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4장
===베드로와 요한이 공회 앞에 서다
1. 사도들이 백성에게 말할 때에 제사장들과 성전 맡은 자와 사두개인들이 이르러
2. 예수 안에 죽은 자의 부활이 있다고 백성을 가르치고 전함을 싫어하여
3. 그들을 잡으매 날이 이미 저물었으므로 이튿날까지 가두었으나
4. 말씀을 들은 사람 중에 믿는 자가 많으니 남자의 수가 약 오천이나 되었더라
5. ○이튿날 관리들과 장로들과 서기관들이 예루살렘에 모였는데
6. 대제사장 안나스와 가야바와 요한과 알렉산더와 및 대제사장의 문중이 다 참여하여
7. 사도들을 가운데 세우고 묻되 너희가 무슨 권세와 누구의 이름으로 이 일을 행하였느냐
8. 이에 베드로가 성령이 충만하여 이르되 백성의 관리들과 장로들아
9. 만일 병자에게 행한 착한 일에 대하여 이 사람이 어떻게 구원을 받았느냐고 오늘 우리에게 질문한다면
10. 너희와 모든 이스라엘 백성들은 알라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고 하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이 사람이 건강하게 되어 너희 앞에 섰느니라
11. 이 예수는 너희 건축자들의 버린 돌로서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느니라
12. 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 천하 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라 하였더라
13. ○그들이 베드로와 요한이 담대하게 말함을 보고 그들을 본래 학문 없는 범인으로 알았다가 이상히 여기며 또 전에 예수와 함께 있던 줄도 알고
14. 또 병 나은 사람이 그들과 함께 서 있는 것을 보고 비난할 말이 없는지라
15. 명하여 공회에서 나가라 하고 서로 의논하여 이르되
16. 이 사람들을 어떻게 할까 그들로 말미암아 유명한 표적 나타난 것이 예루살렘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알려졌으니 우리도 부인할 수 없는지라
17. 이것이 민간에 더 퍼지지 못하게 그들을 위협하여 이 후에는 이 이름으로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게 하자 하고
18. 그들을 불러 경고하여 도무지 예수의 이름으로 말하지도 말고 가르치지도 말라 하니
19. 베드로와 요한이 대답하여 이르되 하나님 앞에서 너희의 말을 듣는 것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보다 옳은가 판단하라
20. 우리는 보고 들은 것을 말하지 아니할 수 없다 하니
21. 관리들이 백성들 때문에 그들을 어떻게 처벌할지 방법을 찾지 못하고 다시 위협하여 놓아 주었으니 이는 모든 사람이 그 된 일을 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림이라
22. 이 표적으로 병 나은 사람은 사십여 세나 되었더라(요5:1-9.참조)
===한마음으로 하나님께 기도하다
23. ○사도들이 놓이매 그 동료에게 가서 제사장들과 장로들의 말을 다 알리니
24. 그들이 듣고 한마음으로 하나님께 소리를 높여 이르되 대주재여 천지와 바다와 그 가운데 만물을 지은 이시요
25. 또 주의 종 우리 조상 다윗의 입을 통하여 성령으로 말씀하시기를 어찌하여 열방이 분노하며 족속들이 허사를 경영하였는고
26. 세상의 군왕들이 나서며 관리들이 함께 모여 주와 그의 그리스도를 대적하도다 하신 이로소이다
27. 과연 헤롯과 본디오 빌라도는 이방인과 이스라엘 백성과 합세하여 하나님께서 기름 부으신 거룩한 종 예수를 거슬러
28. 하나님의 권능과 뜻대로 이루려고 예정하신 그것을 행하려고 이 성에 모였나이다
29. 주여 이제도 그들의 위협함을 굽어보시옵고 또 종들로 하여금 담대히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게 하여 주시오며
30. 손을 내밀어 병을 낫게 하시옵고 표적과 기사가 거룩한 종 예수의 이름으로 이루어지게 하옵소서 하더라
31. 빌기를 다하매 모인 곳이 진동하더니 무리가 다 성령이 충만하여 담대히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니라
===물건을 서로 통용하다...교회 생활의 계속 : 적극적인 장면
32. ○믿는 무리가 한마음과 한 뜻이 되어(=All the believers were one in heart and mind. )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자기 재물을 조금이라도 자기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더라
33. 사도들이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을 증언하니 무리가 큰 은혜를 받아
.....은혜는, Q이 요구하시는 바를 만족시키기 위해, 부활 안에서 과정을 거치신 TUQ을 우리 안에 넣어주심으로 우리의 생명과 생명 공급이 되게 하여 우리로 부활 안에서 살게 하시려고 생명 주는 그영(고전15:45)이 되신 부활한 그리스도, 곧 사람에 의해 누린 바 되시는 Q자신, 생명과 만유 되시는 그리스도, TUQ이심
34. 그 중에 가난한 사람이 없으니 이는 밭과 집 있는 자는 팔아 그 판 것의 값을 가져다가
35. 사도들의 발 앞에 두매 그들이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누어 줌이라
.....이 상호 통용은 [이타적 사랑의 자원함이지] 율법적 실행이 아니었음을 주의하라..
36. ○구브로에서 난 레위족 사람이 있으니 이름은 요셉이라 사도들이 일컬어 바나바라(번역하면 위로의 아들이라.son of comfort = 성령의 이끄심따라 위로/격려-방문 기도로 굳게 세우는자) 하니
37. 그가 밭이 있으매 팔아 그 값을 가지고 사도들의 발 앞에 두니라
--------
KJV]제4장
1. And as they spake unto the people, the priests, and the captain of the temple, and the Sadducees, came upon them,
2. Being grieved that they taught the people, and preached through Jesus the resurrection from the dead.
3. And they laid hands on them, and put them in hold unto the next day: for it was now eventide.
4. Howbeit many of them which heard the word believed; and the number of the men was about five thousand.
5. And it came to pass on the morrow, that their rulers, and elders, and scribes,
6. And Annas the high priest, and Caiaphas, and John, and Alexander, and as many as were of the kindred of the high priest, were gathered together at Jerusalem.
7. And when they had set them in the midst, they asked, By what power, or by what name, have ye done this?
8. Then Peter, filled with the Holy Ghost, said unto them, Ye rulers of the people, and elders of Israel,
9. If we this day be examined of the good deed done to the impotent man, by what means he is made whole;
10. Be it known unto you all, and to all the people of Israel, that by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whom ye crucified, whom God raised from the dead, even by him doth this man stand here before you whole.
11. This is the stone which was set at nought of you builders, which is become the head of the corner.
12. Neither is there salvation in any other: for there is none other name under heaven given among men, whereby we must be saved.
13. Now when they saw the boldness of Peter and John, and perceived that they were unlearned and ignorant men, they marvelled; and they took knowledge of them, that they had been with Jesus.
14. And beholding the man which was healed standing with them, they could say nothing against it.
15. But when they had commanded them to go aside out of the council, they conferred among themselves,
16. Saying, What shall we do to these men? for that indeed a notable miracle hath been done by them is manifest to all them that dwell in Jerusalem; and we cannot deny it.
17. But that it spread no further among the people, let us straitly threaten them, that they speak henceforth to no man in this name.
18. And they called them, and commanded them not to speak at all nor teach in the name of Jesus.
19. But Peter and John answered and said unto them, Whether it be right in the sight of God to hearken unto you more than unto God, judge ye.
20. For we cannot but speak the things which we have seen and heard.
21. So when they had further threatened them, they let them go, finding nothing how they might punish them, because of the people: for all men glorified God for that which was done.
22. For the man was above forty years old, on whom this miracle of healing was shewed.
23. And being let go, they went to their own company, and reported all that the chief priests and elders had said unto them.
24. And when they heard that, they lifted up their voice to God with one accord, and said, Lord, thou art God, which hast made heaven, and earth, and the sea, and all that in them is:
25. Who by the mouth of thy servant David hast said, Why did the heathen rage, and the people imagine vain things?
26. The kings of the earth stood up, and the rulers were gathered together against the Lord, and against his Christ.
27. For of a truth against thy holy child Jesus, whom thou hast anointed, both Herod, and Pontius Pilate, with the Gentiles, and the people of Israel, were gathered together,
28. For to do whatsoever thy hand and thy counsel determined before to be done.
29. And now, Lord, behold their threatenings: and grant unto thy servants, that with all boldness they may speak thy word,
30. By stretching forth thine hand to heal; and that signs and wonders may be done by the name of thy holy child Jesus.
31. And when they had prayed, the place was shaken where they were assembled together; and they were all filled with the Holy Ghost, and they spake the word of God with boldness.
32. And the multitude of them that believed were of one heart and of one soul: neither said any of them that ought of the things which he possessed was his own; but they had all things common.
33. And with great power gave the apostles witness of the resurrection of the Lord Jesus: and great grace was upon them all.
34. Neither was there any among them that lacked: for as many as were possessors of lands or houses sold them, and brought the prices of the things that were sold,
35. And laid them down at the apostles' feet: and distribution was made unto every man according as he had need.
36. And Joses, who by the apostles was surnamed Barnabas, (which is, being interpreted, The son of consolation,) a Levite, and of the country of Cyprus,
37. Having land, sold it, and brought the money, and laid it at the apostles' feet.
------
Acts 4 Amplified Bible
===Peter and John Arrested
1 And while Peter and John were talking to the people, the priests and the captain [who was in charge of the temple area and] of the temple guard and the Sadducees came up to them,
2 being extremely disturbed and thoroughly annoyed because they were teaching the people and proclaiming in [the case of] Jesus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3 So they arrested them and put them in jail until the next day, because it was evening.
4 But many of those who heard the message [of salvation] believed [in Jesus and accepted Him as the Christ]. And the number of the men came to be about 5,000.
5 On the next day, their magistrates and elders and scribes (Sanhedrin, Jewish High Court) were gathered together in Jerusalem;
6 and [a]Annas the high priest was there, and [b]Caiaphas and [c]John and Alexander, and all others who were of high-priestly descent.
7 When they had put the men in [d]front of them, they repeatedly asked, “By what sort of power, or in what name [that is, by what kind of authority], did you do this [healing]?”
8 Then Peter, filled wit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said to them, “Rulers and elders of the people [members of the Sanhedrin, the Jewish High Court],
9 if we are being put on trial today [to interrogate us] for a good deed done to [benefit] a disabled man, as to how this man has been restored to health,
10 let it be known and clearly understood by all of you, and by all the people of Israel, that in the name of Jesus Christ the Nazarene, whom you [demanded be] crucified [by the Romans and], whom God raised from the dead—in this name [that is, by the authority and power of Jesus] this man stands here before you in good health.
11 This Jesus is the stone which was despised and rejected by you, the builders, but which became the [e]chief Cornerstone.
12 And there is salvation in no one else; for there is no other name under heaven that has been given among people by which we must be saved [for God has provided the world no alternative for salvation].”
===Threat and Release
13 Now when the men of the Sanhedrin (Jewish High Court) saw the confidence and boldness of Peter and John, and grasped the fact that they were [f]uneducated and untrained [ordinary] men, they were astounded, and began to recognize that they had been with Jesus.
14 And seeing the man who had been healed standing there with them, they had nothing to say in reply.
15 But after ordering them to step out of the Council [chamber], they began to confer among themselves,
16 saying, “What are we to do with these men? For the fact that an extraordinary miracle has taken place through them is public knowledge and clearly evident to all the residents of Jerusalem, and we cannot deny it.
17 But to keep it from spreading further among the people and the nation, let us [sternly] warn them not to speak again to anyone in this name.”
18 So they sent for them, and commanded them not to speak [as His representatives] or teach at all in the name of Jesus [using Him as their authority].
19 But Peter and John replied to them, “Whether it is right in the sight of God to listen to you and obey you rather than God, you must judge [for yourselves];
20 for we, on our part, cannot stop telling [people] about what we have seen and heard.”
21 When the rulers and Council members had threatened them further, they let them go, finding no way to punish them because [of their fear] of the people, for they were all praising and glorifying and honoring God for what had happened;
22 for the man to whom this sign (attesting miracle) of healing had happened was more than forty years old.
23 After Peter and John were released, they returned to their own [people] and reported everything that the chief priests and elders had said to them.
24 And when they heard it, they raised their voices together to God and said, “O Sovereign Lord [having complete power and authority], it is You who made the heaven and the earth and the sea, and everything that is in them,
25 who by the Holy Spirit, through the mouth of our father David, Your servant, said,
‘Why did the nations (Gentiles) become arrogant and rage, And the peoples devise futile things [against the Lord]?
26 ‘The kings of the earth took their stand [to attack], And the rulers were assembled together Against the Lord and against His Anointed (the Christ, the Messiah).’
27 For in this city there were gathered together against Your holy Servant Jesus, whom You anointed, both Herod and Pontius Pilate, along with the Gentiles and the peoples of Israel,
28 to do whatever Your hand and Your purpose predestined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 to occur [and so without knowing it, they served Your own purpose].
29 And now, Lord, observe their threats [take them into account] and grant that Your bond-servants may declare Your message [of salvation] with great confidence,
30 while You extend Your hand to heal, and signs and wonders (attesting miracles) take place through the name [and the authority and power] of Your holy Servant and Son Jesus.”
31 And when they had prayed, the place where they were meeting together was shaken [a sign of God’s presence]; and they were all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began to speak the word of God with boldness and courage.
===Sharing among Believers
32 Now the company of believers was of one heart and soul, and not one [of them] claimed that anything belonging to him was [exclusively] his own, but everything was common property and for the use of all.
33 And with great ability and power the apostles were continuously testifying to the resurrection of the Lord Jesus, and great grace [God’s remarkable lovingkindness and favor and goodwill] rested richly upon them all.
34 There was not a needy person among them, because those who were owners of land or houses were selling them, and bringing the proceeds of the sales
35 and placing the money down at the apostles’ feet. Then it was distributed to each as anyone had need.
36 Now Joseph, a Levite and native of Cyprus, who was surnamed [g]Barnabas by the apostles (which translated means Son of Encouragement), 37 sold a field belonging to him and brought the money and set it at the apostles’ feet.
===Footnotes
Acts 4:6 Annas served as high priest a.d. 6-15. He was removed from the position by Rome, but continued to be extremely influential and was regarded by the Jews as de facto high priest even though others (his sons and son-in-law) officially held the office.
Acts 4:6 Caiaphas (Annas’ son-in-law) served as high priest a.d. 18-36.
Acts 4:6 Perhaps this is Jonathan, one of Annas’ sons.
Acts 4:7 The Sanhedrin sat in a semi-circle.
Acts 4:11 The cornerstone is the supreme foundation stone governing the structure of the entire building. All other stones will be set in reference to this stone.
Acts 4:13 They had no formal religious training in the rabbinical schools.
Acts 4:36 Barnabas becomes a prominent figure in the book of Acts (9:27; 11:22-30; 13:1-14:28, etc.), and it may be for that reason that Luke briefly mentions him here, telling the reader how Barnabas came to be associated with the apostles.
=======
사도행전 4장 (개요)
앞의 두 장을 고찰하면서 우리는 사도들이 행한 많은 훌륭한 일들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은 서기관과 바리새인과 대제사장들이 그리스도에게 하듯이 제자들을 비난하고 헐뜯지는 않고 있던 것이었다.
그들은 처음에 성령의 임재로 말미암아 너무도 당황해서 한동안 벙어리처럼 되기라도 했었는가!
그러나 본문에서 우리는 그들이 아주 잠잠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게 된다. 그들은 다시 기력을 회복한다.
그리고 본문에서 우리는 그들과 제자들이 마주 대하는 장면을 대하게 된다.
복음은 그 시작서부터 반대에 직면하였음을 기억하자.
Ⅰ. 제사장들의 체포 명령으로 베드로와 요한이 잡혀 옥에 갇히다(1-4).
Ⅱ. 산헤드린 회의에서 심문을 받음(5-7).
Ⅲ. 제자들은 용감하게 그르이 행한 일을 공언하고 그들의 박해자들에게 그리스도를 전한다(8-12).
Ⅳ. 할 말을 잃은 박해자들은 그들을 말 못하게 막고 그들이 다시 복음을 전하지 못하도록 협박하고 내보낸다(13-22).
Ⅴ. 제자들은 그들이 경험하였던 은총이 더욱 역사하기를 하나님께 간구한다(23-30).
Ⅵ. 하나님께서는 그가 그들과 함께 하심을 명백히 나타내시므로 그들은 인정하신다(31-33).
Ⅶ. 믿는 자들은 거룩한 사랑으로 마음이 하나가 되고 가난한 자들을 구제하여 교회는 더욱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넘친다(33-37).
=======
베드로와 요한이 산헤드린 공의회에서 심문을 받음(행 4:1-4)
Ⅰ. 사도 베드로와 요한은 계속하여 사명을 행하였고 그들의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
성령은 목회자와 평신도에게 각각 직분을 감당할 수 있는 힘을 주신다.
1. 복음의 전파자인 사도들은 열심히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하였다.
"그들은" 백성들 즉 들을 수 있는 모든 "사람에게 말하였다"(1절).
그들이 전하는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관심을 주었고 또한 공개적으로 그들은 복음을 말하였다.
그들은 믿지 않는 자들에게 확신을 주고 회개하게 하기 위하여 "백성들을 가르쳤다."
또한 믿는 자들에게는 그들을 위로하고 믿음을 굳게 하기 위하여 가르쳤다. 그들은 예수를 통하여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함을 가르쳤다.
(1) 죽은 자 부활의 교리는 예수 안에서 확실히 입증되었다.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할 첫 번째 사람으로 부활하셨음을 증거하였다(26:23).
그들은 그들의 행위의 근거로 그리스도의 부활을 전하였다.
(2) 부활의 교리는 그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들에게 보장되었다.
죽은 자가 부활하므로 미래의 온갖 행복이 주어진다.
그들은 이 행복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이 성취된다고 전하였다(빌 3:10, 11).
그들은 여러 문제를 간섭하지 않았고 그들의 임무에만 전념하여 백성들에게 하늘 나라를 목적으로 그리스도를 유일한 길로써 전하였다(17:18).
2. 듣는 자들은 기쁘게 받아들였다(4절).
"그 말씀을 들은 많은 사람들이 믿었다."
모든 사람이 믿지는 않았으나 많은 사람이 믿었고 우리가 전에 읽은 삼 천을 넘는 "약 5천 명"의 수였다.
우리는 복음이 어떻게 자리를 잡는지를 볼 수가 있으며 그것은 성령 임재의 결과임을 볼 수 있다.
전파자들은 박해를 받았지만 말씀은 승리하였다. 교회는 초창기에도 그러했던 것처럼 성장하면서도 때로 고난 당하는 날이 있음을 알아야겠다.
Ⅱ. 제사장들과 그들의 무리가 모이어 제자들을 멸하려 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손은 잠시 묶어둘 수 있었으나 그들의 미음은 조금도 변케할 수 없었다.
1. 사도들을 적대시한 자들은 누구였는가.
그들은 "제사장"들이었다.
그들은 언제나 제일 먼저 그리스도와 그의 복음에 적대자 노릇을 하였다. 그들은 임금이 군주체제를 확립하려 하듯이 그들의 제사장직을 수호하려 했고 누구든지 그가 예언자로서 가르치거나 제사장으로 가르침으로 그가 그들의 경쟁자가 된다고 여겨질 때는 참지 못하였다.
여기에 그들과 함께 "성전 맡은 자"가 참여하였다.
이 사람은 성전을 지키기 위하여 안토니아 사탑에 자리잡고 있었던 파견대장으로서 로마의 관리였던 것 같다.
즉 본문에서도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이 공모하여 그리스도를 대적하고 있다.
또 "영혼의 존재와 미래를 부인하는 사두개인들"도 제자들을 훼방하는 일에 열심히 참여하였다(Mr. Baxfer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무슨 이유로 사두개인들이 저돌적으로 제자들이 전파하지 못하도록 열광적으로 저지하며 박해를 하게 되었는지 모두가 이해가 안 되는 일이다.
미래의 생이 없다고 하자. 그렇다면 남들이 그런 희망을 갖는 것이 그들에게 무슨 해가 되겠는가?
그러나 멸망할 수밖에 없는 인간들이란 해로움을 끼치는 일밖에 할 수 없음을 알자.
오늘날에도 "마음의 눈이 먼 자는 냉혹한 마음을 지니고 잔인한 손을 벌리는 것이다."
2. 그들은 어떻게 사도들의 가르침에 대적하였는가.
"그들은 제자들의 가르침을 싫어하였다"(2절).
그들은 복음이 그렇게 공개적으로 담대하게 전파되는 것이 잃었고 사람들이 그 말에 솔깃하여 귀를 기울이는 것도 싫었다.
그리스도에게 치욕적 죽음을 안겨줌으로써 그들은 그의 제자들이 그를 주인으로 섬긴 것을 부끄러워하고 두려워하게 될 것이며 백성들도 그의 가르침을 외면하게 되리라 생각하였으나 오히려 그와는 반대로 그들을 실망시키는 일, 곧 그의 복음이 사라지기는커녕 굳건하여지는 것을 보고 몹시도 그들은 당황하였다.
"악인이 이를 보고 슬퍼하리이다"라는 말씀과 같다(시 112:10).
그들은 천사들도 기쁘게 여기며 그러기에 마땅히 그들도 기뻐해야 할 일을 보고 불쾌하게 여겼다.
그리스도의 나라의 영광이 슬픔으로 여겨지는 자의 비참함이여! 그 나라의 영광이 영원하므로 그들의 슬픔은 영원할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제사장들은 사도들이 "예수를 들어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는 도를 전하는 것을" 싫어하였다.
사두개인들은 부활교리를 반대하는 입장이었기에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는 교리가 가르쳐지는 것을 싫어하였다.
제자들이 미래에 되어질 일에 대하여 말한 그대로 그것이 기적을 동반하며 입증되는 것을 참을 수 없었다.
대제사장들 또한 제자들이 예수이름을 믿는 자마다 죽음에서 장차 부활된다고 하여 예수가 명예롭게 되는 것을 참을 수 없었다.
사두개인들과는 달리 죽은 자의 부활 신앙을 고백하였지만 부활이 예수를 통하여 선포되고 입증되기 보다는 차라리 그 부활 교리를 포기할 마음을 먹었다.
3. 그들이 어느 정도까지 사도들을 박해하였는가(3절).
"그들은 그들을 체포하였다"(즉 이 말은 그들의 종들과 관료들이 그들의 명대로 하였다는 말이다).
그리고 다음날 공식적인 절차를 밟기 위하여 "그들을 감금하였다."
저녁이었으므로 그들을 심문할 수 없었으므로 "다음 날까지" 연기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하나님께서는 그의 종들이 고통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적은 시련에서 보다 큰 시련을 맞을 수 있도록 준비시키시는가를 배우자.
지금은 그들이 갇히는 정도로 끝나지만 후에는 피를 흘리기까지 항거해야 했다.
----------
베드로와 요한이 심문받음(행 4:5-14)
우리는 본문에서 베드로와 요한이 예수 그리스도에 관하여 전하고 그의 이름으로 기적을 행하였으므로 유대교 법정에서 재판받는 기사를 보게 된다.
그것은 그들이 하나님에게나 인간에게 할 수 있는 최상의 봉사였는데 범죄로 고발당하였던 것이다.
Ⅰ. 재판이 시작된다.
이 사건을 다루기 위해 소집된 특별 재판인 것 같다. 상세히 고찰해 보자.
1. 재판이 시작된 시간(5절).
그리스도가 그들 앞에서 재판받을 때처럼 밤이 아니고 "아침"이었다.
아마도 전번 경우처럼 이 고소도 크게 신경을 쓸 필요가 없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인 것 같다.
마음이 관대해졌다면 얼마나 좋으랴만 다만 내일까지 연기한 데 불과하였다.
어서 속히 그들은 사도들로 침묵을 지키게 하고 싶었고 공연히 시간을 허비하려 하지 않았다.
2. 장소는 예루살렘이었다(6절).
예수가 전에 제자들에게 말씀하기를 그가 그곳에서, 그들 앞에서 고난을 당한 것처럼 그들도 어려운 일들을 겪을 각오를 해야 한다고 하셨다.
예루살렘에서 구속이 도래하기 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구속을 기다렸던가.
그러나 이제 구속이 임하였는데도 이를 바라지 않는 것은 그들의 죄를 더욱 가중하게 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어찌하여 신실한 도시가 창기의 소굴이 되었는가! (마 23:37)
예루살렘이 찬란히 빛나며 서 있는 광경 앞에서 예수님은 그 도시를 보시고 우셨던 것이다.
3. 법정의 재판관들.
(1) 그들의 일반적인 특징.
즉 그들은 "관헌"들과 "장로"들과 "서기관"들이었다(5절).
서기관들은 학식있는 사람들로서 사도들과 변론하려 왔고 그들을 논박하여 일언반구도 못하게 하기를 바랐다.
관헌들과 장로들은 권세를 잡은 자들이었다.
그들은 사도들이 답변을 못하면 그들이 다시는 복음을 전하지 못하도록 근거를 잡아야겠다고 생각하였다.
만약 그리스도의 복음이 하나님으로 말미암지 않았다면 끝나고 말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을 저지하려던 자들은 세상에 학식이 있는 자들로 서기관들이 모였고 권세있는 자들로 장로들의 법정이었기 때문이다.
(2) 그들 중 몇 사람은 저명한 사람이었다.
그들은 이 박해의 주모자였던 안나스와 가야바였다.
안나스는 산헤드린 회의 회장이었고 가야바는 대제사장인 동시에(본문에는 안나스가 대제사장으로 불려지고 있지만) "재판정의 원로"였다.
안나스와 가야바는 일 년 간 서로 교체하여 대제사장직을 맡은 것같이 보여진다.
이 두 사람은 그리스도를 적대한 주동적 인물이었다. 당시 가야바는 대제사장이었고 안나스도 현재 직책을 지니고 있었다.
어쨌든 그들은 둘 다 그리스도와 복음에 대하여 추악한 짓을 하였다.
본문에 안나스와 가야바에 이어 효한과 알렉산더가 언급되고 있다.
여기에 언급되고 있는 인물 요한은 안나스의 아들로서 여겨지며, 요세푸스에 의하면 알렉산더는 잘 알려진 인물로 묘사된다.
이외에도 대제사장에게 의지하며 그에게 기대를 갖고 사는 그의 문중들이 다 모여 대제사장이 말하는 것을 지지하고 사도들을 반대하여 투표하려 하였다.
옳지 않은 것은 아무리 큰 친척이라도 많은 사람들이 비웃음만 살 뿐이다.
Ⅱ. 죄수들이 법정에 소환되었다(7절).
1. 그들은 법정 앞에 끌려나왔고 "그들을 가운데 세워 놓았다."
산헤드린 회의 장소는 원형이었고 그러므로 법정에 볼 일이 있는 사람은 그들 가운데 앉거나 섰다(Dr. Lightfoot)(눅 2:46).
그러므로 "악인들의 모임이 나를 둘러쌌나이다"(시 22:16). "저희가 벌과 같이 나를 에워쌌나이다"(시 118:12)라는 성경 말씀이 응하였다.
그들은 적에게 둘러싸여 앉히워졌다.
2. 그들이 물은 질문. 그것은 다음과 같다.
"무슨 권세와 뉘 이름으로 이를 행하였느냐"고 묻는다(그들은 주님에게도 같은 질문을 하였다. 네가 무슨 권세로 이 일을 하느뇨? 마 21:23).
질문은 계속된다. "누가 너희에게 이러한 교리를 가르치라고 명하였는가. 또 누가 이런 기적을 행하도록 너희에게 권능을 주었는가. 우리가 너희에게 그런 일을 명령도 허락도 안하였으므로 근거를 대라고 요구하는 것이다"라고 힐문한다.
어떤 이는 생각하기를 이렇게 질문한 것은 기적을 행할 때 어떤 사람의 이름을 부르는 관습에 근거한 것이라 한다(19:13).
유대 나라의 귀신 쫓는 자들은 예수의 이름을 부르곤 하였다.
그러므로 이들 재판자들은 제자들이 병 치료할 때 무슨 이름을 사용하는지 알았고 그들이 설교할 때 전제하는 이름이 무엇인지도 알았다.
그들은 사도들이 예수와 그리고 그를 통한 죽은 자의 부활과 병고침을 전한다는 것을 잘 알았다(2절).
그렇지만 그들은 사도들을 괴롭히기 위하여 질문하였고 그들에게서 범죄적인 단서를 잡아내려고 노력하였다.
Ⅲ. 그들이 행한 변명.
변명한다고 해서 자신들의 결백을 밝히고 안전을 도모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스승 이름을 들어내고 그에게 명예를 돌리기 위한 것이었다.
주님은 그들이 총독들과 임금들 앞으로 끌려갈 것과 그러므로 다른 방법으로는 결코 그들에게 접근할 수 없는 자들에게 복음을 전할 기회가 주어지겠고 그것이 "그들에게 찔림"이 되리라고 말씀하셨다(막 13:19).
1. 이 변명은 성령께서 말하게 하심을 따라 이루어졌다.
성령은 베드로를 이 사건에 직면하여 전보다 더 강하게 인도하셨다.
사도들은 자신의 보호에 대해 전혀 개의치 않으므로 그리스도께서 이런 때 어떻게 할 것을 지시하신대로 그리스도를 전하였다.
또한 이 때에 주시겠다고 하신 그리스도의 약속대로 성령께서 "그들이 말할 시간에 말할 바를 얻게 하셨다."
그리스도께서는 필요할 때를 아시고 신실하게 우리를 변호하신다(막 13:11).
2. 이 말씀이 주어진 것은 베드로에게였다.
그는 아직도 사도들의 대변자로서 "백성의 관헌들과 이스라엘의 장로들"과 같은 법정의 재판자들에게 스스로를 변명하였다.
권세를 지닌 그들의 악함을 말함으로 권력을 빼앗으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권력을 다시 성찰케 함으로써 그들에게서 악을 제거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너희는 관헌과 장로들이니 시대의 징조에 대해 다른 사람보다 많이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또한 너희의 직책상 반대할 것이 아니라 너희가 메시야 나라로 받아들이고 앞장 서야 할 것이 아니냐. 너희는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의 관헌들이요 장로들이므로 너희가 그들을 잘못 인도하여 실수하게 하면 너희가 마땅히 책임을 져야 하리라".
3. 무엇을 변명하였는가. 그것은 변명이라기 보다 엄숙한 선포였다.
(1) 그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행하였다는 것이 재판식의 물음에 대한 답변이었다(9, 10절).
다음과 같이 답변한다.
"만약 우리가 심문을 받고 범죄자로서 답변을 요청하고 그것이 병인에게 행한 착한 일 때문이라면, 이것이 구금의 원인이요 고소할 문제라면, 그리고 그가 무슨 방법으로 누구에 의하여 온전하여졌는가 묻는다면, 우리는 얼마든지 답변할 수 있도다. 즉 백성들에게 말한 것으로 되풀이하여 말하겠노라. 이 일에 대하여 모르는 척하는 너희들 또한 너희뿐 아니라 이스라엘 모든 사람들아, 이것을 알라. 이것은 너희 모두가 알아야 할 것이니 존귀하고 권세 있으며 압도적인 이름,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인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에 의하여, 즉 너희가 멸시하여 나사렛 예수라 칭하고 너희 관헌과 백성들이 십자가에 못박았으나 하느님께서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일으키시사 가장 높은 존귀와 위엄을 수여하신 바로 그분에 의해 이 사람이 온전하여 너희 앞에 선 것이라. 이는 주 예수의 권능의 표적이라"고 말한다.
① 본문에서 베드로는 그의 무리가 앉은뱅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행한 것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그것은 선한 일이었다. 그것은 생계 유지를 위해 일할 수 없는 구걸하고 있는 사람에게 친절한 행위였다.
그것은 또한 성전과 성전으로 예배하러 다니는 사람들을 이 거지가 구걸하는 시끄러운 소리에서 자유롭게 하였으므로 도움을 주었다.
그러므로 "만일 우리가 이 선한 행위 때문에 고소되었다면 부끄러워할 이유가 없도다(벧전 2:20; 행 4:14, 16).
이 일로 인하여 우리를 괴롭히는 자들이 오히려 수치를 느껴야 하리라"고 말한다.
선한 사람이 선행으로 인해 고통을 당하는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님을 기억하자. 잘하고도 처벌을 받는 것이 기독교인의 운명이다.
② 그는 이 놀라운 일에 대해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찬양과 영광을 돌린다.
"이 사람이 치료된 것은 우리의 권능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에 의해서니라"라고 말한다.
사도들은 자신들에 대해서 관심을 불러 일으키거나 법정에서 좋게 보이려고 기적에 의해 자신을 나타내려 하지도 않았다.
"우리는 상관 없도다. 다만 주님만이 높임을 받을지어다"라는 태도이었다.
③ 그는 재판석에 앉은 사람들 자신을 고발하여 그들이 예수의 살인자이었다고 한다. "그를 너희가 십자가에 못박았도다. 그런 즉 너희가 무엇이라고 답하리요"라고 말한다.
그들이 그리스도를 믿게 하기 위해서(그가 목적하는 것은 바로 이것이었기 때문에) 그는 그들에게 죄에 대해서, 다른 모든 죄 중에서 가장 양심을 찌를 수밖에 없는 죄인 그리스도를 죽게 한 데 대해 확신시키려 한다.
그들이 행한 바를 인정시키기 위하여 베드로는 한 사실도 빼놓지 않고 그들에게 말한다.
④ 그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그를 위해 그리고 그의 박해자들을 향하여 확고한 증거로 내세운다.
"그들이 그를 십자가에 못박았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그를 살리셨도다. 그들이 그의 생명을 취하였으나 하나님께서 다시 그에게 생명을 주셨도다. 그러므로 그가 하고자 하는 일에 아무리 반대하여도 소용 없도다"라고 한다.
그는 그들에게 하나님께서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셨으며 그들이 백성들을 기용하여 "제자들이 밤중에 와서 그를 훔쳐갔다"고 어리석게 유도한 짓을 부끄러워 말고 시인하라고 한다.
⑤ 그는 이 사실을 방청인들에게도 말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들에 의하여 모든 이웃들에게도 이 말이 처져 각양 각색 사람들 즉 높은 자에서 낮은 자에 이르기까지 위험을 무릅쓰고 이 사실을 알게 하려고 했다.
즉 이런 말이다. "여기 참석한 모든 사람들아 이 사실을 아시라. 그리고 각자 돌아가서 모든 이스라엘 백성들으로 알게 하라. 너희가 이 사실이 전하여지는 것을 막고 억누르려 아무리 애써도 만군의 주 하나님께서 아심으로 온 이스라엘도 이 기적이 예수의 이름으로 행해졌는데 이 이름은 장식품으로 불리워진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주는 하나님의 은혜와 선한 뜻의 계시로써 그것을 믿음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게 될 것이라" 말한다.
(2) 그 이름의 권위로, 그들이 행한 이 예수의 이름에 의해서만이 우리는 구원받을 수 있다.
이제 그는 특별한 사례를 떠나서 이 신앙이 그들이 가르치는 교리와 그들이 행한 기적에 의해서 세워지도록 계획된 특수 종파나 파당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물론 이 신앙도 유대인들 가운데 있는 철학자나 이와 같은 부류의 이단과 같이 마음 내키는대로 참석도 하고 떠나기도 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 신앙은 인정되고 확인된 거룩하고 신적인 것으로 설립된 것으로 모든 사람들은 관심을 기울여 복종해야 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다.
사람들이 이 이름을 믿고 부르는 것은 무관심하게 여길 것이 아니라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① 우리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으로 그의 섭리에 따라서 그 이름을 주신 것에 대하여 감사해야 한다(11절).
"이 예수는 너희 건축자들 즉 교회의 건축자들이 되어야 랄 너희 백성의 관헌들과 이스라엘의 장로들의 버린 돌이라. 교회는 하나님의 건물이기 때문에 마땅히 너희가 교회의 건축자들이 됐어야 할 것이라. 여기 너희에게 머릿돌이 주어졌나니 건물의 튼튼한 기초가 되어 거기 중심 기둥이 세워지고 그 위에 모든 건물 골조가 세워져야 했으나 너희가 이 돌을 버려 없이해 버리고 쓸모없는 돌로 여겨 던져버림으로써 거침돌을 삼았도다. 그러나 이 돌이 이제 머릿돌이 되었도다. 하나님께서는 너희가 거부한 이 예수를 세우사 그의 우편에 앉히시고 그를 모퉁이 돌과 머릿돌로 쓰시어 통일을 이루는 중심점이 되게 하시고 능력의 원천으로 삼으셨느니라"라고 말한다.
베드로가 본문에 이 인용문을 택한 것은 얼마 전에 그의 귄위에 관한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의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 그리스도 자신이 이를 사용했기 때문인 것 같다(마 21:42).
성서는 우리의 영적인 투쟁에서 믿을 만한 무기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것을 안내자로 삼아야 한다.
② 우리는 그 이름이 우리에게 도움이 되므로 감사해야 한다.
만일 우리가 이 이름을 안식처로 삼지 않고 우리의 도피처와 강한 성으로 삼지 않는다면 우리는 타락하고 말 것이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지 않고는 구원의 없고 우리가 전적으로 구원받지 않으면 우리는 영원히 타락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12절).
즉 "다른 이름으로는 구원이 없기 때문이다."
병든 몸을 고칠 다른 이름이 없듯이 죄진 영혼이 구원받을 다른 이름이 없는 것이다.
"오직 그로 말미암아, 그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므로 모든 사람들에게 구원은 소망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세상에 다른 종교는 없다. 모세가 전한 종교도 이제 예수의 가르침이 선포되었으므로 이 신앙으로 돌아오지 않고는 구원이 없는 것이다."
하몬드 박사(Dr. Hammond)도 이와 같이 말하고 있다. 다음 사실을 더 살펴 보자.
첫째, 우리의 구원이 우리의 중요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즉 진노와 저주에서 피하여 하나님의 축복과 사랑을 다시 회복하는 이것이 늘 마음 가까이 있어야 한다.
둘째, 우리의 구원은 자신 안에서 이루어지거나 자신의 가치나 능력에 의해 획득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자신을 파괴케 할 수는 있으나 스스로를 구원할 수는 없다.
셋째, 사람들 가운데는 구원할 수 있는 이름인 척하는 많은 이름들이 있으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여러 종교들이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서 회해와 상호 교통을 이룰 수 있는 것처럼 가장하나 그렇게 할 수는 없다.
넷째, 오직 그리스도와 그의 이름에 의해서만이 우리의 구원에 필요한 도움을 하나님으로부터 바랄 수 있고 우리의 예배가 하나님께 열납된다.
이것이야말로 그리스도의 이름이 지닌 명예로 그 이름만이 우리가 구원받을 수 있는 유일한 것이요, 우리가 하나님에게 말할 때 간구할 유일한 이름인 것이다. 이 이름이 우리에게 "주어졌다."
하나님께서 이 이름을 선택하셨고 그러기에 이 이름은 우리에게 자유롭게 수여된 측량할 수 없는 은혜인 것이다.
이 이름은 "하늘로부터" 주어졌다.
그리스도는 하늘에서 위대한 이름일 뿐 아니라 천하에서도 큰 이름이다. 그는 천상계와 지하계에서 모두 권세를 지녔기 때문이다.
그 이름은 멸망받을 수밖에 없는 그러기에 구원이 필요한 "사람들 가운데" 주어졌다.
우리는 "우리의 의이신 주님"의 이름에 의해 구원받아야 한다. 다른 어떤 이름으로도 구원받을 수 없다.
그리스도를 모르고 그에 대한 실제적인 신앙도 없이 어떻게 하나님의 사랑을 받을 것인가.
이들이 그들이 가지고 있는 빛으로 살 수 있을까는 우리가 결정할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것은 알아야 한다. 어떤 구원받을 수 있는 사랑을 받는다해도 그것은 그리스도의 덕택이요 다만 그의 은혜인 것이다.
그러므로 여전히 변함없이 다른 이름으로는 구원이 없는 것이다.
이것이 곧 "너는 나를 알지 못하였을지라도 나는 네게 칭호를 주었노라"(사 45:4)는 말씀의 뜻이다.
Ⅳ. 재판정에서 기소한 조항은 이 변명으로 무의미하게 되었다(13,14절).
이제 그리스도께서 하신 약속 즉 "그가 그들에게 말과 지혜를 주리니 그들을 고소하는 자가 반박하거나 부정하지 못하리라"는 말씀이 성취된 것이다.
1. 그들은 앉은뱅이가 치유된 사실이 좋은 행위인 동시에 기적임을 부정할 수 없었다.
그는 치료에 대해 증언하기 위하여 베드로와 요한과 함께 서 있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그것을 반증하거나 비난하므로 "논박할 수는 없었다"(14절).
또 마침 안식일도 아니었었다. 안식일이었다면 그들은 그것을 근거로 말하였을지도 모른다.
2. 그들은 그들의 거만함과 권위로 베드로와 요한을 굴복시킬 수 없었다.
이 제사장들이 그리스도의 이름에 대하여 얼마나 극악하게 피맺힌 원수처럼 여겼는가 하는 것과(이 사실은 그리스도를 위해 얼마나 겁먹은 소심한 마음으로 그를 변호했는가, 특히 베드로 그는 계집종이 두려워 그를 부인까지 하였는데 이제 "베드로와 요한이 담대히 증거하는"(13절) 이 모든 사실을 생각해 볼 때 그들이 사도들을 굴복시키지 못한 것은 앉은뱅이 치료 못지않게 기적이었다.
아마 그들의 모습이 특이하고 놀랄 만한 어떤 것이 있었던 것 같다. 그들은 관헌들에게 겁을 먹고 나타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들 앞에 담대하였다.
그들의 이마에는 위엄이 서렸고 그들의 눈에는 광채가 있었고 그들 목소리에는 공포를 주지는 않았지만 명령적인 것이었다.
그들은 예언자들처럼 그들의 얼굴을 "부싯돌같이 굳게 하였다"(사 50:7; 겔 3:9).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신실하게 고백하는 사람들의 용기는 흔히 그들에 대한 잔악한 핍박자로 당황케 만든다.
(1) 그들의 놀라움이 커감을 볼 수 있다.
"본래 학문없는 범인으로 알았다가" 그들은 사도들과 다른 사람들에게 또 스스로 이들에 대하여 물어보고 그들이 천한 출신으로 갈릴리에서 태어나고 나면서부터 어부였고 교육을 받은 것도 무슨 고등 교육의 혜택을 답지도 못하였고 랍비들의 근처에도 접근 못하였음을 알았다.
그들은 이들이 법정이나 또는 여러 모임에 대해 정통하지도 못하였고 자연철학이나 수학이나 정치학에 대해 그들과 얘기를 나누어 보면 아무 것도 알 지 못함을 쉽게 알 수 있는 그들이었다.
그렇지만 그들에게 메시야와 그의 나라에 대해서 말을 시키면 그들은 분명히 증거를 대면서 확신있게 적절하고 유창하게 구약 성서를 알맞게 인용하며 말하였으므로 심판석에 앉은 제일 박식한 재판관도 그들에게 답변할 수도 없었고 도대체 그들과 비교가 되지 않았다.
그들은 "무지한 사람들이었고(이디오타이, 4:13) 범인"이었으며 공적인 활동을 해 보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이들이 자랑스럽게 주장을 내세우는 것을 보고 놀랐다.
그들은 말 그대로 "얼간이"(idiots)였다. 그들은 마치 "자연 미물"이나 대하는 것처럼 경멸어린 눈초리로 그들을 보았고 그들에게 아무 것도 기대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들이 자유롭게 처신하는 것을 보고 놀랄 수밖에 없었다.
(2) 그들은 대단히 놀라서 사도들의 말을 막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그들은 "사도들이 전에 예수와 함께 있던 자들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들은 성전에서 이들이 예수와 함께 있었던 것을 보았을 것이다.
이제 그들은 과거를 돌이켜 그들의 모습을 되살려 보았다. 또한 그들의 종들과 주변 사람들이 그들에 대해 여러 가지를 알려왔다.
왜냐하면 이제 도저히 이들을 바보 취급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또한 그들은 "사도들이 예수와 함께 있었고" 그를 잘 알고 있었다는 것과 그를 수행하며 그에게 훈련을 받았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되자 무슨 이유로 그들이 담대해졌는지를 알 수 있었다.
하나님의 일에 대한 그들의 대담성은 그들이 누구에게 교육을 받았는지를 보여 주고도 남았다.
"예수와 사귐을 가진 자," 그는 말씀에 귀를 기울이며 그의 이름으로 기도하고 그의 죽음과 부활을 기념하는 자들은 스스로 이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것임을 기억하자.
그러므로 사도들과 얘기를 나눠본 이들은 "그들이 예수와 함께 있었던 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사귐이 사도들을 그토록 거룩하고 신비하며 영적이고 쾌활하게 하였다. 이 사귐이 그들을 세상에서 뛰어나게 했고 다른 은사로 충족케 하였다.
그들이 변화산에서 얼굴이 빛났던 것을 우리는 기억할 수 있으리라.
-----------
복음 전파자로서 베드로와 요한의 각오(행 4:15-22)
본문에서는 공회 앞에서 베드로와 요한의 재판 결과를 수록하고 있다.
이제 그들은 승리하고 나온다. 그들은 점진적으로 고통에 직면하도록 훈련받도록 되었고 작은 시련으로 보다 큰 시련에 대비시키고자 작정되었기 때문이다.
그들이 지금은 "보행자와 함께 달리는데 불과하지만" 앞으로 그들이 "말과 경주하게 됨"을 볼 수 있을 것이다(렘 12:5).
Ⅰ. 본문에서 이 사건에 대한 배심원들의 논의와 결정. 이에 따른 소송 절차가 다루어진다.
1. 죄수들에게 물러갈 것을 명한다(15절).
그들은 그들의 양심을 괴롭히는 말을 듣고 싶지 않았고 사도들로부터 억지 자백을 받고 싶은 마음도 없었으므로 명하여 "공회에서 나가라고" 한다.
그러나 그들이 듣지 않으려 했던 말이 본문에 수록되고 있음을 우리는 보게 된다.
그리스도의 적들의 음모는 치밀하였고 그들은 그들의 공회를 주님에게 숨기려는 듯이 깊이 음모의 구멍을 팠다.
2. 이 문제로 논쟁이 제기됨.
"그들은 서로 의논하였다."
누구나 마음에있는 말을 자유롭게 털어놓아 이 중대한 사건에 조언을 하고자 했다.
이제 관헌들이 "주를 대적하여 논의하여, 기름 부음받은 자를 대적하나이다"라는 "성서 말씀이 이루어짐을 보게 된다"(시 2:2).
"이 사람을 어떻게 할꼬?"라는 의문이 제기된다(16절).
만약 그들이 확신어린 압도적인 진리에 굴복하였다면 그들이 아래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라고 지시하기가 쉬웠을 것이다.
그들은 사도들을 마땅히 공회 앞자리에 모셔놓고 그들의 가르침을 듣고, 주 예수의 이름으로 그들에게 세례를 받고 그들과 함께 사귀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이란 흔히, 먼저 마땅히 처리해야 할 일에 대해 선의의 충고를 거부하면서 고집부리는 경우, 때때로 그들 스스로 이제 무엇을 어떻게 할지 몰라 당혹감 가운데 빠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리스도의 진리는 일단 자기 마음에 영접하기만 한다면 그에게 아무런 심적 고통이나 불편을 끼치지 않고 기쁨이 되지만, 악하게 "불의"로 그 진리를 "막고" 자기 양심의 소리에 귀를 막음으로써 유폐시키려 한다면(롬 1:18) 그 진리는 바로 그런 이에게는, 어떻게 다룰지 몰라 당혹케 하는 부담스러운 돌덩이가 되고만다(슥 12:3).
3. 드디어 그들은 두 가지로 결단하였다.
(1) 사도들을 그들이 행한 그것을 처벌하는 것이 좋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생각과 느낌대로라면 그들을 처벌하고 싶었지만 그렇게 할 만한 용기가 없었는데, 바로 백성들이 사도들을 지지하였고 기적에 대해 환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전에 "백성들을 두려워하여" 감히 그리스도에게 손을 대지 못했었던 것처럼 지금은 사도들을 두려움으로 대하였다.
전에는 구세주를 대적하여 외친 폭도들로 인해 문제가 쉽게 처리되었으나 지금은 그와 정반대의 기세에 있었다.
이제 그들은 이 "백성들 때문에" 베드로와 요한을 어떻게 처벌할지 무슨 구실을 잡아내야 할지 알지 못했다.
그들은 사도들을 처벌하는 것이 불의한 일인 줄 내심 알고 있었으므로 한편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기들을 자제하였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위험스러운 일이라 느꼈기 때문에 또한 백성들에 대한두려움에 제일 압도되었기 때문에 이 문제를 고려하였다.
"백성들을 두려워"한 이유를 생각해 보자.
① 사람들은 기적이 사실이었음을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것은 "특기할 만한 기적"이었고(그노스톤 세메이온, 4:16) 그러기에 이미 "알려진 기적"이었다.
사도들이 이 일을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행하였고, 그리스도 자신이 전에 자주 같은 일을 행하였다는 것이 잘 알려졌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능력의 구체적인 본보기였고 그의 가르침의 증거였다.
그것이 위대한 기적으로 그들이 가르친 교리를 확인해 주는 사실이란 것이 "예루살렘에 거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명백히 알려졌다."
그것이 일반적인 견해였고 더구나 그 기적은 누구나 볼 수 있는 곳인 성전 문 앞에서 일어났었다.
그러므로 그들 자신도 모든 술책과 기교를 다 동원해서도 그것이 참된 기적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었다."
그들이 그것을 부인한다면 모든 사람들이 야유를 퍼부었으리라...
그들은 자기의 양심은 쉽사리 속일 수 있었지만 세상을 속일 수는 없었으니, 복음의 증거는 부인될 수 없는 것이다.
② 그들이 시간을 끌수록 기적이 진실됨을 확신시켜 줄 뿐 아니라 "이루어진 일로 인하여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기 때문이었다."
그 일로 인하여 아직 그리스도를 믿도록 설득되지 않은 사람들도 가난한 사람에게 베풀어진 자비와 그들 지방이 받게 된 명예로 깊은 감화를 받았고 그러므로 그들은 그 인에 대해서 하나님께 찬양을 돌리 수밖에 없었다.
일반 종교를 지닌 사람조차도 그렇게 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
그런데 만약 모든 사람들이 그 일로 인하여 하나님을 영광돌리는 그것을 이유로 제사장들이 베드로와 요한을 처벌한다면 그들은 백성들에게 인기를 상실하고 하나님과 사람 양쪽의 적으로 간주되어 버림받고 말 것이었다.
이러므로 그들의 진노는 오히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했고 그들은 말을 잃었다.
(2) 그렇지만 앞으로 그들이 더 이상 활동하지 못하도록 금하는 것이 필요하였다(17,18절).
그들은 사도들이 말하고 행한 것에서 트집잡을 만한 것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더 이상 전하거나 그들이 행한 일을 계속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는 있었다. 그들의 관심은 어떻게든지 "그리스도의 도리가 더 이상 퍼지지 못하게 하는데 있었다." 병고친 사실이 염병처럼 퍼지기 시작했으므로 그 전파력을 저지시켜야만 했다.
우리는 어떻게 악마의 궤교가 천상의 세력에 대항하여 싸우는지를 보게 된다. 하늘에 있는 분이 웃으심이여!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에 대한 지식이 전 세계에 전파되기를 계획하시나 대제사장들은 그리스도가 더 전파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
이제 그들은 이 가르침이 더 이상 확장되지 않도록 방해하고 있다.
① 그들은 사도들에게 더 이상 복음을 전파하지 못하게 저지하였다.
그들은 권위로써 "예수의 이름으로 말하지도 말고 가르치지도 말라"(18절) 제정한다(그들은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이 양심의 판단에 따라 예수에게 복종하게 될까 두려워했다).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왜 금해져야 되는지 이유를 제시하는 것을 발견할 수 없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거짓이라거나 위험하다거나 나쁜 조짐이 있다고 말할 수는 없었다. 그렇다고 정당성을 인정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었다.
그 가르침은 그들의 위선됨과 사특함을 드러내 주었고 그들의 독단적 처사에 심대한 타격을 주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그들의 뜻을 관철시키는 데 있어서 이유를 댈 도리가 없었다"
그들은 단지 "우리가 너희에게 엄히 명하노니 이 도리를 공개적으로 가르치지 말며 사적으로 어떤 특정인에게도 이 이름으로 말하지 말라(17절)"고 한다.
신실한 사역자로 말씀을 전하지 못하게 하고 세상의 빛을 말 아래 두는 행위보다 악마를 기쁘게 하는 일은 없다.
② 그들은 사도들이 전파하면 그들을 엄하게 다루리라고 협박하였다. 즉 대단히 위험할 것이라고 한다.
이들 재판자들은 사도들이 어기고 행하면 떳떳이 그들에게 욕보일 수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요 그러기에 사도들이 언짢은 일을 당하게 되리라는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그들에게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전하라 명하셨을 뿐 아니라 그들을 도우실 것과 상 주실 것을 약속하셨다.
이제 이들 제사장들은 복음 전파를 금할 뿐 아니라 극악한 범죄로써 처벌하리라고 협박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약속의 참 가치를 바르게 아는 사람들은 그들이 비록 죽인다는 협박을 당한다 할지라도 세상의 위협을 가볍게 여길 수 있는 것이다(9:1).
Ⅱ. 제자들은 배심원들의 결단과 그 결단의 선포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그들의 임무를 수행할 것을 용기있게 결심함을 본문에서 볼 수 있다(19, 20절).
베드로와 요한은 서로 서로 마음을 알았기 때문에 머리를 맞대고 논의할 필요가 없었다(그들은 모두 한 분 같은 성령에 의해 행동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즉시로 같은 심정이 되어 함께 답변하였다.
"하나님 앞에서 너희와 우리가 누가 옳은지 판단하라. 하나님의 말을 듣는 것 보다 너희 말을 듣는 것이 옳은지 너희 스스로 판단해 보라. 우리는 우리가 보고 들은 것을 사람들 앞에서 말하지 않을 수 없노라. 또한 마음 속에 가득찬 것을 공개하지 않을 수 없노라"고 답변한다.
간교한 뱀은 그들의 마음속에 이 복음을 전하지 못하도록 이렇게 속삭였지도 모른다.
'그리스도에 대해 네 양심만 바로 되어 있다면 더 이상 복음을 전하지 않겠다고 선언함으로써 공공연히 약속할 수야 없겠지만, 구태여 결코 말씀전파를 그만 둘 수는 없노라고 관헌들에게 말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그러나 사도들은 사자와 같은 용기를 갖고 그들의 박해자의 권위와 악의를 무시하고 떳떳이 대하였다.
그들은 계속해서 가르칠 결심이란 것을 그들에게 말하였다. 그들이 가르치겠다는 말에는 두 가지 사실이 포함되어 있다.
1. 하나님의 명령이기 때문이라 한다.
"너희는 우리에게 복음을 전하지 말라고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에게 그것을 전하라 하신다. 그는 우리를 믿고 의탁하셨고 그것을 전하는 데 성실히 충성할 것을 요구하신다. 그러나 하나님과 너희 중에 우리가 누구에게 복종해야 하겠는가!"라고 항변한다.
본문에서 그들은 자연법에서의 "공인된 정언(定言)" - 즉 인간의 명령에 하나님이 개입하면 하나님의 명령이 우선적이라는 법칙에 호소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만일 어떤 법령이 하나님의 율법에 상치되면 그 법령은 효력을 잃는다는 것이 영국 헌법에 이미 규정되어 있다.
무한히 지혜로우시고 거룩하시며 우리의 창조자시며 주권자이시고 우리 모두가 그로 말미암아 판단을 받는 심판자이신 하나님에게 순종하지 않고 나약하고 흔들리기 쉽고 같은 피조물이며 같이 하나님에게 예속된 그 인간에게 순종하는 것보다 더 어리석은 것은 없다.
우리가 볼 때, 경우가 너무나 분명하고 돌이킬 수 없이 자명하므로 비록 너희가 편견에 사로잡혀 있기는 하지만, 너희에게 그 시비 판단을 맡긴다는 말이다.
"그래, 하나님이 보시는 데 인간의 명령에 복종하기 위해 신의 명령을 어기는 것이 옳은지 너희가 생각해 보라"고 한다.
"하나님이 보시기에" 옳은 것이 참으로 옳은 것이다.
우리가 확신하기는 그의 심판은 진리에 의한 것이요 그러기에 우리도 그것에 의하여 다스림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2. 그것은 그들 양심에서 우러나는 확신이기 때문이었다.
비록 그들이 하늘로부터 그리스도의 도리를 전하라는 이 같은 구체적인 명령을 받지 않았다해도 "그들이 보고 들은 바를" 공개적으로 "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엘리후처럼 그들은 "말이 가득 차고 그들 안에 계신 성령이 그들을 강박하였으므로"말할 수밖에 없었고 그렇게 해야 마음이 시원하였다(욥 32:18, 20).
(1) 그들 내부에서 강렬하면서도 강력한 어떤 힘이 더해지면서 충만해짐을 느꼈다.
그들에게 얼마나 축복된 변화가 일어났는가! 그 결과 그들은 새 세계로 들어오게 되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그것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스도의 도리를 말하는 사람들은 그 능력을 느낄 수 있으며 그 오묘함을 맛볼 수 있으며 그들의 "뼈 속에서 불"이 붙는 것 같아서(렘 20:9) 깊은 감동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2) 그들은 복음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들은 멸망할 수밖에 없는 영혼들에 관심이 있었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지 않고는 그들이 영원한 파멸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그들은 이들을 열심히 깨우치고 바른 길을 제시해 주었다.
"우리가 전하는 것은 우리가 보고 들은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확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일을 보고 들은 사람이 우리밖에 없는데 만일 우리가 전하지 않으면 누가 전하겠는가. 주님에 대한 두려움과 마찬가지로 그의 사랑도 알므로 우리가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과 뭇 영혼에 대한 사랑이 우리를 강박하도다"(고후 5:11, 14)라고 그들은 말한다.
Ⅲ. 죄수들의 석방(21절).
"그들은 사도들을 다시 위협하고" 그들이 사도들을 놀라게 한 줄로 여기고 "그들을 놓아 주었다."
그들은 거의 대다수 사람들에게 먹혀들어갔던 바, 많은 사람들을 위협하여 그들의 불의한 선고에 복종하도록 하였었다.
그들은 추방한다고 위협하여서 사람들을 순복하게 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었다(요 9:22).
그러므로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하듯이 사도들도 똑같이 다룰 수 있으리라고 믿었다.
그러나 그들은 잘못 판단하였던 것이다. 사도들은 다른 사람들과 달리 예수와 늘 함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사도들을 협박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고작 그들이 할 수 있는 전부였다. 그런 후에 그는 "그들을 석방했다."
1. 그들은 "이루어진 일에 대해서 하나님에게 영광을 돌리고" 있는 백성들을 감히 반박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만약 그들이 사도들을 그 행위대로 처벌한다면 백성들이 자기들을 그 자리에서 끌어낼 것같이 생각되었다.
하나님의 뜻에 따라 임명된 정직한 관헌들이 악한 백성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인 것처럼 하나님의 섭리를 따르는 백성들은 또한 악한 위정자들을 두렵게 함으로써 그들의 악함을 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2. 그들이 기적을 반박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 표적으로 병 나은 사람은 사십 여세나 되었기 때문이었다"(21절).
(1) 그가 "모태에서부터" 앉은뱅이였으므로 기적은 더욱 놀라운 것이었다(3:2).
그가 나이 먹을수록 그 병은 더욱 깊어졌고 따라서 더욱 고칠 수 없었다.
성인이 되어 악에 깊이 젖어있던 사람들이 영적 무기력을 치료받고 악습에서 떠난다면 하나님의 은총의 능력이 더욱 증대하지 않겠는가!
(2) 병 고친 사실이 더 확실히 입증될 수 있었던 것은 그리스도가 치료해 주었던 장님과 같이 그도 직접 자신에 대해서 말하라고 요구받았을 때 그는 "40여세나 되는 성인이었으므로" 스스로 양심에 따라 답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사도들의 돌아옴(행 4:23-31)
사도들을 석방하고 나서는 대제사장들이 무엇을 하였는가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없다. 다만 "두 가지가 증언되고 있다."
Ⅰ. 그들이 그들의 형제들 즉 사도들과 동역자들과 그들과 동석한 몇 명의 평신도들에게 돌아갔다(23절).
본문에 "사도들이 놓이매 그 동류들에게 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그 시간에 사도들을 위해 슬퍼하며 기도했으리라(12:12).
사도들은 자유롭게 되자마자 그들의 옛 친구에게로 가서 그들의 사귐의 공동체인 교회로 돌아왔다.
1. 하나님께서 그들을 그의 증인으로 부르시고 무사히 나오도록 돌보시므로 그들에게 많은 명예를 받게 하였지만 그들은 자기들이 받은 명예에 대해 자랑하지도 않았고 그들의 형제보다 우쭐하게 여기지 않고 "동료들에게 갔다."
우리에게 다른 사람보다 은사가 많다거나 많이 유익하다고 해서 우리 자신이 성도들의 모임 가운데서 특권을 누려야 한다고 생각할 수는 없다.
2. 그들의 적들이 엄하게 그들을 위협하고 그들의 결속을 깨뜨리고 그들이 단합하여 하고 있는 사업에서 손을 떼게 하려 했지만 여전히 그들은 "동료들에게 갔고" 위정자들의 분노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석방되면 그들은 그들만의 다락방으로 물러가 거기서 한동안 예배하면서 위로를 받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공적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었기에 그들 자신의 개인적인 만족을 추구하기 보다 공익을 구하였다.
그리스도의 추종자들은 그들 단체 가운데서 공적 지위가 주어지면 그 곳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Ⅱ. 그들의 경위 설명.
"그들은 "제사장들과 장로들이 그들에게 한 말을 다 고하였고" 더하여 하나님의 은총으로 그들이 어떻게 대답할 수 있었고 그들의 재판 결과가 무엇인지를 말하였다. 그들은 다음 같은사실을 그들에게 말하였다.
1. 그들은 그들의 사업을 추진하면서 사람들과 하나님으로부터 무엇을 기대할 것인지 알아야 한다고 했다.
인간으로부터는 그들은 공포를 주는 일밖에 바랄 것이 없다. 그러나 하나님으로부터 온갖 격려를 즐길 수 있다.
인간들은 힘을 다하여 그들을 비방할지 모른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일을 감당하도록 효율적으로 돌보신다.
그러므로 주 안에서 형제들은 그들의 결속과 경험을 더욱 긴밀히 해야 한다(빌 1:4).
2. 그들은 이 사실이 교회 역사에 기록되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그것은 후손들을 위해서 특히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믿음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유익하다고 하였다.
반대자들에 대해 침묵을 하는 것은 때로는 반대자를 승인하고 증언하는 뜻으로 통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도들은 대제사장들의 면전에서 하나님께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예수로 살리셨음을" 말하였다.
이들 반대자들도 같은 무리로 결속되어 있었지만 대놓고 그것을 부인하지 못하였으며 어리석고도 가장 비굴한 방법으로 사도들에게 "어느 누구에게도 그것에 대해 말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3. 그들도 이제 다른 사람들과 함께 기도와 찬양에 참여해야 하겠다고 말하였다.
이와 같이 협력함으로 하나님은 더욱 영광받을 것이요, 교회는 더욱 덕스럽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형제들에게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전해야 하며 그가 우리와 함께 하시는 경험을 전하므로 우리가 그 안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에게 감사하는 일에 그들이 우리를 돕도록 해야 한다.
Ⅲ. 이 사건에 대해 그들이 하나님에게 감사기도를 함.
그들이 제사장들의 흉계가 무의미하게 된 것과 고통자들이 능력있는 용기에 대해 "들었을 때" 그들은 무리들을 함께 모으고 기도하였다.
"그들은 일심으로 하나님께 소리를 높여 말하였다"(24절).
그들 모두가 같은 시간에 같은 말을 했다고 상상할 수는 없다(한 분 같은 성령의 영감에 의해 가능하기도 하겠지만). 그러나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하나님께 목소리를 높여 간구하고" 나머지 사람도 그에 따라 "한 마음으로" 가담한 것 같다.
그들의 마음이 그와 연합되었으므로 비록 한 사람이 말했지만 그들 모두가 기도한 것이었다.
한 사람이 목소리를 높였다. 그를 따라 모든 이들이 그들의 마음을 함께 주앞에 쏟았다. 그것은 하나님께 목소리를 높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지닌 것이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는 생각도 말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보라, "모세가 하나님에게 부르짖을 때" 우리는 그가 한 마디도 말한 것을 발견할 수 없다. 이제 하나님께 대한 이 엄숙한 기도를 생각해 보자.
1. 그들은 하나님을 세계의 창조자로서 숭배하였다(24절).
한 마음으로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한 목소리로 그들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다"(롬 15:6).
그들은 말하였다. "오! 주여 당신만이 홀로 하나님이시니이다. 당신만이 우리의 주님이요, 최상의 통치자시니이다."
다른 말로 한다면 "당신은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이요 인간이 아니십니다. 하나님이시지 인간의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십니다. 만물의 창조자시오, 인간의 상상이 빚어낸 창조물이 아니오라 당신이야말로 하늘과 땅과 바다와 천상계와 지하계와 그 안에 있는 모든 피조물을 지으신 분이니이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우리 기독교인들은 자신을 이방인들과 구별해야 한다.
그들은 그들이 만든 신들을 예배하나 우리는 우리와 전 세계를 지으신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사도 신조와 마찬가지로 기도할 때도 이 사실에 대하여 먼저 말함으로써 시작하는 것이 올바르다.
즉 하나님은 "전능하신 아버지이시며 하늘과 땅과 모든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의 창조자"이심을 고백하므로 시작해야 한다.
당시에 사도들은 세계 구속의 신비로운 섭리로 가득했지만 그들은 세계 창조의 역사를 무시하거나 잊지 않았다.
왜냐하면 기독교는 자연 종교의 진리와 교훈을 소멸시키거나 밀쳐내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게 하고 바르게 교정해 주려 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종들이 하나님 사업을 하며 고통을 받음에 있어서 그들이 만물을 지으시고 그들의 시간을 다스리시며 그들과 관련된 모든 일들을 처리하시며 그들이 어려움을 당했을 때 힘이 되시는 하나님을 섬긴다는 것을 생각할 때 큰 힘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우리가 이에 대하여 그에게 영광을 돌리면 그것으로 우리는 위로를 받게 된다.
2. 그들은 메시야 나라가 세상에서 처음시작될 때 이런 반대에 직면하리라는 구약 성서를 살펴 봄으로 섭리에 자신들을 복종시킨다(25,26절).
"하늘과 땅을 만드신" 하나님은 그의 섭리에 있어 어떤(효과있는) 반대에도 부딪치지 않으신다.
아무도 감히 그와 쟁론을 벌이거나 경합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기록된 바와 같이 하나님께서는 "그의 종 다윗의 입을 의탁하사 말씀하셨고" 또 기록하게 하셨다.
본문에 표시된대로 다윗이 시편 이편의 저자이요 아마 일편의 저자이기도 하며 표제에 그의 이름이 기록되지 않았다 해도 다른 사람의 이름이 기록되지 않은 것은 그의 작품인 것 같다.
그러므로 그들의 박해에 대해 놀라지도 말며 도리를 전함에 있어 그들이 받아들이지 않는다 해서 낙심하지도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모든 것은 성서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시편 2편 1,2절에서는 다음 사실이 예언되고 있다.
(1) 이방이 그리스도와 그의 나라에 대해 분노하며 그 나라를 세우려는 계획에 대해 노할 것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그러므로 이방신들이 지위를 상실하게 되고 이방의 악이 저지되겠기 때문이다.
(2) 백성들은 메시야와 그의 나라에 대적하며 교사들이 이를 전하지 못하게 하며 그 주제를 못마땅히 여기며 그것에 대한 모든 관심을 일소에 붙이려고 한다. 만일 그들이 허사를 경영한다면 그런 일을 떠나야만 한다.
(3) 세상의 군왕들이 그리스도의 나라에 반대하여 나서리라 한다.
마치 그들은 그들의 권력이 침해당하는 것을 질투하여 그들의 대권을 수호하려는 듯 반대하고 나선다(그러나 결코 그들이 침해받는 일은 없다).
신의 섭리에 의해 가장 큰 사랑을 받고 명예를 누리며 그러기에 하나님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세상의 임금들이 신의 은총에 낯선 자와 원수가 되어 하나님을 제일 반역한다고 한다.
(4) 관원들이 함께 모여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대적한다고 하였다.
한 몸에 권세를 지닌 군주만이 아니라 여러 관직의 권세자들이 "함께 모여 주님과 그리스도를" 다른 말로는 자연 종교나 계시 종교를 모두 적대하여 모의하고 행동한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를 대적하는 행위는 무엇이나 자기를 대적하는 것으로 간주하신다.
기독교는 군왕들과 관원들의 지지와 찬조를 받지 못할 뿐 아니라(그들의 권력이나 재력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그들은 오히려 기독교를 반대하고 투쟁하여 없애려 한다. 그렇지만 신앙은 결코 소멸당하지 아니한다.
3. 예언된 대로 그리스도에게 악의를 품고 대적한 관원들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다.
27,28절에서 예언이 성취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예언 성취는 "틀림 없는 사실"이었고 너무나 분명하여 부인될 수 없었다.
예언 성취는 두 로마의 총독인 헤롯과 빌라도에게서 이루어졌다.
그들은 이방인들과(그들의 지휘 하에 있었던 로마 병정들) 이스라엘의 백성들과(유다의 관원들과 그들 지시대로 움직인 군중들) "합동하여 하나님의 기름 부으신 거룩한 종 예수를 거스려 대적하였다. 어떤 사본들에는 "이 거룩한 성에서"란 말이 삽입되어 있다.
이 말은 그 어느 곳보다 예수를 환영해야 마땅한 곳이었음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일이 이루기 전에 "당신의 섭리와 뜻대로 결정된 것"을 행하는 데 불과하다고 한다. 다음 사실을 고찰해 보자.
(1)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에 관하여 가지신 지혜롭고 거룩한 섭리.
본문에서 예수는 그가 어렸을 때 불려지던 것처럼(눅 2:27,43) "어린 예수"라 불려지고 있는데(역주:영문 흠정판 참조) 그 의미는 그가 높임 받으신 상태에서도 우리를 위해 겸양하게 되심을 부끄러워 아니하시고 계속해서 마음이 온유하고 낮게 처하신다는 뜻이다.
그의 최상의 영광 중에도 그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며 어린 예수"이시다. 그러나 그는 "거룩하신 어린 예수이시며" (그러므로 눅 1:35 에는 거룩한 자라 불리워진다) "당신의 거룩한 아기"이신데 그 말은 아들과 종을 동시에 의미하고 있다(파이다 수, 4:27).
그는 하나님의 아들이셨으나 구속 역사 속에서 그는 그의 아버지의 종으로 행동하셨다(사 42:1).
"내가 붙드는 나의 종"이라고 이사야서에서는 불리워진다. 하나님께서 그에게 기름 부으셨고 그의 일 맡을 자격을 주셨으며 그 일에 부르셨다.
그러므로 그는 주님의 그리스도라 불려진다(역주:흠정역 참조, 26절).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에게 기름 부으셨기 때문에 그들이 거를 거스려 분노하며 폭력까지 휘두르게 된 것이다.
그들은 체념하지도 않고, 그에 못지 않게 그에게 복종하지도 않으려 결심하고 있었다.
사울은 다윗이 주의 기름부음 받은 자였기 때문에 다윗을 질투하였다.
블레셋 사람들은 다윗이 기름부음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잡으러 왔다(삼하 5:17).
이제 그리스도에게 기름을 부으신 하나님은 기름부음에 따라 그에게 어떻게 하실까를 결정하셨다.
그는 구세주가 되기 위해 기름부음을 받았으므로 그가 죄를 대신하여 희생물이 되어야 할 것이 결정되었다.
그는 죽으셔야 했다. 그러므로 그는 살해당하셔야 했던 것이다. 스스로 죽으실 수 없었으므로 미리 누구의 손에 의해 죽으셔야 할 것을 결정하셨다.
또한 이 일은 그를 범죄자와 악인으로 취급할 사람들의 손에 의해 이루어져야 했다. 그것이 천사들이나 착한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질 수는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욥이 그랬던 것처럼 죄인의 손에 넘겨져야 했다(16:11).
다윗이 시므이에게 넘겨져 "저주를 받았던 때"에 (삼하 16:11) "주께서 시므이에게 명하셨다 " 한 것처럼 하나님의 손(God's hand)과 뜻에 의해, "하나님의 손"이라 함은 그의 일을 처리하시는 능력을 의미하는 바 여기서는 그의 목적과 섭리를 위한 집행 능력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흠정역 참조).
왜냐하면 그에게 말씀하심과 행하심은 우리에게서처럼 별개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의 집행하심과 뜻하심은 언제나 일치한다.
"주께서는 무엇이든지 기뻐하시는 것을 그가 행하시기 때문이다."
^^하몬드 박사(Dr. Hammond)는 "예수의 내어 주심을 결정하신 하나님의 손"이란 구절을 속죄일에 대제사장이 두 염소를 놓고 제비 뽑는 일에 대해 언급된 것이라 말한다(레 16:8).
그는 손을 들어 주님을 위하여 제비를 뽑고 뽑힌 염소는 즉시로 희생 재물이 되며 이 제비는 주께서 처리하신다고 믿었다(잠 16:33).
이와 같이 하나님의 손은 이루어져야 할 것을 결정하시며 그 뜻대로 그리스도는 희생물로 처형되셨던 것이다.
또는 내가 추측하기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도 있겠다.
본문에서 하나님의 손이 결정되었다는 말은 하나님의 행동하시는 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욥기 13장 26절처럼 그의 기록하는 손을 의미하는 것 같다(주께서 나를 대적하사 괴로운 일들을 기록하시며). 그리고 하나님의 섭리는 "진리의 글에 기록된 것이며(단 10:21) 그리스도를 가리켜 기록한 것이 두루마리 책에 있나이다"(시 40:7) 할 때 이 중에 기록된 말씀을 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을 기록한 것은 하나님의 손이요 그의 손은 그의 뜻하심에 따라 이루시는 것이다. 위임은 그의 손 아래서 행하여진 것이다.
(2) 이 계획을 이루시는 데 악하고 불결한 도구가 이용되어진다.
비록 "그들 자신은 그렇게 하려고 뜻하지 않았고, 마음으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어도" 그렇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서로 대조적인 헤롯과 빌라도 이방인들과 유대인들이 그리스도를 대적하여 합세하고 있다.
그들이 행한 바에 의해 하나님이 그의 목적을 이루신다고 해서 이 일을 행함에 있어서 그들이 품은 악의와 추행이 변명될 수는 없다.
순교자들의 피를 하나님께서 교회의 씨로 삼으신다고 해서 그들의 피를 흘린 박해자들의 잘못이 용서받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하나님께서 악을 통해 선을 이루신다고 해서 죄가 경감될 수는 없다.
이 일을 통하여 예수께서 더욱 영광받으셨고 하나님의 비의(秘意)가 완성될 때 또한 그렇게 나타날 것이다.
4. 당시에 일어난 경위에 대한 그들의 간구.
대적자들이 "함께 모여 그리스도를 대적하였으므로," 그들이 그의 사역자들에게 대적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제자가 주인보다 크지 아니하므로," 더 나은 대우를 바라서도 안 된다. 다만 핍박을 당하므로 그들은 기도한다.
(1) 하나님께서 그들의 원수들의 악의를 기억해 줄 것을 기도한다.
"주여 저희의 위험함을 하감하소서"는 (29절).
주께서 시편에서 그들을 바라보시겠다고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 그들을 보옵소서. 그들이 "우리가 그 맨 것을 끊고 그 결박을 벗어 버리자"라 말할 때 "하늘에 계신 자가 웃으심이여 주께서 저희를 비웃으시리로다"(시 2:4). 말씀하신 것처럼 이루소서라고 기도한다.
"처녀 딸 시온이 대왕 앗수르 왕의" 무능력한 위협을 "비웃듯이" 하옵소서라 한다(사 37:22).
그리고 지금(지금이 강조되고 있다) "주여" 저희 원수의 세력의 도전과 위협이 극심하오니 그의 백성들을 위해 하나님의 때를 속히 나타내소서.
그들은 '히스기야처럼' 하느님에게 그들의 사정을 아뢰며 그에게 무엇을 해 줄 것을 지시하지는 않는다(사 37:17).
"주여 당신의 눈을 드사 보시옵소서. 주께서는 그들이 말하는 것을 아시나이다. 그들의 잔해와 원한을 감찰하옵소서(시 10:14). 당신께 우리가 간구하오니 그들의 위협을 감찰하소서. 그리하여 그들의 손을 결박하시든가 그들의 마음을 돌려 주옵소서. 그들의 진노가 변하여 당신을 찬양하게 하시고 남는 노는 주께서 금하시옵소서"라 간구한다(시 76:10).
우리가 부당하게 위협을 받을 때 이를 참고서 우리 사정을 주께 아뢰고 그에게 모든 것을 맡기므로 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위로가 된다.
(2) 하나님께서 그의 은혜로우심으로 그들의 영혼을 보존하사 그들의 사명을 기쁘게 감당할 수 있도록 힘을 달라고 간구한다.
제사장과 관원들이 합세하여 그들을 훼방하지만 "종들로 하여금 담대히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게 하옵소서"라고 간구한다.
어려운 일을 당할 때에 우리가 직면하는 고통이 무엇이든지 고통이 우리에게 주는 방해에만 신경을 씀으로 우리의 사명과 임무를 수행함에 기쁨으로 결단성있게 임하지 못하도록까지 되지 않게 조심해야 함을 기억하자.
그들의 기도가 "주여 저들의 위협함을 보시어 그들로 놀라게 하시고 저들의 입을 닫히사 수치로 저들의 얼굴을 덮으소서"라고 하지 않는다.
오히려 "저들의 위협을 보시고 우리에게 힘을 주시며 우리의 입을 여시며 담대함으로 우리의 마음을 채우소서"라고 간구한다.
그들은 "주여 지금 시기가 위험하오니 우리에게 우리의 임무에서 벗어날 적절한 기회를 주옵소서"라 기도하지 않는다.
"주여 우리에게 은혜를 베푸사 우리의 사명을 감당하게 하시고 사람을 대할 때 두려워 말게 하소서"라고 간구한다. 다음 사실을 고찰하자.
① 하나님의 일군으로 보냄을 받은 자들은 누가 마음을 상하게 하든지 담대하게 말하는데 누구의 구애도 받지 말고 "하나님의 모든 뜻을 선포하는 것을 조금이라도 피하지 말고" 그들의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
그들은 자기가 말하는 것을 의심하지도 말며 그것을 말하는 데 누구에게 의존해서도 안 된다.
② 하나님은 담대히 그의 말씀을 전하는 자를 만나시며 신의 도움과 힘주심을 바라는 자들은 그 능력에 의존하며 "주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③ 우리의 힘을 약화시키고 우리의 사명을 수행하지 못하게 하려는 원수의 위협은 오히려 우리를 자극하여 더욱 용기있고 결단성있게 사명을 감당하게 해 준다. 그들이 감히 그리스도와 대적해 싸울 수 있겠는가? 부끄러움밖에는 없다. 그를 위하여 싸우는 우리는 비겁하지 말자.
(3) 하나님께 그들이 전하는 도리에 확신을 주기 위하여 기적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그들에게 주실 것을 간구한다.
"앉은뱅이의 치유로" 복음 전파에 많은 결실을 얻은 그들은 이러한 일이 더욱 일어나 풍성하게 열매 맺기를 간구한다.
그러므로 "주여 담대함을 우리에게 허락하시고 손을 내밀어 병을 낫게 하옵소서"라 기도한다.
신실한 사역자들이 그들의 사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하시며 신적인 능력이 그들과 함께 한다는 증표 외에 더 큰 힘이 되는 것은 없음을 기억하자. 그들은 이렇게 기도한다.
① 하나님께서 "친히 하나님, 그의 손을 내밀어" 사람의 육신과 영혼을 "치료"해 주시기를 간구한다.
말씀을 전하는 일이나(사 65:2) 병고치는 일에서(9:17) 기독자, 그들이 "그들의 손을 내밀면" 헛 일이다.
② "표적과 기사가 거룩한 종 예수의 이름으로 이루어질 것"과 이 일로 사람들에게 믿음을, 원수들에게는 당황함을 받게 하여 줄 것을 기도한다.
그리스도께서는 그들의 사명에 대한 증거로 기적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그들에게 약속하셨다(막 16:17, 18).
그럼에도 그들은 이를 위해 기도해야만 한다. 그들이 그 능력을 지녔다 해도 그것이 계속 지속되기 위하여 기도해야 한다.
그리스도 자신도 구하므로 그것이 그에게 주어졌던 것이다.
그들이 요구하면서 표적이 거룩한 종 예수의 이름으로 이루어질 것을 간구한 것은 그리스도의 명예요 그의 이름이 영광받으심을 의미한다.
Ⅳ. 이 간구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은 말로써가 아니라 능력으로 나타났다.
1.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기도를 들으셨다는 표적을 그들에게 보여 주셨다(31절).
그들의 하루의 일과가 끝나고 "그들이 기도할 때(아마 규칙에 따라서 한 사람씩 연속해서 그들 모두가 기도한 것 같다) 모인 곳이 진동하였다."
즉 성령이 그들에게 임재하실 때와 같이(2:1, 2) 강하고 힘있는 바람이 있었고 그 때 "집이 흔들린 것처럼" 지금은 그들의 기도하는 집이 흔들렸다.
그들이 거하는 장소의 진동은 그들에게 경외감을 주고 그들의 기대를 불러 일으키며 하나님께서 그들과 함께 하심이 사실이라고 감지할수 있는 징표를 보이시며 그들에게 다음과 같은 예언의 말씀을 상기케 하려고 의도된 것이다(학 2:7).
"만국을 진동시킬 것이며…… 내가 영광으로 이 전에 충만케 하리라"는 말씀이다.
이렇게 함으로 그들이 왜 하나님을 더 두려워해야 하는지를 보여 주며 그러므로 그들이 인간을 덜 두려워하게 하시려는 것이다.
이 장소를 진동시키신 그가 그의 종들을 위협하는 사람들의 마음도 이같이 떨게 하신다.
왜냐하면 그는 "임금들의 영혼을 벌하시며 땅의 군왕들도 떨게 하시는 분"이기 때문이다.
그 장소가 진동함으로 그들의 신앙은 굳건하여지고 오히려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2. 하나님은 그들에게 성령으로 충만케 하셨고 이것이 그들이 기도한 목적이었다.
"그들이 전보다 더욱 성령으로 충만하였더라"는 말씀으로 보아 그들의 기도가 수납된 것이 확실하였다.
이 일로 인하여 그들은 힘을 얻었을 뿐 아니라 담대히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었고 인간들의 거만한 외모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다.
성령이 그들에게 "무엇"을 전할 것인지 또 "어떻게" 전해야 되는지 가르치셨다.
끊임없이 성령의 능력을 옷입은 사람들은 각양의 그들의 섬김에 따라서 새롭게 성령을 공급해 주신다.
그들은 법정에서도 "성령으로 충만하였고"(8절) 이제 강단에서도 "성령"으로 충만하였다.
이것은 우리에게 매일의 임무가 요구하는 데 따라서 하나님의 은사에 실제적으로 의존하며 살 것을 가르친다.
우리는 매 새로운 사건마다 "신선한 기름으로 기름부음 받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님의 섭리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은혜 속에서도 늘 "그 안에서 살"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모든 "행동"을 해야 한다(17:28).
우리는 본문에서 "하나님께서 그에게 구하는 자들에게 성령을 주실 것이"라는 약속이(눅 11:13) 이루어진 실례를 보았다.
그들이 "성령으로 충만한 것"은 기도에 대한 응답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은사가 풍성한 예를 보았다. 그것은 성령이 주어진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이다.
그것을 소유하고 또 이용하면 이용할수록 더욱 풍성히 가지게 된다.
그들이 "성령으로 충만하였을 때 담대히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였다. 성령의 도우심은 누구에게나 주어지고 언제나 이익이 된다."
재능은 묻어 두어서는 안 된다. 써야하는 것이다.
그들은 "주 하나님께서" 성령으로 "그들을 도우심을" 발견하고 더 이상 그들이 "당황하지 않은 것"을 알았다(사 50:7).
-----
교회의 확장(행 4:32-37)
우리는 본문에서 초대 교회의 형편을 볼 수 있다.
본문은 참된 초대 교회의 정신과 면모를 보여 주는 아름다운 글이다. 본문은 초대 교회의 순수한 "요람 시대를" 보여 준다.
Ⅰ. 제자들은 진심으로 서로 사랑했다.
"믿는 무리가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그들 가운데 어떤 분열이나 반목을 찾을 수 없었다는 것은 얼마나 보기에 아름다운가!(32절)
1. 예루살렘. 악의를 품은 제사장들의 영향이 가장 강렬한 그곳에서 믿는 무리들은 있었다.
어떤 날은 "삼천 명"이나 개종하였고 또 다른 날은 "오천 명"이나 개종하였으며 이외에도 "매일 교인 수가 증가하였다."
그들 모두가 세례를 받고 믿음을 고백한 것이 확실하다.
왜냐하면 사도들에게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전하도록 용기를 주신 같은 성령이 그들에게 신앙을 고백할 용기도 주셨을 것이기 때문이다.
교회의 증가는 교회의 영광이요 그들의 질보다는 믿는 무리의 수가 우선함을 기억하자.
뭇 심령들이 교회의 품으로 구름 떼같이 몰려들고 "비둘기가 그 보금자리로 날아 오는 것같이" 모여들 때 교회는 빛을 발하고 그 빛을 비추이는 것이다(사 60:1, 8).
2. "그들은 모두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었다."
나이가 다르고 성격이 다르며 자란 환경이 다르고 믿기 전에는 서로 완전히 낯선 사람들이 많이 모였지만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만났을 때 그들은 오랜 지기(知己)나 되는 것처럼 친하게 사귀었다.
아마 그들은 회심하기 이전에는 유대인의 여러 분파에 각기 속해 있었을 것이고 또는 사회적인 문제로 불화도 있었을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 이 모든 문제들은 잊혀졌고 한 쪽으로 제쳐놓고 그리스도 신앙으로 하나가 되었으며 "주님과 하나가 되자. 그들은 또한 거룩한 사랑으로 서로 하나가 되었다."
이것이야말로 그리스도께서 운명하시며 제자들에게 남기신 교훈 "서로 사랑하라"는 말씀과, 운명하시며 그들을 위해 하신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하소서"라고 한 기도의 축복스런 결실이었다.
우리는 그들이 각기 주거지에 따라서 각각 사역자를 모시고 여러 곳에서 예배함으로 또는 몇몇 교우가 집단을 이룸으로 여러 부류로 나뉘었으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무슨 질투나 불평 때문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그들은 "한 마음 한 뜻"이었고 다른 회중의 모임까지 자기 모임에 속한 사람처럼 참으로 사랑하였다.
이것이야말로 성령의 역사의 결실이었고 그러므로 "그 때에 하늘로부터 우리에게" 성령을 "부으시리니"란 말씀이 반복된다고 낙심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매일 성령의 임재가 필요한 것이다.
Ⅱ. 사역자들은 큰 권능을 얻어 계속해서 그들의 사명을 수행했다(33절).
"사도들이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을 증거하니" 그들이 전한 도리는 그리스도의 부활이었다.
사실상 그리스도의 부활은 그리스도 신앙의 진리 확신을 위해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적절한 결론과 함께 알맞게 설명해 주므로 기독교인의 모든 의무와 특권과 위로를 요약해 주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스도의 부활을 바르게 이해하고 이용함으로 우리는 커다란 신앙의 신비를 깨닫게 된다.
사도들이 부활을 증거하는 데 있어서 받은 큰 권능은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1. 그들이 이 교리를 전파할 때 가진 용기와 담력을 말한다.
그들이 가만히 소심하게 전한 것이 아니라 부활의 진리에 대해 자신들이 아주 만족하고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되기를 열렬하게 바라는 심정으로 생기있고 단호하게 전하였다.
2. 또는 그들의 교리를 확고히 하기 위해 임재된 기적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큰 권능의 역사하심으로 그들은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해 증거하였고" 하나님 자신이 기적의 역사 속에서 "증거하셨다."
Ⅲ. 우리 주 하나님의 아름다움이 그들과 그들의 모든 행위를 밝게 하셨다.
본문에 보면 사도들뿐 아니라 모든 믿는 사람들이 "큰 은혜"를 입었다(카리스 메갈레, 4:33). 즉 비범하고도 장엄한 그러한 은혜가 그들 "모두에게" 주어졌다.
1. 그리스도께서는 그들에게 풍성한 은혜를 부으셨다.
큰 권능과 함께 그들에게 큰 은사를 주심으로 그들의 위대한 사역에 자격을 부여하셨다. 이 은사는 그들에게 위로부터 임한 것이었다.
2. 그들이 말하고 행하는 모든 것에 이 은사의 명백한 결심이 있었다.
그들의 언행이 자랑스런 결과를 가져왔고 하나님이 보시기에 "귀하게" 여겨지는 사랑을 받았다.
3. 어떤 이는 그들이 백성들에게서 받은 사랑도 포함한다.
누구나 제자들에게서 아름다움과 뛰어남을 보았고 그리고 그들을 존경하였다.
Ⅳ. 그들은 가난한 자들에게 너그러웠고 이 세상에 대해서는 미련이 없었다.
이것도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의 은사의 증거이며 그들로 하여금 사람들의 존경을 받게 한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1. 그들은 소유권을 포기하였다.
실상 소유권은 어린이들이 알고 질투를 느끼며 세상 사람들이 자랑으로 여기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라반은 자랑스럽게 "네게 보이는 것이 다 나의 것이라"(창 31:43) 했고 나발도 "나의 떡과 나의 물"이라고 말하였다(삼상 25:11).
그러나 예수를 믿는 자들은 저 세상에서 얻을 유업을 바라봄으로 세상 소유는 안중에도 없었다.
"제 제물을 조금이라도 제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더라"(32절).
그들이 재산을 버린 것은 아니었다. 다만 그것에 무관심하였다. 그들은 자기들이 가진 것을 자랑과 허영으로 신뢰함으로 그들의 것이라 부르지 않았다.
사랑으로 그리스도를 위하여 모든 것을 버렸고 또 계속해서 그를 따르기 위해서 모든 것을 다 내어 주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무엇이든 그들의 것이라 말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죄밖에는 아무 것도 우리 것이라 부를 것은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세상에서 가지고 있는 것은 우리의 것이라기 보다 하나님의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하나님으로부터 받았으므로 그를 위해 써야하며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인정해야 한다.
"그가 가진 것을 그의 것이라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더라(특별히 자기의 것임을 주장하지는 않았다는 뜻).
왜냐하면 그들은 "기꺼이 나누어 주려하였고" 식사를 자기들만 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그와 그의 가족이 쓰고 남을 것은 그와 이웃에게 나누어 주었다.
재산을 가진 자들은 열심히 모으려 하지 않고 기꺼이 나눠 주었고 때로 자신은 궁색하면서도 형제들을 도왔다.
이 세상의 부에 대해서 마음이 태평하였으므로 그들이 한 마음 한 뜻이 된 것도 놀라운 일은 아니다. 왜냐하면 "내 것"(meum) "네 것"(tuum)으로 꼭 시비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자기 것을 지키려하고 또 더 긁어 모으려는 데 전쟁과 싸움은 생긴다.
2. 그들은 구제에 풍부하였다.
실상 그들은 모든 것을 공유하였다. "그들 중에는 핍절한 자가 없었으니,"
이는 그들 모두의 경비에 대해 주의 깊은 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34절).
그들이 기독교인으로 개종할 때 사회를 통해 구제를 받던 사람들은 이 구제를 물리치고 교회가 그들을 돌보았다.
많은 가난한 사람들이 복음을 받아들였고 그리고 또한 이들을 부양할 수 있는 몇 사람의 부자도 있었다.
또한 하나님의 은사는 그들로 하여금 기꺼이 구제하게 하셨다.
많이 거둔 자도 그들의 여분의 것으로 적게 거둔 자에게 주었으므로 넘치지 않았고 적게 거둔 자도 이와 같이 부족함이 없었다(고후 8:14, 15).
복음은 "모든 것을 같이 소유하게 한다."
이는 가난한 자가 부자의 것을 약탈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뜻이 아니라 부자가 가난한 자를 구제하도록 말씀하고 있다는 뜻이다.
3. 그들 중 많은 사람이 재산을 팔아 구제 기금으로 내놓았다.
"밭과 집이 있는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팔았다"(34절)
^^라이트푸트박사(Dr. Lightfoot)는 그 해가 50년마다 돌아오는 유대인의 안식년이라고 추정한다(그들이 1400년 전 가나안에 정착한 지 28회째 되는).
따라서 그 해에 산 것은 다음 안식년까지 돌려 주지 않아도 됨으로 땅값이 비쌌고 따라서 땅을 팔아서 많은 돈이 모였을 것이라고 한다.
(1) 그들이 모은 돈으로 무엇을 했는지 본문에 기록되어 있다.
그들은 "그것을 사도들의 발 앞에 두었고" 사도들이 합당하게 여기는 대로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사도들도 별다른 지원이 없었으므로 그것으로 생활을 한 것 같다.
사도들이 금전을 그들의 발 앞에 두게 한 것은 세상 재물에 대한 그들의 거룩한 경멸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금전을 자기의 수중이나 품 안에 두는 것보다 발 아래 두는 것이 더 합당하게 생각하다.
거기다 놓아둠으로 저장하지 않아도 되었고 몇 몇 책임자에 의하여 "필요한 사람들에게 분배해 줄 수가 있었다."
공적 구제를 행하는 데는 세심한 베려가 필요하다.
① 그것은 필요한 사람들에게 주어졌다.
즉 연로한 자나 어린 아이, 병약한 자, 신체 불구자 정신박약자, 창의성이나 활동성의 결여자, 백치, 파산자, 억압받는 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스스로 충분할 만큼 생활비를 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주어졌다.
위에서 말한 사람들 외에 정말 도움이 필요한 데도 그들을 도울 아무 친척도 없는 사람들 또한 무엇보다 덕행과 "선한 양심을 지키기 위해" 결핍 가운데 생활하는 사람들은 그들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희사된 것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돌보았다.
② 그것은 편파성 없이 그가 "필요로 하는 대로 누구에게나" 주어졌다.
재판에서와 마찬가지로 구제에 있어서도 동등하게 필요를 느끼는 자들에게는 동등하게 도움이 베풀어져야 한다는 것은 법칙이다.
말 그대로 구제는 필요에 따라 선택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2) 본문에 구제에 뛰어난 한 사람의 이름이 특별히 기록되어 있다. 그는 후에 바울의 동역자가 된 바나바였다.
① 그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36절).
그의 이름은 "요셉"이었고 "레위 족속"에 속하였다. 흩어진 유대인들 가운데는 레위인들이 있어서 그들의 회당에서 드리는 예배를 인도하고 자기 족속의 의무에 따라 "그들에게 주님에 대해 가르쳤던 것 같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멀리 떨어진 구브로 출신이었다. 그의 부모들은 유대인들이었지만 거기서 정착하였었다.
그가 그들과 연합한 후 사도들이 그의 이름을 바꾸어 주었음을 생각해 보자.
아마 그는 70명의 제자중 하나이고 많은 은사를 받음에 따라 저명하여지고 따라서 사도들에게도 존경을 받았던 것 같다.
그러므로 사도들은 그의 가치를 인정하는 표시로 그에게 바나바라고 명명한 것이리라.
"바나바는 예언의 아들"이란 뜻으로 그가 비범한 예언의 은사를 받은 것 같다.
그러나(Grotius는 말하기를) 헬라계의 유대인들은 "기도하는 것"을 paravklhsi" 라 하였고 그 말을 빌리면 "교훈의 아들" 즉 병 고치고 교화시키는 데 특별한 재능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이다. 그 예는 11장22-24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또 "위로의 아들"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흔히 알려진 바와 같이). 즉 성령의 위로 안에서 즐겨 행한 사람 또는 늘 유쾌한 기독교인이란 뜻에서이다.
그러므로 가난한 자를 구제하는 일에 관대하였을 것이다.
또는 주의 백성을 위로하며 상처받고 고통당하는 마음에 평안을 심어 주는 일을 잘하는 사람이란 뜻에서일 것이다.
그는 이와 같이 뛰어난 재능이 있었다. 사도들 가운데 Boanerges(우뢰의 아들)(막 3:17)라 불리우는 사람이 둘 있다.
그런데 여기 그들과 위로의 아들이 함께 하게 된다.
각 사람마다 은사를 지니고 있다. 다른 은사를 혹평하지 말고 서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한 사람은 상처를 찾아내고 또 다른 사람은 그것을 치료하고 싸메게 하자.
② 그의 구제와 기금 모금에 대단히 관대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사실은 그가 후에 하나님의 교회를 섬김에 있어서 특히 이방인들에게 복음 전함에 있어서 뛰어났기 때문에 기록되어 있다.
이방인의 전도자가 되었다고 해서 그의 동족에게 어떤 악감정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본문에 보면 그의 자선행위가 유대인 중에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주고 있다.
또는 본문을 기록한 것은 규범적 행위로써 타인의 본을 삼기 위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는 그가 태어난 곳이 구브로인지 지금 살고 있는 유대인지, 아니면 다른 어떤 곳에 땅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개인의 어떤 이득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의 재산이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의 것임을 아는 참 레위인으로써 그의 땅의 유업을 멸시하였고 그것들에 대한 아무런 애착없이 구제에 쓰기 위해 "돈을 가져다가 사도들의 발 아래 두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복음 전도자로 선택된 사람은 이 세상 일에 매이지 말아야 한다.
그는 사도들의 발 아래 판 돈을 가져다 놓았을 때 조금도 마음의 안정을 잃지 않았고 그 후 성령께서 "내가 불러 시키는 일을 위하여 바나바와 사울을 따로 불러세우라" 말씀하시므로(행 13:2) 사실상 사도들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던 것이다.
그가 사도를 사도로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으므로 보상으로 그 자신이 사도가 되었던 것이다.
==호크마==
=====4:1
사도들이... 말할 때에 - '말할 때에'로 번역된 헬라어 '랄룬톤'(* )은 부사적 분사 용법의 형태로서 '그들이 아직도 말하고 있는데'라는 뜻이다. 따라서 사도의 설교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성전 가운데서 사태가 급변한 것을 소개하고 있다. 한편 본절에서 누가는 뵨음 전파에 대한 최초의 반대 셰력이 누구였던가를 밝히고 있다.
제사장들 - '호이 히에레이스'(* )라고 표현된 그들은 산헤드린에속한 권력자들로서 성전에서 모든 예배 의식을 집행하는 성직자들이었다. 이들은 이날 오후 예배를 맡은 자들이었을 것이다. 그들의 입장에서 봤을 때, 당시 종교 체제로부터 아무런 합법적 권위도 받지 않은 자들이 성전에서 많은 군중을 모아 놓고 연설을 한다는 것은 그들의 권한을 침해하는 행위였다. 이들은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박아 죽이는 일에 앞장섰으며, 복음에 대하여 언제나 적대자 노릇을 하였다(마 26:3, 4). 이때도 사도들의 복음 전파를 방해하고자 나타난 것이다. 당시 제사장들과 사두개인들은 로마 정부와의 협력하에 정치적, 경제적 권력을 쥐고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현상 유지에 급급하였고 그들의 기득권을 침해할 것같은 사람들이 나타나면 거침없이 대적하였다.
성전 맡은 자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호 스트라테고스 투 히에루'(* )는 문자적으로 '성전의 장'(Captain of the temple)이란 뜻이며 성전 수비대(守備隊)의 우두머리를 가리킨다. 어떤 학자는 성전 맡은 자는 안토니아 성에 주둔하는 로마 군대의 장교였다고 한다(Lightfoot). 그러나 역사가 요세푸스에 의하면 제사장 가운데서 임명된 사두개파 출신이 맡고 있었다(5:24, 26)고 하며 어떤 학자는 성전수비대가 레위인들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한다(Lenski). 렌스키의 견해를 따르면, 그 우두머리인 '성전 맡은 자'도 레위인이었을 것이고, 이는 율법에 어긋나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견해들을 종합해 볼 때 그들은 사두개파출신인 래위인들로 구성되었을 것이고, 로마 정부의 영향력을 크게 받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당시 '성전 맡은 자'(수비대장)는 대제사장 다음가는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며(Schuerer Bruce), 누가복음에서는 복수인 '스트라테고이(* )가 사용되었다(눅 22:4, 52).
사두개인들 - 하스몬 왕가의 후예들이었다. 하스몬 왕가의 사람들은 맛다디아와 유다와 요나단및 시므온(B.C. 168-134)을 메시야 시대의 개척자들로 보아왔으며, 그 열조들이 시작했던 바를 자신들이 이어 이미 마카비 시대의 영웅들에 의하여 시작되었으며, 또한 그 시대는 자기들의 감독하에서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는 중이라고 그들은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곧 사두개인들에게 있어서 메시야란 하나의 이상(idea)이었을 뿐이며 어떤 인격적 존재 자체는 아니었다. 게다가 그들은 정치적인 지도자들과 지배적인 지주들로서 마카비 통치 시대의 모든 정치적 경제적인 권력을 이양받았던 자들이었고, 또한 실세를 잡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세력을 유지하기 위해 로마와의 협력과 현상 유지를 강조했다. 그리고 당시 대부분의 제사장들은 사두개인적인 관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성전을 지키는 경비력은 완전히 레위 지파 사람들이 담당하고 있었다. 사두개파 사람들의 강세로 인해 대제사장이나 성전 수비대장은 언제나 고위 직급의 사두개인이 맡고 었었다.
이르러 - '에페스테산'(* )로 표현된 이 말은 어떤 사태를 진압하기 위하여 적의에 찬 마음을 가지고 급작스럽게 몰려왔다는 것을 뜻한다. 외견상으로는 이러한 그들의 행동이 아무런 잘못이 없는 것처럼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의도는 매우 종교적인 것이었고 악하였다(눅 20:1;24:4).
=====4:2
백성을 가르침과...싫어하여 - '싫어하여'에 해당하는 혤라어 '디아포누메노이'(* )는 '심히 격노하고 크게 불안해 하였다'는 뜻이다. 종교 지도자들이 이러한 태도를 보인 이유는 (1) 사도들이 자기들의 교리와는 반대되는 혁신적인 가르침을 공공연하게 백성들에게 전파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르침은 기득권을 유지하고 있던 당시 종교 지도자들에게 위협적이었다. (1) 부활 교리를 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예수를 들어 죽은자 가운데서 부활하는 도'를 전했다고 했는데 이말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은 지 3일만에 부활한 역사적 사건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여기에 해당하는 헬라어 '엔 토 예수'(* )는 '예수 안에서', '예수에 의해서', '예수를 기초로 하여'라는 뜻으로서 예수께서 그분 안에서 죽은 자들의 첫 열매로서 부활하셨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증거는 부활을 믿지않는 사두개인들과 예수를 계획적으로 죽인 제사장들에게 도전적이고 충격적인 선언이 아닐 수없었다.
=====4:3
저희를 잡으매 - 당시 산헤드린 공회는 로마의 지배하에 있었기에 사회적으로 범죄한 사람에 대해서는 형을 집행할 권리를 갖고있지 않았지만, 성전의 거룩함을 더럽히는 등의 종교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최고형까지 언도할 수 있었다.
날이 이미 저문 고로 - 당시 랍비의 법에는 해가 지면 어떠한 심문이나 재판을 못하게 되어있었다. 그런고로 의회가 모일 수 없었고 어떤 송사도 제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재판에 회부(回附)하지 않고 감금시켜 놓은 것이다.
=====4:4
남자의 수가 약 오천이나 되었더라 - 여기에는 두 가지 문제가 제기된다. 첫째는 '남자'의 헬라어 '안드론'(* , '남자들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의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1) 엄격히 말해서 여자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그때 개심한 사람 가운데 여자와 어린아이를 제외한 남자의 수만을 가리킨다(Mayer, Lenski, Robertson, Bruce, McGarvey). (2) 여자를 포함하여 개종한 모든 사람의 수로 생각한다(Spence, Hekiett). 이 가운데 (1)의 견해가 더욱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성경에서 '남자'(* , 아네르)라는 표현은 '사람'( * , 안드로포스)과는 달리 여자를 제외한 남자의 경우에만 한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이다(마 14:21). 둘째로 문제가 되는 것은 '오천명이 되었더라'는 숫자에 대한 것인데, 그 견해들을 살펴보면 (1) 바로 그때 믿게 된 수효를 가리킨다(Jerome). (2) 지금까지 믿게 된 예루살렘 신자들의 총수라 본다(Lenski, Joseph H. Mayfield). 여기서 (2)의 견해를 택하는것이 더욱 자연스러운 것은 '되었더라'의 원어 '에게네데'(* )가 부정 과거로서 단지 역사적인 사실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리고 2:41에서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그날 믿은 수가 '삼천이나 더 하더라' 했는데 거기서 '더하더라'를 가리키는 헬라어 '프로세테데산'(* )은 미완료 동사로서 베드로의 설교 결과로서 일어나는 어떤 과정을 나타내준다. 따라서 삼천 명의 군중이 반드시 한꺼번에 믿었다고 보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본절의 오천 명이란 숫자도 2:41에 나타난 삼천 명을 포함한 지금까지의 예루살롑 신자의 총수라고 보는 견해가 더 자연스럽다(6:7;16:5). 아무튼 본문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박해 속에서도 게속 확장(擴張)되어가는 복음의 능력이다.
=====4:5
관원과 장로와 서기관들이...모였는데 - 산헤드린 공회의 구성원들을 가리킨다(23:14;막 14:53;눅 22:2). 산헤드린 공회는 그 당시 나라의 원로원이자 최고 법원으로서 극형을 제외한 모든 사건에 대하여 재판권을 가지고 있었다.
관원(* , 아르콘타스) - 이 말은 종종 대제사장이란 용어와 동의어로 쓰인다(23:5).
장로들(* , 프레스뷔테루스) - 장로들은 모세가 백성의 재판 처리를 위해 '덕과 경험을 지닌 자'를 세운데서 시작된 족속의 우두머리들로서 이스라엘 공동체 전체를 대표하여 의사 결정을 하던 집단이었다(출 3:16;4:29;민 11:16, 17).
서기관들(* , 그람마테이스) - 바리새인들로 구성된 율법 교사들로서 율법과 구약성경을 해석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지닌 자들이었다. 산헤드린 공회에 대한 자세한 것은 4:5-22 주제 강해 '산헤드린 공회'를 참조하라.
=====4:6
대제사장 안나스 - 예수를 정죄하기 위한 재판 회부에 개입하였던 퇴임 원로이다. A.D. 7-15년까지 9년 동안 대제사장직에 있었으나 그는 그 후에도 계속하여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는 산헤드린 공회의 배후(背後)에서 실제적인 세력을 행사했던 인물로 나타난다(요 18:13-24).
가야바 - 안나스의 사위로서 A.D. 18-36년까지 18년 동안 대제사장직에 있었으며, 산헤드린 공의회 의장이었다. 따라서 대제사장의 실제적인 직무는 가야바에 의해 수행되었다.
요한과 알렉산더 - 이들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알수가 없으나 서방 본문이 제시해 주는 바에 의하면, 요한은 기원후 36년에 가야바를 대신하여 대제사장직에 오른 안나스의 아들 요나단이라고 추측된다.
대제사장의 문중 - 사두개인의 가문으로 초기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를 주동하였다.대제사장의 가문이 여기에 언급된 것은 산헤드린공회에서 그들이 의사 결정권을 어느 정도 행사할수 있는 위치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4:7
사도들을 가운데 세우고 - 최고 법정인 산헤드린의 재판 모습을 보여준다. 긴 옷을 입은 당대의 최고 권력자들이 높은 단상 위에 반원형으로 둥그렇게 앉았고, 피고는 낮은 마루 바닥위에 서서 심문을 받는 형태이다. 이것은 법정의 외적인 분위기로도 피고를 압도(壓倒)하려는 것임을 보여준다.
너희가(* , 휘메이스) - 이말은 헬라어 문장에서는 맨 끝에 나온다. 그뜻은 '너희 같은 백성'(people like you)으로서 무지하고 멸시받는 계층을 가리키는 경멸조의 표현이다.
무슨 권세 - '어떤 종류의 능력이냐'는 뜻으로서 사도들이 어떤 마술적인 주문을 통한 악령의 힘을 사용하여 이적을 행한 것(신 13:1-4)이라는 저의를 그들이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런 질문은 종교적으로 위법인 것을 암시하는 유도성을 가지고 있다.
뉘 이름으로 - 어떤 사람의 권위를 배경으로 위법을 행하고 있는지 심문하고 있다. 산헤드린에 있어서 예수의 이름은 지독히 불경스러운 이름이었다. 왜냐하면 예수는 자칭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했고, 이것은 신성 모독죄에 해당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질문은 사도들에게 올가미를 씌우려는 계략이었다. 만일 사도들이 '예수의 이름'이라고 한다면, 이단 사실을 퍼뜨리는 것이 되고, '하나님의 이름'이라고 대답을 하면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범죄가 되기 때문이다. 결국 그들은 사도들이 어떻게 대답하든지 정죄하려는 악한 속셈을 가지고 간교한 질문을 한 것이다. 이들이 문제삼은 것은 앉은뱅이였던 사람이 낫게된 사실이 아니라 사도들이 그 일을 행했던 방범과 수단이 무엇이었느냐는 점이었다. 그 일이 하나님 나라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는 알려고 하지도 않고 그 일을 행한 방법과 수단을 가지고 시비하며 파헤치는 것은 시기심이 가득한 교권주의자들의 한결같은 모습이었다. 일찍이 예수께서도 대졔사장들로부터 이와 유사한 질문을 받았으나 그들의 간계를 미리 아시고 지혜릅게 대처한 바 있었다(마 21:23-27). 본절에서도 대적자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사도들을 처치할 구실을 마련하기 위해 애매한 질문 공세를 폈다. 그러나 사도들은 심문당하는 자로서의 자세를 취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들의 터무니없는 속섬을 은근히 책망함과 아울러(9절) 이를 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기회로 삼았다(10-12 절).
=====4:8
성령이 충만하여 - 주께서 약속하신대로 특별한 상황에서 주어진 것이다(마 10:9-20). '충만하여'를 가리키는 '플레스데이스'(* )는 특별한 순간의 영감을 가리키는 부정과거 수동태의 용법이다.
백성의 관원과 장로들아 - 이것은 당시의 권세자들을 인정하며 존경과 예의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령 충만은 이처럼 지극히 정상적인 예의를 깨뜨리지 않고 위협적인 재판정에서라도 담대한 증거를 시작하게 하였다. 이 양자를 다 갖추기란 하나님의 영으로 충만하지 않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4:9
착한 일에 대하여...오늘 우리에게 질문하면 - 그들의 지위에 합당한 경의를 표하면서도 분명하고 단호하게 질문의 주지(主旨)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되묻는 베드로의 담대함을 본다. 여기서 '착한 일'로 번역된 혤라어 '유에르게시아'(* )는 '친절하고 선한 행위'를 뜻하는 것으로서 이 표현 속에 사도가 행했던 일에 대한 변호가 포함되어 있고, '착한 일에 대하여' 심문하는 자들이 모순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4:10
너희와 모든 이스라엘 백성들은 알라...너희 앞에 섰느니라 - 사도는 여기서 거부할수 없는 엄연한 사실 다섯 가지를 증거한다. (1) 너희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알라. 중대한 사실을 선포할 때마다 자주 쓰는 권위있는 명령형이다. 그 대상을 분명히 지적하고 있는데, 이는 증거하는 내용의 중대성과 사실성을 암시한다. (2) 너희가 십자가에 못박은 예수. 사도는 여기서 '너희가' 그런 일을 행한 죄인들이라고 지적하고있다. 거룩하시고 의로우신 하나님의 아들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게 한 그들이 바로 죄인이라는것이다. 산헤드린은 모든 흉한 책략으로 저질렀던 만행을 은닉하려고 하지만, 사도는 그들의 면전에서 거침없이 폭로하며 힐책하고 있다. (3)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너회'가 죄인 취급하여 죽였지만 하나님은 죽은 자 가운데서 예수님을 살리심으로 그를 죽인 자들을 심판했다는 것이다. 이 증거야말로 부활을 믿지 않은 사두개인들의 큰 반발을 일으킬 만한 것이었고, 그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공의회에 대한 정면 도전이 아닐수 없다. 그러나 사도는 그들 앞에서 하나님이 예수를 부활시키셨다고 담대히 확신에 차서 중거하였다. (4)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앉은뱅이였던 사람이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건강케 된 것을 증거했다. 이것은 '너희가 무슨 권세와 뉘 이름으로 이 일을 행했느냐'(7절)는 산헤드린의 질문에 대한 명확한 대답이다. 너희가 십자가에 죽였지만, 하나님이 다시 살리신 그예수께서 지금 살아계셔서 이 능력을 베푸셨다는 것이니 저들의 간담(肝膽)을 서늘하게 만드는 선포가 아닐 수 없다. (5) 건강하게 되어 너희앞에 섰느니라. 이상의 변론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시한다. '섰느니라'의 헬라어 '파레스테켄'(* )은 현재 완료 능동태로서 '계속 서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도들 옆에 서 있는 고침받은 자의 생생한 모습 때문에 저들은 힐책할 수도 없고, 그 사실을 부인할 수도없게 되었다. 우리는 이상의 증언을 통해 사도의 증언에는 위대한 복음 진리의 핵심이 담겨 있음을본다(2:14-36;3:15, 16).
=====4:11
건축자들의 버린 돌로서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느니라 - 이것은 시 118:22의 인용으로 유대인들이 잘 알고 있는 말씀이다. 전에 예수께서도 자신을 가리켜서 이 말씀을 인용하셨다(마 21:42;막 12:10;눅 20:17). 즉 건축자들에게는 쓸데없다고 버림받은 돌과 같이 예수께서는 유대인들에게 멸시당하고 죽으셨으나 하나님께서 다시 살리사 자기 우편에 두시고, 권능과 영광을 홀로 차지하게 하셨으며 만민을 구원하는 기초로 삼았으니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된 셈이다.
=====4:12
다른 이로서는...주신일이 없음이니라 - 사도는 이제 예수 외에 그 어떤 이름으로도 구원을 받을 수 없음을 선포한다. 즉 산헤드린 공회원들 역시 예수에 의해서 구원을 받지 않으면 구원 얻을 길이 없음을 강조한 것이니 사도의 증거는 매우 혁신적이었다. 이 구절은 불변의 진리로서 다음의 두 가지 교훈을 제시한다. (1)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 무이한 구세주이시다는 사실이다. 예수 외에 사람의 죄를 대신해 줄 수 있는 의롭고 거룩한 신인(神人)은 없다. 오직 예수만이 인간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 죽으시고 부활승천하셔서 살아계시는, 구약성경이 예언한 그 메시야이심을 사도는 친히 목격하고 확신했던것이다. (2) 여기서 '구원'의 헬라어 '헤 소테리아'(* )는 단순히 앉은뱅이였던 사람을 고친 것과 같은 육적 구원 뿐만 아니라 죄와그 세력 그리고 죄의 형벌인 죽음과 영원한 심판으로부터 구원하는 전인격적인 구원을 의미한다. 즉 메시야로 말미암은 완전한 구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람중에는 이 구원을 받지 않아도 될 대상은 아무도 없다.
=====4:13
기탄없이 말함 - 헬라어로 이 말은 '모든'을 의미하는 '판'(* )과 '연설'을 뜻하는 '레시아'(* )의 합성어인 '파르레시안'(* )으로서 '모두 남김없이 자유롭고 대담하게 말하였다'는 뜻이다.
사도는 그태도와 말에 있어서 확신에 차서 이처럼 기탄없이 예수를 증거하였다. 공회원들은, 죄인으로 서 있으면서도 자신있게 변론하는 사도의 태도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하였다. 학문 없는 범인 - 이는 랍비들의 학교에서 전문적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서, 성경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평범한 사람을 의미향다.
=====4:14
힐난할 말이 없는지라 - 이 말은 그들이 사도의 증거에 대하여 반박할 만한 아무런 수단을 강구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그 이유는 13절과 본절에서 찾아볼 수 있다. (1) 본래 학문 없는 범인이었던 사도들이 기탄없이 말하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2) 예수와 함께 있던 예수의 제자들임을 알았기 매문이다. (3) 무엇보다도 이전에 앉은뱅이였던 자가사도가 말한 것들에 대한 산 증거로서 그들의 목전에 당당히 서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어찌할 수 없이 그들이 궁지에 몰려 할 말을 찾지 못한 것이다. 이는 일찍이 예수께서 하신 "너희의 모든 대적이 능히 대항하거나 면박할 수 없는 구제와 지혜를 내가 너희에게 주리라"(눅 21:15)는 약속이 성취된 것이며 주께서 살아 계셔서 복음을 전하는 그 제자들과 함께 하시는 것을 보여준다(마 28:18-20).
=====4:15
공회에서 나가라 하고 - '공회'(* , 쉬네드리온)는 그 재판과 심문이 진행되었던 법정을 말한다. 공회원들은 사도의 변증에 대해 답변할 마땅한 고소거리를 찾지 못하여 그들끼리 의논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사도들을 밖으로 나가도록 명하였다.
서로 의논하여 - 공회가 심문하려 했던 피고들이 대담하고 확신에 차서 자신들의 무죄를 변론하고 증거를 내세우자, 이제 피고를 회의실에서 내보낸 후 심의(審議)에 들어간 모습이다. '의논하여'에 해당하는 혤라어 '쉬네발론'(* )은 미완료 과거 능동태이다. 따라서 공회원들이 주도적으로 회의를 따로 소집하여 계속해서 의논을 거듭했음을 보여준다. 즉 배심원들의 논리와 결정을 거쳐 판결을 내리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 분명하다.
=====4:16
유명한 표적...우리도 부인해 수 없는지라 - 그들이 곤경에 처하게 된 이유를 말해준다. '유명한 표적'에 해당하는 헬라어 '그노스톤 세메이온'(* )은 '알려진 표적'이란 뜻으로 앉은뱅이였던 사람이 고침받은 사건을 말한다. 예루살롑에 거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예수의 이름으로 표적이 나타난 사실은 부인할 수 없는 것이었다.
=====4:17
증거가 있었으므로, 결국 법적으로 심문할 근거를 찾지 못한 그들이 택한 결정은 사도들을 위협하여 더이상 아무에게도 예수의 이름으로 말하지 못하게 하자는 것이었다. 그들이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지 못한 것은 백성의 여른을 의식했기 때문이다. 권력의 자리에 앉은 자들은 민심의 동향에 민감하다. 예수께서 유일한 구주라는 것과 친히 살아 계심을 부인할 수 없도록 증거가 보여정고, 사도 베드로의 증언에 의해서 그런 예수를 죽인 죄가 그들에게 있음이 백일하에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결정은 자기들의 교세만을 고수하고자 하는 부당한 것이었다. 결국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은 당시 종교 지도자들이 얼마나 타락하고 그 양심이 마비되었는가를 시사해 준다.
=====4:18
그들을 불러 경계하여...가르치지도 말라 -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을뿐 아니라, 오직 자기들의 교권(敎權)을 유지하기에만 급급한 타락한 종교 지도자들의 완악함을 볼 수 있다.
=====4:19
하나님 앞에서...옳은가 판단하라 - 이스라엘의 최고 법정 산헤드린의 위협에 굴하지 않고 공회의 결정을 정면으로 거부하는 사도들의 단호한 태도는 실로 대담한 도전이다. 이런 태도를 취할 수 있었던 용기가 생긴 근거를 살펴보면, (1)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사도들은 앉은뱅이가 일으킴을 받는 표적을 통하여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자기들과 함께 하심을 직접 확인하였고, 또한 부활하신 주님께서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마 28:20)고 하신 약속의 말씀을 믿었기에 이처럼 대담한 행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믿음은 세상이 감당하지 못하였다(히 11:38). (2) '하나님 앞에서'(* , 에노피온 투 데우)라는 사도들의 선언에서 볼 수 있듯이 항상 하나님의 임재, 즉 하나님의 면전에 서 있다는 신전 의식에서 나온 것이었다. 하나님의 임재를 믿고 확신하며 하나님 앞에서 산다는 의식이 사도들에게 용기를 준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임재해 계시는 앞에서 과연 너희 말을 순종하는 것이 옳은지 아니면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는 것이 옳은지 판단해보라고 한 것이다. '판단하다'의 헬라어 '크리노'(* )는 '분석하고 분별해 보다'는 뜻이다. 사도들은 공회원들의 양심에 호소하며, 그들이 '의'(* , 디카이온)를 떠나 불의하게 판결을 내리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4:20
우리는...말하지 아니할 수 없다 - 타협할 수 없는 사도들의 확고 부동한 입장을 공회앞에 재천명하는 이 구절은 원어상으로 보면 두가지 강조 어법이 돋보인다. (1) 이중 부정으로 강력한 긍정을 표현하는 어법을 사용함으로 반드시 말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시했다. (2) 동사와 주어를 뒤바꾸어 쓰면서, 지시대명사인 '우리는'(* , 헤메이스)을 사용하여 '우리'에 강조점을 두었다. 즉 목격자로서 보고 들은 것을 증언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보고 들은 것'이란 예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사흘만에 살아나신 부활 사건을 의미향다. 이처럼 사도들은 인간의 권위와 하나님의 권위가 충돌할 때 자신들이 보고 듣고 확신하는 하나님의 권위에 순종하는 편을 택했다. 이것은 생명을 건 각오를 한 것이다.
=====4:21
관원들이 백성을 인하여...다시 위협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림이러라 - 공회원들은 의회의 결정이 피고인들로부터 공개적으로 거부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들은 속수 무책이되자 고작 우격다짐식으로 협박을 반복할 뿐이었다. 그들이 '벌할 도리를 찾지 못했다'는 것은 합리적으로 사도들을 징벌할 방도가 도무지 없었다는 것을 뜻한다.그래서 저들이 택한 것은 다시 위협하는 일뿐이었다. '다시 위협하였다'(* , 프로사페일레오)는 것은 '더욱더 위협하였다'는 의미인데, 공회의 일차경고가 무시되었기 때문에 재차 가중한 위협을 하였음을 의미한다. 공회가 이런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누가가 밝힌대로 '백성을 인하여'이다. 이는 기적이 가져온 효과를 보여준다. 즉 사도들이 행한 표적을 목격한 군중들의 열기는 대단했으니 나아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에까지 이르렀다. 때문에 공회는 사도들을 처벌해야 하는 것과 백성의 반응 사이에서 전전긍긍하였다. 왜냐하면 그들은 백성의 마음을 잃지 않고 환심(歡心)을 사기 위해 늘 애쓰는 자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공회는 어쩔수 없이 사도들을 다시 위협하여 석방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공회원들은 하나님과 진리보다는 자기들의 교권 유지를위해 대중을 더 무서워하는 타락한 종교 지도자들이었다.
=====4:22
병 나은 사람은 사십여 세나 되었더라 - 누가는 고침받은 앉은뱅이의 연령을 '사십 세이상'(* , 플레이오온 텟세라콘타)이라고 명시함으로써 고침받은 자가 날 때부터 만성적인 병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3:1)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오랫동안 앉은뱅이로서 정상적인 삶을 살지도 못하다가 전혀 기대하지도 못했던 기적이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인간의 능력으로는 전혀 불가능한 일이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발생하였기 때문에 모든 백성은 놀라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4:23
그 동류에게 가서 - 여기서 동류란 다른 사도들을 말하는 것인지 아니면 복음 전파를 통해 더하여진 그 이외의 제자들을 포함하는 것인지 정확하지 않다. 분명한 것은 이 무리가 오천 명이나 되는 믿는 자(4:4) 전체라기 보다는 좀더 작은 무리였으리라는 것이다(Marshall). 또 '프로스 투스 이디우스'(* )라는 말이 '그 자신의 사람들'(요 13:1), '자기 백성'(요 1:11)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구약성경의 '하나님을 경외하는 신실한 무리'(말 3:16)등과 연관됨을 생각할 때 이는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한 신앙의 공동체요 동질적인 유대(紐帶) 아래 맺어진 교회로 볼 수 있겠다.
=====4:24
일심으로 하나님께 소리를 높여 - 여기서는 기도의 방법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가 제기된다. (1) 무리가 영감을 받아 모두 한 목소리로 기도했는가? (2) 인도자의 기도를 따라서 반복했는가?(Alfold) (3) 이미 작성된 기도를 사용했는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은 확실치 않으니 '소리를'에 해당하는 헬라어 '포넨'(* )이 복수가 아닌 단수로 사용되었다는 점과 일반적으로 공중 기도나 대표 기도가 전 회중을 대표하는 것을 볼때 이부분은 한 사람이 대표로 하나님께 기도를 올리고 나머지 무리는 성령의 하나되게 하심을 통해 한 마음으로 연합되어 그 기도에 동의한 것으로 이해된다. 저자 누가도 그런 의미에서 핍박으로 인한 교회의 일치된 기도를 성령의 하나되게 하심의 증거라고 강조한듯 하다(Marshall, 1:14;15:25;롬 15:6).
대주재여 - 이의 헬라어 '데스포타'(* )는 '주'(Master)라는 뜻으로 70인역에는 25회 가량 사용되었으나 신약성경에는 자주 등장하지 않는 단어이다. 이는 아마도 이 말이 갖고있는 독단적이고 무력적인 의미 때문인 듯하나, 고대 헬라인들은 '통치자'나 '왕' 또는 주종 관계에서 '주인'을 말할 때 이 단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여기서는 하나님의 전능하신 통치를 강조하는 '절대 통치자'의 의미가 강하다(눅 2:29;계 6:10). 하나님에 대한 이러한 칭호는 박해의 위기에 서 있는 교회가 첫째, 하나님을 천지를 지으시고 만유를 다스리시는 통치자로 믿는 믿음을 가졌고 둘째, 그분의 통치 아래에 있는 교회를 세상이 해치지 못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신앙으로 그 하나님께 기도하였다.
=====4:25
다윗의 입을 의탁하사 - 본문은 사본상으로는 해석이 난해한 구절이다. 그 이유는 '의탁하사'에 해당하는 헬라어 '디아'(* ,'-을 통하여', '-에 의해서')가 어떤 사본에는 빠져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필사자에 의한 실수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Robertson). 또한 특별히 이 말은 '입'(* , 스토마토스)과 관련해서 사용될 때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된 말씀이 축자 영감적인 의미를 띠고 있음을 나타낸다. 결국 이 구절은 선지자 다윗을 통해 장차 일어날 큰 일을 예언케 하신 하나님의 지혜에 대한 제자들의 확신을 보여준다.
어찌히여 열방이 분노하며 족속들이 허사를 경영하였는고 - 시 2:1의 인용으로서 메시야에 대한 예언 말씀이다. 여기서 '열방'의 헬라어 '에드네'(* )는 복수로서 유대인들을 뺀 그 이외의 이방 나라를 의미하며, '족속'(* , 라오이)은 복수로서 이스라엘 백성을 지칭한다. '분노하다'라는 동사의 헬라어 '에프뤼앝산'(* )은 부정과거 능동 직설법으로 '말'(horse)이 콧김을 내쉬듯 거만한 태도를 보이는 것'과 관련된 의미로서 그리스도를 소멸시키려는 이방인들의 꿈이 거만하고 헛된 것임을 보여준다. '경영하다'란 둥사의 헬라어 '에멜레테산'(* )은 '멜레테'(* , '신경쓰다')라고 하는 말에서 유래됐으며 '실행에 옮기다, 주의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4:26
군왕들이 나서며 관원들이 함께 모여 - 군왕은 헤롯왕을, 관원은 로마의 총독 빌라도를 지칭하는 듯하다. 여기서 '나서며'라고 하는 '파레스테산'(* )은 '정렬하여 선'이란 뜻으로 진을 치고 대열을 지어 싸움 일으킬 태세를 갖춘 상태를 말한다. 이는 '함께 모여'라는 표현과 병행(竝行)해서 하나님 나라의 왕이신 그리스도를 대적하고 그 나라를 파괴하려는 큰 흑암의 세력이 연합하여 반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27
헤롯과 본디오 빌라도는...합동하여 - 신약성경에는 여러 명의 헤롯 왕이 등장한다. 예수 탄생시 통치자인 헤롯 대왕(마 2:1;눅 1:5). (2) 헤롯 대왕의 아들로서 왕위를 게승해 유대 사마리아 등의 분봉왕이었던 아켈라오(마 2:22). (3) 아켈라오 뒤에 왕이 되어서 교회를 박해하다가 하나님의 징계로 죽었던 헤롯 아그립바1세 등이다. 본문의 헤롯은 B.C. 4-A.D. 39년까지 갈릴리와 베뢰아를 통치하던 분봉왕으로 세례 요한을 목베어 죽인 헤롯 안티파스이다(마 14:3). 한편 눅 23:12에는 헤롯과 빌라도가 원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 나라를 대적하고 예수를 죽이는 데에 '친구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본절에서도 원수들간의 연합이 실제로 발생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합은 이미 다윗의 입을 통해 예언된 바였다.
거룩한 종 예수를 - '종'의 헬라어 '파이스'(* )는 때때로 '아들', '어린 아이'(마 2:6;눅 2:43) 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주로 부자(父子) 관계에 중점을 둔 용어이다. 특히 '거룩한'이라는 형용사가 '종'을 수식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 '종'이 보통의 인간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하신 아들로서 신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눅 1:35) 종으로 낮아져서 하나님의 구원사역을 충실히 감당하기 위해 고난받는 종으로서의 메시야를 표현한다(사 42:1;52:13).
=====4:28
하나님의 권능 - '권능'에 사용된 헬라어 '케이르'(* , 손)는 두 가지 의미를갖는다. (1) 19:26에서처럼 '손으로 만들어진 신(神)'이라고 할 때의 '손'(hand)을 뜻하거나(마 12:10) (2) 주로 '하나님의 손'이라는 표현으로 나타날 때 그것은 하나님의 '능력', '권능'등을 의미한다(7:50;눅 1:66). 또한 (2)에 대해서도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는 하나님께서 사람들과 그들의 계획을 통해서 자신의 뜻을 이루신다고 하는 그의 '역사하시는 손'으로의 의미와(Hammond) 둘째는 욥 13:26에서처럼 그의 뜻과계획을 미리 기록해 놓았다는 '기록하시는 손'으로서의 의미이다(Matthew Henry). 앞뒤의 연관된 부분들을 블 때 두번째 해석 즉, '기록하시는 손'으로서의 해석이 지지되는데 이는 누가가 이 사건을 구약에 예언된 말씀의 성취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예정하신 - '미리 결정하다'란 뜻의 '프로오리센'(* )은 초월자로서 인생의 운명과 만물의 법칙을 제정하시고 그것을 섭리하시는 하나님의 전지 전능하심을 보여준다. 이 단어는 누가와 바울에 의해서만 사용되기는 하지만, 베드로 역시 같은 사상을 갖고 있었음이 틀림없다(2:23;벧전 1:2, 20). 이는 성경의 전체 사상이 하나님의 예정을 말하고 있다는 것을 뒷받침 해 준다.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누가는 주와 교회에 대한 핍박이 오히려 하나님의 정하신 뜻이며, 그것을 통하여 하나님의 뜻은 성취되어 간다는 것을 증언하고 있다. 본문의 제자들 역시 대적들의 악한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고 결국에 대적들은 패배하고 말 것이며, 이는 하나님의 예정하신 뜻에 의한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Marshall).
=====4:29
이제도 그들의 위협함을 - 발생하는 상황예 관하여'라는 의미이다. 앞에서(24-28)는 그들이 처한 악한 형편과 상황들을 하나님께 고하고 나서, 본절예서는 그들 자신에게 적용하는 기도를 하고 있다. 이처럼 상황을 고하고 나서 구체적인 간구를 하는 형태의 기도는 초대 교회 성도들이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에 있으며, 깊은 신앙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하감하옵시고 - 이에 해당하는 혤라어 '에피데'(* )는 '눈을 떼지 않고 지켜본다'는 뜻이다. 특히 이 단어는 방해하거나 응분의 처벌을 내릴 목적으로 지켜보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제자들이 당하는 위협에 대하여 하나님께 의탁(依託)하는 것은 결국 (1) 하나님께서 모든 역사의 섭리자요 감찰자이시며 (2) 교회는 그의 통치하심 아래 있다는 것을 굳게 믿었기 때문이다.
종들로 하여금 담대히...주옵시며 - 이들은 처해 있는 위기의 상황에서 그 대적들이 망하게 되는 것보다는 오히려 핍박의 상황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기면서 계속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일에 용기를 주시기를 기도하였다. 할편 '주옵소서'에 해당하는 헬라어 '도스'(* )는 제2부정과거 능동태 명령법으로 '지금 즉시 주옵소서'라는 의미이며 아주 급박한 상황에서 절박하게 요구할때 사용되는 표현 형태이다. 이는 결국 제자들이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있어서 그 말씀을 전하는 것을 어떤 일보다 중요시했음을 보여준다.
=====4:30
손을 내밀어 - 여기에 해당하는 헬라어 '엔 토 텐 케이라 에크테이네인'(* )은 누가의 관용적 표현으로 '그 손을 펴사' 또는 '그 손을 펴심으로서'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내밀어'라는 동사의 주어가 인격적이어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적당한 해석은 '당신이 당신의 손을 내밀어'가 된다. 즉이 말은 하나님께서 전능하신 눙력과 권능으로 당신의 손을 내밀 때에 이적이 행해짐을 나타낸다. 표적과 기사.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세메이아 카이 테라타'(* )는 '하나님의 능력(손)에 의해 되어지는 모든 이적'을 뜻하는 것으로서 앞절의 '손을 내밀다'에 연결되는 종속 목적의 의미로 보는게 타당하다(Knowling, Page, Wendt). 병고침이나 예수의 이름으로 되어지는 모든 표적과 기사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에 의해서만 나타나는 일임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특히 '표적과 기사'라는말에서 생각해야 할 중요점은 (1) 예수의 병고침이나 이적 자체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이라기 보다는, 그 사건을 통해서 예수의 메시야되심과(요 10:25)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가 드러났다는 점과, (2) 사도들에게 주어진 '표적과 기사'를 그들의 사도권에 대해 인정하시는 표로 보아야 한다는 점이다(14:3)
=====4:31
빌기를 다하매 모인 곳이 진동하더니 - 기도가 끝나자마자 즉각 일이 발생하고 있다. '진동하더니'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살류데'(* )는 두 가지 뜻으로 쓰인다. (1)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상태(마 11:7). (2) 지진에 동반된 진동 상태(16:26). 본문은 두번째 의미로 봄이 타당하다. 모인 곳이 지진이 일어날 때와같이 흔들린 것은 주로 구약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현현(顯現)에 대한 표징(사 6:4)일 뿐만아니라 하나님이 기도를 듣고 응답하시는 것을 나타낸다.
성령이 충만하여 - 신약에서는 주로 세가지 의미의 '성령 충만'을 언급한다. (1) 한 사람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기 위한 일시적인 충만(8절;13:9). (2) 스데반이나 일곱 집사처럼 그 사람의 생애를 특정짓는 영구적인 의미(6:3). (3) 엡 5:18에서와 같은 계속적인 성령 충만. 여기서 '충만하다'라는 동사는 헬라어 '에플레스데산'(* )의 부정 과거 수동태로 (1)과 같은 의미로 특별 사역을 위한 일시적 충만을 의미한다. 제자들은 성령 충만했기 때문에 위기에 처해서도 담대히 말씀을 증거할 수 있었던 것이다.
=====4:32
믿는 무리가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투 플레두스 톤 피스튜산톤'(* )은 문자적으로 '믿는 자들의 그 무리'라는 뜻이다. 누가는 '무리'라는 용어를 두 가지로 사용하고 있다. (1) '무리' 또는 '거주민 전체'(2:6;14:1, 4). (2) 종교적 공동체(6:2). 여기서는 두번째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누가는 여기서 '믿는'(* , 피스튜산톤)이라는 과거 분사를 사용해서 이 무리가 같은 신앙을 갖고 있음을 강조한다. 뒤이어 나타나는 무리의 일치는 외적인 것에 의함이 아니요, 바로 같은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한 공동의 신앙에 의한 것이었다.
한 마움과 한 뜻이 되어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엔 카르디아 카이 푸쉬케 미아'(* )에서 '엔'(* )은 미완료 3인칭단수로 나타난다. 이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는 각각이기보다는 막 12:30에서처럼 전인격적인 일치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여 한 몸을 이룬 교회가 그 신앙으로 말미암아 가지게 되는 자연스러운 결과였다.
통용하고 - '코이나'(* )는 풍부한 의미를 갖고 있다. 주로 '친교', '교류', '분배'등으로 번역되며, 여기서는 특별히 재물을 소유하는 면보다는 그것을 사용하는 면에서 통용(通用)했음을 시사한다. 각 사람이 자신의 재산을 갖고 있었으나 그것의 소유권을 주장하지 않고 공동체의 필요를 느꼈을 때 언제라도 드릴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나라의 능력이었고 동시에 하나님 은혜의 결과였다. 누가는 여기서 교회가 갖는 교제의 독특성을 가르쳐 준다. 즉 먼저 하나님의 본성에 참여하여 그분과 거룩한 고통을 하게 되면 자연히 성도간에 사랑의 교제를 나누게 된다는 것이다.
=====4:33
사도들이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을 증거하니 - '증거하다'의 헬라어 '아페디둔'(* )은 '돌려주다, 빚을 갚다'라는 의미이며 법적인 채무를 이행한다는 뜻이 있다. 사도들이 그리스도의 부활을 전한 것은 빚진 자로서 마땅히 해야 할 직무를 수행한 것이다(1:22). 한편 사도들이 전한 그리스도의 부활은 복음의 핵심이었고 유대인들이 십자가에 죽인 그 예수가 바로 '오실 메시야'였음을 밝히는 것이었다. 사도들은 사두개인들과 산헤드린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담대히 하나님의 뜻을 따라서 증거했다.
=====4:34
핍절한 사람이 없으니 - 초대 교회의 구성원들이 각기 다른 신분과 지위를 가진 사람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태에 이른 것은 바로 하나님의 백성중에는 빈곤한 자가 결코 없을 것이라는 구약의 약속(신 15:4)이 초대교회 내에서 실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팔아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폴룬테스'(* )는 현재 능동태 분사형으로 계속되는 진행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는 자신의 소유를 파는 행위가 교회의 궁핍한 자들이 생길 때마다 계속되었음을 보여준다. 초대 교회 성도들에게 있어 각 사람의 소유는 공동체의 필요를 위해 그것을 팔아야 할 필요를 느끼기 전까지만 자신에게 위임되어 있는 하나님의 것이었다. 즉 자신의 소유는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소유요 따라서 이를 잘 관리해야 한다는 청지기 의식이 초대 교회성도들의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었다.
=====4:35
사도들의 발 앞에 - '발 앞에'의 헬라어 '파라 투스 포다스'(* )의 표현법에 대해서는 몇 가지 해석이 있다. (1) 사도들이 강단 위에 앉아 있다는 표현이다(Lenski, Weststein). (2) 세상 재물에 대한 경멸의 표현이다(Henry). (3) 이는 소유물에 발을 올려 놓으므로 그 소유나 처분권(處分權)을 획득한다는 법률적 용어이다(E. Haenchen, Marshall). 여기서는 세번째 해석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도들의 또다른 직무 중 하나는 그런 재물들을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분배해 주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4:36
바나바 - 본명은 요셉이었고 사도들로부터 '바나바'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아마도 이것은 그의 성격을 반영하는 듯하다. 그는 레위인으로서 구브로에 거주했는데 당시 구브로에는 유대인들이 소수로 모여 살았다(11:29). 본절에서 누가는 '바나바'란 이름의 뜻을 '권위자'즉 '휘오스 파라클레세오스'(* )로 말하고 있다. 그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견해가 있다. (1) 문자적으로 '예언자' 또는 '선지자의 아들'이란 뜻이다(고전 14:3). 바나바는 '선지자'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11:23;13:1). (2) '위로 혹은 권면의 아들'이란 뜻이다(Robertson, Mayfield). 이중 후자의 입장이 더욱 지지된다. 왜냐하면 '권위'에 해당하는 헬라어 '파라클레시스'(* )의 주된 개념은 '용기를 북돋움'(encouragemant)이라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이다(9:31;13:15). 여기서 누가가 특별히 바나바의 이야기를 기록해 놓은 이유를 살펴보면, (1) 그의 소유를 팔아 교회 공동체에 내어 놓음에 있어서 아주 뛰어난 믿음의 행위를 보였기 때문이었고 (2) 계속된 교회의 발전에 있어서 그가 중 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며(11:24)) (3)믿음을 갖게 된 첫 레위인으로서 복음에 대해 유대인이 가진 편견(偏見)의 큰 벽을 허물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4:37
팔아 값을 가지고 - 여기서 '값'의 헬라어 '토 크레마'( )가 일반적으로 쓰이는 복수 형태로 되어 있지 않고 단수로 되어있는 이유는 이것이 그 돈의 총액을 의미하기 때문인 듯하다.
----------------
본서 1장이 성령에 대한 약속, 2장이 성령의 강림과 교회의 시작, 그리고 3장이 사도들을 통한 성령의 활동상을 소개하고 있다고 볼 때 이러한 '성령의 증거'라는 주제와 연관하여 본장의 내용은 '교회성장'이라는 주제로 초점이 모아진다 하겠다. 따라서 본장은 3장에서 계속되는 사건을 배경을 예루살렘 교회의 성장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첫장이 되거니와 본장을 상고함에 있어 먼저 전후 문맥적 흐름을 살펴본 다음 그 개괄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보기로 하자.
(1) 문맥상의 유의점. 본장은 3장에 수록된 앉은뱅이를 일으킨 사건을 매듭짓는 결론부로(22절) 전후 문맥상 공통되는 바가 많다. 때문에 여기서는 가급적 중복 설명을 피하고 본장에서 두드러지는 사항만 고찰해 보기로 하자.
(가) 구원의 유일성. 3장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장에서도 앉은뱅이를 일으켜 세운 권능에 대해 선포하고 있다. 3장에서는 물론 그 대상이 일반 백성들이므로 상세하고도 일반적인 선포였지만, 본장에서는 유대교 지도자들에게 대한 분명하고도 단호한 변증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 과감하고도 공격적인 변증 설교(5-12절)의 요점과 취지는 간략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농축된 복음의 정수라 할 만하다.
한편 여기서 우리가 특히 유의할 것은 본장이 3장과 같이 철두 철미하게 그리스도가 중심된 구원의 은혜를 선포한 것이지만, 특히 12절에서 보는대로 물리적 치유와 영적 구원의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헬라어 동사 '소데나이'(* )를 사용하여 인류 구원에 관한 유일한 근거를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원의 유일성은 23-31절에서도 기도라는 형식으로 더욱 확연하게 정형화되었다(30절).
(나) 핍박과 성장. 본장에는 앉은뱅이를 치유한 이후로 성령의 역사가 강하게 나타나 사도들에 대한 박해와 반대가 유대교 지도자들에 의해 시작된 장면이 부각되어 있다. 유대교 지도자들은 예수의 행적 가운데서도 여실히 드러났던 것처럼 당시의 종교적, 사회적 기득권들을 향유하고 있었던 세력들이 느끼고 있었던 기독교에 대한 적대감을 그대로 보여준다. 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문단 강해에서 다루기도 하고 여기서는 이러한 핍박의 기운이 교회의 외형적 성장(4절;2:41,47), 내적 성장과(32-37절;5:12-16)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실로 본장에서 부각된 유대교의 복음이 전파되는 역사적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장은 '고조되는 핍박과 복음의 점진적 확산'이라는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교회의 성장'이라는 한부분을 점하고 있다 하겠다.
(2) 내용 구성. 본장의 내용은 크게 1-31절과 32-37절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6개의 소단락(1-4절;5-12절;13-22절;23-31절;32-35절;36-37절)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내용상 1-4절, 5-22절, 23-31절, 32-37절로 나누어 보기로 한다.
첫 단락(1-4절)은 이미 언급한대로 3장의 내용을 배경으로 사도들이 산헤드린 공회에 출석하게 된 경위를 소개하고 있고, 둘째 단락(5-22절)은 산헤드린에서 심문과 협박을 당한 사도들이 하나님만이 구원에 이르게 하는 유일한 통로라는 사실을 담대히 증거한 내용이며 셋째 단락(23-31절)은 점점 심각한 양상을 띠는 적들의 움직임과 사도들의 담대한 신앙이 극적으로 대조되고 있다. 마지막 넷째 단락은 다시 두 개의 작은 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바, 종말론적 단체로서 교리가 가져야 할 영적이고도 도덕적인 특징들을 묘사하는 부분(32-35절)과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한 인물에 초점을 맞춘 부분(36-37절)이 그것이다. 특히 마지막 소단락(36-37절)은 본장의 첫 단락이 앞장의 내용을 열거하여 '핍박과 성장'이라는 주제를 형성해 가고 있듯이, 다음 장에 전개되는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5:1-11)에 연결되어 있다.
1. 핍박의 배경(4:1-4)
본문은 오순절 성령 강림 후, 성령이 충만한 베드로와 요한이 성전 미문에서 앉은뱅이를 일으켜 세운 후 모인 무리에게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증거하던 중(3:11-26) 일어난 사건을 소개하고 있다. 따라서 본장의 서론이라고 할 수 있는 본문은 다음 단락들을 이해하는 결정적 단서가 된다고 하겠다. 즉 1절에는 핍박자들의 정체가 거론되고, 2-3절에서는 핍박하는 이유와 핍박의 사실이 기록되어 본장의 둘째 단락(5-22절)에 연결되고 있으며, 4절은 앞장의 기사를 끝맺는 단순한 서술일 뿐만 아니라 셋째 단락(23-31절)과 넷째 단락(32-37절)을 전개하는 주요한 배경 설명으로서 '핍박과 성장'이라는 본장의 주체가 암시되어 있다.
이에 여기서는 본문에 부각되는 다음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보기로 하자.
(1) 핍박자들. 핍박의 주동 세력은 모두가 사두개파의 일원이었다. 따라서 사도들을 잡아 가둔 이면에는 영의 존재나 내세, 부활, 천사를 부인하는(23:8;마 22:23;막12:28;눅 20:17) 교리적 측면에서 비롯된 반감과, 자신들의 지위를 위태롭게 하는 세력에 대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자 않고 탄압하는 잔혹한 성향의 일단이 숨겨져 있다(마 27:1;요 12:10). 이를 통하여 성도들은 그릇된 신앙을 소유하고도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며 복음을 거부하는 이단들의 소행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저들의 현혹과 조롱에 대해서 굳건히 말씀을 지켜 순종하는 것만이 저들을 이기는 첩경임을 삼가 유의해야 할 것이다.
(2) 부당한 체포 이유. 사도들을 체포하였던 이유 중의 하나는 성전 앞뜰에서 종종 이루어지곤 하던 일반 풍속과도 같은 단순한 사건 때문이었다. 당시 사람을 가르치고 자신의 사상을 전하는 일에 따르는 열띤 토론과 다소의 소란은 묵인되는 것이 관례였다. 그럼에도 유대교 지도자들이 사도들을 체포하게 되었던 중요한 원인은 자신들의 권력에 대하여 비난과 도전으로 비화될 위험성 때문이었다. 이렇게 부당한 탄압을 사도들이(23-31절) 어떠한 자세로 이겨냈는가를 보면서 성도들은 당면한 문제들을 회피하려고 하는 나약한 모습을 보이기 보다는 하나님의 공의를 간구하며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와 용기를 구하는 성숙한 자세가 요구된다 하겠다.
(3) 개심한 사람의 수. 본문은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믿은 '남자의 수가 약 오천이나'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여기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는 '남자'라는 지칭이 문자적으로 '남자'인지 '사람'의 뜻인지 확실하지 않은 점이고 둘째는 '약 오천'이라는 수가 단 한번의 설교로 증가된 수인지 지금까지의 총수인지 하는 것이다. 그러나 2장 41절에 나타나는 미완료 동사 '더하더라'가 설교의 결과 일어나는 어떤 과정을 나타내 준다고 할 때, 동일한 설교에 군중의 무리가 한꺼번에 반응했다는 사실이 아닌 것만은 확실하다.
결론적으로 오천 명이라는 숫자는 3장에 기록된 이적과 설교의 결과 회개의 과정을 통하여 개심한 이천 명과 앞의 삼천 명을 합한 숫자로 봄이 타당하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구절 주석을 참조하기로 하자. 아무튼 믿는 무리의 수가 날로 증대해 간 것은 하나님의 교리는 바로 말씀을 듣고 개심한 자들을 통하여 확장되어 나가며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케 하는 성령의 활동은 어떠한 외부적인 압력에도 중단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암시한다(31절).
2. 구원의 유일성(4:5-22)
본장의 중심부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한 쌍의 대조를 이루고 있는 두 개의 소단락으로 구성된다(5-12절;13-22절). 특히 본문에서 강조되고 있는 사항은 구원의 유일성과 이에 대한 신앙 고백으로 그리스도의 이름만이 인간의 모든 육적, 영적인 문제를 치유해 줄 수 있는 유일한 이름이요 이에 대한 믿음을 고백하고 전하는 것이야말로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는 사실이다. 본문의 내용을 상고하기 위해 유대교 지도자들의 심문과 이에 대한 사도들의 담대한 신앙 고백에 초점을 맞추어 보기로 하자.
(1) 심문의 의도와 변증 목표. 사도들이 선 재판정은 제사장, 서기관 등 70명의 율법 전문가들로 구성되 유대 최고의 법정이었다. 본문의 전반부(5-12절)에서는 바로 여기에서 있었던 심문과 그에 대한 사도들의 변증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광경은 우리가 이미 복음서에서 보았던 예수께 대한 대제사장의 심문 과정과 흡사하다(마 26:57-68;막 14:53-65;눅 22:66-71). 예수께서도 당신을 처치할 구실을 마련키 위한 교활한 의도가 담긴 질문을 당하였듯이(마 21:23-27) 사도들도 애매한 질문을 통하여(7절) 올무에 빠뜨리고자 하는 저들의 간계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예수께서 유대교 지도자들의 술책을 알아차리고 지혜롭게 대처하신 것처럼 사도들도 터무니없는 저들의 속셈을 은근히 책망하여(9절) 오히려 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기회로 삼았다.
실로 성도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사람들에게는 버림을 받았으나 모든 민족이 하나가 되는 성전의 모퉁이 돌이 되도록 작정되어 있었던 예수만이 구원에 이르게 하는 유일한 통로라는 사실을 담대히 증거하는 것과 성령 충만이라 하겠다(8절).
(2) 핍박을 이긴 사도들의 거룩한 고백. 본문의 후반부(13-22절)는 앞에서 보았듯이 세상 권세자들이 성령의 능력을 입은 사도들 앞에서 그들의 담대함과 능력에 압도되어 결국 자신들의 의도대로 사도들을 처리할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비록 정식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사도들이었으나 성경에 대한 능숙한 논증은 가히 공회원들을 아연 실색케 할 만큼 놀라운 것이었다(13절). 저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은 사도들의 증언 내용이 진리냐 아니냐 하는 것을 문제삼기보다 협박과 공갈로 사도들을 위협하기에 급급한 것이었지만, 지식의 근본이신 하나님(잠 1:7)을 참으로 만난 사도들은 올바른 지식을 소유할 수 있었기에 저들의 음모와 간계를 물리치고 믿음으로 그리스도께서 명하신 복음 증거를 적극적으로 전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하나님의 일을 함에 있어 학식이 없어 할 수 없다는 핑계보다는(딤후 2:21) 하나님을 경외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신전 의식'(神前意識)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19,20절). 이것은 16세기 종교 개혁자들이 내걸었던 개혁 정신('하나님 앞에서',Coram Deo)이기도 하다.
* 건축자들의 버린 돌. -베드로가 사용한 이 문구(11절)는 장래에 나타날 메시야에 대한 예언으로 유대인들이 잘 알고 있는 시편 118:22의 말씀을 인용한 것이다. 이 말씀을 인용하여 이미 예수께서는 자기 자신을 드러내신 바 있다(마 21:42;막 12:10;눅20:17). 곧 예수는 건축자들에게 쓸 데 없다고 버림받은 돌처럼 유대인들이 멸시하고 죽였으나 하나님께서 다시 살리사 자기 우편에 두시고 영광과 권능을 홀로 차지하게 하셨으며 구원의 기초를 만들었으니 곧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된 셈이다. 결국 이 돌은 이사야 28:16의 말씀을 베드로전서 2:6에서 인용한 것과 같은 '보배롭고 요긴한 모퉁이 돌'이 되었다(롬 9:33;엡 2:20).
이와 같이 베드로는 '건축자의 버린 돌'에 대해 언급함에 있어 공회원들의 질문에 답변하는 것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가 구원의 기초가 되는 것을 밝히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이미 우리가 보았던 대로 베드로의 오순절 설교(2:14-36)의 핵심을 요약하고 있다.
우리들이 이웃에게 예수를 역사적 인물로 또는 선한 선생으로만 소개하는 데 머물러서는 진정한 예수를 소개하였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베드로처럼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 사건의 참 의미를 설명해 주어야만 한다(갈 6:14;엡 2:16:17).
* 산헤드린 공회. -이는 구약 시대(민 11:16)부터 예루살렘 멸망 때(A.D.70)까지 존속한 유대인들의 최고 재판 기관이었다. 대제사장인 의장 한 명과 바리새인 및 서기관 신분의 70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이 산헤드린(Sanhedrin)은 의결 정족수만 모여도 회합을 가질 수 있었다. 이들의 임무는 주로 모세의 율법과 장로들의 전승을 수호하며 이를 어기는 자를 치리, 계도(啓導)하는 것이며 백성들의 민사 문제를 처리하는 권한도 아울러 갖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유대인들은 로마의 지배하에 있었던 관계로 사형권만은 산헤드린도 행사할 수 없었는데 그 같은 문제는 반드시 로마 정부로부터 파견된 유대 총독에게 상신(上申)하여야 했다. 예수를 사형에 해당한다고 정죄한 대제사장(막 14:64)이 다시금 예수를 빌라도에게 고소한 까닭(막 15:1,3)이나, 대제사장과 장로들이 사도 바울을 신성 모독죄요 민심 소란죄로 로마 총독 벧릭스에게 고소한 까닭(24:1-9)이 바로 여기에 있다. 아무튼 산헤드린의 임무란 백성들이 하나님 앞에서 종교적, 사회적으로 바른 생활을 하도록 지도하는 것이었다 하겠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형식적 율법주의에 사로잡힌 나머지 오히려 갖은 술수를 부려 율법을 완전케 하러 오신 예수를 죽였으니 그 죄가 얼마나 큰 것이었는지를 능히 짐작할 수 있다.
3. 성도의 자세(4:23-31)
본문은 앞에서 일어난 상황을 새롭게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바, 사도들의 석방과 그로 인한 교회의 신앙적 반응을 보도하고 있다. 정당한 이유없이 사도들을 핍박한 공회원들의 비겁한 행동에도 불구하고 사도들을 위시한 예루살렘 교회의 성도들은 이를 의연히 대처하려는 자세와 각오를 공고히 했다. 모름지기 성도들은 이와 같이 악으로 악을 갚지 말고(롬 12:17;살전 5:15;벧전 3:9) 선으로 악을 이기는(롬 12:21) 선한 싸움을 싸워 예비된 의의 면류관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딤후 4:7,8). 본문에 부각되는 다음 세 가지 주제를 살펴보도록 하자.
(1) 핍박의 의미. 공회에서 석방된 베드로와 요한은 실망하거나 좌절하지 않고 믿음의 형제들을 찾아가 위로를 받으며 새 힘을 공급받고자 했다. 이에 제사장들과 장로들의 말을 다고한 후 임박한 환난을 예견하면서 피차 더욱 담대한 신앙으로 무장할 것을 격려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베드로와 요한을 환영한 초대 교회는 감사의 기도를 하나님께 드렸고 성도간에 분열없이 하나되기를 힘썼다(24절). 결국 성도의 고난 가운데 외부적인 박해는 오히려 성도간의 단결을 강화시키고 믿음에 대한 열의를 더하는 요인이 되어질 뿐인 것이다.
(2) 기도의 내용. 한차례의 핍박을 당한 후 사도들이 풀려나자 교회는 더욱더 합심하여 기도하였다. 기도의 구성과 내용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 기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가) 이사야 37:15-20의 히스기야의 기도에서 인용한 하나님께 대한 찬미(24절). (나) 시편 2:1,2의 인용과 여기서 인용된 시편 말씀의 견지에서 본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에 대한 언급(25-28절). (다) 자기들이 처한 현재의 상황에서 하나님께서 능력 주실 것을 비는 간구(29,30절).
다음으로, 그 기도에는 세 가지 주목할 만한 내용이 담겨 있다. 첫째로, 인용된 시편에 열거되고 있는 무리들은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는 데 동조했던 자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세상의 군왕들'은 '헤롯 왕'과 '관원들'은 '로마 총독 빌라도'와, '열방'은 '로마 제국'과, 그리고 '족속들'은 '이스라엘 백성들'과 각각 연결된다. 둘째로,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당하는 고난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은 모두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는 지체들이라는 사실은 신약성경의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롬 8:17;고전 12:27,16:17;골 1:24). 예수께서도 그리스도인들을 핍박하는 데 혈안이 되어 있는 사울에게 나타나셔서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라고 말씀하심으로써 교회와 당신의 '하나'임을 친히 증거하셨다(9:4). 셋째로, 핍박에 직면한 교회는 그 상황으로부터 도피하려는 식의 소극적 간구를 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담대히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할 수 있는 능력을 간구하였다.
(3) 기도의 응답. 일심으로 기도하던 믿음의 형제들이 기도를 끝마쳤을 때 그들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응답을 받았다. 먼저 모인 곳이 진동하였는데 이는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증거요, 기도가 응답된 증거였다(왕상 19:11;사 29:6;마 27:51,28:2). 또한 오순절 성령 강림 때(2:1-4)와 같이 내적인 성령의 충만을 체험하였는데 그 결과로 더욱 힘있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담력을 얻게 되었다. 성령 충만을 받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도를 해야 할 것이며, 성령의 충만을 받은 후에는 영적으로 주린 사람들에게 더욱 담대히 복음을 전해야 할 것이다(눅 4:18,19).
* 그리스도의 대적자들. - 본문에서 인용된 시편(2:1,2)에 열거되고 있는 무리들은 직접적으로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는 데 동조하였던 자들을 가리킨다. 그러나 넓게는 예수 그리스도를 거부하거나 그분에 대해 무관심한 모든 세력을 그리스도께 대항하는 세력으로 보아야 한다. 사실상 예수께서는 "나와 함께 아니하는 자는 나를 반대하는 자요 나와 함께 모으지 아니하는 자는 헤치는 자니라"(마 12:30;눅 11:23)고 말씀하심으로써 대적의 범위를 외부적인 것과 내부적인 것 곧 영적인 범위에까지 확대시키신 바 있다. 더욱이 야고보는 "누구든지 세상과 벗이 되고자 하는 자는 스스로 하나님과 원수되게 하는 것"(약 4:4)이라고까지 하였다. 그러므로 단지 하나님이 없다고 반박하는 자만이 그리스도를 대적하는 자라고 생각할 것이 아니요, 세상과 하나님을 겸하여 섬기고자 하는, 두 마음을 품은 자들도 그와 같은 자임을 인식하여야 한다(왕하 17:33; 습 1:4,5;눅 16:13;고전 10:21;약 1:8,4:8). 예수께서는 세상과 하나님을 겸하여 섬길 수 없노라고 단호히 말씀하셨다(눅 16:13).
* 성령 세례, 성령 충만, 성령의 은사. - 성경에는 성령, 성령 세례, 성령 충만, 성령의 은사 등 성령과 관계되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본 주제 강해에서는 이들의 의미와 관계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1) 성령 세례. '성령 세례'란 세례 요한의 물 세례와 구분되는 말로서 특별히 오순절의 성령 강림 및 고넬료 집에서의 성령 강림과 연관되는 개념이다(1:5;11:15;막1:8). 그러나 세례의 본래적 의미나 기능을 고려해 보건대(19:1-7 주제 강해 '물 세례연구'참조), 우리는 물 세례와 성령 세례를 구분하여 생각해 볼 수는 있으나 양자를 엄격히 분리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해서 세례가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에 동참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한다면(막 10:38;롬 6:4;골 2:12), 물 세례와 성령 세례란 형식(상징)과 내용(실상)이라고 하는 불가분의 관계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수께서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행할 것을 명령하셨으며(마 28:19), 물과 성령으로 거듭나야 할 것에 대해 말씀하신 것이다(요 3:5). 요컨대, 성령 세례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거듭날 때에 받는 것이므로 모든 신자는 이미 성령으로 세례를 받은 것이다.
(2) 성령 충만. '성령 충만'이란 성령 세례와는 별개의 개념으로서 성령의 능력이 강하게 역사하심으로 인해 성도의 심령이 감동하거나 강건해지는 상태(4:8;7:55), 혹은 내주하시는 성령과의 깊은 영교(靈交)를 통해 전인적으로 성장한 영적 각성 상태(11:24) 등을 뜻한다.
(3) 성령의 은사. '성령의 은사'라는 교회의 유익과 성장을 위해 그리스도인들에게 부여된 성령의 특별한 은총들(예언, 방언, 영 분별, 신유 등)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성도들의 신앙 성장을 위해 주어지는 고귀한 은총들(가르침, 구제함, 다스림, 사랑등)을 모두 포함한 말이다(롬 12:6;고전 12:10,28,30;요일 4:1).
4. 영적인 생활(4:32-37)
본문은 초대 교회의 정신과 면모를 보여주는 아름다운 장면이다. 본장의 전반부에서 (1-31절) 보았던 대로 박해를 선동한 사람들의 의도와 기대와는(17절) 달리 그들의 핍박은 초대 교회의 성도들을 신앙적, 물리적으로 더욱 밀접하게 결속시키는 요인이 됨으로써 교리의 내적 성장을 이루는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즉 그들은 신실한 마음으로 피차 사랑하고 그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그리스도 안에서 한 형제된 삶을 구체적으로 실현하였던 것이다.
한편 본문에서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세상 나라 사이의 알력, 즉 오는 세대와 이 세대간의 긴장 상태를 전제로 하는 저자의 종말론적 관심사를 엿보게 되는데 '이미'(already)와 '아직'(not yet) 사이의 종말론적 단체로서의 교회가 가져야 할 영적이고도 도덕적인 특징들이 부활에 관한 사도들의 메시지 선포와 연결되고 있음은 매우 유의할 만한 사실이다(33절). 이에 다음의 두 가지 사실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천국의 예표. 누가는 초대 교회의 공동 소유 제도에 관해 이미 설명한 바 있다(2:44,45). 그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본문은 그 제도의 지속성을 강조하기 위해 언급한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여기 나타나고 있는 공산(共産) 세계는 오늘날의 공산주의 사회와는 판이하게 구별된다. 즉 사유 재산 처분, 무상 분배, 민족 무차별 등 그들이 행동으로 보여준 생활 내용들은 마치 공산주의자들이 내거는 슬로건(slogan)과 흡사하지만, 그것은 어떤 법제나 강제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직 형제 사랑에 대한 일념으로 실천되었다. 따라서 이 사랑의 공동체는 천국의 생활 모습을 예표하고 있다 하겠다.
(2) 성도의 삶. 본문은 또한 희생적 봉헌의 대표적인 실례로서 바나바를 소개하고 있다. '바나'라는 별명은 천품이 온유하고 관대하며 많은 학식과 영적으로 큰 은사를 소유하고 있었던 요셉의 인격을 잘 묘사하고 있다. 바나바는 자신의 소유를 팔아 자발적으로 헌납함으로써 초대 교회 성도들의 유무 상통(有無相通)이 어떤 것인지 몸소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모범적인 실천 신앙은 이기적인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이웃의 어려움과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려는 성도들에게 더더욱 요구되는 사항이라 하겠다(20:35;롬 15:1;고전 9:22;살전 5:14).
* 교회의 기능. - 본문에는 초대 교회 성도들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제 재물을 조금이라도 제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더라"(32절)는 기록이 나온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우리는 교회가 하나님을 예배하며 그분께 영광을 돌리는 기관일 뿐 아니라(엡 3:10;벧전 2:9) 인간들에게 기여하는 몇 가지 기능을 가진 공동체임을 알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은 기능이 교회 내에서 발휘되어야 한다.
첫째, 교회는 그 구성원들에게 교제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예수께서 열 두 제자를 불러주심으로써 그들간에 대화와 친교의 장이 형성되었던 것처럼 성도들은 하나님 안에서 한형제 자매로 부르심을 받았느니 서로 교제하며 나아가 상부 상조할 수 있는 공동의 장을 갖게 되어야 하는 것이다(2:42-47).
둘째, 교회는 세상 사람들에게 복음을 증거하여야 한다. 사실 교회는 이 같은 목적에 입각하여 설립된 성도들의 연합체이다(1:8). 그러므로 교회 구성원인 성도들은 세상을 복음화시킬 사명을 부여받는 자들이라 하겠다(마 28:19,20). 사도 베드로나 바울처럼 먼 곳에까지 가서 복음을 증거하지는 못하더라도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복음을 증거하기를 힘써야 할 것이다.
셋째, 교회가 갖고 있는 또 다른 기능 중의 하나는 지역 사회에 봉사하는 것이다.
성도들이 무조건적인 하나님의 은혜를 받았듯이 우리도 사람들에게 아낌없는 긍휼을 베푸는 것이 기독교 사랑의 원리이다. 그러므로 주의 몸된 교회의 일원인 우리는 자기 교회의 부흥 발전에만 관심을 갖기보다는 지역 사회와 어려운 형제를 위해서도 봉사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약 2:14-26).
====
==행5강,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말씀: 사도행전 4:32-5:16)==
요절: 사도행전 4:32 “믿는 무리가 한마음과 한 뜻이 되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자기 재물을 조금이라도 자기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더라”
초대교회는 여러 가지 아름다운 모습들이 많습니다. 1장에서 더불어 마음을 같이 하여 오로지 기도하는 모습도 참 아름답습니다. 초대교회는 기도하는 공동체였습니다.
또 초대교회는 성령의 충만함을 덧입고 열심히 복음을 전하는 공동체였습니다. 특히 핍박 가운데서도 담대하게 복음을 전해서 3천명, 5천명이 회개하는 말씀전파의 공동체였습니다.
또 한 가지 귀한 점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사랑의 공동체였다는 것입니다. 2:46절에 보면 “날마다 마음을 같이 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하나님을 찬미했다”고 했습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함께 모여서 음식을 나누며 기쁨으로 교제하는 사랑의 공동체였습니다.
우리도 그렇잖습니까? 처음 예수님을 만나고 복음을 영접했을 때 자꾸 교회에 오고 싶습니다. 모임에 참석하고 싶습니다. 믿음의 동역자들과 함께 떡을 떼며 교제하는 것이 너무나 행복합니다. 세상에서 찾아볼 수 없는 사랑의 공동체입니다. 저도 고등학교 시절 UBF에서 성경공부하고 예수님을 만나게 되었는데 자주 모임에 오고 싶었습니다. 목자님들과 대화하며 라면 끓여 먹고 교제하는 것이 너무나 즐거웠습니다. 밤을 새워 소감을 쓰며 토요일, 주일은 거의 센타에서 살았습니다. 저만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 목자님들 모두가 그랬습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합니까? 예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충만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사랑이 부은바 될 때 사랑이 넘쳐서 사랑을 나누고 싶고, 사랑을 베풀고 싶습니다.
Ⅰ. 사랑의 공동체 (4:32-37)
오늘말씀에서도 32절을 봅시다. 같이 읽어 보겠습니다. “믿는 무리가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자기 재물을 조금이라도 자기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더라”
성도들이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one in heart and mind. 우리는 신문에서 재벌가 2세들이 재산 상속 때문에 치열하게 싸우는 것을 종종 봅니다. 늙은 아버지를 놓고 서로 자기 편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서 억지로 각서를 쓰게도 하고, 유언장을 받아놓기도 합니다. 이것을 보면 부자지간에도, 형제간에도 한 마음이 되기가 얼마나 어려운가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초대교회는 모두가 한 마음 한 뜻이 되었습니다.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자기 재물을 조금도 자기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었습니다. 그 중에 가난한 사람이 없었습니다. 밭이나 집 있는 자가 팔아서 그 판 것을 사도들의 발 앞에 두었고 사도들이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누어 주었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요?
33절에 보면 사도들이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을 증언하였고 무리들이 큰 은혜를 받았다고 했습니다. 그들은 부활신앙이 충만했습니다. 하나님 나라에 대한 산 소망이 충만했습니다. 천국소망으로 충만하니 이 땅의 재물에 대해서 자유로울 수 있었습니다.
저희들이 10년 전에 이 성전을 건축할 때 많은 목자님들이 정말 헌신적으로 헌금했습니다. 한 분 한 분의 헌신과 진심을 생각할 때 정말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우리가 이 세상 것들에 연연했다면 그렇게 헌신적으로 드리지 못했을 것입니다. 지난주에 휴가 나온 형제님이 30만원을 헌금하고 갔습니다. 휴가 나와서 먹고 싶은 것, 즐기고 싶은 것이 많을텐데 진심을 드린 것을 볼 때 그 마음이 하나님께 있음을 보고 참 하나님께 감사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주 한안드레, 한나 선교사님과 여수 애양원 손양원 목사님 기념관에 갔을 때 참 감동적인 봉투가 있었습니다. 두 아들 장례식때 드린 감사헌금 봉투였습니다. “순교의 두 아들이나 주신 감사의 봉헌금, 일만환. 순교 2자의 부 손양원” 이 일만환의 돈이 오늘날로 환산하면 얼마나 될까요? 우리가 그 곳에 갔을 때 손 목사님의 막내아들이 안내를 하며 설명해 주었습니다. 오늘날로 환산하면 수 천만원 되는 물질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그 많은 물질이 있었을까요? 손 목사님의 누나가 하와이 사탕수수 노동자와 결혼해서 살고 있었는데 조카, 동인, 동신 미국 유학 보낼 때 쓰라고 돈을 부친 것입니다. 그런데 사랑하는 두 아들, 미국보다 더 좋은 천국으로 보냈으니, 그 물질을 몽땅 헌금한 것입니다.
이처럼 부활을 확실히 믿고 천국소망이 충만한 사람은 이 땅의 물질에 매이지 않습니다. 자기 재물, 자기 지위, 자기 땅, 자기 자식, 자기 인기 등에 매이지 않습니다. 오직 한마음과 한 뜻이 되어 하나님 나라 확장역사에 헌신할 수 있습니다.
초대교회에도 이처럼 헌신적으로 교회를 섬기는 자들이 많았는데 그 중에 돋보이는 사람이 바나바였습니다. 36절에 보면 그는 구브로에서 난 레위족 사람이었습니다. 유대땅이 아니라 사이프러스, 즉 이방땅에서 자라난 디아스포라 유대인이었습니다. 그가 레위족속인 것을 보면 신앙의 유산을 이어받은 신실한 믿음의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위로의 아들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son of encouragement.
주변 사람의 장점을 찾아서 적극적으로 칭찬해주고 어려운 사람이 있으면 용기를 북돋아주고. 기도해 주는 사람이었습니다. 모임에 윤활유 같은 사람이었습니다. 말로만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재물을 팔아서 헌금하고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었습니다.
사도행전 11:24절에 보면 “바나바는 착한 사람이요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마음이 진실되고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었습니다. 때문에 자신의 물질을 아낌없이 주님께 드릴 수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그에게서 큰 위로와 힘을 덧입었습니다. 그에게 자극을 받은 많은 성도들이 자발적으로 헌금하고 주님께 기쁨으로 드리는 역사가 일어났습니다. 주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천국 소망 가운데 네 것 내 것 없이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헌신적으로 복음역사를 섬긴 것입니다. 초대교회는 이처럼 성령 안에서 하나된 사랑의 공동체요, 믿음의 공동체였습니다.
지난주에 3차 바이블 카페가 있었습니다. 우리 목자님들이 한 양을 초청하기 위해 온 마음과 정성을 다했습니다. 메시지와 소감, 특송을 준비하고, 사모님들은 맛있는 음식을 써빙하였습니다. 천국 소망과 한 영혼을 구원하고자 하는 순수한 열정이 아낌없이 주님께 드리는 자세로 나타납니다. 한 마음 한 뜻이 되어서 주님의 몸된 교회를 세우고 생명구원역사를 섬기는 모습이 얼마나 귀하고 아름답습니까?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런 아름다운 믿음의 역사가 이루어지길 기도합니다.
Ⅱ. 내적 위기를 극복한 초대교회(5:1-16)
이처럼 초대교회가 한마음 한뜻이 되어 힘을 다해 복음역사를 섬기자 사탄이 이를 시기해서 교묘하게 역사했습니다. 어떤 일이 있었는지 5:1,2절을 함께 읽어 보겠습니다.
“아나니아라 하는 사람이 그의 아내 삽비라와 더불어 소유를 팔아 그 값에서 얼마를 감추매 그 아내도 알더라 얼마만 가져다가 사도들의 발 앞에 두니”
당시에 모든 사람들이 기쁜 마음으로 소유를 팔아서 헌금하자 아나니아 삽비라도 분위기에 편승해서 헌금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 값에서 얼마를 감추고 얼마만 가져다가 사도들의 발 앞에 두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그들의 문제를 드러내셨습니다.
3,4절을 함께 읽겠습니다. “베드로가 이르되 아나니아야 어찌하여 사탄이 네 마음에 가득하여 네가 성령을 속이고 땅 값 얼마를 감추었느냐 땅이 그대로 있을 때에는 네 땅이 아니며 판 후에도 네 마음대로 할 수가 없더냐 어찌하여 이 일을 네 마음에 두었느냐 사람에게 거짓말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로다”
앞에 나온 바나바는 성령과 믿음이 충만했다고 했는데 아나니아와 삽비라는 사탄이 그 마음에 가득했습니다. 바나바는 착한 사람이었는데 이들은 성령을 속이고 감추는 자들이었습니다. 베드로는 그들이 땅을 팔고 팔지 않은 것을 문제 삼지 않았습니다. 그 판 값의 몇 퍼센트를 가져왔는가를 문제 삼지 않았습니다. 그들이 판 값을 감추고, 다 가져 온 것처럼 속인 것이 문제였습니다. 그들은 아마도 바나바가 헌신적으로 헌금한 것 때문에 사람들에게 인정과 칭찬을 받자 비교의식이 들었을 수 있습니다. 자기들도 인정을 받고, 교회에서 주도권을 잡고자 했을 수 있습니다.
만약에 이런 사람들이 교회에 리더쉽을 형성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거짓이 난무하게 될 것입니다.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모임이 아니라 거짓과 권모술수가 충만할 수 있습니다. 그때 성령께서 역사하실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베드로를 통해 드러내신 것입니다. 교회는 거룩성과 순결성이 생명입니다. 교회가 세상에 다른 모임과 차별성이 있다면 거룩하고 순수하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진실되다는 것입니다.
우리 모임은 하나님 앞에서 진실되게 소감을 써서 발표합니다. 소감을 들어보면 정말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죄문제들도 많습니다. 누구에게도 드러내고 싶지 않는 상처와 아픔도 드러내고 주님의 사랑을 증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령께서 역사하셔서 마음에 감동을 주고 양들 마음에 변화의 역사를 이루어 주십니다. 그 은혜에 감사해서 시간과 물질을 주님께 아낌없이 드립니다. 숨기는 것이 없습니다. 학창시절에는 함께 공동생활하며 네 것 내 것이 없이 더불어 삽니다. 넥타이도 공유하고, 가끔은 양말도 공유합니다. 흉허물이 없이 속이야기를 털어놓고 함께 기도합니다. 이를 통해 아름다운 성령의 역사가 많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인정과 칭찬을 받기 위해서 소감을 완전히 지어서 소설을 썼다고 합시다. 그렇게 하면 아무리 문장력이 뛰어나도 감동이 없습니다. 아무리 말을 잘해도 은혜가 되지 않습니다. 성령께서 역사하시지 않기 때문입니다.
고린도전서 3:16-18a절에 “너희는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계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 누구든지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면 하나님이 그 사람을 멸하시리라 하나님의 성전은 거룩하니 너희도 그러하니라 아무도 자신을 속이지 말라” 했습니다.
성령은 거룩의 영이요, 진리의 영입니다. 반면에 사탄은 거짓의 영이요, 속이는 영입니다. 사탄은 항상 거짓과 속임수로 하나님의 교회를 무너뜨리고자 했습니다. 에덴동산에서도 사탄이 아담과 하와를 속여서 선악과를 따먹게 했고 죄에 넘어뜨렸습니다. 그 결과 아담과 하와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나 죽음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여호수아 7장에 보면,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정복전쟁을 할 때 아이성 전투에서 패배했습니다. 나중에 이유를 알아보니 아간이 노략물 중에서 아름다운 외투 한 벌과 은 이백 세겔, 그리고 금 오십 세겔을 감추었습니다(수7:21). 이스라엘 모든 백성들이 가나안 정복전쟁을 위해서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목숨을 걸고 싸우고 있을 때 아간은 노략물을 감추는데 혈안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는 사탄이 심는 탐심의 영에 사로잡혔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제비뽑기를 통해서 그의 문제를 드러내시고 죽게 하셨습니다. 아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자 하나님이 함께 하셔서 마침내 아이성을 정복하게 하셨습니다.
아나니아와 삽비라 부부도 그렇습니다. 이들이 순수하게 주님을 사랑하고 헌신했다면 초대교회에 귀한 동역자로 쓰임 받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탄이 심는 거짓과 탐심의 미끼에 넘어가고 말았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부부가 함께 혼이 떠나고 죽는 비극의 주인공이 되고 말았습니다.
우리는 이 부분을 읽을 때 좀 영접이 되지 않고, 하나님이 너무하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두 사람이 헌금을 몰래 훔쳐간 것도 아닌데 이렇게까지 하시는가? 베드로가 너무 심하게 한 것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듭니다. 여기에 대해서 신학자 벵겔(Bengel)은 이렇게 말합니다. “아간의 죄와 아나니아의 죄는 구약교회와 신약교회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저질러진 것으로 많은 유사점이 있다” 또 F.F 부르스(Bruce)라는 신학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간과 아나니아가 한 일은 모두 속임수의 행위로서 하나님 백성이 승리를 향해 전진할 때 이를 중단시키는 일을 했다” 구약교회와 신약교회가 승리를 향해서 힘차게 전진하고 있을 때 발목을 잡는 사건이었다는 것입니다. 이제 막 구약교회와 신약교회가 탄생할려고 하는 시점에서 교회에 치명타를 입힌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분명하게 하신 것입니다. 복음서에도 보면 예수님이 메시야 사역을 막 시작할려고 하자 사탄이 와서 시험했습니다.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이 돌들을 명하여 떡덩이가 되게 하라” “높은 성전에서 뛰어내려 보아라” 물질시험과 명예를 구하는 시험이었습니다. 이때 예수님이 어떻게 하셨습니까? “사탄아 물러가라 가록되었으되 주 너의 하나님께 경배하고 다만 그를 섬기라 하였느니라(마4:10)”
베드로도 그런 말을 했습니다. 3절 “아나니아야 어찌하여 사탄이 네 마음에 가득하여 네가 성령을 속이고 땅 값 얼마를 감추었느냐?” 4절 “사람에게 거짓말 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로다” 9절 “너희가 어찌 함께 꾀하여 주의 영을 시험하려 하느냐?” 예수님께서도 마태복음 12:31,32절에서 “사람에게 대한 모든 죄와 모독은 사하심을 얻되 성령을 모독하는 것은 사하심을 얻지 못하겠고, 또 누구든지 말로 인자를 거역하면 사하심을 얻되 누구든지 말로 성령을 거역하면 이 세상과 오는 세상에서도 사하심을 얻지 못하리라” 하셨습니다. 성령을 모독하고, 거역하는 죄가 얼마나 큰 가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초대교회가 부족할지라도 거룩하고 순결한 공동체, 주님께 진심을 드리는 헌신의 공동체가 되기를 원하셨습니다. 거짓과 속임수가 난무하고, 인간적인 술수가 판치는 정치집단같이 되길 원치 않으셨습니다. 그래서 철저하게 누룩을 제거하신 것입니다. 우리도 내 안에 하나님이 기뻐하실 수 없는 누룩이 있다면 이를 철저히 제거해야 하겠습니다. 그것이 물질에 대한 탐심의 누룩일 수 있습니다. 은밀하게 즐기는 연애감정이나 정욕의 누룩일 수 있습니다. 이단사상을 퍼뜨리는 누룩이 침투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내 안에 이런 요소가 틈타지 못하도록 힘써 기도하고 회개하는 생활에 힘써야 하겠습니다.
어떤 교회에서 한 성도가 쉽게 돈 벌 수 있는 길이 있다며 다단계 상품을 소개하기 시작했습니다. 다들 경제적으로 녹록치 않기 때문에 귀가 솔깃했습니다. 너도나도 조금씩 투자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수익이 나서 그 소개시켜준 사람에게 고맙게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점점 교회 분위기가 이상해졌습니다. 모였다하면 말씀보고 기도할 생각을 하지 않고, 누가 얼마의 수익을 올렸다네 그런 이야기만 했습니다. 점점 성도들의 관심이 영적인데서 멀어지고 온통 돈 버는데만 쏠리기 시작했습니다. 나중에 그 회사가 부도가 나자 성도들 간에 원망불평, 정죄판단이 난무했습니다. 결국 교회가 풍지박산이 나고 말았습니다. 사탄이 물질에 대한 탐심을 이용해서 하나님의 교회를 무너뜨린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나니아와 삽비라의 문제를 드러내시고 교회를 정결케 하셨습니다. 이때 성도들의 반응이 어떠합니까? 5b절에 보면 “이 일을 듣는 사람이 다 크게 두려워했다”고 했습니다. 11절에서도 “온 교회와 이 일을 듣는 사람들이 다 크게 두려워했다”고 했습니다. 모든 성도들이 하나님께 대해서 경외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만홀히 여김을 받는 분이 아니심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폐부를 살피시고 앉고 일어서는 것을 아시는 분이십니다.
예례미야 17:9-11절에 보면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만물보다 거짓되고 심히 부패한 것은 마음이라 누가 능히 이를 알리요마는 나 여호와는 심장을 살피며 폐부를 시험하고 각각 그의 행위와 그의 행실대로 보응하나니 불의로 치부하는 자는 자고새가 낳지 아니한 알을 품음 같아서 그의 중년에 그것이 떠나겠고 마침내 어리석은 자가 되리라” 타락한 인간의 본성이 거짓되기 때문에 탐심에 눈이 멀 수 있습니다. 그때 자고새와 같이 된다는 것입니다. 자고새는 욕심이 많아서 자기가 낳은 알 뿐 아니라 다른 새의 알까지 훔쳐다가 품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새들이 알을 깨고 나오면 언젠가는 다 날아가고 맙니다. 결국 자기가 쓸데없는 짓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탐심이 얼마나 어리석은가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속마음을 다 아십니다. 그리고 그 행실대로 보응하십니다. 우리의 폐부를 살피시는 하나님을 생각할 때 두렵고 떨립니다. 우리가 날마다 말씀 앞에 자신을 돌아보고 회개하기에 힘써야 하겠습니다. 우리 안에 누룩이 틈타지 못하도록 깨어 있어야 하겠습니다.
자, 아나니아와 삽비라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교회에 어떤 변화의 역사가 일어났습니까? 12절을 같이 읽겠습니다.
“사도들의 손을 통하여 민간에 표적과 기사가 많이 일어나매 믿는 사람이 다 마음을 같이 하여 솔로몬 행각에 모이고”
하나님께서는 사도들을 통해서 더 많은 표적과 기사가 일어나게 하셨습니다. 교회가 내적으로 정결케 되자 성령께서 더 강력하게 역사하였습니다. 14절에 보면 믿고 주께로 나아오는 자들이 더 많아졌습니다. 15,16절을 보면, 심지어 병든 사람을 메고 거리에 나와 침대와 요 위에 누이고 베드로가 지날 때에 그림자라도 덮일까 바랬습니다. 수많은 병자들이 낫고 더러운 귀신들이 떠나는 큰 성령의 역사가 일어났습니다. 13절에 보면 그 나머지는 감히 사도들과 상종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동안 하나님 역사를 뜨집 잡고 태클을 걸던 사람들이 감히 사도들에게 대적하지 못했습니다. 하나님은 사도들의 영적 권위를 높여 주시고 영적 질서를 잡아 주셨습니다.
이상을 살펴볼 때 초대교회가 한창 부흥하자 사탄이 이를 시기해서 여러모로 방해공작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도 처음 예수님을 만나고 신앙생활 할 때는 순수하고 열정적입니다. 마음과 성품과 힘을 다해서 주님 한분만을 사랑합니다. 주님을 위해서는 목숨이라도 바칠 것처럼 뜨겁고 헌신적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마음이 느슨해지기 쉽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것을 알고 물질에 눈을 뜨게 되면 계산적이 됩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물질주의, 육신주의, 세속주의, 안일주의 누룩이 들어오기 쉽습니다. 이런 불순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심령이 혼탁해지고 기쁨이 없습니다. 순간순간 예수님의 십자가 밑에 나아가 이런 죄의 누룩을 회개하고 심령을 정결케 해야 하겠습니다. 계시록 2:5절에 “그러므로 어디서 떨어졌는지를 생각하고 회개하여 처음 행위를 가지라 만일 그리하지 아니하고 회개하지 아니하면 내가 네게 가서 네 촛대를 그 자리에서 옮기리라” 했습니다. 주님과 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 있다면 속히 회개하고 처음 사랑과 처음 스피릿을 회복해야 하겠습니다. 순수성을 회복하고 거룩함을 회복하고 열정을 회복할 수 있도록 간절히 기도해야 하겠습니다. 베드로전서 5:8,9절에 “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 너희는 믿음을 굳건하게 하여 그를 대적하라” 했습니다. 잠언 4:23절에 “무릇 지킬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고 했습니다. 저희가 말씀과 기도로 항상 깨어 있어서 마귀를 대적하고 심령을 정결케 해서 성령충만함을 덧입어야 하겠습니다. 이로서 초대교회처럼 활발한 복음역사를 이루어야 하겠습니다. 봄학기 모든 사탄의 시험과 유혹을 이겨내고 치열한 일대일 전투를 통해서 캠퍼스에 죽어가는 생명들을 구원할 수 있길 기도합니다.
===하나님의 지고지선, 완전한 아가페사랑의 3가지 측면===
@@은혜(=아낌없이 한령없이 부어주시는 그리스도 자신을 누림...십자가로 이루신 구속/회복의 사랑, 곧 은총)를 통하여 주님과 화목함(하나됨..하나님의 소유된 영광의 반사, 영광 공급의 통로 삼으심)의 문을 여시고 하나님자신의 모든 것을 (믿음을 통해) 누리도록 하심으로 평강안으로 이끄심.....
@@긍휼을 통하여 체휼하시는 사랑(환난과 고난, 역경 중, 특히 죄인괴수의 자각가운데 전적으로 무력한 피조물로서 주의 도움없이 살 수 없음 호소할 때, 불쌍히 여겨 친히 아파하며 동감/동정/공감하사 동행/인도하며 일으켜 세우심으로 은총 누림안에 머물도록 하심)으로 평강안으로 이끄심.....하나님의 [불쌍히 여기시는 사랑은 자비mercy와 긍휼compassion로 나타남]자비는 십자가대속사건으로 꽃을 피우고 주님 말씀 믿고 영접함 통해 자기를 열어드린 이마다 새로운 창조 안의 자녀로 삼으심의 은혜를 베푸심!!....은혜를 온전히 이루는 사랑은 하나님의 체휼하시는 = 오래 참으시며 용서하시고 도와 일으키시는 사랑, 인자/긍휼임)
@@평강(임마누엘하나님이 반석-방패-산성/요새-목자 되심 믿고 붙듦으로 인해 조성된 생명의 번성번영창대케 됨, 그것을 통해 생육-번성-충만-정복/다스림의 근원이신 주님 발견하고 그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여 동행하며, 주뜻 안에 하나되어 살아감)....이 평강으로 인해 참된 형통, 곧 하나님의 지고지선의 진복의 실제의 어떠함이 나타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