양경 모두) ②비익 자침 특효 ③금림(T4-5-6-7극돌기간에서 6촌외방으로 견갑선 중앙부근 수직선하 1촌간격 3혈처) 점자 유효 ④위중혈 청근 점자 특효 ⑤수오금(태양경선에서 척골외측을 따라 완횡문상6.5촌 부위, 양지-천정선(삼초경선)의 1/2지점인 화산혈의 외방 0.5촌 부위임)-수천금(수오금 상1.5촌 부위) 도마침 -- 더불어 하퇴와 발의 근육통과 골통(=하퇴통+각통)에도 아주 좋다

☞견인침(환측) :󰠆엉덩이-태양경 통증: 속골 󰠉소양경쪽 통증: 족임읍 󰠌대퇴내측서혜부(림프절 종대까지도 포함): 문금, 태충

☞정경혈 : 󰠆태양경: 완골 (후계 도마침) 󰠌소양경: 외관 (지구 도마침)

★양유걸 셋트: 인중, 속골, 완순1, 풍시 / 영골, 대백  교차로 치료. 1주-10일에 한 번 사혈 

▣ 요통

※ 정근-정종 곤륜[-] 칠호(곤륜上2寸)는 척추뼈를 정렬시키므로 척추뼈가 삐뚤어진 경우 좋다. ==> 엎드리게 해서 건측 곤륜/칠호 먼저 자침하고 환족을 움직이게 해본다 ==> 호전있으면 환측 행간상1촌을 더 자침해 보라.

◎ 앉았다 일어날 때 <기좌요통>: ① 後椎-首英 == 二角明만큼 잘 듣는다. 일반적으로 허리아프면 二角明을 써보고 그래도 안되면 後椎-首英. 실제 後椎하나로 끝난다. ② 中白 : 흉통이나 흉배통, 인후통, 소퇴통,신허요통에도 사용. 三焦經의 中渚개념. 足少陽膽經쪽으로 증상 나타날 때 특히 좋다.

◎ 二角明 : 제일 많은, 단순한 염좌나 근육문제로 인한 요통에 특히 좋다.(특히 골자가 있을 때) 사암침을 제외하면 허리에 제일 많이 쓰는 穴. 하지만 뼈나 협척혈쪽엔 肺心을 쓰고 二角明은 별로 안쓴다.

◎ 영골 대백

◎ 앞으로 못구부릴 때 ① 삼차3(=차삼, 中白 下白 腕順1,2혈의 개념을 다 포함). ② 영골 대백.

◎ 뒤로 못펼 때 : ① 후추-수영. ② 신맥.

◎ 좌우로 돌리지 못할 때 : 정근-정종

◎ 요안혈부위가 아플 때 : 마금수-마쾌수(소변 문제있는 경우: 소변빈삭, 야뇨, 소변불리, 배뇨통, 요로결석)

◎ 水金 - 水通 : 기침으로 악화시(腎虛로 因함).

◎ 생리 때 요통 : 옥화 부과 환소 완순1,2. 단순히 생리때만 아프면 婦科하나만 써도 된다. 腕順穴은 특히 허리뒤쪽 방광경상으로 아플경우에 좋다. 玉火는 전체적인 瘀血의 개념이 있을 때. ※ 유산후 방광경 상 요통 → 완순1,22가 좋다. 만약 자궁어혈이 많으면 옥화를 사용...

◎ 소화장애 동반한 요통(누워있을 때 더 아프다) : ① 토수혈(뼈쪽으로 취혈.). ② 위정격(병이 오래됐으면 해계 [+], 급성인 경우[-])

◎ 협척혈부위 통증 : 마쾌수 완순1,2 or 풍시 ※ 夾脊穴부위도 뼈로 보고 太白 or 太谿[-]도 좋다.

◎ 양노혈 : 모든 요통에 사용 가능..

◎ 위중 방혈 : 잘 안나을 때 모든 질환에 사용해라. 머리에서 발끝까지 후면의 경락의 흐름을 좋게해준다. 허리,종아리등. 혈자리를 반드시 잡고 放血해야한다. ※ 肺心, 二角明은 오래된 骨病환자는 안된다.

◎ 폐정격 : 폐기 허 증상(잦은 감기,재채기,맑은 콧물,오랜 감기)있을때.

◎ 대장정격 : 변비 심할 때, 치질.

◎ 간,담경 : 어지럽다, 눈이 침침,충혈, 오심, 피곤, 수족 황달.. ◉ 허리아플 때 제일 많은 게 肝病이다.

▣ 요통의 사암침법

◎ 방광경상 → 방광정격膀胱正格이 잘 듣는다. ※ 비습肥濕한 사람 → 방광승격膀胱勝格이 좋다.

◎ 담경상膽經上 → 담정격膽正格.

◎ 폐정격肺正格 → 가끔 듣는다.

◎ 뼈쪽 → 신정격腎正格.

◎ 간허肝虛의 느낌 → 간정격肝正格.

◎ 대변의 문제, 대체로 변비쪽 ㊉ 기허氣虛 ㊉ 비습肥濕한 느낌 → 대장정격大腸正格. ※ 항상 舍岩針에서 自經쪽 보다는 他經쪽이 더 효과가 좋다.

▣ 급성요통(좌섬요통)

ꊱ◎ 마금수馬金水 ㊉ 수통水通.

ꊲ◎ 이각명二角明.

ꊳ◎ 행간상1촌 行間上 一寸.

ꊴ◎ 중백하백中白 下白.

ꊵ◎ 속골束骨 : 깊이 찔러라. 발가락, 손가락의 3,4,5지가 아픈 경우. ※ 위중방혈委中放血을 하고. 이후 속골 以後 束骨을 놓는다.

▣ 둔첨통(꼬리뼈가 아픈 경우) ※ 폐심 肺心이나 해표海豹가 제일 좋다. 실제로.

ꊱ◎ 곤륜사崑崙ꎧ :척추전체에 해당됨.

ꊲ◎ 대도大都(해표海豹穴)

ꊳ◎ 심문心門 : 어떨땐 듣고 어떨땐 안 듣는다.

ꊴ◎ 정근 정종 正筋 正宗 : 족근足根에서 후두부後頭部까지 간다.전체적으로.

◎ 양노혈 養老穴.

▣ 척추골통脊椎痛 뼈가 아픈 경우

ꊱ ★ 태계사太谿瀉 or 태백사太白瀉 : 결국 신정격腎正格 개념. 척추사이 아프다. 필효必效. 토극수土克水못하게. 디스크환자도 척추가 아프면서 시작되면 이렇게 한다. ◎ 오래된 척추병脊椎病 : 태백사太白ꎧ(뼈로 간다) 태백太白이 제일 좋고, 태계사太谿ꎧ 경거사經渠ꎨ가 다음이다. 부류復溜는 별 의미없다.

ꊲ 동씨침의 명황하明黃下 4.5寸(膝上3寸 & 其黃下 1.5寸)도 좋다.

ꊳ 뼈쪽이면 폐심肺心 (이각명 二角明도 급성염좌로 옆으로 아플때에 좋다.)

ꊴ 행간상1촌行間上一寸穴(肝正格 & 明黃下4.5寸과 느낌이 같다)도 뼈에 좋다. 그래서 디스크에 쓰는 것이다.

ꊵ 곤륜사崑崙瀉도 좋다. ※ 척추뼈가 아픈 경우 : 곤륜사 崑崙ꎧ 정근정종 正筋 正宗. ※ 골병骨病은 정근정종 곤륜사 태백사 正筋 正宗 崑崙ꎧ 太白ꎧ.

▣ 척추뼈 교정방

★ 허리나 목쪽의 디스크, 척추뼈가 비틀어지거나 휘었거나 아픈 경우 → 【 정근 정종 곤륜사 칠호 正筋 正宗 崑崙ꎧ 七虎】

※ 正筋 正宗은 인체의 후면을 잡는 穴이다. 뼈로 간다. 足跟에서 뒷머리까지 간다.

※ 뒤쪽으로 척추에 문제있으면 무조건 이 혈로 교정을 해놓은 다음에 시작해라.

※ 崑崙ꎧ가 七虎穴이나 正筋 正宗보다 더 효과가 크다. 특히 崑崙ꎧ는 膽經上으로 온 경우. 股關節痛에도 崑崙ꎧ를 쓴다.

▣ 腰痛의 통증부위별 침법

◉ 척추뼈 자체의 통증 : 腎(虛腰痛)이다. 가령 부부 관계후 요통이 심해진다든지 하는 경우도. ※ 腕順1,2穴 : 하복통증, 자궁통증, 肝經의 문제와 관련있는 경우.

◉ 협척부위의 통증 : 風市(健側)

◉ 腰眼(PSIS부위) : 馬金水-馬快水.

◉ 전체적으로 과로후 통증 : 肝正格. 근육성 腰痛인 경우 肝正格을 제일 많이 쓴다.

▣ 坐骨神經痛(좌골신경통,디스크)

@@@Hip부터 시작되는 좌골신경통

◉★ 肩中 - 雲白 - 上曲 : 제일 좋다. Hip(r/o 이상근)부터 아픈 좌골신경통. ◉ 還跳穴-坐骨穴 長針 倒馬 : 健側이 훨씬 좋다. 디스크로 좌골신경통(Hip부터면)樣이면 이렇게 침을 놓는다.

<1 > 行間上一寸 : 목에 사용(뒤,앞,옆), 요통(급성), 디스크, 筋肉과 관련된 모든 疾患(삔데). 上斜刺하고 최대한 깊이 찔러라(발바닥에 구멍이 날것같이).

※ 行間上一寸(火硬上 五分)혈자리의 적응증 : 上斜刺(피부면과 45도 각도로 최대한 깊게)  : ① 肝으로 인한 腰痛 : 피로, 과로(육체적 & 정시적), 운동, 야간작업후 나타나는 요통. ② 좌섬요통. 과로로 인한 급성요통. ③ 목전체, 어깨병이 肝으로 인한 경우. ④ 허리디스크, 좌골신경통이 肝이 원인인 경우. 요즘 肝으로 인한 병이 참 많다. 그래서 이 穴자리가 아주 중요하다. 목디스크보다는 허리디스크가 더 좋다. @@. 明黃 : 간정격이나 간승격을 쓸 디스크의 경우에 明黃하나로 팍팍 낫는 경우가 많다.

<2 > ★ 靈骨-大白穴 : 氣虛, 氣滯인 경우

◉ 疲勞, 多汗, 身重(비오면 찌뿌둥. 濕은 항상 氣虛를 끼고있다.)탈수기의 역할. 소화안되는 경우, 소변 찔금찔금 나온다(小便不禁). 氣虛(자궁이 빠진다, 胃下垂, 胃無力者), 太陽穴痛(氣厥頭痛), 易感冒(감기가 오래감), 鼻流淸涕(鼻炎)경향이 있다. ◉ 大白은 解熱작용이 있기 때문에 熱이 있는 사람은 倒馬針.

<3 > 中白 下白

◉ 中-下白 → 반드시 膝以下의 통증이 있을 때 추가한다.

★ 주로 膽經-膀胱經사이의 통증에 좋다. 起座之腰痛(일어날 때 아픈 사람).

※ 中白=中渚의 개념의 생각하면 좋다.(少陽經)

※ 허리와 다리의 痛症이 비슷할 경우는 中白하나만 쓴다. 下白은 다리로 보낼때는 中白과 가깝게, 허리로 보낼때는 中白에서 멀리 取穴한다. 가끔 液門부위에 선명한 穴자리가 있을때는 中白을 여기에서 取穴한다.

◉ 後椎-首英 : 디스크 아닌 단순요통. 일어날 때 허리아픈 경우 사용한다.

<4 > 上白 : 膝以下로 아플때(膀胱經쪽).

※ 上白(膀胱經)이나 中-下白穴(膽經)은 다 무릎아래까지 아플 때 추가한다.

※ 上白穴 ① 목디스크중 통증이 1-2指쪽으로 올 때 ② 陽谿穴쪽-엄지쪽의 완관절통(건측 or 양측).

<5 > 鼻翼穴 : 氣虛, 氣滯힌 경우  특히 디스크의 요각통에 좋다. 膽經上으로 아플 때 더욱 좋다.  偏頭痛, 眉稜骨痛, 太陽穴痛. 眼昏. 머리가 맑아진다.  균형조절한다. → 小腦부분의 梗塞이나 出血등 이상으로 惡心,嘔吐, 좌우균형이상생겼을 때 좋다.평형감각이 상실. → 鼻翼양측 取穴하고 痰飮에 대한 針을 추가한다. 痰飮은 반드시 氣虛를 수반하므로 肺正格의 補瀉를 거꾸로 한 針을 놓는다.

※ 井穴이나 鼻翼穴은 1.5cm짜리 침으로 놓는다. 침은 굵기가 문제가 아니다. 가늘어도 제대로만 찌르면 효과가 다 난다. 鼻翼穴의 針尖 : 중심을 향해서.

<6 > 骨關-木關 : 뼈,근육병에 다 좋다. 디스크에 좋다. 활용범위 넓다. 뼈든 근육이든 그 자체가 아플 때 잘 듣는다. * 骨關 → 腎, 木關 → 肝에 해당.  太白-大都穴의 중간뼈 아픈경우에 통풍성관절염이건 무엇이건 다 좋다.  변형성 관절염.  足跟痛에 좋다.  디스크.

<7 > 馬金水-馬快水

◎ 허리의 腰眼穴部位 痛症. 腎虛腰痛(小便不利하면서 腰痛). 허리가 삐긋해서 아프다. 項强 肩背痛.

◎ 馬金水는 근육(腎)의 문제, 馬快水는 뼈(膀胱)의 문제.

◉ 馬金水 → ⓐ 腎虛腰痛 ⓑ 단순히 허리 삐어서 온 경우. ㊉ 水金-水通穴 配伍. 뼈에는 작용하지않음. 腰眼穴痛 단독 or 밑으로 아플 경우 馬金水. 소변불리있으면 더욱더 적증이다.

◉ 馬快水 → 뼈에 작용한다. 腰眼穴痛이 위로 협척으로 아픈 경우 馬快水만. 뼈쪽,디스크처럼. ※ 夾脊穴쪽을 아픈 경우 → 風市 or 腕順(六完?) or 馬快水를 선택. ※ 馬金水-馬快水穴이 튀어나온 경우는 무조건 腎虛한 사람인 경우이다. 침을 놨을 때 침이 안아파야 정상이다.

<8 > 金林放血 : 瘀血, 血虛의 개념. 血濁의 경우(久病者, 여기저기서 치료해도 안 나았던 자, 오래된 腰脚痛에 탁월하다. 단 委中放血을 같이 해라)

※ 瘀血의 경우가 제일 못낫는다. 晝輕夜重. 瘀血이면 當歸鬚散. 瘀血침을 먼저 놓을 필요있다. 太白ꎨ, 曲池ꎧ. 잘 낫지 않으면 무조건 瘀血方을 쓰라.

※ 金林穴 : 金神穴(흉추3-4기준 옆으로 6寸) - 木原穴- 木太穴 상하로 세穴.

※ 三金放血 : 膝部이상, 沖霄放血 : 後頭痛.

※ 委中放血 : 허리, 등, 목, 다리등 뒤쪽의 통증에 무조건 좋다. 무릎아플때도.

<9 > 腕順1,2穴 : 아랫배 문제(少腹), 자궁병(생기통), 下腹痛. 肝病(눈 피로 과로)이 있으면서 腰痛, 腰脚痛이 있으며 夾脊穴이 아프고, 膀胱經의 이상이 있을때.

◉ 子宮 = 肝이다. 厥陰. 약도 같이 쓴다.

◉ 膀胱經의 요통,디스크 있으면서 ㊉ 肝病, 下腹痛, 子宮의 문제있을 때 사용한다.★

<10 > 支溝 : 膽經형 디스크에 支溝ꎧ한다.

◎ 膽經上으로 아플 때 다른 것을 해보고 안되면 써보면 아주 좋다. 허리디스크가 膽經上으로, 목디스크가 三焦經上으로 올 경우 支溝瀉가 아주 좋다.

◎ 감기 걸리면 목이 붓는 경우 上熱感 心痛 心煩 怔忡.

◉ 三焦經(少陽經)의 火穴로서 人體의 上中下를 다 조절한다. 全身을 잡아준다. 三焦의 熱을 제거한다. 주로 上焦熱. 명치위의 병에 좋다.

※ 병이 너무 복잡하면 三焦正格이나 三焦승격을 일단 놔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정호영설)

◉ 頭部 上熱感 (上焦熱) → ① 支溝ꎧ가 매우 좋다. 降火氣針의 10배 효과가 있다. 熱내려가는게 보임. ② 然谷ꎧ 아주 좋다.

◉ 목, 허리디스크에도 膽經인 경우 → 支溝瀉한다.

<11 > 至陰補 : 膀胱經, 膽과 膀胱經의 사이가 이상이 있는 下肢痛(大腿에서 委中사이의 痛症). cf> 勞宮ꎧ, 少府ꎧ : 心臟의 熱.

<12 > 玉火穴 : 血虛 or 瘀血 → 鼻翼과 대칭개념.

<13 > 僕參 : 새끼발가락쪽으로 4-5cm침을 찔러넣는다. 이런 斜刺하는 長針은 入口가 정확하지 못하면 刺入하기 어렵다.

◎ 디스크, 足跟痛, 下肢無力등의 증상중 ㊉ 膝以下痛이 있는 경우에 쓴다.(어느 경락이든 모두 간다) 허리아프거나 다리아픈 경우에 좋다. 足跟痛에도 쓴다. 어떤 원장은 다리아프면 무조건 僕參을 쓰는 사람도 있다.

◉ 患側에 사용한다. 특히 膝以下가 아플 때.

◉ 僕參에 追加穴 ① 膽經上 → 陽陵泉 下斜刺(환측) ② 膀胱經쪽 → 合陽 下斜刺(환측) ③ 내측통 → 三陰交 上斜刺(환측)을 추가한다.

<14 > 駟馬穴 : 肺虛. 진짜 안나으면 사용. 肺正格.

<15 > 俠谿補.

2) 각통 : ①배심혈(=후심혈) 및 쌍봉혈(제2흉추 외방1.5촌에서부터 하방 7개혈) 자침 + 구리

3) 각통(발 통증) 발 못 디딜 때나(착지불능) 하퇴부 통증(하퇴풍원통) 모두에서: ①구리(건측) 즉효

4) 각추근(발에 쥐남) : ①정근, 승산 ②<참고>차백: 하퇴부 쥐, 창통, 산통  **차삼(2-3지 사이)는 요배-좌골신경통-대퇴통에 특효.

5) 대퇴통 : ①차삼 특효(걸음 많이 걸었을 때 피로 해소에도 좋다) ②금림(T4567극돌기간에서 외방6촌부위, 견갑골내에 위치) 점자 특효 ③칠리, 구리 ④비익 유효

6) 족산난행(발 시큰거려 더 걷기 힘듬)  : 차백 자침 또는 위중혈 청근 방혈 ②정지(배부의 견갑극 중간 상하부위) 점자출혈

7) 퇴연무력 (=하지무력증, 겸 심조)  : ①견중, 통천 특효 ②목지(하관혈): 노인성 하지무력에 유효 ③수금 유효 ④목화(수배 제3지 1절선 중앙): 반신불수로 인한 하지무력

8) 퇴마(다리저림) : ①사마 ②대측의 견중, 신관 ☞심할 경우: 쌍봉혈 사혈  ***발가락 저림: 하삼황

9) 양퇴산(양다리 저림): ①배면혈(=견우혈) 점자출혈 즉효 2>수통 수금 ③칠리, 구리

10) 퇴냉통(하지 냉증+저림)  : ①목화/차백 저효 (: 중풍노인의 다리 냉감+ 통증), 인중/승장-신관/삼음교 ②쌍봉혈 점자출혈 ③통천(슬개골상연-곡골선 상의 1/2 지점, 하2촌에 통산, 하4촌에 통관혈이 위치, 약간 안쪽으로 내통관-내통산-내통관을 취할 수도 있다.) 통위(통신 상2촌, 통위 상2촌은 통배혈임)

11) 슬개통 : ①대측 내관 (환측 태충 견인침) 저효 ②견중, 심문 ③삼금(T3-4-5-6추간의 견갑내측연 :백호, 고황, 신당혈 부위) 점자하면 오래된 슬통 특효 ④중간 유효 ⑤담혈: 동경창 선생 ⑦중자 중선

★양유걸: 견중/심문 **내<간비>: 곡천[-], 외<담>:협계[+]-상양[-], 후<방>: 족삼리[+](비습) 또는 [-](마른이)

***슬통치료에 건측 견응혈 사용시 환측에는<내>: 삼음교 상사자<외> 절골 상사자.<후>: 곤륜 상사자 모두 환측 취혈 : 인대손상치료에 좋다.

★★★ 위양혈-위중혈 근방의 후방슬통/당김이 있으면서 굴신 곤란.=== 팔관34>>중자/중선 즉효 (+위중방혈, 음릉천-양릉천 투자<슬근 TP제거>)

12) 슬개냉통(무릎 시리면서 아픔)  : ①목화 ②견중 ③일측의 통천 통산 ④(만성무릎관절통에) 삼금 점자 저효

13) 하퇴통(원인이 풍) : ①구리

14) 소퇴창통(산통) : ①차백 특효 ②견중 유효 ③정지 방혈 유효

15) 과뉴상(=족과염좌) : ①소절(장지골하단융기직전하부의 적백육제 부위, 즉 토수3혈 직상부, 중선혈을 점찍고 그 방향으로 뼈에 닿게 해서 1.5촌 자침 ***김광호샘 : 오호5혈 상부의 오호혈상단기준인 내과첨혈로 사용, 역시 중선혈방향으로 자침) 특효 ②오호5혈 ③위중 점자출혈 특효 ④사화외혈 사혈: 부종에 좋다 

16) 족저(배)통 : ①오호3,4 , **복원혈도 좋다.(수장측4지 제1절 D선 123/4, 여기서 2째혈 하나만 써도 좋다. #E선은 적백육제선이아니라 C선과 적백육제선의 중간부분선이다!!!)

17) 족근통  : ①영골 저효 (속골 견인침) ②오호5혈(또는 4혈도 포함) ③위중혈 청근 점자 특효

☞정경혈: 대릉, 각근(대릉 전5푼), 백회 

18) 족지통 :①오호3

19) 지마(발가락 저림)  : ①하삼황(신관 가장 중요) ②오호3혈 ③쌍봉혈 점자: 심할 때

20) 통풍

☞먼저 오호3혈 자침, 다음 족삼리 추가 (2촌 깊이) 10분간격으로 강자극 한 번씩 주면서, 5푼씩 단계적 발침 먼저 족삼리 빼고 환자 걸어보게 하거나 운동시키고 나서 오호3을 나중에 발침. 

6. 흉복병

1) 흉복중앙 통증 : ①내관(자침 후 심호흡) ②통관, 통산

2) 흉복측통(압통) : ①사마 도마침법 ②중자, 중선

3) 복부주위 흉부 가까운 부위 통증 : ①내관 2>외관

4) 쇄골 밑에서부터 유방주위 사이 통증 : ①양구 ②문금

5) 협통 : ①사마 ②양릉천(뒤쪽 옆구리), 지구(앞쪽 옆구리) 더하면 더 신속

6) 흉막염 : ①사화중 점자, 다시 사마혈 자침

7) 소복측통 : ①사마, 통천, 통위

8) 늑막염(늑간신경통) : ①사마

9) 흉민 : ①화산, 화릉 동시 자침(양쪽 자침 금지) ②내관 충분 ③사마 유효 ④중증 심장질환: 사화중,외 점자 저효

☞내관, 족삼리 반복하여 자침하면 심장질환 치료

10) 복중교통(교장사)

①부소이십삼혈 점자 : 23개혈 다 점자한다는 뜻 아님 배꼽 주위에 각 1촌 상하좌우 점자. 심하면 사각 모서리 몇 개 추가

②사화중,외 사혈

11) 복통

①문금 특효 ②화국 : 통증 없어지면 예후 좋다 ③심하면 척택 사혈 ④침 빼면 통증 재발하면 기질적 질환 : 사화중,외 사혈

12) 소복통 : ①문금 특효 ②간문, 곡릉 하사자 효과

13) 배꼽주위 통증 및 요통 : ①완순1,2

14) 대장부복통 : ①문금 ②장문

15) 복창

①곡릉, 문금 ②문금 단침 ③영골, 대백 󰠆상복부: 문금 󰠌하복부: 영골 **문금-영골 같이 쓸 수도 있다. ☞정경혈: 내정, 삼리, 삼음교

16) 복부타상(타박상)

①사마 ②사화중,외 점자 효과 ☞모든 타박상: 해혈(족해) ***흉부타박상 : 사마혈, **뇌손상/심한 내상 :사화중 사혈

17) 흉복부 임맥선상 통증

①수상(태계 옆) ②태계 ③열결 ④승장(생리통에도 효과)

18) 흉련배통

①사마 ②중자 ③신관 ④상백

7. 요배통

1) 배통

①단배통: 중자, 중선 즉효 ②쌍배통: 정사, 박구 ③통천, 통배 유효 ④사마 특효

󰠆어깨쪽 배통: 중자  󰠌목쪽 배통: 중선  ☞정경혈: 승산, 비관  ☞척추 가까이 통증: 속골

2) 배련하퇴통 : ①마쾌수 탁효

3) 견배통 : ①신관 ②중자, 중선 특효 ③통신, 통위, 통배(특히 통배) 특효 ④비관

4) 배척기형(특히 척추측만증)  : ①명황, 기황, 통천 효과 ☞정경혈: 인중, 곡지, 곤륜 ☞간수, 비수 애구

5) 척추비대생아(골자) : ①위중혈 점자 저효, 명황 배용하면 더 좋다 ②구리, 완순1혈 특효 ③사화중,부혈(주로 삭골침법으로 활용) : 척추에 골극이 생기는 것

6) 흉추염좌 : ①곤륜 제일 좋다

7) 요추염좌 : ①정근-박구(정사 상방2.5촌) 자침 위중 점자 특효 ②인중, 후계(또는 완순①) 저효 ③칠리, 구리 

8) 요통 : ①수금, 수통 효과 ②이각명 유효(외향) ③위중 방혈 유효 ④하삼황 유효 ⑤마금수 효과 ⑥영골, 대백 극효 ⑦비익 유효

☞14경혈: 인중, 중저, 속골, 부류

★양유걸 셋트: 인중, 후계, 속골, 풍시 (오후에 효과 더 좋다)  + 중백, 하백; 급성 만성 모두 좋다.  + 수문금(상백 바로 밑); 급성 섬좌요통 95% 효과

9) 신허요통  : ①중백 (완순1 배용하면 더 좋다) ②수금, 수통 효과 ③신관에 부류 배용하면 극효

10) 섬좌요통 : ①마금수, 수통 유효 ②이각명 ③위중 점자방혈 신속효과 ***동선생: 이각명 또는 마금수 중 택일

☞14경혈 󰠆중앙부 통증: 인중 󰠉양측 통증: 후계 󰠌전체 통증: 중저

11) 척추정중선통 : ①위중 점자출혈, 양측 곤륜 자침 ②정근, 정종  ☞14경혈: 인중

12) 미추통 : ①심문 저효 ②정회, 후회 ③대도(해표)


II. 장부질환

1. 간담질환 (부:혈액질환)

1) 간염

①간문(간문혈은 소장경에 속하지만 태양경선의 내측인 양곡-주두선의 1/2에 위치, 완횡문-간문혈의 1/2은 장문혈, 주두에서 1.5-2촌사이의 함요부가 심문혈), 명황혈은 급성 만성에 모두 특효. 장문혈 배합하면 더욱 좋다

②만성간염: 간문 상삼황 추가

③간경화: 사화중,외 사혈, 꼭 상삼황 자침 

2) 간경화: ①사화중,외혈 점자출혈, 다시 상삼황 자침 ②상곡(견중혈 후방 1촌) 점자방혈, 다시 간문 명황 자침

3) 황달 :①상삼황 ②완골(손목의 양곡혈 하방, 소장경의 원혈), 지양(T78극돌기간)  **급성 간염: +간문, 장문 / 완골(손목)

4) 담낭염․담교통  : ①칠리 구리 도마침법 저효 ② 화지-기황- 화전 도마침법 ③목지(=하관혈) 특효. ④담낭혈(양릉천 밑 1촌 부위에 담낭염 발작할 때 압통 생김) ⑤하백(담교통, 담도회충증) ⑥천황 명황 기황 좌우 자침

5) 담석통  : ①목지 특효(=하관혈, 다른 혈과 비교 안 됨) ②칠리(구리 상 2촌 부위) 구리, 하백, 담낭혈(=양릉천하 1촌부위로 측삼리에 해당, **측하삼리 1촌 하방은 평형침에서 볼 때 비골소두-외과첨선의 1/3 위치인 중평혈/견통혈, 같은 선 상에서 하1/3은 신통혈, 중간점은 전간혈에 해당)

6) 주취 : ①이환혈(귓볼) 사혈, 소료혈 사혈 ②화포

2. 심장질환 (부:혈관질환)

1) 심장병 통치 : ①통관, 통산 (가운데가 복토임) ②내관, 족삼리 ③천종, 인종, 지종 ④화경, 화주

2) 진심통(심교통) : ①통관 통산 ②화포혈 점자출혈하여 흑혈 나오면 대단히 효과적

3) 심근경색 또는 급성심장교통 : ①내관․족삼리 또는 통관․통산 ②10일 간격으로 2조의 혈위 사혈   ①사화중,외 ②주횡문의 척택,곡택 

4) 심하창 : ①심문 ②통관 통산 유효

5) 심계 : ①심문 특효 ②통관 통천 자침 유효 ③사화중,외혈 점자 방혈 유효 ***심계항진 : 좌측 은백+ 양측 화슬 사혈

6) 심장마비 : ①곡릉 방혈 극효 ②사화중,외혈 방혈 **중충, 소상 사혈

7) 심구통(풍습성 심장병) : ①통관 통천 통산 ②사화중, 부혈 점자출혈 (심?때만)

8) 심양측통(혈관경화) : ①사화중, 부혈에 점자방출 자흑색혈 사혈

9) 심근염  : ①심문 ②내관, 족삼리 

10) 부정맥 : ①심상, 심문

11) 정맥류 : ①정맥류의 상하세정맥에 방혈  (정맥류가 튀어나온 혈관 하단의 청근 사혈이 제일 좋다) 

12) 혈관경화  : ①사화외, 풍륭 ②지구, 풍륭 ③사화중,외 사혈 ④)위중혈 점자 유효 ⑤오령혈(제4~7추 외방 1.5촌에서 3촌) 점자 특효

3. 비위질환(부: 대소장 질환) ♨황기건중탕 특효(10명중 9명 ; 脾胃陽虛형)

※부위별 복통은 부위별 동통․운동기 Part 참조 ***급체 : 좌 제1족지 은백 + 은백-대돈 중간점 + 제1수지의 중상 사혈  **구순생창 : 음릉천-혈해 사이의 청근 방혈 **구내염 : 각손<초>, 곡지-수삼리<대>, 양곡<소>, 풍문-비유-신유<독>. 상완-중완<임> 소장정격(전곡사 후계보 임읍보 통곡사) 비정격(은백사 대도보 대돈사 소부보)이 우수하다. #모든 구강염- 上脣穴, 下脣穴, 點刺出血 ** 입술 말라서 갈라지는 것(가벼운 정도); 脾正格 ** 입 안이 헐어서 고통스러울 때; 中渚(사?), 液門 補, 陽谷 瀉 ** 혀가 터서 고통스러울 때; 內關, 太衝, 中渚 瀉 ** 혀 가장자리 변이 파인 경우나 온 입안이 쌀알 처럼 돋아나서 밥을 못 먹을 때도; 內關, 太衝, 中渚 瀉 (對側)

1) 위병 : ①사화중,외혈 점자출혈, 다시 통관 통산 자침 특효

2) 위궤양 : ①위병과 동일

3) 급성위통(급성 위경련, 위십이지장 궤양 포함) : ①사화중 점자 즉효 ②토수 점자 ③양구 ④내관 족삼리

4) 십이지장궤양 : ①사화중,외혈 점자 특효 ②해계혈 부근에 점자 효과

5) 위산과다 : ①천황, 신관 ②통천, 통위

6) 구토 : ①총구혈(풍부) 점자 즉효 ②사화중 점자 유효 ③수금 수통 유효 ☞정경혈: 간사(외관 상2촌부위, **1촌부위는 지구) / 대릉 노궁 내관

7) 반위(구역감-위식도역류) : ①천황, 신관 자침 ②총구(풍부), 사화중 점자출혈

8) 위염 : ①문금 ②사화상 점자

9) 식욕부진 : ①영골 ②사화상(족삼리), 문금

10) 비종대 : ①목두 목류 자침 ②삼중 자침 ③심할 때: 사화중,외 사혈

11) 흘역(딸꾹질) ①간사

12) 급성장염(급성 설사) : ①문금 특효 (+곡지) ②장문(지압하면 변의 감소) ③사화중, 외혈 점자 특효

13) 장염 : ①문금 특효 ②장문, 족천금 ③음릉천, 곡지 

14) 변비 : ①화관(지구) +조해 특효

15) 소복창통(아랫복통) : ①완순1,2혈 ②내정(문금혈로 대신), 족삼리, 삼음교

16) 장출혈 : ①사화중,외혈 점자출혈, 다시 저매 자침 

17) 치질 : ①위중 사혈 특효 ②기문 기각 기정 효과 ☞고서: 상구, 이백(간사 후방1촌) ☞위중에서 승산 사이 또는 음릉천 부위 청근 사혈 *****항문직장부위 통증 --평형침의 치창혈(손바닥하향, 완관절중심-주관절선의 상1/3의 요척간에서 하향2촌사자)

18) 맹장염 : ①사화중,외혈 점자출혈 기효 ②난미혈(족삼리하 2촌에 반응이 온다)

19) 곽란축근(콜레라등의 물설사, 토사곽란시에도 동일) : ①사화중,외혈 점자출혈, 박구혈 자침 ☞척택, 위중 사혈 ☞경기: +승산 

4. 폐계질환 ※흉막염, 늑막염은 부위별 동통․운동기 Part 참조


**가래기침폐렴-비염-인후통-천식 : 영골대백-중자중선-차삼목혈측삼-토수내관수천해

1) 감모 : ①차삼(팔사혈 근처 적백육제중의 2-3, 3-4, 4-5지 사이의 뼈가 솟아오르는 부위를 각각 삼차일, 삼차이, 삼차삼으로 칭한다. 차삼혈만을 말할 때는 보통 4-5지간을 말하며 수근방향으로 자침하지만 병에 따라 1,2,3혈 모두 자침하기도 함 **참고 : 팔관3,4는 담혈선에서 상1/3-하1/3점을 취하여 그 사이를 횡자 . 목화혈은 수배제1지 제1선중앙을 말하는데 3지를 제일 많이 씀) ②목혈 ③오령혈 점자출혈하면 열 소퇴 ④비색에는 측삼리 1침으로 즉시 통함. 목혈 문금 효과. ⑤이첨 사혈

󰠆감기로 인한 두통: 차삼 + 대백 󰠉인후통: 차삼 + 토수(어제) 󰠌콧물 많고 막힘: 차삼 + 목혈 or 문금(2-3족관절 사이의 함곡혈에서 내정-함곡혈거리의 1/2정도 더 올라간 지점)  ***보통의 경우는 먼저 영골-대백-차삼1을 자입, 중할 경우는 소상-상양 점자 출혈 + 곡지 취혈을 더하고, 너무 심하면 슬개내연(통신통위통배선)상으로 서혜인대에서 하방2.5촌, 5촌 부위의 감모1, 2혈을 대퇴골 쪽으로 1.5촌이내 깊이로 자침한다. **감모3혈은 C7T1극돌기간의 도도혈과, T34극돌기 사이점에서 외방3촌 부위인 양측 백호혈(견갑극단에 가까이 위치)을 합하여 말하며 중증감모에 사용한다.

2) 기관지염(해수) : ①수금, 수통 (상사자, 수금이 중요) +척택 ②만성기관지염: +신관 ③기허일 때: 영골

3) 기천(천식) : ①급성: 토수(=어제) 특효(발작시 몇 분 내에 그침) +내관 ②만성: 먼저 어제 자침, 발작 없을 때 수통 척택 자침, 치료효과 앞당기려면 척택 사혈 ③대백 중자 중선 유효 ④사화중, 외혈 점자도 매우 효과 


1. 기침에는 **手喘咳占(수천해-수장측2-3지MP관절4돌기부사이점) 먼저.

◉ 水金 水通 : 補腎의 개념.

◉ 三士 : 補心(가래가 없다). 心肺개념(火克金개념) 則 上熱 胸痞 心熱있으면서 咳嗽할때.

◉ 駟馬 : 補肺.

2. 靈骨 大白 : 목구멍이 간질간질할 때(喉中癢). 肺氣虛(氣虛)느낌시 加해주면 감기에 월등히 좋다.

3. 重子 重仙 : 폐염(袪痰). 주로 가래없앤다.

4. 豊隆 : 去痰에 상당히 좋다. ※ 中脘하고 豊隆이 痰에 좋다..

5. 足千金과 足五金의 中點穴 → 인후종통(목구멍이 부어)있으면서 가래있을 때. 條口穴바깥쪽 膽經上의 穴.

◈ 咳嗽(해수)

ⓐ 水金 水通 : 腎水의 문제. 腎虛로 因한 기침. 감기가 왔는데 삐쩍 마르고 기침하면 허리가 아프거나 허리가 아프면서 기침한다하는 경우.

ⓑ 駟馬 : 肺의 문제.

ⓒ 三士 : 心臟의 문제. 心臟熱(面赤)로 인한 기침 → 양측 人士. 火克金한 경우다. **인사 : 완횡문상 3촌부, **지사 : 척택-태연선의 1/2, **천사: 주횡문에서 2-3촌사이의 주름부,

※ 咳嗽 通治方 → ① 手喘咳點(수장부 2-3수지의 MP관절의 네 융기가 이루는 관절 사이점)  ② 水金 水通 ③ 양쪽 人士穴. (肺가 弱한 느낌이 들면 駟馬穴)

4) 폐렴 : ①중자 중선 대백

5) 폐부창민(폐기종) : ①사화중, 외혈 점자출혈 즉효

6) 폐결핵 : ①사화중, 외혈 점자, 다시 사마 자침하면 극효

5. 신방광 질환

1) 소변불리동통(방광염, 요도염) : ①육쾌(눈동자 수직선과 인중수평선 교차점), 칠쾌(지창혈) ②외간, 부간

2) 요도통(방광염․요도염/열림) : ①외간(제일 좋다), 부간 저효 ②부간, 이백, 운백 유효 ③화경, 화주 저효 (혹 영골, 화주) ④마쾌수

♨처방: 팔정산, 용담사간탕 ♨양유걸 선생: 사약산가미(시호, 지실, 작약, 감초 +길경, 복령) 저효 ♨임신부 요도염: 청심연자음 유효, 자침 삼가

3) 소변불통(전립선비대) : ①음릉천, 족삼리 ②기해

4) 뇨의빈삭(소변이 자주 마렵다) : ①신관(신유+관원의 의미가 있다!!!) 가장 좋다 ②해표(은백-대도 사이의 족부 대지의 내측, 말절의 정중앙) 목부혈(족배부 제2지C선 정중앙) 자침 특효 ③마쾌수

5) 임탁(소변이 탁할 때,) : ①통신, 통위, 통배 자침 ②마쾌수 ③기해, 태충 ♨고림 특효방: 편축분청음, 만성에는 보중익기탕+백지 사간

6) 소변출혈 : ①하삼황

󰠆결석(요도결석, 신결석) : 마금수, 마쾌수, 육쾌, 칠쾌 󰠌신염으로 소변에 피 섞일 때: 하삼황 

7) 소변융폐(소변불통=무뇨증) : ①음릉천, 족삼리 유효 ②견중 운백 하곡 ③하삼황

8) 신염 : ①급만성신염: 통신, 통위, 통배 저효 ②수유혈(=노유, 견우혈 후방어깨선을 따라 비스듬히 2촌 하방, 견료혈 1촌 내측부)에 삼릉침으로 황수 자출 ③하백(신교통)

9) 수종 : ①통천 자침(하지부종) ②통신, 통위, 통배 자침(안검부종, 전신부종) ③소퇴부종은 심장과 관련: 통관 통산

10) 사지부종 : ①통신, 통위 ②하삼황 +통천(소퇴부종)

◈ 浮腫(부종)

1. 下三皇 : ★ 腎臟性 浮腫.

2. 通關 通山 通天 : ★ 心臟性 浮腫. ※ 다리에 浮腫이 있을 경우 通天을 정확히 찔러라.

3. 通腎 通胃 通背 : 특히 ★ 전신부종에 좋다. 通腎-通胃만 써도 된다. **아침에 일어나면 붓는다. 소화도 안되고. 특히 눈 주위가 부을 때는 → 通胃.

4. 中白(중저) 水曲(임읍) : 팔, 다리가 부을 때. 四肢浮腫.

5. 膝靈 : 下肢浮腫, 다리가 붓고 땡길 때.

6. 盆中 : 下肢浮腫에 매우 좋다(3지, 4지 조갑중앙하 0.2촌부위)

11) 신결석 : ①마금수 ②발작시: 하백

12) 방광결석 : ①마쾌수 자침

III. 신경정신과(두부질환) : ※두통은 동통․운동기 Part 참조. ***정신혼미 : 중상+화슬(소택혈)>인중+인당+승장, ***가스중독 : 중상+십선+인중+백회 사혈 **동사 : 백회+인중 사혈

1. 정신피로 : ①차삼 (피로 해소) ②비익 (피로 예방): 45도 각도

2. 현훈

1) 두훈 : ①영골 저효(+곡지) ②해혈(기혈착란 치료), 인중 ②고혈압으로 인한 두훈 : 먼저 오령혈에 점자방혈, 다시 화경 자침하면 바로 혈압이 떨어지며 아울러 현훈이 낫는다. ③뇌빈혈로 인한 두훈 : 통관, 통산, 통천

***메니에르 증후군: 영골․곡지 중 택일. +내관

2) 뇌신경불청(머리-눈-귀 맑지 못함) : ①하삼황 유효 ②정회(백회), 진정(인당) 자침하고, 삼중 방혈

3. 수면장애

1) 불면 : ①사관(양 합곡+양 태충: 사려과다) ②삼간+ 행간 배합하면 효과 증가 ③행간+간곡(삼간과 합곡의 중간)이 더 좋다.  ★양유걸 셋트: 풍시, 간곡 

2) 불면Ⅱ : ①하삼황(음릉천-지황-삼음교)에 진정혈(인당) 배용하면 극효 ②대백, 구리 저효

★양유걸 셋트: 간곡혈(대백과 합곡의 중간점)+ 행간 + 풍시 이첨/오령혈 사혈 

3) 수면중교아(이갈이), 몽유병 : ①사화하 특효 ** 병인: 담열, 위 불화 

4. 중풍

1) 중풍치료 개요

☞침 : ①정혈 사혈: 손의 12정혈 모두 사혈, 발에서는 선택 사혈(대돈, 은백, 여태) ②자침 : 백회, 인중, 내관, 태충 

2) 중풍(혼미불어) : ①먼저 정혈 사혈 ②정회, 전회, 후회, 영골

3) 반신불수(편고) : ①먼저 꼭 목화혈을 먼저 7-8분 자침하고 침을 빼고 나서 아래 혈들 자침  (처음 몇 번만 사용. 간 심포 조절)

①영골 대백 특효 (화와 목을 다스림) ②구리 칠리 도마침법 특효 ③정회 후회 ④대측 중자 중선 효과 ⑤신허일 때: +신관 ⑥심할 때: 배부 오령혈 주위 사혈 

4) 중풍설강불어(실어증) : ①상구, 정회․후회 ②풍부, 아문 사혈

5) 가성구마비(연하곤란) : ①풍부 아문 사혈 ♨지황음자 탁효

6) 사지떨림(파킨슨 포함) : ①신관, 부류, 명황 ②명황, 기황, 신관 ③정회, 전회, 목지 (진정작용)

☞두침(무도진전억제구) : ․떨리거나 어지러움은 간과 연관

♨추위타거나 수축되는 것(진율)은 신과 연관 : 진무탕증

☞파킨슨병은 간신을 함께 다루어야 한다(2신1간): 신경(신관, 부류)+간경(명황) 

7) 중풍수구련 : ①가벼울 때: 건측의 중자 중선 유효 ②심할 때: 환측 척택 사혈(오십견에도 마찬가지)


@@@중풍

1. 中風환자는 무조건 먼저 心下部(명치)와 中脘을 만져본다. 心下痛있으면 食積이다. 이것부터 최우선적으로 뚫어야한다. (食積으로 인한 胃熱이 肝心의 문제로 인해 터진것).

==>少商放血(해열+체기 소실), 土水, ★ 公孫內關(胃-心包相通)解谿[-],(오래됐으면 解谿[-] 後 [+]) (心下痛있으면 解谿[-], 평소에 중완의 食積이면 해계 補.)

2. 기본적으로 左탄 : 肝正格(간 보), 右환 : 肺正格.(폐 보) → 상당히 잘듣는 경우 많다.

3. 신장관련

\\ 太谿[-] : 먼저 치료하라(참 좋다, 腎虛가 깔려서 上熱이 뜨는 걸로 보고). 모든 中風환자에 거의 다 해당됨. 太谿[-] 하나만 해도 손발이 팍 올라가고 좋아짐. ★ 腎虛의 느낌이 들때 사용. 또, 太谿[-] : 척추뼈 마디가 아플 경우, 中風에 좋다. 腎虛의 느낌. \\. ★ 然谷[-] : 팔쪽으로 작용. 腎臟의 熱이 많은 경우.

4.심장관련

\\ 心少海[+] : 心實症(上熱下寒등 水火의 문제). 팔에 作用. 얼굴이 땡기거나 실룩거릴 때.

\\ <大敦[+] 太白[-]>心虛의 느낌 + 完骨[-]추가할것. =>★ 語澁(언어건삽)에 좋다. 말못하는 건 대체로 心과 연결됨.

5.추가적으로

\\ 八關, 사봉 : 肝의 느낌. 팔관혈은 팔,다리에 다 작용해서 좋다. 예)오십견.

\\ 木火 : 肝心의 느낌. 肝보다는 心의 느낌에 더 가깝다.

6.근육약화

\\ 宏中(曲澤上 4.5寸. 三宗穴 line) : 上肢無力(내관 먼저 사용, 內關을 놓아 效果가 없으면 使用).

\\.<風市[-](下肢에 사용), 太衝[+](팔에 작용)>★반신불수에 구안와사 같이 있을 때, 팔다리 마비된 경우에도 좋다. *풍시 자체만도 상하지무력증에 다 작용하나 상지 쪽은 그 효과가 약하다.

\\ 列缺 : 中風의 팔꿈치 以下의 無力에 좋다. cf. 肝中風은 오그라 드는 것이고, 心中風은 늘어지는 것이다. Cf> 靈骨 大白 重子 重仙 腎關 中九里 : 별로다.

\\ 商丘 地宗 木留(肝膽의 개념)三重 : 말을 못하는 경우에 잘 듣는다.

\\ 百會瀉血 : 初期에 특히 좋다. 말못하고 下肢少力있을때 좋다. 특히 鬱熱된 사람(熱이 위로 올라가 막힌 사람).

\\ 語鈍 : ★ 風府부위에 딱딱한 것이 있으면 그 일대를 살을 꼬집어올려서 放血. &혀밑 靑筋放血도 좋다. 란셋으로 刺破시킨후 처음건 뱉어내고 나중나오는 피는 삼킨다.

\\ 下關 : 下肢無力. (※ 董氏침에서 靈骨,大白(오래된 中風), 重子重仙穴, 腎關등이 나오는데 실제 上記내용이 더좋다)

⊙ 中風 =>뇌진탕방을 쓸수있다.같은 개념이다.

5. 기타 뇌질환 : 삼중혈은 머리를 좋게 함. *상류혈(내과첨-조해선의 발바닥 중앙 연장점에 위치, 뇌진탕/뇌압 상승에 유효)

1) 뇌막염 : ①삼중 도마침법 ②사화외 점자, 다시 정근 자침

2) 뇌류 : ①우선 주곤(후정 0.5촌 후방, 1촌 양 외방), 주륜(백회 후0.5 촌 양 외방1촌), 화광 자침하고, 다시 삼중 도마침법 활용한다. ②상류혈을 배합하면 더욱 효과 ③삼중 방혈

3) 뇌골종대 : ①정근혈. 상류혈을 배합하면 효과가 더욱 좋다. ②삼중 방혈

4) 뇌적수 : ①정근, 상류 효과 ②삼중 방혈

5) 전간(간질) : ①신관, 상류 ②완순1,2 ③금전상,하 ④배부의 제3추방 1~1.5촌에 금길, 금릉(즉, 폐수 궐음수)에 점자출혈하면 1회 치료로 즉시 치유.+대추 사혈

***․치료원칙: 배부 사혈, 보신, 뇌신경 치료 

6) 혼미 : ①신지혼미에 화경, 화주 정회, 전회에 오령혈 배용하여 점자 ②심할 때: 12정혈 사혈(순서: 관충, 소상...) ☞정경혈: ①관충 사혈 ②소상 사혈

7) 훈침 : ①수해혈에서 하백으로 투자하면 1침으로 치유 (**수해혈=소부혈 - 시술할 수장에 힘을 빼고서 신전-굴곡시키면서 제45중수골 근위단을 촉지 표시하고, 그 사이 직하 공간에서 자침하는데, 원위지단을 수장에 붙인 후 좀 더 힘을 가해서 굴곡하게 할 때 드러나는 건 사이에 자침 **34중수골 사이의 노궁혈, 23중수골 사이의  외노궁혈도 동일) ②족해혈 유효


IV. 오관․피부 질환

1. 안과 : ※실증 또는 오래된 안질환: 태양혈 사혈이 매우 중요, 때로 삼중혈의 방혈도 한다. **삼상황(천황-명황-지황 중에서 특히 명황)과 하삼황, 신관-광명(복류위치에서 골격에 연접하여 자침 : 눈부심, 백내장-녹내장-비문증, 복시-난시-시신경 위축에 좋다), 영골-대백,상백-중백-차삼-완순1,2, 목혈, 측삼리/측하삼리/풍시, 삼峠?방혈, 화국, 화경-화주, 화골1혈 등을 사용. ***안검경련 : 木火3이나 風市만 갖고도 다 낫는듯. ⓐ 상안검 : ★ 木火3(손의 제4指 첫 번째 마디 中間), 담혈. ⓑ 하안검 : ★ 木火3. 上白, 上三黃 肝門.  ※ 木火3이 상하안검에 다 제일 좋은데, 상안검엔 膽穴도 좋고, 하안검엔 上白도 좋다. ※ 안검경련에 측삼리-측하삼리, 신관. 風市도 써볼만.

1) 목적(결막염, 각막염) : ①이첨 사혈 저효 ②상백혈 자침을 추가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 ③배부의 오령혈 점자 ④사마혈(보통의 충혈) ⑤태양혈에 소량의 점자출혈로도 효과가 매우 좋다.

☞타박충혈: 환부 태양혈 사혈

2) 시력모호*안혼(눈 침침 : 노안, 망막정맥폐쇄, 백내장, 황반변성, 망막박리와 관계)*안화(비문증) : ①신관, 광명(부류) 효과 ②고혈압으로 유발된 안화: 오령혈 또는 이첨 방혈하고 다시 하삼황 또는 영골 자침 ③이배혈의 점자 효과

3) 수침안 : ①영골 좌우교자(우병좌취좌병우치)하면 1,2차만에 낫는다. ②이첨 점자출혈을 소량하면 효과가 역시 좋다. ③태양혈 점자출혈 유효

4) 목건삽 : ①목혈 저효(아래의 목혈이 더욱 효과) ②명황 유효 ③부류(광명)혈을 배합 효과

5) 양안불개 : (근무력증이 제일 많다, 안면마비 때에도 올 수 있다.) ①차삼, 화국 즉효 ②광명, 인황

6) 사안 : ①안검내 피육상 홍점에 침으로 점자출혈 저효 ,

7) 복시 : ①명황, 부류 저효

8) 난시 : ①중백 유효 신관- 광명 유효

9) 사시 : ①하삼황 극효 ②태양혈 점자출혈 극효

10) 백내장 : ①하삼황 장기치료 탁효 ②신관, 광명

11) 야맹 : ①예명혈 특효 ** 양백(어요 위)/풍지 + 행간 or 신관/광명(부류)

12) 견풍유루 : ①목혈 특효 ②하삼황 유효 ③오래된 병에 삼중혈에 먼저 점자하는 것이 좋다.

13) 안기도(안검경련) : ①대백(삼간) 후계 같이 자침 특효 ②완순1,2 혹 후계 ③측삼리, 측하삼리, 신관 ④풍시, 부류, 공손/내관 ⑤삼천(=상천, 중천, 하천) 

※입술 경련/마비 : ☞측삼리/측하삼리 삼천, 

14) 청광안(녹내장) : ①화경, 화주혈 매우 효과적 ②하삼황, 광명 자침 탁효 ③행간 특효 

15) 비문증 : ①신관, 광명 자침

16) 시신경위축 : ①태양혈 점자출혈 ②신관, 광명 자침

※베체트병(구강, 음부, 눈 궤양) : ♨감초사심탕  ***다래끼- 상내측:화슬+지음, 상외측 : 관충-규음, 하외측 : 소충-여태 동측혈을 사혈

2. 이과

1) 중이염 : ①족외과 주변에 산자출혈 ②지오회 사혈 (비정상적인 농, 화농된 상처 치료) ③제오 점자출혈

2) 이통 : ①측삼리, 측하삼리 ②차삼, 사마 ③삼중, 사화외 동시 점자출혈

3) 이내창 : ①차삼, 영골 ②곡릉, 중백 30분 유침

4) 이명 : ①사마(-), 신관(+)하면 즉효 ②곡릉(-), 명황(+) 유효 ③사마 자침, 무명혈(T78극돌기간) 방혈 ④완순1,2 ⑤사마, 신관 ⑥중구리 ⑦영골 ⑧차삼  

***이명, 이통, 이롱, 측두통 : 풍시(중구리), 외관  

5) 농아 : ①먼저 삼중 방혈, 재차 사마 6혈을 동일 자침 ②총구혈 점자출혈 ③실음혈

☞고서: 청궁, 청회

3. 비과 : ※거의 모든 코질환 : 사마혈  **코골이 : 하관(양쪽 취혈, 입을 벌리면 사라지고 입을 다물면 홈이 생긴다. 상관 밑)-입다문상태에서 1-1.5촌 약간 하향 심자, 30분 유침. 이롱, 하지약화, 구안와사에도 사용

1) 비건(비강건조) : ①사마혈 자침 ②영향(견인침)

2) 비색(코막힘) : ①감모비색: 견중 탁효 ②측삼리 30분 유침 유효 ③문금 유효 ④목혈 유효 ⑤화부해 유효

3) 콧물(알레르기 비염) : ①차삼 ②목혈

4) 비막염(과민성비염, 만성비염 포함) : ①사마, 통천, 통관 ♨소청룡탕, 나중에 보중익기탕 ♨계지탕, 옥병풍산 가감 ; 면역기능 강화 ★양유걸 셋트: 사마, 사관혈(=합곡+태충, 태충혈은 뒤쪽의 화주혈이 더 좋다)

5) 주사비(비두홍훈) : ①정본혈(=소료혈)에 점자출혈 3-4차에 낫는다 ②배부의 비수, 위수혈에 점자출혈 탁효

6) 비뉵(비출혈) : ①견중 즉효 

4. 인후 질병

1) 후통 : ①이후의 청근 방혈 ②삼중혈 방혈 ③족천금 방혈 ④토수2,3혈은 급성 후통 치료에 대단히 효과적 ⑤화경혈 매우 효과적 󰠆급성: 소상 상양 사횰 󰠌만성: 화주혈

★양유걸 셋트: 차삼+토수2혈

2) 어골자후(목에 고기가시 걸림) : ①족천금혈 자침 특효 :족오금과 도마로도 쓴다. 인후통 및 앞쪽-옆쪽의 경견통에 잘 듣는다. 전신통과 함께온 편도농양의 경우 사지혈, 족천금, 지구혈(또는 소상 사혈)이면 끝,

3) 성시(목소리가 쉬어서 잘 안나옴) : ①실음혈(슬개내연중앙이 1혈, 슬개골연을 따라 1촌정도 더 내려간 부위가 실음2혈. 또는 수직하방2촌부를 2혈로 취함, 이 때 족천금을 배용하라!!! 

5. 구설치 질환

1) 하함골통(입 못벌리는 통증) : ①화경혈에 해계혈 배용, 효과 더욱 좋다. ②이배 점자 ③태양혈 점자 (구강암 치험례) ☞정경혈: 외관, 양릉천

2) 설두난어(중풍실어) ; ①견중에 자침, 상구 배용 더욱 효과 ②총구혈 천침, 점자출혈 ․수금에 자침하고, 풍부 아문 주위에서 몇 방울만 사혈, 3-4일 간격으로 계속 사혈

☞정경혈: 상구(비경이 혀에 닿음) 

3) 설하종 : ①측삼리, 측하삼리 효과 (금진 옥액 점자출혈 더욱 효과적이다)

4) 구내생류 : ①사화중 점자, 사화상 자침 ②상순, 하순혈 점자 ③태양혈 점자

5) 아통 : ①영골 자침, 측삼리 측하삼리 교자 ②사화외 유효 ③각배

♨이신탕(석고 1냥, 세신 1돈)으로 양치질 ☞함곡 부위 또는 족소양경 사혈 ☞치주 통증: 태계(신장과 연관)

###口舌질환 정리

1. 口乾; 下關穴(木枝穴) 양측 직자, 지신혈 2. 糖尿 口渴; 通腎(膝蓋 內側 上緣) 통위 통배 3. 口內生瘤; 四花上穴,

4. 脣痛, 白口症; 上脣穴/下脣穴, 點刺出血

-- 입술의 모든 병(입술/가장자리 헌데, 말라서 갈라지는데, 딱지 생긴 데, 입이 하얗게 마른데, 구취)에 등등

===; 上脣穴/下脣穴, 點刺出血 이후 그 혈들을 再鍼 (賴氏는 이상 치료 후 효과가 적으면 外勞宮을 刺) , 가벼우면 비정격도 사용

5. 口腔炎; 상순/하순穴, 點刺出血

==> 입 안이 헐어 고통 (구내염 통증); 급성에서, 먼저 삼초/소장 실의 의미로 中渚 사(삼초 화)==>液門 보, 양곡 사(소장 화), 구병에서 전곡 사-후계 보(소장 허의 의미), 비정격(은백사 대도 보)

==> 혀가 터서 고통스러울 때; 모든 설염에서 간-심포-삼초를 다룸 (대측의 內關 사 + 太衝 사, 中渚 瀉), --혀 가장자리가 파인 경우나 쌀알 처럼 돋아날 때에도

6. 舌下腫; 側三里穴, 側下三里穴

7. 양치질할 때 건구역; 明黃穴

8. 舌根較大而 言語不淸者(목소리가 쉰다-有效); 失音穴 (長期治療)

9. 口涎(침이 질질); 水金/水通(특히 성인-한증으로), 止涎穴(특히 소아- 열증으로 인함)

10. 舌强(혀가 굳음); 地宗穴 == 舌强者; ①商丘, 木留穴 ②三重, 木留穴 ③肩中穴, 商丘 ④百會, 商丘 ⑤地宗穴 


6. 피부외과

1) 피부병(소양증) : ①상체: 곡지 ②하체: 혈해(슬개 내상연 상방3촌) ===☞자침법  :  먼저 2촌 자침한 다음 5푼 정도 뺌  10분 간격으로 5푼씩 빼고, 마지막에는 그냥 발침하면 가려움 즉시 멈춤.

③이첨 사혈: 각종 피부병 치료 **․소아 피부병에 침놓기 힘들 때: 이배 사혈(2-3개월에 치료) 

2) 풍진(가려움)

①천황에서 인황혈까지 선상방혈 및 문금혈 점상방혈, ==>다시 사마/구리 자침 ②이배점자출혈하면 특효. 이후에 사마/구리혈 자침 **․식중독으로도 올 수 있다

☞정경: 곡지, 혈해, 삼음교 (천자) ☞상부에 많을 때: +견중 ☞하부에 많을 때: +구리 풍시

## 대상포진

(1) 『장』P123 풍진(風疹)처방 → ★ 건측 천황~ 음릉천~ 인황, 문금 부위 청근에 흥건 할 정도로 피를 뽑고 나니 한 번에 낫더라.

(2) 경락의 화혈(火穴)을 (-) 하면 통증이 낫더라. 다시 후퇴한다. [김광호]

(3) 영골+ 사마 +수금/수통+ 상삼황 방혈 후 자침(방혈 안 해도 무방)

3) 피부민감 : ①사마 특효 ②이배 사혈 특효

4) 우피선(건선, 신경성피부염) : ①사마 특효 ②이배 사혈 특효 ★매일 사마 자침, 일주일간격으로 이배에서 사혈, 또는 배부의 폐수 궐음수 사혈

5) 청춘두(여드름) : ①사마 특효 (+영향) ②이배 사혈 특효 ②배부 사혈 특효

․생활: 단 것 적게 먹음, 기름진 음식 줄임, 매운 음식 줄임, 대변 잘 통하게, 잠 잘자고, 야채 과일 충분히, 세수 자주, 햇빛 적게 봐야   ****두면제창(얼굴과 머리의 모든 염증 ): 족해혈 >>사마-이배 사혈

6) 경항피부병 : ①견중 자침 ②사마 ③이첨 사혈

7) 나력 : ①삼중, 육완 환측 자침 특효 ②우선 삼중 방혈, 다시 승부, 질변 자침하면 극히 효과적 ☞고서: 천창

8) 대경포 : ①우선 삼중 방혈, 다시 측삼리 측하삼리 자침 ②족천금 족오금 자침

9) 자시(이하선염) : ①이배방혈 ②삼중 사혈 ③사화외 점자 ♨처방: 보제소독음

10) 지방류 : ①명황 특효 ②외삼관 유효 

V. 부인과 (부:남성생식기 질환)

1. 부인과

1) 부인과 통치 : ①부과, 환소 2혈로 거의 모든 부인과병 치료. ②저매

2) 자궁통(+생리통) : ①부과혈<1지 수배 제2마디 내측5등분에서 중앙3점> 특효 (+환소:4지 수장 제2마디의 외측중앙점) ②문금 ③승장 ☞생리기간에 내원하면 문금 먼저 자침

3) 난관폐색 : ①부과, 환소 특효 ②목부(=여태혈 하방, 제2족지 배측 제2절 C선 중앙지점 직자) 배용가능

4) 자궁근종 : ①부과, 환소 ②중자에서 중선 사이의 직선상에 점자, 다시 환소 자침 ③심할 때: 내과 주위에 삼음교까지 청근 사혈 크기가 주먹크기(10cm) 초과하면 치료 힘들다. 

5) 적백대하 : ①부과, 환소 ②저매3, 목부 ③운백, 이백 (백대하) ④영골, 대백 (백대하) ⑤하삼황 (백대하) ④통신, 통위, 통배 

6) 황대하 : ①행간 (간담 습열 제거)

7) 음종 : ①부과, 환소 ②화주, 화경, 행간 ③심할 때: 내과에서 삼음교까지 사혈

8) 음도염(혹 겸 황대) ; ①운백, 해표 ②부과 

9) 자궁염(경통) : ①문금 특효 (진통, 급성) ②부과 (근본치료, 만성) ③목부

10) 자궁병 : ①수곡(=족임읍) ②부과

11) 난산 : ①화포 ☞정경혈: 지음, 삼음교, 합곡 예정일이 지나면 유두를 자주 만지게 한다→자궁수축

12) 구년불임 : ①부과, 환소 (서로 좌우 교자 더욱 효과적) ②내과에서 삼음교 사이 사혈

*모든 검사가 정상 or 생리가 3~5일 늦어진 경우(조산일 경우가 많다) : 처음부터 안태 시키고, 부과 환소 자침. 계단을 걷지 않게 한다

*부과, 환소는 임신 중에 자침해도 괜찮다 ▣ 婦人

★ 婦科 還巢(네번째 손가락 둘째 마디 E線에 가깝게 一點) 左右에 따로 놓는다.

★ A.◉ 三陰交 照海 內關 → (瀉하면 내리는 작용, 補하면 올리는 작용)

★ B.◉ 合谷 太衝 → (補하면 내리고, 瀉하면 올린다).

※ 생리불순, 유산, 자궁출혈, 태반반출곤란증 등 모든 부인과질병에 A, B를 응용할 수 있다.

2. 남성생식기 질환

1) 소장산기 : ①내과에서 삼음교 사이 일대에 점자출혈 ②대간 소간 외간 중간 부간혈을 임의로 선혈 3-4혈 ③대돈, 삼음교 효과 

2) 유정 : ①하삼황(신관 가장 좋다) 

3) 양위조설 : ①하삼황 (수금 수통 배용 더욱 좋다) ②대돈, 삼음교 저효 (대돈의 疏肝, 신관의 固腎) 

4) 고환염 : ①족내과에서 삼음교까지 일대에 점자출혈 ②대간, 소간, 중간, 부간(산기 치료와 동일)

5) 귀두염 : ①하삼황, 대돈, 행간 (중극혈 배용 더욱 좋다) ②화경

VI. 기타 클리닉 1. 생체징후 관련

1) 발열(고열) : ①대백 극효 ②오령혈 점자 ③소상, 중상, 노상 사혈

2) 고혈압 :

①오령혈(제4흉추~제7흉추 양방 1.5촌, 방광경상의 궐음수에서 격수까지)의 와운에서 토설혈까지 점자방혈

②위중혈의 청근에 점자출혈 ③사화중,외혈 점자출혈 ④중백 유효

☞동씨혈: 중백, 하백, 화국, 화경 ☞정경혈: 곡지(대장경의 합혈), 행간, 내관, 족삼리

󰠆이완기 고혈압 : 신장 관련 (치료 늦다) ; 수종 다스림. 육미 가감 혹은 진무탕 가감.

󰠌수축기 고혈압 : 심장 관련 ; 천마구등음, 국화 황금 ♨상관없이 두충초 상기생 유효

☞신장병, 심장병 없을 때는 곡지, 양릉천, 내관이 좋다

2. 내분비질환(당뇨, 갑상선)

1) 당뇨 : ①하삼황(신관 천황이 제일 좋음. 내사자), 구갈에는 +통신 ☞14경혈: 승장, 양지

2) 갑상선종대 안구돌출 : ①사마 ②족천금 족오금

3. 혈액질환

1) 혈액질환(통치) : ①상삼황 ②목두, 목류 ③삼중 

2) 백혈구감소 : ①기황, 간문

3) 적혈구감소(재생불량성 빈혈) : ①간문 ②상삼황 유효

4) 백혈구과다 : ①상삼황 특효

4. 비만 : 골극 치료하면(삭골침) 치료후에 자연히 체중 감소 식사시간 늘린다.

☞다이어트에 효과 : →소장경 다스림 : 완골(원혈), 관원(모혈), 양구(위경), 공손(비경)

@@@잡병

##지한 :

@침한(=도한) : 지한-명황-신관-사마중 : 2일1회

@양측 후계-음극(심자) **안면홍조 : 하삼황-목염-심상

@자한/다한방 : 연곡/부류-충양-곡지/합곡 직자

@수족한 : 지한+목혈+후계, 어제/부류 @두한 : 지한 + 견봉/이백 + 사마

##증장 :

@증장혈: 소부1(=소부혈에서0.5촌 상방), 소부2(소부1에서 0.5촌 상방)

@영골-대백, 절골(현종혈, 외과첨3촌상부, 삼음교와 마주보는 자리, 비골과  장단 비골근/총지신근 사이에 있는 뼈의 단절상의 함요부(陷凹部)-도랑 1.5촌까지 자입가), 용천(제1-5중족골 근위단선인 발바닥의 원위 1/3선 또는 태백-속골혈 선상, 원위족지부를 배굴하여 2-3중족골 근위단을 촉지, 다시 족저굴하여 함요부와 일치를  확인 자침), 활육문(천추혈1촌상방) 주2-3회 30분 이상 유침

#매핵기 : 족천금-족오금(=삼중혈)

##비만 : **비습방(대돈/은백 보, 상구/열결 사) + 약한 장부 보 1주 ==>**비승방(대돈/은백보, 상구/경거사) **다이어트방(=양경 위주) : 임읍(담 목) 보/함곡(위 목) 보, 해계(위 화)/양계(대장 화) 사  + 이간(대장 수) 보

@@비만 침혈(동의보감) : #기허/양허>기해/관원 뜸(신관/비익으로 대용), #건비>족삼리-통관(중완측방0.5촌, 8푼 자침, 연동운동 증가 :  사법 적용하면 섭식 증가, 보하면 비위 호전) #제습사담>태연/태백 보 풍륭/중완(통신/통위로 대체?)사

VII. 기타(금기․대응법)

1. 침구 주의 사항----①치료기간 중 얼음물/찬물, 찹쌀음식, 땅콩, 한냉한 곳, 냉방, 양약진통제(가능한 한) 삼간다. ③관절통 환자: 해산물/콩류 삼간다.  

2. 대응요법 : 배꼽을 중심으로 대태극, 중태극, 소태극

1) 팔 :

어깨-머리 상비-흉부 팔꿈치-배꼽 하비-하복부 손-음부 (영골․대백-좌골신경통, 대간․소간․부간-산기, 부과-자궁질환)

2) 팔 거꾸로 :

손-머리 손가락끝-두정부위(십정혈-백회) 후계,삼간-전두통, 후두통 열결-경항 하비-흉부(앞가슴-음경, 등-양경) (내관-흉민․흉통, 외관-배통) 곡지-배꼽, 산기, 허리, 늑간통 상비-소복부 어깨-음부(견중-골반, 운백․이백-부인과질환)

3) 다리 :

골반-어깨 서혜부-머리 대퇴-흉부 무릎-배꼽 하퇴-하복부(하삼황-부인과․비뇨기) 발-음부(대돈․은백-붕루, 태충-음부, 문금-월경통, 대돈-양위증)

4) 발-머리(발가락 정혈-구급혈) :

발목-목(정근․정종-목주위 통증) 공손-전두통 문금-편두통 속골-후두통 소퇴-흉부(삼음교-흉부질환) 슬부-배꼽 대퇴-하복부

5) 팔-다리 :

손-고관절(영골․대백-좌골신경통․둔통, 대간․소간등-음부) 상비-소퇴 어깨-발

6) 팔-다리 거꾸로 :

발가락-손가락(오호-발가락통증) 손목-발목(내관-삼음교, 승산-간문) 대퇴-상비(풍시-상비통) 고관절․골반-어깨(비관-견통)

7) 얼굴 : <전식론-바로 볼 때> 양미간(인당)-폐,  내안각사이- 심장,  콧등중심-간. 하내안부(목내자 수직선과 콧등중심 수평선 교점)-담  코끝-비장, 양비익-위,  인중-방광, 눈동자수직선상의 안와하부-소장,  눈동자 수직선과 외안각수직선 사이 지역과 인중 상단의 비주연장선의 교점-대장 , 비주수평선에서  외안각수직선외측-태양혈수직선 영역과 만나는 부위(외측 턱 양쪽)-신장 <거꾸로 볼 때>

***턱-인후, 승장-갑상선, 입-심장, 수구-식도, 코융기-위, 콧등-췌장, 코융기와 콧등 사이-십이지장,

***신당/상성/백회-방광, 상인당-신당 부근까지 -수뇨관,  수뇨관부 상단에서 전발제부 좌우-고환/난소, 

***양사죽공과 인당 상부 근처-횡행대장, 태양혈상 수직선 - 상하행대장

***수뇨관, 고환/난소. 횡행대장과 상하행결장부가 이루는 전두 사각영역 - 소장

***눈동자 상하부 - 신장,  십이지장부와 신장하단사이(콧등 수평선-내안각수직선 교점) - 부신

***좌관골부-비장, 우관골부-간 관골-코주위 경계부 : 횡격막,

***관골하중앙부-입술언저리-아래턱 연결선내측의 하악부에서  내측부(수금, 수통)-기관지, 외측부-폐영역

 <<대응법 요약>>

구간부                      상지                       하지    

                            <순>   <역>      <순>     <역>

머리                   어깨    손              골반       발

목                      견관절 완관절       고관절    발목

흉부-상복부          상비    하비           대퇴      하퇴

배꼽/허리                  주관절                    무릎

소복/하복부          하비    상비           하퇴     상퇴

고관절                완관절 견관절        발목      고관절

음부                   손       어깨           발         골반

8) 12경 대응혈법 : 혈위끼리의 순수 대응 뿐 아니라, 혈성주치까지 대응시킬 수 있다.

①수태음폐경-족태음비경 : 소상-은백, 어제-태백, 태연-상구, 열결-삼음교, 척택-음릉천

②수양명대장경-족양명위경 : 상양-여태, 합곡-함곡, 양계-해계, 수삼리-족삼리, 곡지-독비, 주료-양구, 비노-복토, 견우-비관

③수소음심경-족소음신경 : 소부-연곡, 신문-조해, 통리-태계, 소해-음곡

④수태양소장경-족태양방광경 : 소택-지음, 전곡-통곡, 후계-속골, 완골-금문, 양곡-신맥, 양노-곤륜, 지정-승산, 소해-위양․위중, 노수-승부

⑤수궐음심포경-족궐음간경 : 중충-대돈, 노궁-태충, 대릉-중봉, 극문-여구, 곡택-곡천

⑥수소양삼초경-족소양담경 : 관충-족규음, 중저-족임읍, 양지-구허, 외관-절골, 사독-양릉천, 청냉연-풍시, 견료-환도

<견인요법> :  [영유혈치외경=영혈과 유혈을 사용하여 다른 경락을 조절]의 이론에 따라 영혈이나 유혈을 견인혈로 삼을 수 있으나 통증의 경우는 오수혈 중 환측의 유혈을 주로 이용 ( <간>태충-<신>태계-<비>태백-<위>함곡-<담>족임읍-<방>속골, <폐>태연-<포>대릉-<심>신문-<소>후계-<초>중저-<대>삼간  )

##1.[영유혈치외경] : 상지에서 소양경상 통증부위는 동측 수소양경의 유혈인 중저를, 수양명경상 통증은 합곡을, 수태양경상 통증은 후계를, 하지에서는 족소양담-임읍, 족태양-속골, 족양명-함곡을 견인혈로 사용

예><좌비통:대장경상> ==>우측 풍시-중독 ==>좌 합곡 : 

     <우견통 : 삼초경상> ==>좌측 풍륭-조구(또는 외삼간이나 측삼리-측하삼리) ==>우 중저 : 

     <좌내슬통 : 간경상> ==>우 내관-간사 ==>좌 태충 : 

##2. 교경 = 동측수족상통(좌병우취, 우병좌취--상병하치, 하병상치) : 경락 보사법에 중요. 건측 후계혈 자침으로 환측의 방광경상의 요통과 그외의 증상을 조절.

(궐음)간==>포, (소음)신==>심, (태음)비==>폐, (태양)소==>방, (소양)초==>담, (양명)대==>위,

##3. 오행별통  = 동측수족음양상배(8면체요법으로 응용 가능) :

간 ---대, 신---초,  비---소,  폐---방,  포---위,  심---담,

<예> 대장경 상의 병: 두통/어지럼/허약감 + 일측요척통--- 건측 치료혈로 영골혈을 취혈 -대백혈을  도마혈로 삼고<도마법> ==> 오행별통론에 따라 환측 간경의 원위혈(유혈)인 태충혈을 견인혈로 취혈<견인법> ==>환측하지를 기동.<동기법>.: 즉 치료혈과 상하반대측의 대응 유혈을 선택 자침..

일침 http://kr.blog.yahoo.com/qwer0262/1864.html?p=1&pm=l&tc=58&tt=1277850141  동씨침 http://kr.blog.yahoo.com/qwer0262/1951 요약 http://kr.blog.yahoo.com/qwer0262/1798  http://blog.daum.net/yourhighniss/24  체침혈 http://www.solji.net/1/00-1.htm 경혈명과 이용 http://blog.naver.com/csyreeos/30083247487  http://blog.naver.com/sctao/120105640260

--------

측경통 : 중자-중선 + 승장(견인)/양측 상백<뒤나 옆 아닌 모서리쪽일 때>

9> 경항(頸項)

1. 경항통(낙침)

1) 경부의 운동불리

(1) 좌우로 잘 안 돌아갈 때 ➞ 후계 / 부과 (=偏肩) + 실침.......(2) 앞뒤로 잘 안 돌아갈 때 ➞ 속골.....(3) 앞뒤좌우 모두 잘 안 돌아갈 때 ➞ 후계 + 속골.....(4) 심하거나 오래되어 어깨까지 내려오는 경우 ➞ 후계 속골만으로는 부족. ★ 특히 옆 목으로 왔을 때 : 중자 중선 + 승장 (견인) ...목 뒤쪽로 왔을 때 : 정근 정종 / 충소 방혈  ....(5) 가만있으면 안 아픈데 숙이면 등뒤로 다 땡기면서 가슴까지 결릴 때 ➞ ★ 승장 뒤로 제낄 때 아프면 ➞ ★ 인중 ...※ 승장은 목뒤부터 흉추 9~10번까지 다 풀어준다.   ./...(6) 낙침 ➞ 실침 환소(偏肩) 잘 쓴다.   ....(7) 낙침 [양유걸p162]  ① 중자 중선 ② 정근 정종 ③ 목류   ...예] 12~13세 남학생 낙침. 목을 뒤로 제끼면 너무 아파함. 움직일 수 없다. ➞ 失枕 10% 정도 좋아짐. 후계 속골 등... 다 찔러봐서 10% 정도 더 좋아짐.  SCM 환측이 건측보다 3배 정도 긴장 - 心門 자침 후 날라감. 回首散을 줌.

2) 경부의 통증

(1) 옆 목이 아플 때 ➞ 중자 중선 + 승장 / 兩 상백....(2) 兩 上白 ➞ 뒷목도 아니고 옆목도 아닌 모서리 쪽으로 올 때 팔까지 내려감   ...예] 어깨 따라 쭉 내려오면서 대장경상으로 1 2 지 때로는 3지까지 아프고 저리고 불편할 때 상백 하나로 끝~ !!!   ...(3) 비관(髀關) ➞ 어느 한 point가 아플 때 (髀 : 넓적다리 비) ...(4) 頸肩痛(목 어깨 통증) ➞ 신관 비관 ...(5) 목을 따라 방광 제 1선까지 아프다면  ➞ 음릉천 ★ 흉추 1, 2 방광선상 견갑 모서리, 목 뒤 후항통 『경험록』p 91 ... (6) T 9 ․ 10에서 뒷목까지 아플 때 ➞ 승장 ★ + 후계 속골   ...(7) 정근 정종 ➞ 경추 이하 척추 중앙으로 생긴 모든 병~!  BUT, 교통사고 급제동으로 인한 목 손상에 정근 정종은 별로~   ...(8) ★ 목 부위와 가슴등뼈 부위의 강직과 긴장 (膂 : 등골뼈 려) .. ( 『경험』p 91 : 목 양쪽 큰 근육의 통증, 어깨 통증, 뒷목 통증, T1․2兩 방광경 1선의 근육이 cf. 정근 정종 /상백 / 부양 / 승장 인중 ( T9 ․10에서 목까지 올라옴)   ...(9) 방광경 上 항배통 ➞ 어제 (폐 通 방광)   ...(10) 肩背項酸痛(어깨 등 목 부위의 시리고 아픈 증세) ➞ 견우 + 영골 합곡   ...(11) 목 아픈데 (견갑거근 TP)도 목혈 !   ...(12) 견갑거근, 견갑강 (견갑상와 극상근 부위)이상의 통증 ➞ 三宗 / 대도(-)   ..[양유걸] 인종, 지종 - 맥관과 가깝다. 혈맥의 병 치료. cf. 태연(脈會)도 혈액의 병 치료   ...(13) 견갑골 내측통 ➞ 부양   ...(14) 어깨선 따라 아프다 ➞ 건측 족천금 환측 수곡   ...(15) 항강통 [양유걸 p 161] ➞ 정근 정종 : 즉시 회전 가능 / 화골1  예1] 35세 호리한 남자, 엎드려서 자고 난 후 목을 꼼짝도 못함. ➞ 행간 上 1촌 / 상백 / 중자 중선 / 인중 승장 / 실침 / 지종 ... 예2] 56세 여자, 왼쪽 옆 목으로 땡기고 아픔, 고황 일점통, 목 돌릴 때 담 결리는 듯, 상지 거상 불능 외전은 가능. ➞ 건측 옥화 승장 음릉천 신관 부양   ..예3] 목덜미 통증, C형 간염 지방간 脈弦滑/ ➞ 협계 補 양보 瀉 예4] 46세 미국인, 좌 목 부위는 쏙 들어갔고 우 목 부위는 볼록!, 견정~고황 부위 통증, 좌우 전후굴 모두 불능  ➞ 인중 승장 후계 속골 + 상백 + 하백..: 아프진 않는데 뻣뻣하다길래 + 대돈 (木木) + 음릉천 신관 (견갑 내측통)   ..예5] 목을 돌리면 유양돌기 ~ 견갑 내측으로 떙긴다 ➞ 우선 승장 염전 후 대측 천황 (음릉천) ..예6] 경항통. 간의 느낌이 있을 때 ➞ 행간상 1寸 예7] 술 먹고 집에 와서 항아리를 들다가 목이 삐긋. 꼼짝도 못한다. ➞ 간 ➞ 간문 (소장경에 속하기도) 찌르니까 바로 날라감 !  (후계 속골...이런 거 안쓰고 와~)진단이 이렇게 중요함.  예8] 목 뻣뻣함이 대단히 심. 손이 저리다. 머리카락이 발발 떨리더라. 매일 술을 먹는다. ➞ 양쪽 상삼황 : 침 꽂으니까 엄청 편하다.

2. SCM(Sterno Cleido Mastoid Muscle : 흉쇄유돌근)

1) 흉쇄유돌근 통증 ➞ 심문★ ...심문 + 천황 상백 ➞ 흉쇄유돌근 통증(딱딱하거나 굵거나..) 부드러워지고 몰랑몰랑~  ...2) 左 SCM 부위~귓볼까지 퉁퉁 붓고 몇 군데 붉은 반점 ➞ 견중 건중(경항 피부병으로 보고~!)

3. 경추 디스크 

1) 목 디스크(경추골자★)  ...(1) 정척123 폐심 삼하★ (환부방혈) : 3번으로 100%   ※ 천추 배꼽 주변 압통점에 자침하면 목뼈가 저절로 잡힌다. 목 아픈 사람이 목에 이상이 없으면 발목을 보라.   ...(2) 정척 폐심 삼하 + 오호 압통점 / + 삼중   ...(3) 골자 삼하 폐심 환부 방혈 (또는 정근, 정종)   예1] 경추 디스크, 뒷목에서 상비로 저리고 아프다, 자생한방병원에서 치료받고 호전되었으나..➞ 상백★(자침 후 침감이 어깨로 죽~기어가는 듯 느껴짐)   .예2] 목 디스크 치료 후 집에 가다가 갑자기 태계 ․ 곤륜 부위 통증 ➞ 골관 목관   예3] 경추 디스크로 신경 따라 마비감과 통증이 왔다갔다 함.   병원에서 치료하였으나 저린 것은 3개월이 지나도 치료가 안 된다. ➞ 환측 오호12 건측 오호 45에서 압통점 발견 ~! + 골자 폐심 삼하   ..cf. 요통에서는 (좌골신경통의 저림, 요추디스크) 주로 환측 오호45 건측 오호 12에서 압통점 발견~   ..예4] 65세 여자, 농사, 경추디스크, 왼쪽 목 ․ 어깨 ․ 상하비 ․ 45지에 걸쳐 소장경상으로 감 그것이 심했다 덜했다 한다. 경추 추나 치료 후 아픈 것은 줄었으나 저린 것은 그대로 ➞ 오호로 아픈 것, 저린 것 모두 소실~  예5] 목디스크 수술 2번, 목이 아파서 베개를 못 베고 잔다. ➞ 兩 중자 중선 + 左 중봉 (나가노 침법, 하복 압통) : 3개월 만에 첨 베개를 베고 잤다.  예6] 55세 남자, 경추관 협착증 10년, 우측 어깨부터 1,2지까지 모두 저림, 목을 뒤로 제낄 때 더 심함, 사업가, 태음인형. ➞ 좌 복원, 우 골자 (하루하루 교대로) 주 2~3회, 8회 시술 후 90% 치료.   예7] 경추디스크 마비감 통증 ➞ 환측 오호12 건측 4 主 예8]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 방광한격 : 통증은 없어지더라. 예9] 81세 30년 전 목디스크 운동 불리. 兩 상지통. 가동 범위 가까이 가면 더 우리하다. ➞ 左후계 後 右후계 (좌우) / 속골(전후) / 인중 上斜刺 승장 下斜刺   ..[김동식샘] 중자 중선 승장 해볼 만하다. 오래되었으니... 예10] 48세 女 8년전 교통사고 경추디스크 손 저림(삼초경상) ➞ 용천(-)로 다 날라감 (삼초↔신)  예11] 교통사고 5년. 계속 치료 받았으나, 목 아래 감각(마비감) 움직이지도 못 함. 오른쪽 틀어짐 ➞ 어혈방 후 정근 정종 정사 : 7회 자침 후 3손가락 빼고 손가락이 다 펴지더라

---
@@족지골(phalanges) 분포와 취혈 : 기절골(1-2-3-4-5번), 중절골(2-3-4-5번), 말절골(1-2-3-4-5번...발톱이 붙음)//중족골(1-2-3-4-5)....기절골 사이 혈들 : 대도(1), 행간(1-2 : 1지측 홈), 내정(2-3 : 2지측 홈), 육완(4-5 : 5지측 홈), 통곡(5)......중족골 사이 혈들 : 태백(1지내측)/공손 ==> 행간상1(1-2 연접 원위부,,1지측 홈)/화경(1-2 연접 원위부, 2지측 홈)/태충(1-2 중간)/화주(1-2 연접 근위부 홈) ==>함곡/문금, 목부(제2지중절골C'점),==목두(3-4 연접 원위부)/목류( 3-4 연접 근위부) 문금==(4-5)육완/수곡 ..지오회/임읍==>(5)속골/경골.......즉, 행간-내정은 1-2지, 2-3지간 주름 끝의 제1지, 제2지 홈을 취하고, 화경혈, 목두혈은 각각 2지측, 3지측 중족골 원위부 홈에서,육완혈은 4-5지간 5지측 주름끝에서 취혈한다는 의견??..
===
===
향수--정지용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1] 황소[2]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3]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
전설(傳說)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거리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이전글 : 21회말씀암송감사제.향
다음글 : 동위0.km6.태반주사효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