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19장[278여러해동안] [380. 나의 생명 되신 주][370.주안에있는나에게][405.주의친절한팔에]
===너희는 거룩하라....오직 [눈높이 같이하시는] 구주의 사랑-희락-화평(믿음-소망-사랑 충만) 안에서!! 내 사랑-내 기쁨, 내게로 나아오라. 내 안에 안겨 나를 알고 (믿음소망사랑을) 배워 실행하라. 네 마음을 내게 다오.
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 너는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에게 말하여 이르라 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
3. 너희 각 사람은 부모를 경외하고 나의 안식일을 지키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4. 너희는 헛된 것들에게로 향하지 말며 너희를 위하여 신상들을 부어 만들지 말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5. ○너희는 화목제물(주의 식탁!! = 경배, 집회)을 여호와께 드릴 때에 기쁘게 받으시도록 (살아낸 그리스도를..영 안에서, 진실함으로, 감격 안에서) 드리고
6. 그 제물은 드리는 날과 이튿날에 먹고 셋째 날까지 남았거든 불사르라
7. 셋째 날에 조금이라도 먹으면 가증한 것이 되어 기쁘게 받으심이 되지 못하고
8. 그것을 먹는 자는 여호와의 성물을 더럽힘으로 말미암아 죄를 담당하리니 그가 그의 백성 중에서 끊어지리라
9. ○(세상 만물은, 거듭난 부활생명으로 사는 너의 것이니, 온유-친절-너그러움-용납-배려-감사-오직 사랑 안에서-성령따라 그 안에서 행함....[시공 제한 넘어선, 부활 생명 안에서]새 영- 새 혼- 새 몸으로 살기!! 연습함.[만물을 초월한, 보좌에 앉혀진, 부활 생명으로 사는, 만물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만물을 발 아래 둔 바, 주 예수 이름의 권위 가진 섬김이로 있는 것이니..그리스도의 증가와 확장 위해 이 땅에 보냄 받았음을 기억하고 [사랑과 빛을 따라 삶으로써 Q의 거룩과 의로움, 곧 빛과 소금됨 행함)너희가 너희의 땅에서 곡식을 거둘 때에 너는 밭 모퉁이까지 다 거두지 말고 네 떨어진 이삭도 줍지 말며
10. 네 포도원의 열매를 다 따지 말며 네 포도원에 떨어진 열매도 줍지 말고 가난한 사람과 거류민을 위하여 버려두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11. ○너희는 도둑질하지 말며 속이지 말며 서로 거짓말하지 말며
12. 너희는 내 이름으로 거짓 맹세함으로 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말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13. ○너는 네 이웃을 억압하지 말며 착취하지 말며 품꾼의 삯을 아침까지 밤새도록 네게 두지 말며
14. 너는 귀먹은 자를 저주하지 말며 맹인 앞에 장애물을 놓지 말고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15. ○너희는 재판할 때에 불의를 행하지 말며 가난한 자의 편을 들지 말며 세력 있는 자라고 두둔하지 말고 공의로 사람을 재판할지며
16. 너는 네 백성 중에 돌아다니며 사람을 비방하지 말며 네 이웃의 피를 흘려 이익을 도모하지 말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17. ○너는 네 형제를 마음으로 미워하지 말며 네 이웃을 반드시 견책하라 그러면 네가 그에 대하여 죄를 담당하지 아니하리라
18. 원수를 갚지 말며 동포를 원망하지 말며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비교할 수 없는, 넘치는 사랑과 열정의 Q, 내게 절대적이시요, 사랑하며 감사 찬양 받으실 분은, 믿는 내게 모든 것 되시니, 오늘 로고스와 레마로 적셔주실 바, 주님이면 충분합니다. 게으르지 않고 깨어 있어서 주께 합당한 것 분별- 선택-실행하도록 이끄소서, 성의진선-다함없는 사랑의 감동, 기쁨과 평강의 강수 넘침 공급, 영 안에서 진실함으로 예배함의 하루, 극도로 주님 알고 사랑하며 친밀히 섬기는 새로운 날, 새로운 그릇, 더 가까이 자라나게 하시며 주 닮게 하소서. 영광의 주님 그대로 살아내게 하소서. 그리스도의 몸인 한 새 사람-신부-전사 오게 하소서..그리스도의 증가-확장 위해 나와 우리를 사용하소서. 아멘
19. ○너희는 내 규례를 지킬지어다(주 임재 앞, 오직 HS따라 행하라..생명-사랑-셩결의 계시!!..마음의 근본동기) 네 가축을 다른 종류와 교미시키지 말며 네 밭에 두 종자를 섞어 뿌리지 말며 두 재료로 직조한 옷을 입지 말지며
20. 만일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정혼한 여종 곧 아직 속량되거나 해방되지 못한 (남의)여인과 동침하여 설정하면 그것은 책망을 받을 일이니라 그러나 그들은 죽임을 당하지는 아니하리니 그 여인이 해방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니라
21. 그 남자는 그 속건제물 곧 속건제 숫양을 회막 문 여호와께로 끌고 올 것이요
22. 제사장은 그가 범한 죄를 위하여 그 속건제의 숫양으로 여호와 앞에 속죄할 것이요 그리하면 그가 범한 죄를 사함 받으리라
23. ○너희가 그 땅에 들어가 각종 과목을 심거든 그 열매는 아직 할례 받지 못한 것으로 여기되 곧 삼 년 동안 너희는 그것을 할례 받지 못한 것으로 여겨 먹지 말 것이요
24. 넷째 해에는 그 모든 과실이 거룩하니 여호와께 드려(1/5) 찬송할 것이며
25. 다섯째 해에는 그 열매를 먹을지니(심은 자의 소유 삼음) 그리하면 너희에게 그 소산이 풍성하리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26. ○너희는 무엇이든지 피째 먹지 말며 점을 치지 말며 술법을 행하지 말며
27. 머리 가를 둥글게 깎지 말며 수염 끝을 손상하지 말며
28. 죽은 자 때문에 너희의 살에 문신을 하지 말며 무늬를 놓지 말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29. ○네 딸을 더럽혀 창녀가 되게 하지 말라 음행이 전국에 퍼져 죄악이 가득할까 하노라
30. 내 안식일을 지키고 내 성소를 귀히 여기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31. ○너희는 신접한 자와 박수를 믿지 말며 그들을 추종하여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32. ○너는 센 머리 앞에서 일어서고 노인의 얼굴을 공경하며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33. ○거류민이 너희의 땅에 거류하여 함께 있거든 너희는 그를 학대하지 말고
34. 너희와 함께 있는 거류민을 너희 중에서 낳은 자 같이 여기며 자기 같이 사랑하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거류민이 되었었느니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35. ○너희는 재판할 때나 길이나 무게나 양을 잴 때 불의를 행하지 말고
36. 공평한 저울과 공평한 추와 공평한 에바와 공평한 힌을 사용하라 나는 너희를 인도하여 애굽 땅에서 나오게 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37. 너희는 내 모든 규례와 내 모든 법도를 지켜 행하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AMP.Lev.19.
===Idolatry Forbidden
1 Then the Lord spoke to Moses, saying,
2 “Say to all the congregation of the children of Israel, ‘You shall be holy, for I the Lord your God am holy.
3 Each of you shall [a]respect his mother and his father, and you shall keep My Sabbaths; I am the Lord your God.
4 Do not turn to idols or make for yourselves molten gods (images cast in metal); I am the Lord your God.
5 ‘Now when you offer a sacrifice of peace offerings to the Lord, you shall offer it so that you may be accepted.
6 It shall be eaten the same day you offer it and on the day following; and if anything remains until the third day, it shall be burned in the fire.
7 But if it is eaten at all on the third day, it is repulsive; it will not be accepted [by God as an offering].
8 Everyone who eats it will bear [the responsibility for] his wickedness, for he has profaned a holy thing of the Lord; and that person shall be cut off from his people [excluding him from the atonement made for them].
===Various Laws
9 ‘Now when you reap the harvest of your land, you shall not reap to the very corners of your field, nor shall you gather the gleanings (grain left after reaping) of your harvest.
10 And you shall not glean your vineyard, nor shall you gather its fallen grapes; you shall leave them for the poor and for the stranger. I am the Lord your God.
11 ‘You shall not steal, nor deal deceptively, nor lie to one another.
12 You shall not swear [an oath] falsely by My name, so as to profane the name of your God; I am the Lord.
13 ‘You shall not oppress or exploit your neighbor, nor rob him. You shall not withhold the wages of a hired man overnight until morning.
14 You shall not curse a deaf man nor put a stumbling block before the blind, but you shall fear your God [with profound reverence]; I am the Lord.
15 ‘You shall not do injustice in judgment; you shall not be partial to the poor nor show a preference for the great, but judge your neighbor fairly.
16 You shall not go around as a gossip among your people, and you are not to act against the life of your neighbor [with slander or false testimony]; I am the Lord.
17 ‘You shall not hate your brother in your heart; you may most certainly rebuke your neighbor, but shall not incur sin because of him.
18 You shall not take revenge nor bear any grudge against the sons of your people, but you shall love your neighbor (acquaintance, associate, companion) as yourself; I am the Lord.
19 ‘You are to keep My statutes. You shall not breed together two kinds of your cattle; you shall not sow your field with two kinds of seed, nor wear clothing of two kinds of material mixed together.
20 ‘Now if a man has intimate relations with a woman who is a slave acquired for [marriage to] another man, but who has not been redeemed nor given her freedom, there shall be punishment [after an investigation]; they shall not be put to death, because she was not free;
21 but he shall bring his guilt offering to the Lord to the doorway of the Tent of Meeting, a ram as a guilt offering.
22 The priest shall make atonement for him with the ram of the guilt offering before the Lord for his sin which he has committed; and he shall be forgiven for his sin.
23 ‘When you enter the land and plant all kinds of trees for food, then you shall consider their fruit [b]forbidden. For three years the fruit shall be forbidden to you; it shall not be eaten.
24 In the fourth year all the fruit shall be holy, an offering of praise to the Lord.
25 In the fifth year you may eat the fruit [of the trees], this is so that their yield may increase for you; I am the Lord your God.
26 ‘You shall not eat anything with the blood, nor practice divination [using omens or witchcraft] or soothsaying.
27 You shall not trim and round off the side-growth of [the hair on] your heads, nor mar the edges of your beard.
28 You shall not make any cuts on your body [in mourning] for the dead, nor make any tattoo marks on yourselves; I am the Lord.
29 ‘Do not profane your daughter by making her a prostitute, so that the land will not fall to prostitution and become full of wickedness.
30 You shall keep My Sabbaths and revere My sanctuary. I am the Lord.
31 ‘Do not turn to mediums [who pretend to consult the dead] or to spiritists [who have spirits of divination]; do not seek them out to be defiled by them. I am the Lord your God.
32 ‘You shall rise before the gray-headed and honor the aged, and you shall fear your God [with profound reverence]; I am the Lord.
33 ‘When a stranger resides with you in your land, you shall not oppress or mistreat him.
34 But the stranger who resides with you shall be to you like someone native-born among you; and you shall love him as yourself, for you were strangers in the land of Egypt; I am the Lord your God.
35 ‘You shall do no wrong in judgment, in measurement of weight or quantity.
36 You shall have just and accurate balances, just weights, a just ephah, and a just [c]hin. I am the Lord your God, who brought you out of the land of Egypt.
37 You shall observe and keep all My statutes and all My ordinances and do them. I am the Lord.’”
===Footnotes
Leviticus 19:3 Lit fear; the Hebrew can refer to respect or reverence as essentially healthy forms of fear.
Leviticus 19:23 Lit uncircumcised.
Leviticus 19:36 Approx one gallon.
--------------------------NASB
1. Then the LORD spoke to Moses, saying,
2. "Speak to all the congregation of the sons of Israel and say to them, 'You shall be holy, for I the LORD your God am holy.
3. 'Every one of you shall reverence his mother and his father, and you shall keep My sabbaths; I am the LORD your God.
4. 'Do not turn to idols or make for yourselves molten gods; I am the LORD your God.
5. 'Now when you offer a sacrifice of peace offerings to the LORD, you shall offer it so that you may be accepted.
6. 'It shall be eaten the same day you offer [it], and the next day; but what remains until the third day shall be burned with fire.
7. 'So if it is eaten at all on the third day, it is an offense; it will not be accepted.
8. 'And everyone who eats it will bear his iniquity, for he has profaned the holy thing of the LORD; and that person shall be cut off from his people.
9. 'Now when you reap the harvest of your land, you shall not reap to the very corners of your field, neither shall you gather the gleanings of your harvest.
10. 'Nor shall you glean your vineyard, nor shall you gather the fallen fruit of your vineyard; you shall leave them for the needy and for the stranger. I am the LORD your God.
11. 'You shall not steal, nor deal falsely, nor lie to one another.
12. 'And you shall not swear falsely by My name, so as to profane the name of your God; I am the LORD.
13. 'You shall not oppress your neighbor, nor rob [him]. The wages of a hired man are not to remain with you all night until morning.
14. 'You shall not curse a deaf man, nor place a stumbling block before the blind, but you shall revere your God; I am the LORD.
15. 'You shall do no injustice in judgment; you shall not be partial to the poor nor defer to the great, but you are to judge your neighbor fairly.
16. 'You shall not go about as a slanderer among your people, and you are not to act against the life of your neighbor; I am the LORD.
17. 'You shall not hate your fellow countryman in your heart; you may surely reprove your neighbor, but shall not incur sin because of him.
18. 'You shall not take vengeance, nor bear any grudge against the sons of your people, but you shall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 am the LORD.
19. 'You are to keep My statutes. You shall not breed together two kinds of your cattle; you shall not sow your field with two kinds of seed, nor wear a garment upon you of two kinds of material mixed together.
20. 'Now if a man lies carnally with a woman who is a slave acquired for [another] man, but who has in no way been redeemed, nor given her freedom, there shall be punishment; they shall not, [however,] be put to death, because she was not free.
21. 'And he shall bring his guilt offering to the LORD to the doorway of the tent of meeting, a ram for a guilt offering.
22. 'The priest shall also make atonement for him with the ram of the guilt offering before the LORD for his sin which he has committed, and the sin which he has committed shall be forgiven him.
23. 'And when you enter the land and plant all kinds of trees for food, then you shall count their fruit as forbidden. Three years it shall be forbidden to you; [it] shall not be eaten.
24. 'But in the fourth year all its fruit shall be holy, an offering of praise to the LORD.
25. 'And in the fifth year you are to eat of its fruit, that its yield may increase for you; I am the LORD your God.
26. 'You shall not eat [anything] with the blood, nor practice divination or soothsaying.
27. 'You shall not round off the side-growth of your heads, nor harm the edges of your beard.
28. 'You shall not make any cuts in your body for the dead, nor make any tattoo marks on yourselves: I am the LORD.
29. 'Do not profane your daughter by making her a harlot, so that the land may not fall to harlotry, and the land become full of lewdness.
30. 'You shall keep My sabbaths and revere My sanctuary; I am the LORD.
31. 'Do not turn to mediums or spiritists; do not seek them out to be defiled by them. I am the LORD your God.
32. 'You shall rise up before the grayheaded, and honor the aged, and you shall revere your God; I am the LORD.
33. 'When a stranger resides with you in your land, you shall not do him wrong.
34. 'The stranger who resides with you shall be to you as the native among you, and you shall love him as yourself; for you were aliens in the land of Egypt: I am the LORD your God.
35. 'You shall do no wrong in judgment, in measurement of weight, or capacity.
36. 'You shall have just balances, just weights, a just ephah, and a just hin: I am the LORD your God, who brought you out from the land of Egypt.
37. 'You shall thus observe all My statutes, and all My ordinances, and do them: I am the LORD.' "
=======
레위기 19장 (개요)
본 장은 의식상의 계율을 몇 가지 다루는데, 대부분 도덕적인 것이다. 별로 중요하지 않은 문제는 자세히 부연하면서―문둥병에 관해서는 두 장(章)이나 할애해서 다루었다―이렇게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작은 지면만 할애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본 장의 여러 단일 구절들은 심판과 긍휼에 관한 율법을 포괄하는데, 이런 것은 인간의 양심에 밝히 나타나는 문제다. 곧 인간 스스로 해명할 수 있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1. 다음은 유대인에게만 해당되는 율법이다.
(1) 화목제에 관한 것(5-8).
(2) 밭에서 이삭을 줍는 문제(9, 10).
(3) 가축, 씨앗, 옷감을 다른 종류와 섞지 말라는 말라는 것(19).
(4) 과목(果木)에 관한 것(23-25).
(5) 미신적인 몇 가지 관습의 금지(26-28).
2. 우리에게 구속력(拘束力)을 갖는 계율도 많이 다루는데, 대부분 첫 계명을 설명한 것이기 때문이다.
(1) 첫 계명에 대한 머리말 “나는 여호와니라”가 본문에 15번이나 반복되어 있다.
(2) 십계명을 요약해 놓았다. 첫 돌판의 계명들은 한 마디로 “너희는 거룩하여지라”는 것이고(2), 둘째 돌판의 계명들은 한 마디로 “네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이다(18).
여기에는 “누가 나의 이웃이니이까?”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도 들어 있다(33, 34).
(3) 각 계명이 명하는 내용을 다룬다.
① 제1계명은, 반복되어 나타나는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라는 말에 함축되어 있다.
또한 복술(26)과 주술(31)을 금지하는 규정이 있는데, 이런 것들은 사탄을 신으로 삼는 것이기 때문이다.
② 제2계명을 범하는 우상숭배를 금한다(4).
③ 하나님의 이름을 모독하지 말 것을 명한다(12).
④ 안식일을 거룩히 지킬 것을 강조한다(3, 30).
⑤ 자녀들은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3).
⑥ 제6계명을 범하는 증오와 복수를 금한다.
⑦ 음행(20-22)과 매춘 행위(29)를 금한다.
⑧ 판결에는 공정을 기하고(18), 도둑질하지 말고(11), 시기와 압제하지 말며(13), 엉터리 저울을 사용하지 말 것(35, 36)을 명한다.
⑨ 거짓말이나 중상을 하지 말고(11), 거짓 소문을 퍼뜨리거나 거짓 증언을 하지 말 것(16)을 명한다.
⑩ 제10계명은 마음에 규제를 가하는 것으로, “네 형제를 마음으로 미워하지 말라”(17)고 명한다.
이 모든 율례를 준수하라는 엄숙한 분부가 있다(33). 이런 율례들은 이해하기는 쉽지만 지키기는 어렵다.
우리는 그 율례를 지키기 위해 부단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계명들을 행하는 자가 바로 그것을 이해하는 자다.”
----------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레 19:1-10)
모세는 율법을 요약해 전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에게 고하여 이르라”(2절).
아론과 그의 자식들에게만 아니라, 모든 백성에게 전하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백성들도 자신의 의무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율법이 지배하는 더 어두운 시대(구약 시대)에 있어서조차도, 무지를 신앙의 모체라고 자랑하는 신앙은 하나님께 속한 것일 수 없었다.
모세는 온 회중에게 하나님의 법도를 가르쳐 주어야 했고, 온 진 중에 선포해야 했다.
모세는 이미 율법들을 차례로 모아 백성들에게 전달했으며, 마침내는 점차로 모든 사람이 그 율법을 알 수 있도록 전달한 것 같다.
여기에 나와 있는 계명 중에는 그들이 전에 받은 것이 많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들이 그 율법들을 외울 수 있게 하려고 반복해서 전하는 것이다.
계율을 온 회중에게 들려주어야 했다. 그것도 한 줄 한 줄 정확히, 아무리 하잘 것 없는 조항이라도 충분히 전해야 했다.
Ⅰ. 이스라엘은 거룩한 백성이 되어야 한다고 명령하셨다.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거룩하시기 때문이다(2절).
그들은 특정한 율법과 풍속으로 다른 민족들과는 구별되었으므로 그들이 실제로 세상적이고 육체적인 것과 구별되도록 가르쳐, 온전히 하나님께만 헌신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율법이 바로 기독교의 율법이기도 하다. 주님은 우리의 마음속에 있는 모든 생각을 이 율법에 복종하도록 이끄신다.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지어다”(벧전 1:15, 16).
우리는 거룩한 예수님을 좇는 이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자신을 거룩하게 구별해야 하고, 하나님의 뜻과 성품을 따르도록 해야 한다.
이스라엘은 모형과 그림자에 의해 거룩해졌다(20:8). 그러나 우리는 “진리로 거룩해졌다”(요 17:17). 즉 모든 그림자의 실체에 의해 거룩하게 구별된 것이다(딛 2:14).
Ⅱ. 자녀들은 부모에게 복종하라고 명령하셨다. “너희 각 사람은 부모를 경외하고”(3절).
1. 여기에서 요구하는 “경외”는 제5계명이 요구하는 “공경”과 같은 것이다(말 1:6).
이것은 내적인 존경심과 외적인 존경의 표현, 명령에 대한 복종, 기쁘고 편안하게 해 드리는 배려와 노력을 모두 포함하며, 부모의 마음을 슬프게 하거나 분노케 하는 모든 것을 행하지 않으며 감정을 상하지 않게 하려는 노력을 뜻한다.
“아버지에게 바쳐야 할 경외심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유대 학자들은 “아버지의 뜻을 거역하지 않으며, 아버지의 자리에 앉지 않으며, 아버지가 말씀하시는 것을 반대하지 않으며 트집잡지 않으며, 생전이나 사후에 아버지의 이름을 부르지 않으며 “나의 아버님”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한 아버지가 어려운 상황에 처하셨을 때 온갖 필요한 것을 마련해 드리는 것이다” 하고 대답한다.
2. 자녀들은 어른이 되면 이런 의무에서 벗어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학식이 많거나 높은 자리에 있다고 해도, 사람이라면 부모를 존경해야 한다. 자기의 부모님이기 때문이다.
3.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먼저 나오는데(원문 및 영어 성경에서는 그렇다), 이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어머니에 대한 의무와 아버지에 대한 의무가 같다는 뜻이다.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오래 살 때, 어머니에게도 동일한 존경과 복종을 드려야 한다.
4. 또 “나의 안식일을 지키라”고 첨부되어 있다.
하나님께서 당신의 율법을 통해 부모를 존경하라고 하셨다면, 부모들은 자녀들에 대한 권위를 통해 하나님께 대한 존경심을 지키게 해야 한다.
특히 하나님의 안식일을 존중하는 마음을 간직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자녀들에게 안식일을 존중케 하는 보호의 책임은 제4계명에 의해 부모들에게 중대하게 위탁된 것이다.
“너나 네 아들이나, 네 딸”이라고 했다. 부모와 안식일을 경솔히 여기는 것이 젊은이들의 패망하는 원인이 되는 것을 종종 목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문에서 이 두 계명이 하나님의 법도를 요약한 서두에 함께 놓여 있는 것은 매우 합당한 일이다. “각 사람은 부모를 경외하고 나의 안식일을 지키라.”
부모를 존중하는 마음이 있으며 안식일을 거룩히 지키는 태도를 지닌 자녀들에게는 소망이 있으며 그 장래가 밝을 것이다.
5. 이 두 계명을 주신 이유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 나는 안식일의 여호와요, 네 부모의 하나님이다” 하고 덧붙여 놓는다.
Ⅲ. 하나님만 예배하되, 형상을 만들어 예배하지 말라고 명령하셨다(4절).
“너희는 헛것을 위하지 말며, 아무런 힘도 없고 가치도 없으며 신이 아닌 신에게 절대로 향하지 말라. 참된 하나님을 떠나 거짓 신, 즉 패망케 하고 영원히 불행으로 빠뜨릴 신에게 돌아가지 말라. 네 마음은 물론이거니와 네 눈도 그들에게 돌리지 말라. 너희를 위하여 신상들을 만들지 말라. 곧 네 자신의 상상으로 피조물을 만들지 말며 깎아 만든 신으로 조물주를 예배하지 말라. 너희는 하나님의 손으로 지은 작품이요, 그러므로 네 손으로 지어 만든 것으로 신을 예배하는 것만큼 모순된 일은 없느니라.”
여기에서 부어 만든 신상에 대해 특별히 기록하는 것은 그들이 금송아지를 주조한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Ⅳ. 화목 제물을 바친 다음에는, 율법에 따라 그 고기를 먹으라고 명령하셨다(5-8절). 여기에 제사에 관한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 같다. 화목제물은 백성들이 먹을 수 있는 것이었고 제사장이 보는 가운데서 먹어야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당시 만나를 저장하려고 했던 것처럼(출 16:20), 지정된 기일보다 더 오래 화목 제물을 저장해 둔 사람이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이런 주의가 필요했다. 화목 제물에 대한 율법을 이미 앞에서 제시했다는 사실을 주목하자(7:16-18).
하나님은 당신이 정하신 때에 당신의 할 일을 하신다. 제사를 율법에 따라 드렸더라도, 그 제물을 율법에 따라 먹지 않으면 하나님은 그 제사를 열납하지 않으신다. 사역자들이 자기의 직분을 다해도, 일반인들이 자기들의 직분을 다하지 못하면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으랴! 신령한 제사를 드린 후에라도 그 제사의 혜택을 입기 위해 다해야 할 의무가 아직 남아 있는 것이다. 그것을 소홀히 하면 만사는 허사로 끝난다.
Ⅴ. 수확할 때에 밭 모퉁이의 이삭들은 거두지 말고 가난한 이들을 위해 남겨 두라고 명령하셨다(9, 10절).
마찬가지로 우리가 구제사업을 할 때에도 우리의 능력이 미치는 한도까지 자선을 베풀어야 함을 명심하자.
이스라엘은 곡식을 거두어들일 때에 밭 모퉁이에 있는 곡식 얼마간은 남겨 두어야 했다.
유대 학자들은 남겨 두어야 할 부분은 그 밭의 60분의 1에 해당하는 분량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곡식 이삭뿐 아니라 포도송이도 남겨 두어야 했다.
이런 것들은 처음에는 지나쳐 버리고 행하지 못하던 일들이다. 이런 율법이 문자적으로 우리를 구속할 힘은 없다. 그러나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있다.
1. 우리는 탐심을 품거나 인색하면 안 된다.
우리가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해서 모든 것에 욕심을 내서도 안 된다. 또 하찮고 사소한 일까지 권리를 고집하면 안 된다.
2. 우리가 수고한 결과 가난한 사람들이 양식을 얻게 되고 원기를 되찾는 것을 기뻐해야 한다.
우리의 몫이 되지 못한 모든 것은 손해라거나, 가난한 사람들에게 돌아간 것은 낭비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3. 추수기와 같이 즐거운 시절이 바로 자선을 베풀기에 합당한 시절이다.
우리가 기뻐할 때에 가난한 이도 우리와 더불어 기뻐할 수 있을 것이요, 우리의 심령이 하나님을 찬미할 때에 우리의 골육지친도 찬미할 것이다.
----------
이웃을 네 몸같이(레 19:11-18)
본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듣게 된다.
Ⅰ. 모든 거래를 정직하고 진실하게 하라(11절).
섭리로써 각 사람의 재산을 정해 주신 하나님께서 이제는 율법으로써 당신이 정하신 경계가 침해당하는 것을 금하신다.
도적질을 금하셨다. “너희는 도적질하지 말며.” 또 정직하지 못한 행위를 금하셨다. “속이지 말며 서로 거짓말하지 말며.”
우리가 이 세상에서 소유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이 부정직하게 얻은 것인지 정직하게 얻은 것인지를 분별해야 한다.
부정직하게 쌓은 재산은 진정한 부유함이 아니거니와, 오래가지도 못한다.
우리의 마음에 진실이 있기를 원하시는(시 51:6) 진실의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말에도 진실이 있기를 요구하신다.
서로 거짓말하지 말라! 즉 일상의 대화에서나 거래를 할 때에나 거짓을 말하지 말라. 이것은 기독교에서도 지키는 율법이다. “너희가 서로 거짓을 말라”(골 3:9).
진실을 말하지 않는 자들은 진실한 말을 들을 자격도 없다. 거짓말하는 자들은 당연히 그 거짓말을 되받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서로 거짓말하지 말라”는 금령을 주신 것이다. 우리가 남에게 거짓말을 하는 것은 그들로 하여금 우리에게 거짓말을 하게 가르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Ⅱ.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을 지극히 존중하라(12절).
1. 하나님을 걸고 거짓말을 증거하지 말라.
“거짓 맹세를 하지 말라.” 거짓말은 나쁜 것이다. 그러나 거짓으로 맹세하는 것은 더욱 나쁜 것이다.
2. 하나님의 이름을 걸고 사소한 일이나 정당하지 않은 일을 증언하지 말라.
“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말라.” 곧 신앙적인 용도 외에 다른 목적으로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Ⅲ. 남의 권리를 빼앗거나 압제하지 말라(13절).
우리의 것이 아닌 것을 사취하거나 강탈해서는 안 된다. 또 남의 권리에 속한 것, 특히 “품삯”을 압류해서는 안 된다. “품꾼의 삯을 밤새도록 네게 두지 말며.”
만일 노동자 본인이 원한다면, 일이 끝나는 대로 가능한 한 즉시 품삯을 지불하도록 하자.
품삯을 지불하지 않으려는 것도 큰 죄지만 그것을 미룸으로써 피해를 주는 것도 하나님의 복수를 부르는 죄악이다(약 5:4).
Ⅳ. 자신을 돌볼 수 없는 이들의 신용과 안전을 특별히 잘 돌보라(14절).
1. 귀먹은 사람의 신의를 지켜 주어야 한다. “너는 귀먹은 자를 저주하지 말며.”
이것은 자연적으로 귀머거리여서 전혀 듣지 못하는 사람은 물론이요, 눈앞에 없어서 저주의 말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분개심을 표시하거나 화를 내지 못하고 자신을 변호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저주하지 말라는 것이다. 또한 다윗처럼(시 38:13) 마치 그런 말을 듣지 않은 듯이 참고 견디면서 개의치 않으려는 사람들을 저주하지 말라는 것이다.
복수하려 하지 않거나 복수할 만한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들에게 해를 입히지 말라. 혹 그 사람 자신은 모르더라도 하나님은 다 아시며 들으시기 때문이다.
2. 앞 못 보는 사람의 안전을 친절하게 살펴 주어야 한다.
그들 앞에 걸림돌을 놓아서는 안 된다. 그것은 고통당하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더하는 짓이요, 하나님의 섭리를 악용하는 처사이기 때문이다.
이 금령은 맹인을 도와주라는 계명과 맹인들의 길에 놓인 장애물을 치워 주라는 계명을 함축하고 있다.
유대 학자들은 “소경 앞에 장애물을 놓는” 것 같은 비열한 짓은 아무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 그 말씀을 상징적으로 이해한다.
즉 그런 간단한 속임수에 쉽사리 넘어가서 해를 당하는 연약한 이들에게 해를 입히려는 악한 생각을 하지 말라는 말씀이라는 것이다.
우리도 연약한 형제를 넘어지게 하는 행동을 일체 삼가도록 조심해야 한다(롬 14:13; 고전 8:9). 그런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는 말씀이 첨부되어 있다. “너희는 귀머거리나 소경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을 변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영광이 친히 무력한 자들을 돕고 계신다는 사실을 분명히 기억하라. 하나님은 그들의 호소를 들으실 것이다.” 하나님께 대한 경외심이 있으면 다른 이의 분노를 살 만한 행동은 자연히 삼가게 된다는 것을 명심하자.
Ⅴ. 재판관들이나 권력을 잡은 자들은 편파성 없이 공정하게 판결하라(15절).
임명을 받아서 재판관이 되었든, 또는 어떤 특별한 문제가 있어 양편의 합의에 의해 심판관이나 중재자가 되었든, 그들은 양편에게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되며, 가장 노련하게 공평의 법칙을 따라서 판결해야 하며, 그 문제의 사실에만 순수하게 관심을 두어야지 결코 그 당사자들의 신분 따위에 관심을 두면 안 된다. 어떤 경우에도 정의를 거스르면 안 된다.
1. 가난한 이들을 동정해서도 안 된다. “가난한 자의 송사라고 편벽되이 두호하지 말지니라”(출 23:3).
가난한 사람에게 동정을 베풀어서 법적으로 정당한 권리가 아닌 것을 부여해서는 안 된다. 또 과오에 대한 정당한 처벌을 가난하다는 이유로 면제해 주어서도 안 된다.
2. 법관들은 권력자들에 대한 호의 때문에 판단을 그르치기 일쑤지만, 권력자들을 두려워하거나 존경한다는 이유로 그릇 판결하면 안 된다.
이 율법의 명령에 따라서 유대인들은, “법관들은 한편은 서 있는데 다른 한편은 앉아 있으라는 등의 편파적인 처사를 행하면 안 되며, 한 사람에게는 마음대로 말하게 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간단히 줄여서 말하라고 해도 안 된다”라고 설명한다(약 2:1-4 참조).
Ⅵ. 남의 명성에 해를 입히는 일을 하지 말라.
1. 일상적인 말에서도 그렇다. “돌아다니며 사람을 논단하지 말며”(16절).
비밀을 누설하고, 범죄를 가중시키고, 좋지 못한 일을 악용하고, 남의 명성을 훼손하려고 하며, 이웃에 불화의 씨앗을 뿌리며 다니는 자는 모든 실책을 유발한 장본인만큼이나 나쁜 자다. “논단(고자질)”을 뜻하는 원어는 행상꾼을 의미한다. 고자질하는 사람은 흔히 나쁜 소문을 이 집 저 집으로 옮기며 소문을 장사하여 서로 중상을 물물교환하기 때문이다. 이런 죄악을 비난하는 소리를 들어 보라(잠 11:13; 20:19; 렘 9:4, 5; 겔 22:9).
2. 거짓 증거를 금했다. “네 이웃을 대적하여 (거짓 증인이 됨으로써) 죽을 지경에 이르게 하지 말라.”
그가 결백하다면, 잠언에 기록된 사람(잠 1:11-14)처럼 잔인한 자들과 동맹하여 그 사람을 해치지 말라.
한 걸음 더 나아가 유대 학자들은 이렇게 부연한다. “너희는 위험에 빠진 형제를 서서 보고만 있지 말고, 네 생명이나 몸이 위험에 빠지게 되더라도 형제를 구하러 달려가야 한다. 또한 고소당한 자의 결백을 아는 사람은 이 율법에 따라서 그 결백을 증언해 줄 의무가 있다”(잠 24:11, 12 참조).
Ⅶ. 이웃을 사랑으로 견책하라. “이웃을 인하여 죄를 당치 않도록 그를 반드시 책선하라”(17절).
1. 자신에게 피해를 준 이웃을 미워하지 말고, 그를 책선해야 한다.
우리 이웃이 우리에게 어떤 잘못을 했더라도 우리는 원한을 품고 그에게 보복해서는 안 된다. 또한 충분한 보복을 하기까지는 자기의 분노를 감추어 두는 사람처럼(삼하 13:22), 선악간에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 사람을 따돌려도 안 된다.
오히려 지혜롭고 온유한 마음으로 우리의 분개심을 제어하고, 그를 잘 설득하여 잘못을 깨우쳐 주려고 노력하여, 마음속에 품은 미움을 풀어 버려야 한다.
이것이 우리의 구주께서 보여 주신 원리다(눅 17:3).
2. 그가 하나님께 대해 지은 죄를 책망하여 깨우쳐 주어야 한다. 그래서 회개하도록 인도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그가 용서받을 수 있고, 그 죄에서 돌이킬 수 있고, 그 죄로 인한 벌을 받지 않게 될 것이다.
“의인이 나를 칠지라도 은혜로 여기며”(시 141:5). “친구의 통책은 충성에서 말미암은 것이나”(잠 27:5, 6).
우리는 서로 우정어린 책선을 할 의무가 있으며 책선을 할 때에나 받을 때에 늘 사랑으로 해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엄하게 명령하신다. “반드시 책선하라. 어떤 구실로도 그 일을 빠뜨리지 말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생각해 보자.
(1) 견책을 하지 않는 것은 죄를 범하는 것이다.
그것은 형제를 미워하는 죄와 같다고 했다. 우리는 즉시 “그는 내가 사랑하는 친구이니 그의 과실을 이야기해 주어 기분 나쁘게 하고 싶지 않아!”라고 주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므로 그에게 잘못을 이야기해 주는 친절을 베풀 거야!”라고 말해야 한다. 사랑은 남의 죄를 덮어 준다. 그러나 죄인 자신을 덮어 주지는 않는다.
(2) 견책하지 않으면 우리가 불행을 당한다.
“이웃을 인하여 죄를 당치 않도록.” 원수의 나귀가 짐이 무거워 쓰러졌을 때도 도와주어야 한다면, 친구의 영혼은 당연히 도와주어야 한다(출 23:5). 우리가 “그의 죄를 담당하게” 될 위험이 있다. 우리가 “열매 없는 어두움의 일”(엡 5:11)을 견책하지 않으면 우리는 그런 일에 물들게 되고, 사후(事後)에는(ex post facto) 그런 일에 종범(從犯)이 된다. 우리는 형제와 이웃을 염려해 주어야 한다. “내가 내 형제를 지키는 자니이까?”라고 말하는 사람은 가인과 같은 사람이다.
Ⅷ. 모든 악의를 버리고 형제애를 옷 입으라(18절).
1. 우리는 아무에게도 악한 감정을 품지 말아야 한다. “원수를 갚지 말며 동포를 원망하지 말며.” “네 형제를 마음으로 미워하지 말며”(17절)라는 말씀도 이것을 뒷받침해 주는 것으로, 마음에 악의를 품는 것은 이미 살인을 시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 형제가 우리에게 해를 끼치더라도, 그것을 되갚으면 안 된다. 즉 복수하지 말아야 한다. 복수심 때문에 기회 있을 때마다 그를 비난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그를 용서해 주고, 그의 잘못을 잊어야 한다. 하나님께서도 우리의 죄를 그처럼 용서해 주시기 때문이다. 모욕과 침해에 대해 늘 분개하는 마음을 품고, 말로 “영영히 사람을 상하게 하는 것”(삼하 2:26)은 악한 것이요, 우정을 파괴하는 독이다.
2. 우리는 모든 사람에게 좋은 감정을 지녀야 한다.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과 같이 하라”(18절). 우리는 종종 자신에게 잘못을 범하는 수가 있다. 그러나 그런 자기 잘못은 손쉽게 용서하며, 그것 때문에 자신을 조금이라도 덜 사랑하는 경우는 없다. 우리는 이웃을 그렇게 사랑해야 한다. 우리의 구주께서는 이것을 율법의 제2계명으로 삼으셨다(마 22:39). 사도 바울도 둘째 돌판의 율법을 요약하면 바로 이것이라고 했다(롬 13:9; 갈 5:14).
우리는 자신을 사랑하는 만큼 진실하게 그리고 가식 없이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 또 자신을 사랑하는 방식 그대로 이웃에 대한 사랑을 입증해 보여서, 최대한의 힘을 기울여 이웃이 상하지 않도록 해 주고 이웃의 유익을 추구해야 한다.
우리는 자신이 대접받고 싶은 대로(마 7:12) 이웃에게 베풀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의 마음을 그들의 마음 자리에” 두어 보아야 한다(욥 16:4, 5).
우리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사도 바울처럼 이웃의 유익을 위해 자신의 유익을 부정해야 한다(고전 9:19 이하). 바로 이 점에서 복음은 율법의 가장 뛰어난 계명까지도 초월한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위해 생명까지도 버리심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형제를 위해 목숨을 버리라”는 교훈을 주셨으며, 자신보다 이웃을 더욱 사랑하는 모습을 보여 주셨기 때문이다(요일 3:16).
------------
혼합을 금함(레 19:19-29)
Ⅰ. 혼합을 금하는 율법(19절). 창조 때에 하나님은 육축을 “그 종류대로”(창 1:25) 지으셨다.
우리는 괴물이 되기를 갈망하지 말고 하나님께서 지으신 자연의 질서가 최선이며 충분하다는 것을 믿고 그 질서에 순응해야 한다.
“무릇 하나님의 행하시는 것은 영원히 있을 것이라. 더할 수도 없고 덜할 수도 없나니 하나님이 이같이 행하심은 사람으로 그 앞에서 경외하게 하려 하심인 줄을 내가 알았도다”(전 3:14).
하나님께서 지으신 것은 탁월하여 더하거나 덜하면 오히려 나빠질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결합하신 것을 우리가 나누면 안 되듯이, 그 분이 나누신 것을 결합시켜도 안 된다.
곡식의 씨앗을 섞어 뿌리는 일이나 면과 모가 교직(交織)된 옷을 입는 것을 금했다. 그런 것은 이방인들의 미신적 풍속이었기 때문이며, 이스라엘인들에게 이방인과 섞이거나 이방인들의 관습과 하나님의 규례들을 섞는 일이 없도록 가르쳐 주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에인즈워드(Ainsworth)는 이 율법이 이스라엘의 종교의 단일성과 순수성을 보존하려는 것이며, 하나님의 율법과 복음의 모든 교의가 조금이라도 다른 율법이나 복음과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앙이 필수적이듯이 선행도 필수적이다. 그러나 하나님 앞에서 우리를 의롭게 한다는 명분으로 이런 것을 섞는 것을 금하셨다(갈 2:16).
Ⅱ. 정혼한 여자 노예와 간음한 자에 관한 처벌(20-22절). ...근본동기의 문제임...특히 남자는 합당한 결혼 전까지는 마음과 동정을 지킬 필요가 있음
그러나 간음한 상대 여인이 정혼한 경우가 아닐 때에는, 율법은 아무런 처벌 규정도 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대가 노예가 아닌 정혼한 처녀인 경우에는, 죽음에 해당하는 벌을 받았다.
그리고 정혼은 했으나 노예인 처녀인 경우에는(비록 그녀의 정혼이 성립되기 전에 그녀는 분명 자유의 몸이 되었을 테지만) 사형만은 면제되었다.
그런데 간음인 경우에는 남녀 둘 다 벌을 받아야 했다. 벌은 여자만 받았고 남자는 희생 제물을 드려야 했다고 하기도 한다.
정혼을 했을 뿐인데 간음죄로 처벌한 것은, 결혼을 귀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예인 여자를 더럽혔을 때에는, 자유의 몸인 여자를 더럽혔을 때와 똑같이 처벌할 수는 없었는데, 그것은 자유를 귀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자유인과 종 사이에 그렇게 큰 차별이 있었다(갈 4:30). 그러나 그리스도의 복음은 그러한 차별을 용납하지 않는다(골 3:11).
Ⅲ. 유실수에 관한 율법.
심은 지 첫 3년 동안은, 그 나무가 빨리 자라서 3년 안에 열매를 맺더라도 그 열매를 먹지 말라고 했다(23-25절).
그러므로 때로 정원사들이 어린 나무에 열매가 열리면 즉시 따 버리는 것과 같은 관습이 유대인들에게 있었다. 일찍 열매를 맺으면 과목의 성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 사이에는 열매가 아무리 잘 익더라도 하나님께나 사람에게나 사용할 수 없다.
4년째에 열린 열매는 여호와께 거룩한 것으로, 그 중의 5분의 1은 제사장에게 바치거나 여호와 앞에서 즐겁게 먹어야 했다.
그런 후에 열리는 것은 모두 그 주인의 것이 되었다.
1. 이것을 이방인의 풍속을 따르지 말 것을 가르치는 율법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즉 이방인들은 첫 열매를 우상들에게 성별해 바쳤으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모든 열매가 시들어 버린다고 믿었다고 한다.
2. 열매에 관한 이 율법은 동물에 관한 율법과 비교될 수 있는데, 모든 피조물은 난 지 8일이 경과한 후에야 제물로 바칠 수 없었으며, 아이도 난 지 8일이 되어야 비로소 할례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22:27).
하나님은 그들 나무의 첫 소산을 원하셨을 것이다.
그러나 첫 3년 동안에 난 열매들은 8일이 채 못된 양이나 염소처럼 보잘것없는 것으로 여기셨으므로, 취하지 아니하셨다.
하나님은 모든 것 중 최상인 것을 가지시는 것이 합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도 그것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셨다.
그것은 아직 첫 소산을 하나님께 예물로 드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사이에 열린 열매들은 난 지 8일이 안 된 동물처럼 할례받지 못한 것으로 여김받았으며 아무데도 쓰이지 못했다.
3. 우리는 생활의 안락을 서둘러 취하려 하지 말아야 하며, 그것을 누릴 만한 때가 되기까지 기꺼이 인내하며 기다릴 줄 알아야 하고, 특별히 우리는 땅의 소산을 차지하기에 합당치 못한 존재임을 깨달아야 한다.
땅의 소산에 관해 우리는 금지된 열매를 먹어 버린 우리의 첫 조상들로 인해 권리를 상실했으므로,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딤전 4:5) 회복해야 한다.
Ⅳ. 이방인들의 미신적 관습을 금하는 율법(26-28절).
1. 이방인들처럼 피를 먹거나 고기를 피째 먹는 것은, 우상 숭배자들과 같은 잔치를 함으로써 그들의 귀신들과 교제하는 것을 상징했다.
우상 숭배자들은 희생 제물의 피를 그릇에 모아서 우상을 위해(그것이 우상을 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마시고는 그 우상 주위에 앉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풍습을 따르지 말고, 하나님의 제물의 피는 제단에 뿌리고 또 제단 아래에 붓고, 나머지는 밖으로 내어가야 했다.
2. 복술과 술수, 그리고 행운의 시기와 불운의 시기를 점치는 미신적 행동을 금했다.
이런 기이한 기술은 당시 애굽 제사장들이 백성을 즐겁게 하고 자기들을 후원하게 하려고 고안해 낸 것이다.
이스라엘인들도 지금까지 그런 관습을 많이 보아 왔으나 이제는 결코 그런 것을 흉내 내지 말라고 했다.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자들”(롬 3:2)이 마귀에게 뜻을 묻는 것은 용서할 수 없는 짓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런 짓을 한다면 그것은 더욱 악한데, 왜냐하면 하나님의 아들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시기 때문이다(요일 3:8).
그리스도인들이 점을 친다든가, 운수를 물어본다든가, 병 고치는 주문을 사용한다든가 악령을 쫓아내기 위해 무당을 이용한다든가, 별똥이 떨어지거나 토끼가 길을 가로질러 가는 것 따위에 신경을 쓰는 것은 모두 주 예수를 모독하는 일이요, 용납받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런 것은 이방 종교와 우상 숭배를 지지하는 일이요, 자신은 물론이고 그리스도인이라는 고귀한 이름을 부끄럽게 하는 것이다.
“이런 일이 왜 나쁜가?”라고 묻는 사람들은 율법과 복음을 둘 다 무시하는 것이다.
마귀와 교제하는 자들의 방법을 배우는 것이 어떻게 나쁜 짓이 아니라는 말인가! “오직 너희는 그리스도를 이같이 배우지 아니하였느니라”(엡 4:20).
3. 차림새에도 이방인들이 사용하는 미신적인 관습이 있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런 것을 모방하면 안 되었다. “머리를 둥글게 깎지 말며”(26절).
하늘의 일월성신을 예배하는 자들은 그 일월성신을 높이기 위해 자기 머리를 둥글게 깎았는데, 그렇게 하면 자기들 머리가 천체를 닮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풍속은 그 자체로 어리석은 것이며 거짓 신에게 존경을 바치기 위한 일이니 우상 숭배다.
4. 이방인들이 장례식 때 슬픔을 나타내기 위해 하는 의식이나 예식을 따르지 말아야 했다(8절).
즉 그들은 죽은 자를 위해 자기 살을 베거나 몸에 무늬를 그렸다.
이방인들은 자기들이 생각하고 있는 지옥의 신들을 달래기 위해 그렇게 했으며 고인이 된 친구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그렇게 했다.
그리스도는 수난을 받음으로써 죽음의 성격을 바꾸셨고, 따라서 죽음은 이제 모든 이스라엘인들에게 참된 친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제 죽은 자들을 위해 명복을 빌 필요가 없듯이 희망 없는 자들처럼 슬퍼하지도 않는다.
우리에게 행운을 가져다 주시는 하나님은 죽음을 통해서도 우리에게 행운을 가져다 주시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자신을 위해 친히 성별하신 사람들은 그런 엉터리 신들의 형상이나 이름을 받아들이지 말아야 한다.
끝으로 자기 딸들을 부정하게 매음시키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29절). 이방인들이 예배하는 그 부정한 영들은 그렇게 가증한 짓을 매우 즐겨했다.
음행이 종교적 의식의 하나로 지켜지고 성전에서 감행되자, 가나안 땅에는 온통 사악한 행위로 가득 차게 되었는데, 그것은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그토록 더러운 일은 성전 문에 들어서자마자 마치 강력한 급류처럼 온 나라를 휩쓸게 되었고, 도덕과 정결이라는 모든 울타리를 무너뜨려 버렸다.
마귀는 먼저 사람들을 그런 가증스러운 짓을 하는 예배로 끌어들이고, 그런 다음 그런 가증스러운 짓을 범하게 한다.
하지만 거룩한 하나님을 찾고 순전한 영에게 거룩한 영광을 돌리는 사람들은 당연히 헛된 애착을 버린다.
하나님께 수치를 돌리는 자들은 자기 자신과 가문에도 수치를 돌리는 것이다.
--------
몇 가지 도덕률(레 19:30-37)
Ⅰ.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 대한 영예를 보존하려는 율법이다(30절).
이 율법에는 이방인들의 우상 숭배와 미신과 모든 부정한 교제로부터 그 시간과 장소를 보호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다.
1. 안식일을 거룩히 지킬 것이며, 이방인들이 미신적 방식으로(26절) 정해 놓은 시간들은 일체 지키면 안 된다.
2. 성소는 마땅히 경외해야 한다.
철저히 주의해서 율법이 요구하는 정결과 준비를 갖추어서 회막에 나가야 하며, 지엄하신 분의 존전에 전심으로 겸손과 정중함으로 나아가야 한다. 지금은 그 때처럼 회막이나 성전같이 하나님이 거룩하다고 제정하신 장소가 따로 없다. 그러나 이 율법은 예배를 위해 모인 그리스도인들의 엄숙한 집회를 소중히 여길 것을 우리에게 명령한다. 그리스도인들의 집회는 그 가운데 함께 계시겠다는 그리스도의 특별한 임재의 약속 아래 열리는 것이요, 거기에서는 거룩한 규례를 집행하므로 마땅히 예절을 갖추고 참여해야 한다(전 5:1).
Ⅱ. 무당은 물론이요 그들을 추종하는 자들과 일체 상종치 말라고 경고하는 율법.
“그들을 믿지 말며, 추종하지 말라. 그들에게서 어떤 행복도 기대하지 말라. 그들에게 어떤 충고나 장래의 뜻을 물으려고 찾아가지 말라. 만일 그렇게 하면 너희는 그것에 속을 것이요, 하나님과 너희 자신의 양심에 가증스러움만 더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께 버림받아 운명이 다한 사울 왕이 저지른 사악한 죄였다(대상 10:13).
Ⅲ. 젊은이는 연로자를 존경하라는 명령.
“너는 센 머리 앞에서 일어서고”(32절). 연륜은 영예로운 일이요, 가장 연로한 분인 하나님께서 바로 연륜을 존중하라고 명령하신다. “백발은 영화의 면류관이라”(잠 16:31). 하나님께서 장수라는 일반 은총을 내리셔서 존귀케 하신 사람을 우리도 정중하고 예의 바르게 존경해야 한다. 지혜롭게 장수한 사람은 갑절의 존중을 받을 만한 사람이다. 그런 분들 앞에서는 단순히 일어서는 예의 이상의 존경을 보여야 한다. 그들의 신용과 안위를 주의하고 경청해야 하며, 그들의 경험과 통찰력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그들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욥 32:6, 7).
백발이 연령상의 연장자를 의미하므로, 체면과 풍체에 존중을 바쳐야 하는 노인이란 바로 직무상의 연장자들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직무상으로든 연령상으로든 어느 경우의 연장자든지 우리는 부모를 대하듯 존중해야 하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존귀케 하셨으니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으로 그들을 대해야 한다. 신앙은 훌륭한 예의 범절을 가르쳐 주는데, 믿는 자들도 마땅히 존경해야 할 사람을 존경할 의무가 있다고 가르친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아이가 노인에게, 비천한 자가 존귀한 자에게 교만하게 행하는 것”(사 3:5; 욥 30:1, 12)은 그 나라가 크게 타락하고 무질서해졌다는 증거다. 연로한 자는 존중을 받아야 하고, 연소자는 존중을 바쳐야 한다. “장로들에게 순복하고 겸손히 대하는 것”은 젊은이들의 의무일 뿐만 아니라 미덕이기 때문이다(벧전 5:5).
Ⅵ. 타국인들을 친절히 대하라는 명령이다.
하나님의 율법과 섭리로 이스라엘은 다른 민족보다 훨씬 존귀케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스라엘이 다른 민족을 누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다른 민족도 자기 민족처럼 존귀하게 생각해야 하며, 다른 민족을 경멸하는 것을 낙으로 삼으면 결코 안 된다. “타국인이 너희 땅에 우거하여 함께 있거든 너희는 그를 학대하지 말고 너희와 함께 있는 타국인을 너희 중에서 낳은 자같이 여기며 자기같이 사랑하라”(33, 34절). 물론 여기서 말하는 타국인은 우상 숭배자가 아니라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로, 비록 할례는 받지 않았고 의로움으로 개종하지 않았더라도, 최소한 신앙의 문턱에 들어선 개종자를 말한다. 그런 자가 이스라엘인들 중에 거할 때에는, 그들을 괴롭히거나 압박하거나 거래를 속이거나 자기들의 율법과 풍속을 모른다는 약점을 이용하는 따위의 짓을 하지 말아야 한다.
이스라엘인들은 타국인을 속이는 것을 자기 백성을 속이는 것과 똑같은 죄악으로 간주해야 했다.
유대 학자들의 말에 의하면, 그들은 그가 타국인이라는 것은 물론이요, 예전에 우상을 숭배한 일이 있었다고 비난하는 일조차도 해서는 안 되었다.
타국인들은 고아나 과부들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특별한 보호 아래 있었다. 무기력한 자들을 돕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 되기 때문이다(시 146:9). 그러므로 그들에게 해를 입히거나 고생을 시키면 우리의 생명이 위태롭게 된다. 하나님의 은총은 타국인도 반가이 맞이하실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최선을 다해 그들을 하나님의 은총에 초대해야 하며 그들의 선한 판단에 신앙을 추천해야 한다. 나그네에게 친절을 베푸는 일은 모든 인류의 아버지이신 하나님 앞에서 경건하고 친절한 행동이다. 풍속과 언어가 다르더라도 하나님은 “인류의 모든 족속을 한 혈통으로 만드셨기” 때문이다(행 17:26).
그러나 유대인들이 특별히 그렇게 해야 할 이유 하나가 부연된다. “너희도 애굽 땅에서 객이 되었더니라.” 이 말씀은 곧 다음과 같다. “그 때 하나님께서 너희들에게 호의를 베푸셨으므로 이제 너희는 나그네들에게 호의를 베풀어야 하며, 그 때 너희들이 대접받고 싶었던 그대로 지금 그들(나그네들)을 대접해야 하느니라. 너희도 나그네였으나 지금은 이렇게 존귀케 되었느니라. 그러므로 너희가 지금 나그네들인 그들을 업신여기기 쉽지만 그들의 나중 형편이 어떻게 될지 알지 못하느니라.”
Ⅴ. 저울질을 바르게 하라는 명령. 거기에는 결코 속임수가 없어야 하며(35절), 정확을 기해야 한다(36절).
무게를 잴 때나 측량할 때 올바르게 하는 체하면서 만일 거짓으로 하면 그것은 타락한 재판과 같다. 곧 정의를 핑계 삼아 사기를 범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 식으로 해를 끼치는 것은 소매치기나 노상강도보다 더 악한 행위다. 파는 사람은 저울에 맞는 양을 달아 주어야 하고, 사는 사람은 거기에 맞는 금액을 치러야 한다. 공정한 저울과 추와 도량형 없이 상거래를 하면 안 된다. “분수를 넘어서 형제를 해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 일이 비록 인간에게는 숨길 수 있으나 “이 모든 일에 주께서 신원하여 주시기 때문이다”(살전 4:6).
본 장은 일반적인 명령을 하면서 끝을 맺는다. “너희는 나의 모든 규례와 나의 모든 법도를 지켜 행하라”(37절).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명심하자.
1. 우리는 조심하고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하나님의 법도를 좇아 행하지 못하기 쉽다.
2. 하나님의 율례를 단순히 잘 알기만 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그것을 실행해야 한다. 생활에서 양심을 지키지 않는다면 예리하게 사고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3. 정직한 심령은 하나님의 모든 계명에 주의한다(시 119:6). 우리는 손으로는 꼭 해야 할 일을 못하고 말면서도 눈으로는 하나님의 법도를 주목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하고 싶은 의무를 선택해서 이행할 수는 없다. 오직 하나님의 뜻에 온전히 맞도록 의무를 완수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
레19장: 여러 가지 법들
1-12절, 십계명 순종
[1-2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너는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거룩하라.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특히 도덕적 성결 즉 그가 모든 죄와 불결로부터 떠나 계심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는 죄와 불의와 악과 거짓이 없으시고 공의로우시고 선하시고 진실하신 하나님이시다. 하나님께서 거룩하시기 때문에 하나님의 백성된 우리도 그의 거룩함을 본받아 거룩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만 경외하고 우상을 섬기지 말아야 하고 안식일을 지켜야 하고 부모를 공경하고 살인하지 말고 간음하지 말고 도적질하지 말고 거짓증거하지 말고 남의 것을 탐내지 말고 오직 정직하고 선하고 진실하게 살며 자족하며 살아야 한다.
[3절] 너희 각 사람은 부모를 경외하고 나의 안식일[안식일들]을 지키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
하나님께서는 십계명에서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너의 하나님 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고 말씀하셨다(출 20:12).
사람은 그의 부모를 공경하고 높이고 경외하고 두려워해야 한다. 잠언 23:22는 “너 낳은 아비에게 청종하고 네 늙은 어미를 경히 여기지 말지니라”고 말했고, 사도 바울은 “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있는 첫 계명이니 이는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고 말했다(엡 6:1-3).
성경은 우리가 모든 사람을 공경하고(벧전 2:17) 서로 상대를 먼저 존경해야 한다(롬 12:10)고 가르쳤다.
하나님께서는 또 “나의 안식일들을 지키라”고 말씀하셨다. ‘안식일들’이라는 말은 주간 안식일 외에 구약 율법에 규정된 다른 안식일들을 가리킨다.
레위기 23장과 민수기 28-29장을 보면, 주간 안식일 곧 제7일 안식일(구약에서는 토요일) 외에, 연중에 일곱 번의 안식일들이 있다. 그것은 무교절의 첫날과 일곱째 날, 맥추절, 나팔절(7월 1일), 속죄일(7월 10일), 초막절의 첫째 날과 여덟째 날 등 일곱이다.
안식년과 희년을 포함하면, [결국] 구약의 율법에는 모두 열 개의 안식의 날 혹은 해가 있다. 이런 안식일들에는 ‘성회’로 모이고 아무 일도 노동도 하지 말아야 했다.
안식일은 하나님께서 주신 영원한 언약의 표이며 그 날을 더럽히는 자는 반드시 죽임을 당해야 했다(출 31:13-17). 에스겔 20장에 보면, 에스겔은 이스라엘 백성이 범한 죄들을 열거하면서 그들이 하나님의 안식일을 더럽혔음을 반복해서 강조했다(겔 20:13, 16, 21, 24).
안식일은 세상의 일들, 곧 직업상의 일들이나 육신적 오락들을 중단하고 오직 하나님께 예배드리기 위해 공적 집회로 모이는 날이다.
[4절] 너희는 헛것을 위하지 말며 너희를 위하여 신상들을 부어만들지말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
‘헛것’이라는 원어(엘릴림 )는 ‘우상들’을 가리킨다. 우상들을 위하지 말고 신상들을 부어만들지 말라는 것은 십계명의 제2계명에 명령된 바이다. 하나님 대신에 하나님처럼 위하는 것, 하나님 대신에 하나님처럼 귀하게 여기는 것, 하나님보다 더 귀하게 여기는 것은 다 우상이며, 그것을 위하는 자들은 다 우상숭배자들이다. 하나님을 섬기는 자들과 우상을 섬기는 자들은 명백히 구분된다.
오늘날에는 돈이나 육신의 쾌락을 하나님처럼 혹은 하나님보다 더 사랑하는 자들이 많고 교인들 중에도 많이 있는 것 같다. 교회생활에서 자기 절제가 도무지 없는 자들이 많다. 하나님을 섬기며 하나님께 예배드리기 위해서가 아니고 자기 흥미를 위해 교회에 드나드는 자들이 많다. 그들은 예배에나 성경말씀을 듣고 배우는 일에 인내심이 없고 자기 절제심이 없다. 그들은 하나님 경외함이 없고 육신적 재미와 흥미만 추구하는 자들이다. 그들은 부모 공경함이나 부모의 교훈을 귀찮게 생각하고 자신의 재미만 추구하는 철없는 아이들과 같다. 우리는 참으로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을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한다.
[5-8절] 너희는 화목제 희생을 여호와께 드릴 때에 열납되도록 드리고 그 제물은 드리는 날과 이튿날에 먹고 제3일까지 남았거든 불사르라. 제3일에 조금이라도 먹으면 가증한 것이 되어 열납되지 못하고 그것을 먹는 자는 여호와의 성물 더럽힘을 인하여 죄를 당하리니 그가 그 백성 중에서 끊쳐지리라.
화목제물은 감사와 서원과 자원의 뜻으로 드리는 제물이다. 레위기 7장에 보면, 그 제물은 규례대로 드려야 했다. 감사의 화목제물은 드린 그 날에 먹어야 했고 그 이튿날에 먹어서는 안 되었다. 서원이나 자원의 화목제물은 이튿날에 먹을 수 있으나 제3일에는 먹지 말고 불태워야 했다. 제3일에 조금이라도 먹으면 가증한 것이 되어 열납되지 못하고 그것을 먹는 자는 여호와의 성물 더럽힘을 인하여 죄를 당할 것이며 부정한 자가 먹으면 그 백성 중에서 끊어질 것이다.
[9-10절] 너희 땅의 곡물을 벨 때에 너는 밭 모퉁이까지 다 거두지 말고 너의 떨어진 이삭도 줍지 말며 너의 포도원의 열매를 다 따지 말며 너의 포도원에 떨어진 열매도 줍지 말고 가난한 사람과 타국인을 위하여 버려 두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
이 법은 레위기 23:22에도 나온다. 또 모세는 신명기 24:19-22에서, “네가 밭에서 곡식을 벨 때에 그 한 뭇을 밭에 잊어버렸거든 다시 가서 취하지 말고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버려두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손으로 하는 범사에 복을 내리시리라. 네가 네 감람나무를 떤 후에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 그 남은 것은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버려두며 네가 네 포도원의 포도를 딴 후에 그 남은 것을 다시 따지 말고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버려두라. 너는 애굽 땅에서 종 되었던 것을 기억하라. 이러므로 내가 네게 이 일을 행하라 명하노라”고 말하였다.
하나님께서는 가난한 자들과 소외된 자들을 긍휼히 여기신다. 그것이 선(善)이며 하나님의 마음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이라면, 그러한 선한 마음을 품어야 한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네가 이 세대에 부한 자들을 명하여 마음을 높이지 말고 정함이 없는 재물에 소망을 두지 말고 오직 우리에게 모든 것을 후히 주사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께 두며 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게 하라”고 교훈하였다(딤전 6:17-18).
[11절] 너희는 도적질하지 말며 속이지 말며 서로 거짓말하지 말며.
하나님께서는 “너희는 도적질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그것은 제8계명에 해당한다. 성경은 우리가 자기 것과 남의 것을 구분해야 함을 명하고 남의 것에 손을 대는 것을 도적질로 간주한다. 부모의 것과 자식의 것도 구분되고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도 구분된다.
하나님께서는 또 “[너희는] 속이지 말며 서로 거짓말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그것은 제9계명 즉 ‘거짓증거하지 말라’는 계명에 해당한다. 우리는 남을 속이지 말고 서로 거짓말하지 말아야 한다. 바울은 “그런즉 거짓을 버리고 각각 그 이웃으로 더불어 참된 것을 말하라. 이는 우리가 서로 지체가 됨이니라”고 말했고(엡 4:25), 또 “너희가 서로 거짓말을 말라”고 교훈하였다(골 3:9).
거짓말하는 자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며 지옥에 던지울 것이다. 요한계시록 22:15는 “개들과 술객들과 행음자들과 살인자들과 우상숭배자들과 및 거짓말을 좋아하며 지어내는 자마다 성[새 예루살렘성=천국] 밖에 있으리라”고 말했고, 요한계시록 21:8은 “그러나 두려워하는 자들과 믿지 아니하는 자들과 흉악한 자들과 살인자들과 행음자들과 술객들과 우상숭배자들과 모든 거짓말하는 자들은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참여하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고 말했다.
[12절] 너희는 내 이름으로 거짓 맹세함으로 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말라. 나는 여호와니라.
이것은 “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헛되이] 일컫지 말라”는 십계명의 제3계명에 해당한다(출 20:7). 우리는 하나님의 이름을 두려운 마음으로, 진실되이, 진지하게 사용해야 한다. 엄숙한 맹세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거짓되이 사용하는 것은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큰 죄악이다.
본문에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는 말씀이 세 번(3, 4, 10절),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라는 말씀이 한번(2절), 또 “나는 여호와니라”는 말씀이 한번 나온다(12절). 하나님께서는 영원하신 참 하나님 곧 창조자와 섭리자이시며 모든 율법을 명하신 자이시다.
본문은 여러 가지를 교훈한다.
첫째로, 우리는 모든 죄악과 불결을 버리고 거룩하자. 우리는 말과 행실에 있어서 거룩한 자가 되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주일을 거룩히 지키자. 이 날 세상 일들을 쉬고 오락을 금하며 하나님께 예배드리고 말씀과 기도에 힘쓰자(사 58:13-14).
셋째로, 우리는 부모를 공경하고 경외하자. 이것이 하나님의 뜻이며 하나님의 자녀들이 이 세상에서도 잘되고 복을 받는 길이다.
넷째로, 우리는 돈과 육신적 쾌락을 포함하여 우상을 멀리하자. 우리는 그런 풍조를 멀리하고 하나님을 바라며 자기를 부정하고 절제하자.
다섯째로, 우리는 가난한 자를 배려하자. 가난한 자를 학대하는 자는 하나님을 멸시하는 자요 불쌍히 여기는 자는 주를 존경하는 자이다.
여섯째로, 우리는 도적질하지 말자. 우리는 내 것과 남의 것을 구분하고 남의 것을 취하지 말고 도리어 구제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
일곱째로, 우리는 서로 거짓말하지 말자. 우리는 서로 지체가 된 것을 깨닫고 모든 거짓을 버리고 서로 참된 것을 말해야 한다.
여덟째로, 우리는 하나님의 이름을 두려움으로 진실하게 사용하자.
===13-18절, 공의와 사랑
[13절] 너는 네 이웃을 압제하지 말며 늑탈하지 말며 품꾼의 삯을 아침까지 밤새도록 네게 두지 말며.
하나님께서는 또 “너는 네 이웃을 압제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압제하다’는 원어(아솨크 )는 ‘압제하다(NASB), 강탈하다, 속여 빼앗다(defraud)(KJV, NIV)’는 뜻이다. 그것은 폭력과 위협으로 남의 것을 빼앗는 것을 말한다. 세상에는 그런 나쁜 사람들이 있지만 이스라엘 사회 안에는 그런 사람이 있어서는 안 되었다. 우리는 폭력으로 남을 해치거나 교회를 어지럽히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님께서는 또 “너는 늑탈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늑탈하다’는 말은 강제로 빼앗는 것을 말한다. 이 말씀은 앞의 명령 속에 내포된 바이기도 하다고 본다. 강도짓은 도적질보다 더 나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또 “너는 품꾼의 삯을 아침까지 밤새도록 네게 두지말라”고 말씀하신다. 품꾼은 누구에게 고용된 일반 노동자를 가리킨다. 옛 시대에는 하루 벌어 하루 사는 노동자들이 많이 있었다. 오늘날에는 어떤 직장에 고용되어 매월 월급을 받는 자들이 많다. 하나님의 명령은, 매일이든지 매월이든지 주인이 일꾼들의 품삯을 미루지말고 제 때에 주라는 것이다. 그것은 그들이 그것으로 생활하기 때문이다. 신명기 24장에 보면, 하나님께서는 “곤궁하고 빈한한 품꾼은 너의 형제든지 네 땅 성문 안에 우거하는 객이든지 그를 학대하지 말며 그 품삯을 당일에 주고 해진 후까지 끌지 말라. 이는 그가 빈궁하므로 마음에 품삯을 사모함이라. 두렵건대 그가 너를 여호와께 호소하면 죄가 네게로 돌아갈까 하노라”고 말씀하셨다(신 24:14-15). 우리가 누구에게 일을 시키면, 그 값은 정중히 그 날 혹은 그 시간에 지불해야 하고 고의적으로 뒤로 미루어서는 안 된다.
[14절] 너는 귀먹은 자를 저주하지 말며 소경 앞에 장애물을 놓지 말고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 나는 여호와니라.
듣지 못하는 귀먹은 자를 저주하고 보지 못하는 소경 앞에 장애물을 놓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매우 악한 일이다. 비록 귀먹은 자는 그의 저주를 듣지 못하고 소경은 그 장애물을 알지 못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다 들으시고 보시며 판단하시고 보응하실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을 귀먹은 자나 소경으로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눈앞에서 살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는 말을 첨가하신 것은 바로 이런 뜻에서 하신 것일 것이다. 우리가 살아계신 하나님을 두려워한다면 그런 악한 일을 행할 수 없을 것이다.
또 본절과 16절과 18절에, “나는 여호와니라”는 말씀이 나오는데, 그것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이 모든 명령의 근거와 권위를 증거한다.
이 명령들은 다 하나님께서 친히 주신 명령이다. 영원자존자 여호와 하나님, 온 세상을 창조하시고 홀로 섭리하시는 살아계신 주 하나님께서 이 모든 명령들을 내리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하나님의 명령들에 귀를 기울여야 하고 그것들을 성심으로 지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하나님을 노엽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다.
[15절] 너희는 재판할 때에 불의를 행치 말며 가난한 자의 편을 들지 말며 세력 있는 자라고 두호하지 말고 공의로 사람을 재판할지며.
재판은 사람들 상호간에 생긴 문제들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다. 재판은 하나님의 행위를 본받는 일이다. 하나님께서는 공의의 재판장이시다. 그러므로 재판에 불의가 있어서는 안 된다. 하나님께서는, 출애굽기 23:3에서, “가난한 자의 송사라고 편벽되이 두호하지 말지니라”고 명하셨다. 모세도 천부장과 백부장 등을 세우고 그들에게 말하기를, “재판은 하나님께 속한 것인즉 너희는 재판에 외모를 보지 말고 귀천을 일반으로 듣고 사람의 낯을 두려워 말 것이라”고 했다(신 1:17). 우리는 재판 뿐만 아니라, 그 외의 모든 일에서도 공정하게, 공평하게, 공의로 판단해야 하고, 어떤 일에서나 무조건 가족이나 친구편을 들어서는 안 된다.
[16절] 너는 네 백성 중으로 돌아다니며 사람을 논단하지 말며 네 이웃을 대적하여 죽을 지경에 이르게 하지 말라. 나는 여호와니라.
하나님께서는 “너는 네 백성 중으로 돌아다니며 사람을 논단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원문은, “너는 네 백성 중에 남을 중상하는 자로 다니지 말라.” ‘남을 논단하지 말라’는 원어(라킬 )는 ‘남을 중상(中傷)하는 자, 즉 거짓 소문으로 남을 비난하고 헐뜯고 남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자’라는 뜻이다. 하나님께서는, 출애굽기 23장에서, “너는 허망한 풍설을 전파하지 말라”고 명하셨다(출 23:1). 거짓 소문으로 남을 비난하고 헐뜯는 것은 참으로 나쁜 일이다.
세상에는 이런 나쁜 사람들이 많고 이스라엘 사회에도 그런 악한 자들이 있었다.
선지자 예레미야는, “다니며 비방하는” 자들에 대해 지적하였다(렘 6:28; 9:4). 에스겔도 22:9에서 그런 자를 언급하였다.
한글성경에는 ‘이간을 붙이는 자’라고 번역되었으나 같은 단어이다. 시편이나 잠언도 이런 자를 정죄한다. 시편 15:3은 여호와의 성산에 거할 자는 “그 혀로 참소치 아니하고 그 벗에게 행악지 아니하며 그 이웃을 훼방치 아니하는” 자라고 말하였다. 또 시편 101:5는 “그 이웃을 그윽히 허는 자를 내가 멸할 것이요 눈이 높고 마음이 교만한 자를 내가 용납지 아니하리로다”라고 말했다. 잠언 11:13은 “두루 다니며 한담하는 자는 남의 비밀을 누설하나 마음이 신실한 자는 그런 것을 숨기느니라”고 말하며, 잠언 20:19도 “두루 다니며 한담하는 자는 남의 비밀을 누설하나니 입술을 벌린 자를 사귀지 말지니라”고 말하는데, ‘두루 다니며 한담하는 자’라는 원어가 바로 같은 단어이며, 그것은 남을 비난하고 헐뜯으며 돌아다니는 자를 가리킨다.
신약성경도 이 점에 대해 말씀하였다. 주 예수께서는 “비판을 받지 아니하려거든 비판하지 말라. 너희의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을 받을 것이요 너희의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니라. 어찌하여 형제의 눈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고 말씀하셨다(마 7:1-3).
사도 바울은, 디모데전서 3장에서, 장로와 집사의 아내들의 자격에 대해 말하면서 “단정하고 참소하지 말며 절제하며 모든 일에 충성된 자라야 할지니라”고 했다(딤전 3:11). 참소하는 것이 거짓말로 남을 헐뜯는 것을 말한다. 그는 또 에베소서에서 “너희는 모든 악독과 노함과 분냄과 떠드는 것과 훼방하는 것을 모든 악의와 함께 버리라”고 말한다(엡 4:31). 또 사도 베드로도 베드로전서 2:1에서, “모든 악독과 모든 궤휼과 외식과 시기와 모든 비방하는 말을 버리라”고 말한다.
성도는 훼방하는 일, 곧 남을 비난하고 헐뜯는 일을 버려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또 “네 이웃을 대적하여 죽을 지경에 이르게 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우리는, 이웃이 잘못을 하면 그를 책망할 수 있지만, 그를 죽음에 내몰 정도로 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부모가 자녀를 책망하는 것은 그를 죽이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그의 잘못을 깨우치고 고쳐 좋은 사람을 만들려고 하는 것이듯이, 성도의 책망은 상대방을 죽이려는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상대방을 깨우치고 고치려고 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의 책망은 이 정도의 선까지이며 그 이상은 하나님께 맡겨야 할 것이다.
[17절] 너는 네 형제를 마음으로 미워하지 말며 이웃을 인하여 죄를 당치 않도록 그를 반드시 책선(責善)[책망]하라.
하나님께서는 또 “너는 네 형제를 마음으로 미워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미움은 살인의 시작이다. 살인은 미움에서 시작된다. 미움은 마음의 살인이다. 남을 미워하는 자는 이미 마음으로 그를 죽인 것이다. 그러므로 사도 요한은, “그 형제를 미워하는 자마다 살인하는 자니 살인하는 자마다 영생이 그 속에 거하지 아니하는 것을 너희가 아는 바라”고 말했다(요일 3:15). 우리가 “살인하지 말라”는 하나님의 계명을 온전히 지키려면, 우리는 먼저 우리의 이웃에 대한 미움부터 없애야 한다. 미움은 상대에 대한 독한 비난을 만들고 기회가 되면 그를 죽이게까지 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또 “이웃을 인하여 죄를 당치 않도록 그를 반드시 책망하라”고 말씀하셨다. 이것은, 이웃이 잘못을 행할 때 그의 잘못을 지적하고 책망하고 권면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그 이웃의 잘못에 대한 책임이 우리에게도 있다는 뜻이다. 참된 사랑은 이웃의 잘못을 지적하고 책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잠언 27:5-6은 “면책은 숨은 사랑보다 나으니라. 친구의 통책은 충성에서 말미암은 것이나 원수의 자주 입맞춤은 거짓에서 난 것이니라”고 말하였다.
신약성경 데살로니가전서 5:14도, “형제들아, 너희를 권면하노니 규모 없는 자들을 권계(勸戒)하라”고 말하였고, 또 히브리서 3:12-13도, “형제들아, 너희가 삼가 혹 너희 중에 누가 믿지 아니하는 악심을 품고 살아계신 하나님에게서 떨어질까 염려할 것이요 오직 오늘이라 일컫는 동안에 매일 피차 권면하여 너희 중에 누구든지 죄의 유혹으로 강퍅케 됨을 면하라”고 말하였다(히 3:12-13).
[18절] 원수를 갚지 말며 동포를 원망하지 말며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과 같이 하라. 나는 여호와니라.
하나님께서는 또 “원수를 갚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원수 갚는 일을 우리에게 허락하지 않으셨다. 하나님께서는 악한 자들에 대해 공의로 보복하실 것이지만, 우리가 그렇게 하도록 허락하지 않으셨다. 그러므로 잠언 20:22는, “너는 악을 갚겠다 말하지 말고 여호와를 기다리라. 그가 너를 구원하시리라”고 말하였다.
주 예수께서는 “악한 자를 대적지 말라. 누구든지 네 오른편 뺨을 치거든 왼편도 돌려 대며 또 너를 송사하여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또 누구든지 너로 억지로 오리를 가게 하거든 그 사람과 십리를 동행하고 네게 구하는 자에게 주며 네게 꾸고자 하는 자에게 거절하지 말라”(마 5:39-42), “너희 듣는 자에게 내가 이르노니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미워하는 자를 선대하며 너희를 저주하는 자를 위하여 축복하며 너희를 모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고 교훈하셨다(눅 6:27-28). 사도 바울도 “아무에게도 악으로 악을 갚지 말고 모든 사람 앞에서 선한 일을 도모하라,” “너희가 친히 원수를 갚지 말고 진노하심에 맡기라. 기록되었으되 원수 갚는 것이 내게 있으니 내가 갚으리라고 주께서 말씀하시니라. 네 원수가 주리거든 먹이고 목마르거든 마시우라. 그리함으로 네가 숯불을 그 머리에 쌓아 놓으리라”고 교훈하였다(롬 12:17, 19-20).
하나님께서는 또 “동포를 원망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무슨 일을 하다가 잘 안 되면, 우리는 남을 원망하기 쉽다. 그러나 우리는 남을 탓하지 말고 하나님의 섭리와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그 현실을 달게 받고 잘 대처하고 이겨나가야 한다. 사도 바울은, 빌립보서 2장에서, “모든 일을 원망과 시비가 없이 하라”고 교훈하였고(빌 2:14), 또 야고보는, 그의 서신에서, “형제들아, 서로 원망하지 말라”고 교훈하였다(약 5:9).
하나님께서는 또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과 같이 하라”고 말씀하셨다. 이 명령은, 주께서 하나님의 계명들 중에 가장 중요하다고 말씀하신 두 개 중 두 번째의 계명이다. 마태복음 22:35-40, “한 율법사가 예수를 시험하여 묻되, 선생님이여,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니이까?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는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
이웃을 우리의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은 하나님의 계명의 완성이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로마서 13:10에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고 말한 것이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이웃을 폭력으로 위협하거나 빼앗지 말아야 한다. 그런 자는 하나님의 징벌을 받을 것이다.
둘째로, 우리는 이웃의 소유물을 강제로 빼앗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도적질보다 더 나쁜 악한 일이며 그렇게 얻은 이익은 복이 되지 못한다.
셋째로, 우리는 일을 맡긴 자에게 그 삯을 뒤로 미루지 말고 약속대로 정한 때에 주어야 한다. 어려운 사람은 그 삯을 간절히 기다린다.
넷째로, 우리는 못 보고 못 듣는 이웃을 저주하거나 해치려 해서는 안 된다. 하나님께서는 다 보시고 다 들으시고 공의로 보응하실 것이다.
다섯째로, 우리는 모든 일을 공의로 판단하고 처리해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불의한 재판을 미워하시고 모든 일을 공의로 보응하실 것이다.
여섯째로, 우리는 다른 사람을 거짓되이 헐뜯고 비난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남의 명예와 평판을 떨어뜨리는 것은 참으로 나쁜 일이다.
일곱째로, 우리는 이웃을 죽을 지경에 이르도록 대적하지 말아야 한다. 책망은 사람을 살리는 것이어야지 죽이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여덟째로, 우리는 형제들을 마음으로 미워하지 말아야 한다. 미움은 이미 마음으로 그를 죽인 것이며 하나님 앞에서 큰 죄악이다.
아홉째로, 우리는 형제의 잘못을 보면 지적하고 책망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고 방관하면 우리에게도 책임이 없지 않을 것이다.
열째로, 우리는 원수를 갚지 말아야 한다. 원수 갚는 것이 하나님께 있으므로, 우리는 그 대신에 모든 사람에게 선을 베풀어야 한다.
열한째로, 우리는 이웃을 원망치 말아야 한다. 우리는 언제나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를 믿고 인정해야 하고, 또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자신의 부족을 반성하며 기쁨과 감사함을 잃지 말고 담대히 대처해야 한다.
열두째로, 우리는 이웃을 우리 몸과 같이 사랑해야 한다. 하나님의 모든 계명들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상의 법들은 온 세상의 창조자와 섭리자이신 여호와 하나님께서 친히 명하신 법들이며 모든 사람이 유념하고 지켜야 할 생활 법칙이다.
===19-28절, 순수한 종교
[19절] 너희는 내 규례를 지킬지어다. 네 육축을 다른 종류와 교합시키지 말며 네 밭에 두 종자를 섞어 뿌리지 말며 두 재료로 직조한 옷을 입지 말지며.
성경의 모든 말씀이 하나님의 말씀이며 하나님의 규례들이지만, 하나님께서는 본문의 교훈이 하나님의 규례, 곧 하나님께서 주시고 정하시고 세우신 규례들임을 강조하시며 그것을 지키라고 명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첫째로, “네 육축을 다른 종류와 교합시키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가축들의 이종교합(異種交合)을 금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수나귀와 암말의 교합으로 노새를 낳게 하는, 사람들의 오래된 관습은 하나님의 뜻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혼잡케 하는 일이다. 수노새가 생식력이 없다는 사실은 하나님께서 그 혼잡을 인정치 않으신다는 단적인 증거일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또, “네 밭에 두 종자를 섞어 뿌리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밭에 씨를 뿌릴 때, 벼와 보리, 밀과 수수를 섞어 뿌리는 것을 금하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식물들도 각각의 종류대로 창조하셨고 각각의 종류대로 재배되고 추수되기를 원하셨다.
하나님께서는 또한, “두 재료로 직조(織造)한 옷을 입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예를 들면, 아마포(리넨)와 양모, 혹은 면사와 명주실로 섞어 만든 옷 같은 것을 입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오늘날에는 섞어짠 천으로 만든 혼방 옷이 많은데, 하나님께서는 구약시대의 율법에서 이런 옷을 입는 것을 금지하셨다.
위의 세 가지 규례들은 공통적으로 하나님께서 세우신 창조 질서를 혼잡케 하지 말라는 뜻이 있다. 이 규례들은 무엇보다 하나님의 거룩한 진리들과 이 세상의 어리석은 사상들을 혼합시키는 혼합주의 즉 오늘날 말로 종교다원주의를 금하는 영적 교훈을 준다고 본다.
[20-22절] 무릇[누구든지] 아직 속량(贖良)도 되지 못하고 해방도 되지 못하고 정혼한 씨종과 사람이 행음하면 두 사람이 형벌은 받으려니와 그들이 죽임을 당치 아니할 것은 그 여인은 아직 해방되지 못하였음이라. 그 남자는 그 속건제물 곧 속건제 숫양을 회막문 여호와께로 끌어올 것이요 제사장은 그의 범한 죄를 위하여 그 속건제의 숫양으로 여호와 앞에 속죄할 것이요 그리하면 그의 범한 죄의 사함을 받으리라.
하나님께서는 여종과의 행음의 죄에 대해 말씀하시기를, 한 여종이 어떤 사람과 약혼하였으나 아직 속량되거나 자유롭게 되지 못한 상태에서 주인이 그와 행음하면, 그들이 벌을 받을 것이지만 죽임을 당하지는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 여종이 아직 자유케 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는 규정이다. 그러나 그 주인은 숫양을 속건제물로 삼고 그것을 회막문 여호와께로 끌어와야 하며 제사장은 그의 범한 죄를 위해 그 속건제의 숫양을 드려 여호와 앞에 속죄해야 하고 그리하면 그의 범한 죄가 사함을 얻을 수 있었다.
[23-25절] 너희가 그 땅에 들어가 각종 과목을 심거든 그 열매는 아직 할례받지 못한 것으로 여기되 곧 3년 동안 너희는 그것을 할례받지 못한 것으로 여겨 먹지 말 것이요 제4년에는 그 모든 과실이 거룩하니 여호와께 드려 찬송할 것이며 제5년에는 그 열매를 먹을지니 그리하면 너희에게 그 소산이 풍성하리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갔을 때 거기에서 난 곡물(穀物)을 먹게 하셨다. 그들이 길갈에 진 치고 여리고 평지에서 유월절을 지켰을 때, 그들은 유월절 이튿날 그 땅의 소산 즉 무교병과 볶은 곡식을 먹었다(수 5:10-11). 곡식들은 그들의 생존을 위해 허락되었던 것 같다. 그러나, 그들이 가나안 땅에서 과일나무를 심을 때는 3년 동안 할례받지 못한 나무로 간주하여 그 과일을 먹지 말고 제4년에는 그 과일을 하나님께 거룩히 드리고 제5년부터 그 과일을 먹으라고 규정하셨다. 과일은 필수적인 식단은 아니었다고 본다.
이것은 가나안 땅으로부터의 성별을 교훈하신 것 같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을 정복할 때 거기에 사는 거민들과 모든 가축들을 다 죽이게 명하셨다. 그런 정신에서 보면, 그들이 가나안 땅의 나무들의 과일들도 다 버려야 마땅할 것이지만, 하나님께서 3년의 기간을 주셨던 것이다. 이 규례는 가나안 땅의 과일나무들이 성별되어야 함을 보인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의 거민들과 구별된 거룩한 자들이 되기를 원하셨다.
[26절] 너희는 무엇이든지 피채 먹지 말며 복술을 하지 말며 술수를 행치 말며.
하나님께서는 “너희는 무엇이든지 피 채 먹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그는 레위기 17:12, 14에서 이미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내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기를, 너희 중에 아무도 피를 먹지 말며 너희 중에 우거하는 타국인이라도 피를 먹지 말라 하였노라,” “모든 생물은 그 피가 생명과 일체라. 그러므로 내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르기를, 너희는 어느 육체의 피든지 먹지 말라 하였나니, 모든 육체의 생명은 그 피인즉 무릇 피를 먹는 자는 끊쳐지리라[끊어지리라].”
하나님께서는 또, “[너희는] 복술을 하지 말며 술수를 행치 말라”고 말씀하셨다. ‘복술을 하다’는 원어(나카쉬 )는 ‘점을 치다’는 뜻이고, ‘술수를 하다’는 원어(아난 )는 ‘예언하다’는 뜻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자손이 악령들의 활동으로 점을 치거나 예언을 하는 등의 신비적 행위를 하지 말라고 명하신 것이다. 거짓된 신비주의는 참된 경건을 떠나게 한다. 이것은 신약시대에도 적용되는 교훈이다.
[27-28절] 머리 가를 둥글게 깎지 말며 수염 끝을 손상치 말며 죽은 자를 위하여 너희는 살을 베지 말며 몸에 무늬를 놓지 말라. 나는 여호와니라.
머리 가를 둥글게 깎고 수염 끝을 손상시키는 것은 그 당시 이방인들의 풍습이었고 죽은 자를 위해 살을 베고 몸에 무늬를 놓은 것, 즉 문신(文身)을 새기는 것도 당시 이방인들의 죽은 자에 대한 애도의 행위와 풍습이었다고 한다(Harrison).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방인들의 그런 풍습들을 본받지 말기를 원하셨다.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진리의 혼잡을 조심하자. 하나님께서는 다른 종류의 가축들 간의 교합이나 밭에 두 종자를 섞어 뿌리는 것을 금하셨고 두 재료로 직조한 옷도 입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주신 자연 질서를 혼잡케 말라는 뜻을 가지는 동시에, 참된 종교를 이방종교와 혼잡시키지 말라는 뜻도 있다고 본다. 우리는 기독교와 이방종교를 혼합시키지 말아야 하고, 역사적 기독교 신앙을 이해하고 보수하며, 기독교를 이방종교와 혼합하여 변질시킨 천주교회와 기독교의 근본 교리들을 부정하는 현대 자유주의 신학을 배격해야 하고 또 오늘날 각종 이단사설들을 배척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거짓된 신비주의를 조심하자. 하나님께서는 “[너희는] 복술을 하지 말며 술수를 행치 말라”고 말씀하신다. 그는 악령의 활동으로 점을 치거나 무당의 예언을 듣는 거짓된 신비적 행위를 금하신다.
신약성경도 우리가 거짓된 신비주의를 경계할 것을 교훈한다(마 24:24;계 13:13, 15; 살후 2:9-12). 우리는 오늘날 초자연적 은사들을 추구하여 방언과 예언과 병고침을 강조하며 기적을 행한다고 주장하는 은사주의자들과 신사도운동가들의 거짓된 말들과 허풍들을 매우 경계해야 하고, 오직 성경의 바른 교리를 배우고 믿고 생활교훈을 실천해야 한다.
셋째로, 우리는 세상 문화를 조심하자. 하나님께서는 머리 가를 둥글게 깎는 것이든지 수염 끝을 손상시키는 것이든지 죽은 자를 위해 살을 베거나 문신을 새기는 것을 금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방인들과 구별되기를 원하셨다.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세상 문화를 조심해야 한다. 세상 사람들은 앞이 많이 파진 옷과 매우 짧은 치마를 입고 시끄럽고 광란적이고 음란성이 있는 노래들도 듣고 부르고 춤도 추지만, 하나님을 경외하고 예수님 믿고 구원받은 성도는 그런 풍조를 배격하고 멀리해야 하고, 경건하고 거룩하고 단정한 삶을 살아야 한다.
===29-37절, 하나님의 법도를 지키라
[29절] 네 딸을 더럽혀 기생이 되게 말라. 음풍이 전국에 퍼져 죄악이 가득할까 하노라[네 딸을 더럽혀 (혹은 범하여) 그로 음행을 하게 하지 말며, 온 땅이 음행하며 온 땅이 죄악이 가득하지 않게 하라].
이것은 가정에서의 성결을 명하신 것이다. 부모는 자녀들의 순결성을 더럽혀서는 안 된다. 하나님의 계명 준수는 가정에서부터 실천되어야 한다. 또 부모는 자녀들로 하여금 거룩한 생활을 하도록 엄하게 교훈하고 지도해야 한다. 자녀들이 부모의 바른 교훈을 받지 않고 따르지 않는다면, 부모는 그들을 엄하게 징벌해야 한다.
사도 바울은, “음행을 피하라. 사람이 범하는 죄마다 몸 밖에 있거니와 음행하는 자는 자기 몸에게 죄를 범하느니라. 너희 몸은 너희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바 너희 가운데 계신 성령의 전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너희의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고 교훈하였다(고전 6:18-20).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사회의 도덕성을 염려하신 것은 신약교회의 도덕성을 염려하신 것이다. 세상은 악하고 음란한 세상이라 할지라도, 교회만은 하나님께서 통치하시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교회 안에와 성도들의 삶에는 음란 풍조가 들어와서는 안 된다. 또 나아가서, 성도들은 이 세상과 세속 사회에 선한 본이 되어야 한다. 주께서는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고 말씀하셨다(마 5:14). 성도들이 이 세상에서 거룩하고 선한 삶을 살면, 이 세상은 조금씩 나아질 것이다.
[30절] 내 안식일[들]을 지키고 내 성소를 공경하라. 나는 여호와니라.
하나님께서는 또 “내 안식일들을 지키라”고 말씀하셨다. 안식일들은 우리의 날이 아니고 하나님의 날이다. 모든 날이 하나님의 날이지만, 하나님께서는 안식일들을 구별하여 휴식과 공예배의 날로 지키게 하셨다. 안식일들은 온종일 또 온 식구가 잘 지켜야 했다. 특히 주간 안식일에 대해서는 그 날을 범하는 자에게 죽음이 경고되었다. 출애굽기 31:14-15, “너희는 안식일을 지킬지니 이는 너희에게 성일(聖日)이 됨이라. 무릇 그 날을 더럽히는 자는 죽일지며 무릇 그 날에 일하는 자는 그 백성 중에서 그 생명이 끊쳐지리라. 엿새 동안은 일할 것이나 제7일은 큰 안식일이니 여호와께 거룩한 것이라. 무릇 안식일에 일하는 자를 반드시 죽일지니라.”
하나님께서는 또 “내 성소를 공경하라”고 말씀하셨다. 제사로 하나님을 섬기는 장소인 성막은 하나님께서 구별하신 장소이며 이스라엘 백성은 그 성소를 공경해야 했다. 성막은 후에 성전이 되었고 오늘날 성도들의 모임인 교회가 되었다. 오늘날 우리는 교회를 귀히 여기고 교회가 모이는 장소인 예배당도 귀히 여겨야 할 것이다.
신약 성도는 교회에 힘써 모여야 한다. 히브리서 10:25는,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오직 권하여 그 날이 가까움을 볼수록 더욱 그리하자”고 말한다.
또 성도는 교회를 욕하거나 어지럽히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 고린도전서 3:16-17,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거하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뇨? 누구든지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면 하나님이 그 사람을 멸하시리라. 하나님의 성전은 거룩하니 너희도 그러하니라.”
[31절] 너희는 신접한 자와 박수를 믿지 말며 그들을 추종하여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
이것은 거짓된 신비주의를 금하신 말씀이다. 26절에서도, “복술을 하지 말며 술수를 행치 말라”고 말씀하셨다. 주 예수께서는 “거짓 선지자들을 삼가라. 양의 옷을 입고 너희에게 나아오나 속에는 노략질하는 이리라. 그의 열매로 그들을 알지니 가시나무에서 포도를 또는 엉겅퀴에서 무화과를 따겠느냐?” “그 날에 많은 사람이 나더러 이르되 주여 주여 우리가 주의 이름으로 선지자 노릇하며 주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며 주의 이름으로 많은 권능을 행치 아니하였나이까 하리니 그때에 내가 저희에게 밝히 말하되 내가 너희를 도무지 알지못하니 불법을 행하는 자들아, 내게서 떠나가라 하리라”고 하셨다(마7:15-16, 22-23). 우리는 거짓된 신비주의를 조심해야 한다.
[32절] 너는 센머리[흰머리] 앞에 일어서고 노인의 얼굴을 공경하며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 나는 여호와니라.
‘센머리 앞에 일어서고 노인의 얼굴을 공경하라’는 교훈을, ‘하나님을 경외하라’는 교훈과 함께 주신 것은, 우리가 하나님을 경외할 때 노인 공경의 교훈도 잘 지킬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희어진 머리 앞에 일어서고 노인의 얼굴을 공경하는 것은 십계명의 제5계명, 즉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계명에 내포된 바이다. 우리는 집에서는 부모님을 공경하고, 교회나 사회에서는 노인들을 공경해야 한다. 또 “젊은 자의 영화는 그 힘이요 늙은 자의 아름다운 것은 백발이니라”는 말씀대로(잠 20:29), 노인들은 흰머리를 부끄러워하지 말고 인생의 아름다움인 줄 알고 감사해야 하고, 또 젊은이들은 머리가 희어진 노인들을 공경하고 사랑해야 한다.
부모를 공경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 잠언 15:20은, “지혜로운 아들은 아비를 즐겁게 하여도 미련한 자는 어미를 업신여기느니라”고 말했고, 잠언 30:17은, “아비를 조롱하며 어미 순종하기를 싫어하는 자의 눈은 골짜기의 까마귀에게 쪼이고 독수리 새끼에게 먹히리라”고 말했다. 또 에베소서 6장에는, “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있는 첫 계명이니 이는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 아비들아, 너희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오직 주의 교양과 훈계로 양육하라”고 말한다(엡 6:1-4). 우리는 성경의 교훈대로 부모를 공경하고, 또 우리 자녀들로 부모를 공경하는 자가 되게 양육해야 한다.
[33-34절] 타국인이 너희 땅에 우거하여 함께 있거든 너희는 그를 학대하지 말고 너희와 함께 있는 타국인을 너희 중에서 낳은 자 같이 여기며 자기같이 사랑하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객이 되었더니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
하나님께서는 또 이스라엘 백성이 그들의 땅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을 학대하지 말고 동족같이 사랑하고 배려하라고 명령하셨다. 신약 성경도 우리에게 나그네를 대접하라고 말한다. 주께서는 양과 염소의 비유에서 나그네된 형제를 돌보지 않은 것이 주님을 돌보지 않은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마 25:35-36, 40). 또 감독의 자격 요건들 중 하나는 ‘나그네를 대접하는 것’이다(딤전 3:2; 딛 1:8). 히브리서 13:1-2는 “형제 사랑하기를 계속하고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 이로써 부지중에 천사들을 대접한 이들이 있었느니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회에 찾아온 새얼굴들부터 따뜻하게 영접하자.
[35-36절] 너희는 재판에든지 도량형에든지 불의를 행치 말고 공평한 저울과 공평한 추와 공평한 에바와 공평한 힌을 사용하라. 나는 너희를 인도하여 애굽 땅에서 나오게 한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
이것은 재판을 할 때나, 장사를 할 때나 공의롭고 정직하고 진실하게 해야 할 것을 명하신 것이다. 우리는 더러운 이, 즉 불의하고 부정당한 이익을 구하지 말아야 한다. 사업하는 자와 장사하는 자는 정직하고 진실하게 해야 자신에게 복이 된다. 잠언 16:8은 “적은 소득이 의를 겸하면 많은 소득이 불의를 겸한 것보다 나으니라”고 말한다.
사도 바울은 장로와 집사의 자격 요건들 중의 하나로 ‘더러운 이를 탐하지 아니하는 것’을 꼽았다(딤전 3:2; 딛 1:8).
[37절] 너희는 나의 모든 규례와 나의 모든 법도를 지켜 행하라. 나는 여호와니라.
<16) 레위기 19장에 ‘나는 여호와니라’는 말씀이 여덟 번(12, 14, 16, 18, 28, 30, 32, 37절),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는 말씀이 일곱 번(3, 4, 10, 25, 31, 34, 36절) 나온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이다.>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의 모든 규례와 법도를 지켜야 했다. 오늘날 하나님의 모든 규례와 법도가 성경말씀이다.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義)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다(딤후 3:16). 데살로니가후서 2:15, “형제들아, 굳게 서서 말로나 우리 편지로 가르침을 받은 유전을 지키라.”
본문의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로, 우리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주일을 지키고 교회를 귀히 여기자.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것은 사람에게 가장 중요하고 복된 일이다. 우리는 주일에 온 식구가 교회에 나와 그 날을 온종일 거룩히 지키도록 노력하고 또 교회를 귀히 여기며 사랑하자.
둘째로, 우리는 신접한 자와 박수를 믿지 말며 그들을 따르지 말자. 우리는 오늘날 교회들 안에 유행하는 거짓된 신비주의와 은사주의를 조심하고 배격하고 오직 성경말씀 중심의 신앙생활을 해야 한다.
셋째로, 우리는 부모를 공경하고 노인들을 공경하자. 우리는 가정에서 부모를 공경하고 기쁘시게 하고 보답하고 순종해야 하고, 또 교회와 사회에서는 나이든 이들을 공경하고 존중하고 사랑해야 한다.
넷째로, 우리는 외국인 근로자들이나 배우자들을 학대하지 말고 또 신입교인들을 사랑으로 영접하자. 우리는 그런 자들을 배려하고 도와주어야 하며, 또 교회의 신입교인들을 사랑으로 영접해야 한다.
다섯째로, 우리는 음란한 행위와 풍조를 조심하자. 우리는 가정에서부터 거룩을 실천하고, 우리 자녀들을 음란한 세상과 구별되게 단정하고 순결하게 키워야 하며, 우리의 교회를 거룩한 교회로 세워야 한다.
여섯째로, 우리는 재판이나 상거래에서 공의롭고 정직하고 진실하자. 우리는 모든 일을 공정하게 판단해야 하고, 상업 활동에서 결코 불의하고 더러운 이익을 취하지 말고 공의롭고 정직하고 진실해야 한다.
일곱째로, 우리는 하나님의 모든 명령과 교훈을 행하자. 신구약 성경은 우리의 신앙생활의 법칙이며, 거기에 계시된 하나님의 뜻은 의와 선을 행하는 것이다. 우리는 성경의 모든 교훈을 순종해야 한다.
===
===
메시지 39 - 부정한 것은 사람속에서 나옴 (1) (( 레위기 13:2-28))
레위기 11장에서 우리는 음식을 분별하는 것, 즉 먹는 것을 분별함이 필요하다는 것을 본다. 즉 우리는 우리가 접촉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12장에서 우리는 사람의 출생이 부정함과 관련되어 있음을 본다. 왜냐하면 우리는 부정한 것으로 태어났기 때문이다.
이제 13장에서 우리는 문둥병의 문제에 이르렀다.
음식을 분별하는 것은 우리가 외적으로 접촉하는 것과 밖으로부터 받아들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반대로 부정한 우리의 출생은 우리가 외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관계된 것이 아니라 내적으로 우리의 어떠함에 관계된 것이다.
우리는 출생에 의해 부정하다. 이 부정함은 우리 안에 있는 어떤 것이다. 우리는 죄인들로 태어났다.
우리는 뭔가 죄된 것을 행하거나 우리의 위치와 우리의 구성 성분을 바뀌게 하는 것을 외부에서 받아들임으로써 죄인이 된 것이 아니다. 그렇다. 우리는 출생으로 인해 죄인이 되었다.
우리가 정결한 것을 접촉하든 부정한 것을 접촉하든, 우리는 여전히 죄인이다.
죄인이 되는 것은 우리가 외적으로 접촉하는 것과 관계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죄인이 되는 것은 우리 출생의 문제이다.
문둥병을 (전염병이기는 하지만, 깊은 차원에서 볼 때 근원이 무엇인지는) 분석하기는 어렵다.
우리는 문둥병이 바깥에서부터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문둥병은 문둥병의 병균이 사람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생기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또 문둥병이 안에서부터 나온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문둥병의 성분이 이 질병을 일으키기 위하여 사람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 한, 문둥병은 발전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둥병은 외부적인 인자(因子)와 내부적인 결과 둘 다로 이루어진다. 원인은 외부에서 오지만 결과의 확산은 내부적인 것이다.
우리는 세 가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음식을 분별하는 것과 부정함으로 이루어진 사람의 출생과 문둥병, 이 세 가지 문제들은 우리의 모든 문제들을 망라하고 있으며, 우리가 거룩한 생명으로 사는 것은 그것들과 많은 관련이 있다.
우리는 우리가 접촉하는 것과 우리의 출생과 외부적인 인자와 내부적인 결과로 생기는 문둥병에 관하여 자문해볼 필요가 있다.
만일 우리가 이것들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면, 우리가 거룩한 생명으로 사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만일 우리가 나쁜 것들을 접촉하고, 부정하게 태어난 사람들이고, 우리를 문둥병에 들게 하는 외부적인 인자와 내부적인 결과에 걸리기 쉽다면, 우리가 어떻게 거룩한 생명으로 살 수 있겠는가? 그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문둥병자가 거룩한 생명으로 살 수 있는가? 결코 그럴 수 없다!
거룩한 생명으로 살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가 접촉하는 것과 우리의 출생과 우리의 문둥병적인 상태를 처리해야 한다.
Ⅰ. 문둥병은 사람의 내부에서 산출된 심각한 죄[반역죄]를 상징함
문둥병(2절)은 고의적인 죄와 주제넘은 죄와 단호히 하나님을 대항하는 것과 같은(참조 : 미리암-민12:1-10, 게하시-왕하 5:20-27, 웃시야-대하 26:16-21) 사람 안에서 산출되는 심각한 죄를 상징한다.
사실상 문둥병은 사람 속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밖에서부터, 즉 사람 안으로 들어온 세균이나 박테리아로 인해 시작된다.
그런 다음에 문둥병은 구약에 예시된 세 가지 경우-미리암과 게하시와 웃시야-처럼 사람 안에서부터 나오게 된다. 문둥병은 항상 반역에서부터 온다.
미리암은 하나님의 대리(代理) 권위인 모세에게 반역했다.
그녀의 반역에는 원인이 있었는데, 그 원인은 모세가 구스 여자와 결혼한 것이었다(민 12:1).
그녀의 반역의 결과로 미리암은 문둥병에 걸렸다(10절). 그녀의 문둥병은 그녀의 반역으로 인해 생긴 것이었다.
왕하 5장 20절부터 27절에서, 엘리사의 사환 게하시는 엘리사의 실행에 대해 반역했다.
엘리사는 문둥병을 치료받았던 이방인 나아만으로부터 어떤 보상도 받으려고 하지 않았다.
게하시가 문둥병이 깨끗케 된 대가로 선물들을 받은 후, 나아만의 문둥병이 그에게 옮겨졌다. 게하시도 반역 때문에 문둥병에 걸렸다.
역대하 26장 16절부터 21절에서, 웃시야 왕은 제사장 직분에 관한 왕의 규례에 반역했다.
이 규례에 따르면, 왕은 제사장 직분에 참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웃시야는 이 규례에 반역했고, 반역의 결과로 그는 문둥병이 들었다.
이 세 가지의 경우에서, 문둥병은 먼저 반역하는 사람 안으로 들어갔고, 그런 다음에 그 사람에게서 나왔다.
구약에 따르면, 문둥병은 어떤 원인의 결과이며, 그 원인은 하나님의 권위에 대한 반역이며, 하나님의 대리 권위에 대한 반역이며 하나님의 규례와 경륜에 대한 반역이다.
우리 모두는 우리가 하나님의 권위와 그분의 대리 권위에 반역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더 나아가서 우리는 종종 하나님의 규례에 반역한다. 끝으로 우리는 또한 하나님의 경륜 전체에 대해서도 반역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 모두는 문둥병에 걸린 사람들이다. 문둥병이 우리 안으로 들어왔고 우리 안에서 발생했다.
문둥병은 죄이다. 성경에서 죄의 첫 번째 경우는 사탄의 반역이다. 사탄은 하나님께 반역했으며, 그 반역은 지금 우주에 존재하는 죄가 되었다. 사탄이 반역하기 전에는 죄와 같은 것이 없었다. 죄는 창조된 것이 아니라 반역자 천사장 루시퍼에 의해 고안된 것이다.
죄는 사실상 문둥병이다. 성경적인 의미에서 볼 때, 죄의 표시는 반역이다.
그러므로 죄는 하나님을 반역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대표 권위 혹은 대리 권위를 반역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계획과 안배와 통치와 행정을 반역하는 것이다.
총괄해서 볼 때, 죄는 하나님의 경륜에 대한 반역이다. 이 반역은 사탄 자신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그 자신에 의해 개시(開始)되었다. 결국 죄는 인류 안으로 들어왔다.
『이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롬 5:12上). 이 죄, 즉 문둥병이 사람 안으로 들어온 후, 이제 사람 안에서부터 나온다. 그 결과 우리는 문둥병에 걸린다.
우리가 하나님을 대항해서 어떤 것을 할 때마다, 그것은 문둥병이 된다. 이것으로 우리는 죄가 문둥병의 문제임을 볼 수 있다. 문둥병은 죄를 의미한다.
주 예수님이 천국 헌법을 반포하셨던 산에서 내려오셨을 때, 그분이 처음으로 하신 일은 한 문둥병자를 깨끗케 하신 것이었다(마 8:1-14).
이 문둥병자는 타락한 아담의 자손들, 즉 문둥병자들인 모든 사람을 대표한다. 사탄에 의하여 고안된 죄는 아담을 통하여 인류 안에 들어와서 우리 모두를 문둥병자로 만들었다.
이제 문둥병은 여러 가지 많은 죄들, 즉 반역의 많은 표현들과 나타남을 산출한다.
Ⅱ. 사람의 피부에 무엇이 돋거나 딱지가 앉거나 색점이 생기는 것
사람의 피부에 무엇이 돋거나 딱지가 생기거나 색점이 생기는 것(레 13:2上)은 제멋대로 하는 것, 다른이들과의 마찰, 자만과 자기를 높이는 데 있어서의 사람의 외적인 표현들을 상징한다. 사람의 피부에 무엇이 돋거나 딱지가 앉거나 색점이 생기는 것은 문둥병의 표시이다. 영적으로 말하자면, 이것은 제멋대로 하고 제어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제멋대로 하는 것은 무엇이 돋는 것이다. 제멋대로 하는 사람은 어떤 규정(規定) 아래에도 있지 않은 사람이다. 다른이들과의 마찰도 문둥병의 표시이다.
우리는 형제들과의 마찰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마찰은 문둥병이 사람 안에서부터 발생한다는 것의 표시인 딱지가 앉는 것이다.
자만과 자기를 높이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이 모든 것은 사람이 문둥병에 걸렸다는 징후이며 표시이다.
Ⅲ. 제사장에게 데려가서 제사장이 그를 진찰하고 칠 일 동안 금고(고립)하는 것
제사장에게 데려가서 제사장이 진찰하고 칠 일 동안 금고(고립)하는 것(2下-28절)은, 한면으로 주님께 데려가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한면으로는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에게 데려가서 그들이 진찰하고 시간의 온전한 과정 동안 다른이들과의 접촉을 금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 예수님과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들, 즉 섬기는 제사장들은 어떤 사람이 문둥병에 걸린 사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 사람을 진찰할 수 있는 자격을 갖고 있다.
Ⅳ. 문둥병의 외양
이제 문둥병의 외양을 살펴보도록 하자. 문둥병의 외양이 문둥병의 실체이다. 문둥병의 외양에 관한 이 장에서 우리가 갖는 것은 신성한 진단법, 신성한 의술(醫術)이다.
A. 털이 희어짐
털이 희어지는 것은 행동하기 위한 힘, 즉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힘이 저하됨을 의미한다.
이스라엘 자손은 검은 털을 가졌다. 어떤 이스라엘 사람의 검은 털이 희어졌다는 것은 그 사람이 약해졌다는 표시이다. 그것은 병이 있음을 가리켰다.
B. 환처가 피부보다 우묵하여짐
3 절 하반절은 환처가 피부보다 우묵하여진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딱지가 앉고 그 다음에는 환처가 피부보다 깊이 패인다.
이것은 사람의 그릇된 행위가 가려지고 시인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C. 피부에 색점이 희나 우묵하지 아니하고 털이 희지 아니함
4 절 상반절은 피부에 색점이 희나 우묵하지 않고 그 털이 희지 않은 것에 대해 말한다. 이것들은 문둥병의 표시가 아니라 좋은 표시이며 좋은 징후이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사람의 그릇된 행위가 가려지지 않고 시인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 사람의 행동하기 위한 힘이 저하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D. 환처가 엷어지고 병색이 피부에 퍼지지 아니함
레위기 13장 6절은, 『칠 일 만에 제사장이 또 진찰할지니 그 환처가 엷어지고 병색이 피부에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피부병이라 제사장이 그를 정하다 할 것이요』라고 말한다.
환처가 엷어지고 병색이 피부에 퍼지지 않은 것은 어떤 사람의 약함이 은혜로 그 사람 안에서 역사하시는 그리스도의 회복의 역사로 말미암아 생명으로 삼켜진 바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사람은 치료되었으며 회복되었다.
E. 피부에 흰 점이 돋고 털이 희어지고 거기 난육이 생겼으면 이는 그의 피부의 오랜 문둥병임
『제사장은 진찰할지니 피부에 흰 점이 돋고 털이 희어지고 거기 난육이 생겼으면 이는 그의 피부의 오랜 문둥병이라 제사장이 부정하다 진단할 것이요 그가 이미 부정하였은즉 금고하지 않을 것이며』 (10-11절). 이것은 옛 죄가 행위를 위한 힘의 약함으로 말미암아 다시 되돌아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F. 문둥병이 그 피부에 크게 발하였고, 머리부터 발까지 퍼졌고, 다 희어진 문둥병 환자는 정함
『제사장의 보기에 문둥병이 그 피부에 크게 발하였으되 그 환자의 머리부터 발까지 퍼졌거든 그가 진찰할 것이요 문둥병이 과연 그 전신에 퍼졌으면 그 환자를 정하다 할지니 다 희어진 자인즉 정하거니와』(12-13절). 이것은 죄로 가득한 자이나 하나님 앞에서 그가 지은 모든 죄를 시인하고자 하는 자는 깨끗하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우리의 의견과는 상반된다. 여기서의 예표에 따르면, 만일 어떤 사람이 죄로 가득하고 아주 죄가 많으나 그의 죄가 가려지지 않고 하나님 앞에서 철저하게 시인한다면, 그는 사함받고 깨끗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드러나기를 원치 않고 자신을 숨기는 자는 문둥병이 걸린 채로 남게 될 것이다. 자신을 숨기고 우리의 죄를 가리는 것은 문둥병의 표시이다.
G. 난육이 발생하면 이는 문둥병임
『아무 때이든지 그에게 난육이 발생하면 그는 부정한즉 제사장이 난육을 보고 그를 부정하다 진단할지니 그 난육은 부정한 것인즉 이는 문둥병이며』(14-15절).
여기에서 우리는 난육이 발생할 때 이것이 문둥병임을 본다. 이것은 옛 죄가 다시 되돌아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H. 난육이 변하여 다시 희어지면 문둥병은 정하여짐
『그 난육이 변하여 다시 희어지면 제사장에게로 갈 것이요 제사장은 그를 진찰하여서 그 환처가 희어졌으면 환자를 정하다 할지니 그는 정하니라』(16-17절).
이것은 만일 되풀이되는 죄가 고백되어지면 정결해질 것임을 의미한다.
I. 종처에 흰 점이 돋거나 희고 불그스름한 색점이 생겼으면 문둥병임
『피부에 종기가 생겼다가 나았고 그 종처에 흰 점이 돋거나 희고 불그스름한 색점이 생겼으면 제사장에게 보일 것이요 그는 진찰하여 피부보다 얕고 그 털이 희면 그를 부정하다 진단할지니 이는 종기로 된 문둥병의 환처임이니라』(18-20절).
이것은 사람이 구원받은 후, 그의 외적인 생활이 약해지고 그의 행동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약점을 갖게 된 것을 의미한다.
J. 피부를 불에 데었는데 그 곳에 불그스름하고 희거나 순전히 흰 색점이 생기면 이는 문둥병임
『피부를 불에 데었는데 그 덴 곳에 불그스름하고 희거나 순전히 흰 색점이 생기면 제사장은 진찰할지니 그 색점이 털이 희고 그 자리가 피부보다 우묵하면 이는 화상에서 발한 문둥병인즉 제사장은 그를 부정하다 할 것은 문둥병의 환처가 됨이니라』(24-25절).
이것은 구원받은 사람의 육체에 의한 행위-예를 들어, 성질을 이기지 못하거나 스스로 의롭다 하거나 다른 사람을 용서하려고 하지 않는 것-는 질병의 표시임을 상징한다.
우리의 성질을 이기지 못하는 것은 죄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영적인 문둥병의 표시이다.
스스로 의롭다 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스스로 의롭다 하는 것, 즉 자신을 변명하고 자신의 실패와 잘못과 잘못된 일들을 고백하려고 하지 않는 것은 영적인 문둥병의 징후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려고 하지 않는 것도 영적인 문둥병의 징후이다.
타락한 사람들인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기는 어렵지만 우리를 마음 상하게 했던 사람들을 기억하기는 쉽다.
때로 우리는 주님 안에서 우리의 형제 자매들을 용서하기는 하지만 마음 상한 것을 잊어버리지 않은 채 용서한다.
우리는 마음 상한 것을 기억하고 심지어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면서도 시종 마음 상하게 한 당사자들을 용서했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것은 잊지 않고서 용서하는 것이며 영적인 질병의 표시이다.
교회 생활 안에서 우리 모두는 우리의 동기와 목적과 행위들에 있어서 우리가 얼마나 순수한가를 시험받는다.
교회 생활은 우리가 어디에 있고 우리가 어떠하며 우리가 누구인가를 증명할 것이다.
우리의 인격과 우리의 마음과 우리의 생각과 우리의 감정과 우리의 의도와 우리의 목적 이 모든 것이 교회 생활에 의해 시험되어질 것이다.
아마 우리의 동기가 어느 정도는 순수할 수 있으나 완전히 순수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 가운데 어느 누가 자신은 동기와 의도와 의지와 목적에 있어서 완전히 순수하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우리 중 어느 누구도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우리는 부정한 것으로 태어났고 부정함의 총체(總體)라는 것을 기억하라. 부정함의 총체인 사람이 동기에 있어서 전적으로 순수해지기란 불가능하다.
만일 우리가 부정함의 총체이고 우리의 동기와 의도와 목적에 있어서 순수해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우리가 본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완전한 구원이 우리에게 얼마나 필요한가를 깨닫게 될 것이다.
우리에게는 죽음과 부활을 거치신 그리스도가 필요하다. 우리에게는 우리의 번제물이고 속죄 제물이신 그리스도가 필요하다. 우리의 번제물이신 그리스도는 우리의 생활이다.
우리의 속죄 제물이신 그리스도는 우리의 구원받기 전의 죄뿐 아니라 구원받은 후에도 여전히 짓는 우리의 죄를 돌보신다.
우리는 죽음과 부활을 거치신 그리스도를 가지며, 번제물이시고 속죄 제물이신 그리스도를 갖는다. 이것이 하나님의 완전한 구원이다.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에 우리는 주님께 우리의 죄들과 불순한 것들을 사해 달라고 구하면서 주님 앞에서 고백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특별히 우리는 우리의 동기에 있어서의 어떤 불순한 것도 사해 달라고 주님께 간구해야 한다.
우리는 그분을 다시 한번 우리의 속죄 제물과 속건 제물로 취해야 하며, 그분의 보배롭고 정결한 피를 우리의 상황에 적용해야 한다.
그럴 때 우리는 정결한 양심, 즉 피와 그 영으로 인해 정결해진 양심으로 평안히 잠잘 수 있을 것이다.
레위기의 두 번째 부분, 즉 우리의 거룩한 생활을 다루는 부분은 음식을 분별하는 것과 출생의 부정함과 우리의 문둥병적인 상태의 세 가지 문제로 시작된다.
문둥병은 사탄에 의해 고안된 죄이다. 죄는 우리 조상 아담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우리 안으로 들어왔다. 아담이 타락한 후, 사탄에 의해 고안된 바로 그 문둥병이 우리 안으로 들어왔다. 이 문둥병은 여전히 우리 안에 남아 있다. 이것이 바울이, 『만일 내가 원치 아니하는 그것을 하면 이를 행하는 자가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 죄니라』(롬 7:20)고 말할 수 있었던 까닭이다. 바울은 문둥병의 병균이 우리 안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문둥병은 우리 안으로 들어온 다음, 이제는 우리 안에서부터 죄들과 허물들과 범죄들로 산출된다.
이것들 때문에 우리에게는 우리의 속죄 제물이요 속건 제물이신 그리스도가 필요하다.
============
메시지 40 - 부정한 것은 사람속에서 나옴 (2) (( 레위기 13:29-31, 33, 34下, 37-41, 45-46, 고린도전서 5:13))
지난 메시지에서 우리는 문둥병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번 메시지에서 우리는 문둥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게 될 것이다.
Ⅴ. 머리와 수염의 환처
레위기 13장 29절은 머리와 수염의 환처에 대해 말한다. 성경에서 머리, 특히 머리털은 우리의 영광을 의미한다. 고린도전서 11장은 머리털이 영광과 관련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수염은 영광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위엄과 관련된다. 위엄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위엄이 존귀의 일종이라고 말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위엄은 사실상 스스로 정하는 존귀이다. 사회적으로 신분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존귀히 여길 것이다. 그러나 만일 어떤 사람이 존귀한 체한다면, 이것은 위엄의 문제이다.
영적으로 말하자면, 수염은 위엄, 즉 사람이 스스로 정하는 존귀와 관련된다. 수염을 갖는 것은 사람의 위엄을 과시하는 것이다.
영광을 의미하는 머리와 위엄을 의미하는 수염에 환처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문둥병이 사람의 영광과 위엄 안에 감취어져 있기가 쉬움을 가리킨다.
어떤 사람이 존귀히 여김을 받는 것은 문둥병이 아니지만, 스스로 존귀하는 체하는 것은 문둥병이다.
하나님의 지혜를 볼 수 있는 레위기 13장은 우리의 죄를 진단하는 신성한 진단을 우리에게 준다.
문둥병은 죄와 동의어이며, 죄는 반역과 동의어이다. 죄는 반역이다. 사실상 우주에는 오직 한 가지 죄가 있으며, 이 죄는 반역이다.
창조 안에서 하나님이 정하신 원칙에 따르면, 모든 것이 질서를 갖고 있고 어떤 권위와 관련된다.
우주의 모든 곳에 권위가 있다. 가정과 학교에 권위가 있다. 만일 이 나라에 권위가 없다면, 어떤 평화나 질서도 있을 수 없을 것이다.
반역은 권위와 반대된다. 반역하는 사람들은 권위를 대적한다.
신성한 의미에서 볼 때, 권위는 하나님 자신과 동의어이다. 하나님은 우주 가운데 권위이시다.
사탄은 이 신성한 권위를 깨뜨리려 했으나 실패했으며, 그의 반역으로 인해 심판받았다.
오늘날 하나님의 창조되고, 선택되고, 구속받고, 구원받은 백성, 특히 거듭난 그분의 자녀인 우리는 가장 복종적이고 순종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
로마서 5장은 죄를 짓는 것은 불순종하는 것임을 가리킨다. 죄는 아담의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인류 안으로 들어왔다(19절).
당신은 불순종이 무엇인지 아는가? 그것은 반역이다. 불순종과 반역은 동의어이다. 불순종은 반역이며, 반역은 사탄과 동의어이다.
반역이 사탄과 동의어인 것처럼, 권위는 하나님과 동의어이다. 반역과 관련된 것은 무엇이든 사탄에 속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 안에서의 반역의 표현에는 많은 방면들이 있다. 각 방면들은 죄이거나 허물이거나 범죄이거나 지나침이거나 위반함이다.
이것들은 외관상 사소할지 모르나, 이 모든 것들은 유일한 죄-반역-의 표현들이다.
우리는 죄의 근원이 반역이고, 반역은 사탄이 고안해 낸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므로 죄는 사탄에게서 나온다.
더 나아가서 모든 죄는 반역의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반역의 외양을 지니고 있다. 가장 작은 죄라도 반역의 성분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죄를 짓는 것은 하나님께 반역하는 것이다. 죄를 지을 때마다 우리는 하나님께 반역한다.
A. 머리의 환처
머리의 환처(레 13:29上)는 권위에 대해 복종함과 생각하는 데 있어서 잘못된 것을 상징한다.
생각하는 데 있어서 잘못된 모든 것은 권위에 대해 잘못된 태도를 갖는 것과 관련된다. 잘못된 생각의 근원은 반역이다.
만일 권위에 대한 어떤 사람의 태도가 잘못되어 있다면, 그의 생각이 잘못된 것이다.
그러나 만일 권위에 대한 어떤 사람의 태도가 옳다면, 그의 생각에는 아무런 잘못된 것이 없을 것이다.
B. 수염의 환처
수염의 환처(29下)는 자신을 대단하게 여기고, 자신을 위엄 있다고 여기며, 다른 사람들의 칭찬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을 대단하게 여기는 대신에, 우리는 자신을 하찮게 여겨야 한다.
자신을 위엄 있다고 여기거나 다른 사람들의 칭찬을 추구하는 것은 문둥병이다.
칭찬을 추구하는 이것은 자녀들의 행위에서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님들과 방문자들과 친척들 앞에서 어린 아이는 종종 그들이 그를 칭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신을 나타내려고 한다. 그는 다른이들의 칭찬을 추구하기 때문에 그렇게 행동한다. 메시지를 전할 때조차도 우리는 다른이들에게 높임을 받으려고 하기가 쉽다.
말씀 전하는 이는 자신이 얼마나 유식하고 박식하며 유창한가를 보여줌으로써 위엄 있는 체할 것이다. 공개적으로 말씀 전하는 이가 이런 식으로 문둥병에 걸리기란 아주 쉽다.
C. 누르고 가는 털
레위기 13장 30절은, 『제사장은 진찰할지니 환처가 피부보다 우묵하고 그 자리에 누르고 가는 털이 있으면 그는 그를 부정하다 할 것은 이는 옴이라 머리에나 수염에 발한 문둥병이라』고 말한다. 누르고 가는 털은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하기 위한 힘이 저하된 것을 상징한다. 영적으로 말하자면, 만일 우리가 합당하고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하기 위하여 우리의 영 안에서 강하다면, 우리는 검은 털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만일 우리의 털이 누르고 가늘게 되었다면, 이는 우리의 영적인 힘이 감소되었다는 표시이다. 누르고 가는 털은 질병의 표시이며, 이 질병은 반역에서 나온다. 그런 털은 하나님께 대한 반역의 표시이다. 즉 그것은 적어도 어떤 일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 복종적이지 않고 순종하지 않는다는 것을 가리킨다.
성경에 있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아주 사소한 불순종이라도 우리의 털을 누르고 가늘게 만들 것이다.
때로 어떤 자매는 그녀의 남편이 영적으로 약해졌다는 것, 즉 그가 하나님의 것들과 하나님의 말씀을 취하는 데 있어서 약해졌음을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이 형제는 문둥병의 표시, 즉 반역의 표시인 누르고 가는 털을 갖고 있는 것이다.
D. 피부보다 우묵하지 아니하고 그 자리에 검은 털이 없음
계속해서 31절은, 『만일 제사장의 보기에 그 옴의 환처가 피부보다 우묵하지 아니하고 그 자리에 검은 털이 없으면 제사장은 그 옴 환자를 칠 일 동안 금고할 것이며』라고 말한다.
이 구절은 환처가 피부보다 우묵하지 않고 그 자리에 검은 털이 없는 것에 대해 말한다. 이것은 어떤 사람의 죄가 가려져 있지 않으며 그가 그것을 저항할 힘을 갖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피부보다 우묵하지 않은 환처는 적극적인 표시이기 때문에, 그것은 사람의 죄가 가려져 있지 않으며 죄를 가리려는 마음이 없다는 것을 가리킨다. 검은 털이 없다는 것은 소극적인 표시이다. 즉 그것은 죄를 저항할 힘이 부족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사실상 이 구절에 기록된 상황은 애매모호하다. 이것 때문에 제사장은 그 환자를 칠 일 동안 금고해야 했다.
E. 수염은 밀되 머리는 밀지 않음
수염은 밀되 머리는 밀지 않는 것(33절-원문 참조)은, 자신을 대단하게 여기고 스스로 위엄을 갖는 것 등은 처리해야 하나 권위에는 복종해야 함을 의미한다.
고린도전서 11장이 가리키는 바와 같이 머리를 밀지 않는 것은 권위에 복종하는 것이다.
머리를 미는 것은 반역의 표시이다. 영적으로 말하자면, 우리는 우리의 수염은 밀어야 하지만 우리의 머리는 그대로 두어야 한다.
그러나 어떤이들은 머리는 깎고 수염을 기른다. 이것은 그들이 반역적이며, 스스로 위엄 있는 체하며, 다른이들에게 높임받으려고 하는 사람들임을 가리킨다.
F. 옷을 빪
34 절 하반절은 옷을 빠는 것에 대하여 말한다. 옷은 우리의 행위, 즉 우리의 매일의 행실을 의미한다.
옷을 빠는 것은 행동의 약점과 범죄와 결함과 반역의 말들과 합당치 못한 행위들로 인하여 더럽혀진 것을 처리함을 의미한다.
우리 모두는 그러한 것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먼저 피와 그 영으로 완전히 빠는 것이 필요하다.
G. 옴 자리에 검은 털이 남
『그러나 제사장의 보기에 옴이 여전하고 그 자리에 검은 털이 났으면 그 옴은 나았고 그 사람은 정하니 제사장은 그를 정하다 진단할지니라』(37절).
옴 자리에 검은 털이 나는 것은 좋은 표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할 수 있는 힘이 그의 약함 속에서 증가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환처 바로 그 자리에 검은 털이 난다. 이것은 영적인 힘이 우리의 약함에서 되돌아옴을 의미한다.
H. 피부의 흰 색점
38 절은, 『남자나 여자의 피부에 색점 곧 흰 색점이 있으면』이라고 말한다. 이 흰 색점은 자신을 과시하려는 병을 의미한다.
I. 피부의 색점이 부유스름함(거무스름함)
『그 피부의 색점이 부유스름하면 이는 피부에 발한 어루러기라 그는 정하니라』(39절).
이것은 자기 과시의 약함에서 회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사람이 자신을 과시하려 하고 스스로 존귀한 체할 때, 그 사람은 흰 색점을 갖게 될 것이다. 이 점은 소극적인 표시이다. 피부의 색점이 부유스름한 것은 적극적인 표시로서 그것은 자신을 낮추고, 자신을 과시하려는 병에서 회복되었다는 것을 가리킨다.
J. 대머리가 됨
40 절은, 『누구든지 그 머리털이 빠지면 그는 대머리니 정하고』라고 말한다.
이것은 반역하는 것이 아니라 권위에 복종하는 것을 잃어버렸음을 의미한다. 여기에 반역의 표시는 없고 다만 권위에 복종하는 것을 상실했다는 표시만 있다.
K. 이마 대머리
계속해서 41절은, 『앞머리가 빠져도 그는 이마 대머리니 정하니라』고 말한다.
이마 대머리는 권위에 복종하지도 않고 사람들 앞에서와 공적인 일에 있어서 반역도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Ⅵ. 문둥 환자는 다른이들에게 자신의 문둥병을 시인해야 함
레위기 13장 45절과 46절은, 문둥병 환자는 다른이들에게 자신의 문둥병을 시인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죄인이 다른이들에게 자신의 죄를 시인해야 함을 의미한다.
A. 옷을 찢음
45 절은, 『문둥 환자는 옷을 찢고 그 머리를 풀며 윗입술을 가리우고 외치기를 부정하다 부정하다 할 것이요』라고 말한다.
우리는 여기서 문둥 환자가 다른이들에게 문둥병을 시인하는 것의 여러 방면을 본다.
첫 번째 방면은 옷을 찢는 것이다. 이것은 죄를 범한 사람이 자신의 도덕 상실을 인정함을 의미한다. 옷을 찢는 것은 사람이 도덕성을 상실했다는 것을 인정하는 표시이다.
B. 머리를 풂
문둥 환자는 머리를 풀었다. 이것은 문둥 환자가 완전히 권위에 대한 복종을 상실한 사람이며, 제멋대로이며, 부주의한 사람임을 의미한다.
그런 사람은 반역적이며 어떤 권위도 주의하지 않는다. 머리를 푼다는 것은 제멋대로인 것의 표시이다. 즉 이것은 그 사람이 문란하고 규례와 규칙을 주의하지 않음을 가리킨다.
C. 윗입술을 가림
문둥 환자는 또 윗입술을 가렸다. 『그 문둥병자는 부정하다 부정하다 하며 외칠 수 있을 만큼만 입을 열 수 있도록 한 채 붕대로 얼굴 아랫 부분을 감았다.』(George Buch).
윗입술을 가리는 것은 문둥병자(죄인)에게서 나온 모든 것이 불결하고 전염성이 있어서 그는 접촉되어서는 안 됨을 가리킨다.
D. 「부정하다 부정하다」라고 외침
문둥 환자는 「부정하다 부정하다」라고 외쳐야 했다. 이것은 쉬지 않고 자책(自責)해야 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E. 진 밖에서 혼자 삶
『병 있는 날 동안 늘 부정할 것이라 그가 부정한즉 혼자 살되 진 밖에 살지니라』(46절). 진 밖에서 혼자 살아야 한다는 것은, 죄를 정결하게 할 때까지는 죄 지었던 자가 교회 밖에 머물러야 하며 하나님의 백성들과의 교통에서 격리되어야 한다는 것(고전 5:13)을 의미한다.
==========
메시지 41 - 부정한 것은 사람 속에서부터 나옴 (3) (( 레위기 13:47-49, 53-59 ))
예표와 표상으로 충만한 레위기 13장을 연구함에 있어서, 우리에게는 전체적인 성경에 대한 합당한 지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그렇지 못할 때, 우리는 이 장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며, 이해하더라도 잘못 이해하거나 치우쳐 이해하게 될 것이다.
레위기 13장은 먼저 사람의 몸에 있는 문둥병을 다루고, 그 다음에는 옷에 있는 문둥병을 다룬다.
우리가 보게 되겠지만, 14장은 집 안에 있는 문둥병을 다룬다. 이것들은 문둥병의 세 가지 기본적인 범주이다.
Ⅶ. 옷에 있는 문둥병
성경에서 옷은 우리의 바깥 행동, 즉 우리의 매일의 생활을 상징한다.
옷에 있는 문둥병(47절)은 우리 바깥 생활, 행동, 사람들을 접촉함 등에 있어서의 더러움을 의미한다.
A. 세 종류의 옷
레위기 13장에는 세 종류의 옷이 언급되어 있다.
1. 털옷
47 절은 털옷에 있는 문둥병을 말한다. 털옷은 유순함 가운데서의 우리의 행동과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접촉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2. 베옷
베옷(47절)은 꾸밈없는 가운데서의 사람의 행동과 사람들을 접촉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베(linen)는 단순하고 꾸밈없고 수수하다. 베로 상징된 우리의 행동은 단순하고 꾸밈없고 수수해야 한다.
3. 가죽옷
가죽으로 만든 옷은 따뜻하다. 그러므로 가죽옷(48절)은 온화함 가운데서의 우리의 행동과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접촉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이 세 가지 옷으로 상징된 우리의 행동은 유순하고 꾸밈없고 온화한 가운데서 행해져야 한다. 이 행동 들에는 어떠한 문둥병-죄와 반역의 표현-도 있어서는 안 된다.
B. 옷의 날실(warp)과 씨실(woof)
옷의 날실과 씨실을 살펴보는 것은 옷을 만들 때 사용되는 천(직물)을 살펴보는 것이다. 날실은 밑에서 위로 간 실이고 씨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간 실이다.
1. 옷의 날실은 하나님을 향한 사람의 바깥 행동을 상징함
날실은 밑에서 위로, 위에서 밑으로 가는 실이다. 그러므로 옷에서의 날실은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바깥 행위, 즉 우리의 하나님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행위에는 문둥병, 즉 반역이 있어서는 안 된다.
2. 옷의 씨실은 사람들을 향한 사람의 바깥 행동을 상징함
천의 씨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는 실이다. 그러므로 씨실은 다른이들을 향한 우리의 바깥 행동을 상징한다.
우리의 행동의 이 방면은 어떤 문둥병, 어떤 배역과도 떨어져 정결하고 깨끗해야 한다.
매일의 행실에서의 우리의 행동은 사실상 짜는 문제, 즉 하나님과 사람 모두에게 관련된 상황이다. 만일 우리가 하나님께나 사람에게 정당하지 않다면 우리는 온전하지 않다.
우리는 하나님과 사람 모두에게 합당해야 한다. 이것은 우리의 옷, 즉 우리 행동의 날실과 씨실에 문둥병이 없어야 한다는 뜻이다.
C. 옷에 푸르거나 붉은 것이 나타남
옷에 푸르거나 붉은 것이 나타나는 것(49절)은 사람의 생활과 행동에 비정상적이고 이상한 변화가 생기는 것을 상징한다. 어떤 이스라엘인의 옷이 갑자기 푸르거나 붉게 되었다고 가정해 보라. 그것은 옷에 나타난 비정상적인 변화일 것이다. 그런 변화는 우리의 행동에 있어서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예표한다.
우리 매일의 생활과 행동은 정상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비정상적이고 이상하게 변할 수 있다. 이것은 병이 났다는 표시이며, 문둥병이 걸렸다는 표시이다.
D. 푸르거나 붉은 것이 옷에 퍼지면 악성 문둥병이 됨
옷에 푸르거나 붉은 것이 퍼지면 악성 문둥병이 된다는 것(51절)은 악성으로 악화되어 퍼져나가는 죄를 의미한다. 「악성」이라는 용어는 살을 파고 들어가면서 퍼지는 질병을 가리킨다. 그런 악성 문둥병은 자신의 존재를 먹으면서 그 사람 안에 퍼져들어가는 죄를 의미한다.
초기에 죄는 크기가 아주 작고 정도가 약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 그 죄는 사람을 먹어들어가며 퍼지고 있으며, 악성으로 점점더 악화되어가고 있다.
E. 옷을 불사름
『그는 그 색점 있는 의복이나 털이나 베의 날이나 씨나 무릇 가죽으로 만든 것을 불사를지니 이는 악성 문둥병인즉 그것을 불사를지니라』(52절).
옷을 불사르는 것은 죄 있고 더러운 생활과 행동을 없애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우리 안의 어떤 죄가 더 악화되어 간다는 것을 발견할 때, 그것을 「불사름」으로써 없애야 한다.
즉 그것을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처리해야 한다.
F. 병이 옷에 퍼지지 않았으면 옷을 빪
옷을 불사르는 것은 강하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때때로 그런 강한 처리 대신에 우리에게는 다른 처리-옷을 빠는 것으로 상징된 처리-가 필요하다.
이것에 관하여 53절과 54절은, 『그러나 제사장의 보기에 그 색점이 그 의복의 날에나 씨에나 무릇 가죽으로 만든 것에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제사장은 명하여 그 색점 있는 것을 빨게 하고 또 칠 일 동안 간직하였다가』라고 말한다.
옷을 빠는 것, 즉 퍼지지 않은 병은 사람의 생활과 행동에서 미심쩍은 약함을 처리함을 의미한다. 어떤 것은 정말로 죄인지 아니면 미심쩍은 죄인지 분명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 경우에는 옷을 빠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것은 씻는 물과 같은 씻으시는 하나님의 영으로 처리하는 문제이다.
G. 지독하고 더 심한 악성 문둥병
『그 빤 곳을 볼지니 그 색점의 빛이 변치 아니하고 그 색점이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부정하니 너는 그것을 불사르라 이는 거죽에 있든지 속에 있든지 악성 문둥병이라』(55절). 지독하고 더 심한 악성 문둥병은 아주 심각한 것이다. 그것은 회개와 고백으로도 변화가 보이지 않은 채 더 악화되고 심화되는, 좀 먹어 들어가는 죄를 상징한다. 이것은 사람을 점령하여 그를 먹고 삼켜버릴 수 있는 죄이다.
우리의 그리스도인 생활에서 우리에게는 매일 두 가지-회개와 고백-가 필요하다. 회개와 고백이 없는 날은 좋은 날이 아니다.
우리가 우리의 손을 자꾸 씻는 것과 같이 우리는 자꾸 고백하고 회개해야 한다. 매일 우리에게는 회개하고 고백할 일들이 있다.
만일 우리가 거룩한 생활을 하고자 한다면, 우리에게는 매일의 씻음이 필요하며, 이 씻음은 우리의 회개와 고백을 통해서 오게 될 것이다.
우리는 결혼 생활과 가정 생활에서 회개하고 고백해야 한다. 결혼 생활에서 우리는 배우자에게 기꺼이 잘못했다고 말해야 한다.
만일 우리가 잘못했다는 말을 하려 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남편이나 아내와 문제가 생길 것이다.
가정 생활에서 부모는 자녀들의 마음을 상하게 했을 때 기꺼이 그들에게 잘못했다고 말해야 한다. 「잘못했다」는 말은 회개와 고백을 의미한다.
하나님이 그분의 자녀들을 사하심에는 어떤 말이나 상태가 있다. 주된 상태는 우리의 고백(요일 1:9)이며 고백은 우리의 회개에서 나온다.
우리는 회개하지 않고서는 고백할 수 없다. 거룩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음식을 분별하는 것과 우리의 출생과 우리의 상태를 알아야 한다.
이것들을 배운 후에 우리는 우리가 매일 회개하는 것이 필요함을 깨달아야 한다. 우리는 잘못을 범하기가 너무 쉽기 때문에 회개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우리는 우리 안에서 나온 것에 대해 회개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예로써 우리 몸을 씻는 것을 들 수 있다. 하루종일 우리의 손이 어떤 더러운 것을 만지지 않을지라도 우리는 우리 속에서 나온 것으로 인해 더럽게 될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는 매일 씻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 그리스도인 생활에 있어서도 원칙은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어떤 부정한 것도 접촉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우리는 여전히 우리 안에서 나온 것으로 인해 회개해야 한다.
이것은 우리가 한 일뿐 아니라 우리의 어떠함도 회개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는 부정의 총체(總體)임을 기억하라.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매일 회개하고 고백하는 것이 필요하다.
H. 옷을 빤 후에 색점이 엷어지면 그 옷을 찢음
『빤 후에 제사장의 보기에 그 색점이 엷으면 그 의복에서나 가죽에서나 그 날에서나 씨에서나 그 색점을 찢어 버릴 것이요』(레 13:56).
이것은 우리의 생활과 행동에 있어서의 미심쩍은 약함을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옷을 빤 후에 색점이 엷어지는 것은 좋은 표시이다. 즉 치료되고 회복된다는 표시이다.
그러나 엷어진 색점은 그 옷에서 찢어내야 한다. 이것은 엷어진 색점을 끊어내 버려야 한다는 뜻이다.
이것은 우리가 우리의 미심쩍은 약함을 끊어내 버리고 완전히 처리하는 것이 필요함을 가리킨다.
I. 색점을 그 옷에서 찢어낸 후에 그 색점이 옷에서 다시 보임
57 절은 색점을 그 옷에서 찢어낸 후에 그 색점이 옷에서 다시 보이는 것을 말한다. 『그 의복의 날에나 씨에나 무릇 가죽으로 만든 것에 색점이 여전히 보이면 복발하는 것이니 너는 그 색점이 있는 것을 불사를지니라』. 색점이 다시 보이는 것은 나쁜 표시이다. 그것은 우리의 약함이 처리받고 제거된 후, 다시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J. 빨아서 색점이 벗어진 후 다시 한 번 빪
『네가 빤 의복의 날에나 씨에나 무릇 가죽으로 만든 것에 그 색점이 벗어졌으면 그것을 다시 빨아야 정하리라』(58절). 빨아서 색점이 벗어진 후 다시 옷을 빠는 것은 처리받았던 약함이라도 다시 한번 더, 거듭 처리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메시지에서 우리가 본 요점은, 우리는 네 가지 일-회개와 고백과 어떤 문제들을 처리함과 어떤 문제들을 없애는 것-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정상적이고 합당하고 거룩한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매일 회개하고, 고백하고, 우리의 실지의 약함과 심지어 미심쩍은 약함까지도 처리하고, 우리의 행동들에서 나오는 그 약함들을 없애야 한다. 이것으로써 우리는 죄, 문둥병, 배역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세목들이 있음을 볼 수 있다.
레위기 13장과 14장은 성경의 다른 어떤 장보다 자세하게 죄를 다룬다.
이 장들은 우리 존재와 우리 행동에 있어서의 죄를 다룰 뿐 아니라 우리의 집인 거처에서의 죄도 다룬다. 그러므로 여기에 죄-사람의 몸과 옷과 집의 문둥병-의 삼중 처리가 있다.
어떤 사람은 먼저 몸이 부정할 것이며, 그 다음에는 그의 옷과 집이 부정할 것이다. 우리는 삼중으로 죄, 즉 문둥병을 깨끗케 할 필요가 있다.
만일 우리가 이 세 가지 문둥병을 처리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되풀이해서 회개해야 하며, 심지어 매시간 회개해야 한다.
우리가 우리의 행동하는 것에 있어서나 다른 사람들을 접촉하는 데 있어서 아무리 주의한다 할지라도 우리는 완전하지 못하다. 완전한 분은 오직 주 예수님이시다.
모든 방면에서 그분의 행위는 완전했다. 그러나 우리는 물론 완전하지 않다. 우리는 부정한 것으로 태어났으므로 우리 존재 자체가 부정하다.
그런데 우리가 어떻게 완전해질 수 있겠는가? 우리에게 있어서 이렇게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실패를 회개해야 하며, 우리의 잘못을 고백해야 하며, 우리의 실패들과 잘못들을 처리하고 없애야 한다.
레위기 13장은 문둥병을 기술(記述)하고 진단하는 데 어려운 용어들-붓는 것(돋는 것), 발진(發疹), 색점, 희어진, 난육(raw flesh), 고질적인(오래된), 종기, 희고 불그스름한 색점, 옴, 누른 털, 푸르스름한, 악성-을 사용한다.
이 장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만일 우리가 이 모든 표현들에 주의한다면, 우리는 문둥병이 얼마나 추악한 것인지에 대해 빛 비춤을 받게 될 것이다.
우리는 문둥병이 얼마나 골칫거리이며 전염이 잘 되는가를 볼 것이다. 특별히 우리는 우리 자신의 문둥병적인 상태에 대해 빛 비춤을 받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 모든 세목들 안에서 우리 자신에 대한 생생한 묘사를 보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가 우리 자신들에 대해 빛 비춤을 받는다면, 우리는 더이상 스스로 위엄 있는 체하지 않을 것이다.
부정한 사람인 문둥병자가 어떻게 스스로 위엄 있는 체 할 수 있겠는가! 그것은 불가능하다.
문둥병에는 어떠한 위엄이나 존귀도 없다. 우리 중의 어느 누구도 존귀케 될 수 없고, 위엄 있게 될 수 없고, 영화롭게 될 수 없다.
그렇다면 누가 존귀한 사람인가? 오직 주 예수님만이 영광받고 존귀히 여김을 받으실 수 있다. 그분만이 존귀히 여김을 받아야 하며 영광을 받으셔야 한다.
이 장이 우리에게 우리의 이런 소극적인 상황에 대한 생생한 그림을 주기 때문에, 이 장은 확실히 우리로 자신을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나는 수년에 걸쳐 이 장을 연구함으로써 내 자신이 아주 큰 도움을 받았다는 것을 간증할 수 있다.
레위기 13장을 통해서 깊고도 자세하게 빛 비춤을 받았기 때문에, 나는 나의 어떠함을 쉽게 잊을 수가 없다. 나는 내 자신 안에서의 나의 어떠함을 보았다.
종종 이 장은, 내게는 자만할 만한 것이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주님의 긍휼이 없다면 이 문둥병은 퍼져서 나의 전존재를 소멸시킬 것이다.
레위기 13장은 우리로 자신을 낮추게 한다. 이 장은 우리가 완전히 문둥병 들린 자, 배역의 총체임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우리 존재의 모든 부분에 배역이 있다. 우리에게는 복종이나 순종이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회개하고 고백하는 생활을 해야 하며, 우리의 결점들을 처리하고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그것들을 없애버리는 생활을 해야 한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거룩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할 것이다(may)」라는 말을 쓴다. 왜냐하면 나는 체험으로 우리가 온종일 완전해질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우리가 아침에는 좋은 시작을 가질지 모르나, 그 날의 나머지는 좋지 않을 것이다. 당신은 하루 온종일 완전하고 거룩한 생활을 한 적이 있는가?
나는 그런 날을 가진 기억이 없다. 당신은 어떠한가?
레위기 13장은 우리가 문둥병의 총체임을 계시한다. 우리의 태어남 안에서의 부정함의 모든 방면은 문둥병, 배역의 문제이다. 반역, 부정한 것, 문둥병, 죄-이 모든 것은 동의어이다.
우리가 부정한 것으로 태어났다는 말은 우리가 배역적인 사람으로 태어났다는 뜻이다.
이것이 우리의 상황이기 때문에, 만일 우리가 거룩한 생활을 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하루종일 회개하고 고백해야 한다.
이사야가 그리스도의 영광을 보았을 때(사 6:1, 요 12:41)의 반응을 생각해 보라. 그는, 『화로다 나여 망하게 되었도다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요 입술이 부정한 백성 중에 거하면서 만군의 여호와이신 왕을 뵈었음이로다』(사 6:5)라고 말했다. 우리의 혀에 대해 야고보는, 『혀는 능히 길들일 사람이 없나니』(약 3:8上)라고 말했다. 그는 또, 『만일 말에 실수가 없는 자면 곧 온전한 사람이라』(2절)고 말했다. 우리의 입술과 혀로 얼마나 많은 어려움을 만드는지! 우리가 말할 때, 회개하고 고백하여야 할 죄된 어떤 것을 말하기란 아주 쉽다.
레위기 12장에서 우리는 우리가 부정한 것의 총체임을 보고, 13장에서는 우리가 문둥병의 총체임을 본다.
이 문둥병은 죄이며, 죄는 반역이다. 그러므로 우리에게는 끊임없는 회개와 고백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