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역개정]제4장 [270.변찮는주님의사랑과]..182.구주의십자가보혈로...542.구주예수의지함이
1.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워할지니 그의 안식에 들어갈 약속이 남아 있을지라도 너희 중에는 혹 이르지 못할 자가 있을까 함이라
2. 그들과 같이 우리도 복음 전함을 받은 자이나 들은 바 그 말씀이 그들에게 유익하지 못한 것은 듣는 자가 믿음과 결부시키지 아니함이라
3. 이미 믿는 우리들은 저 안식에 들어가는도다 그가 말씀하신 바와 같으니 내가 노하여 맹세한 바와 같이 그들이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다 하였으나 세상을 창조할 때부터 그 일이 이루어졌느니라
4. 제칠일에 관하여는 어딘가에 이렇게 일렀으되 하나님은 제칠일에 그의 모든 일을 쉬셨다 하였으며
5. 또 다시 거기에 그들이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였으니
6. 그러면 거기에 들어갈 자들이 남아 있거니와 복음 전함을 먼저 받은 자들은 순종하지 아니함으로 말미암아 들어가지 못하였으므로
7. 오랜 후에 다윗의 글에 다시 어느 날을 정하여 오늘이라고 미리 이같이 일렀으되 오늘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너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말라 하였나니
8. 만일 여호수아가 그들에게 안식을 주었더라면 그 후에 다른 날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리라
9.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
10.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는 하나님이 자기의 일을 쉬심과 같이 그도 자기의 일을 쉬느니라
11.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지니 이는 누구든지 저 순종하지 아니하는 본에 빠지지 않게 하려 함이라
12.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 좌우에 날선 어떤 검보다도 예리하여 혼과 영과 및 관절과 골수를 찔러 쪼개기까지 하며 또 마음의 생각과 뜻을 판단하나니
13. 지으신 것이 하나도 그 앞에 나타나지 않음이 없고 우리의 결산을 받으실 이의 눈 앞에 만물이 벌거벗은 것 같이 드러나느니라
==큰 대제사장이신 예수
14. ○그러므로 우리에게 큰 대제사장이 계시니 승천하신 이 곧 하나님의 아들 예수시라 우리가 믿는 도리를 굳게 잡을지어다
15. 우리에게 있는 대제사장은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지 못하실 이가 아니요 모든 일에 우리와 똑같이 시험을 받으신 이로되 죄는 없으시니라
16. 그러므로 우리는 긍휼하심을 받고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얻기 위하여 은혜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갈 것이니라
------------
표준새번역]제4장
1.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 안식에 들어갈 수 있는 약속이 아직 남아 있는 동안에, 거기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이 여러분 가운데서 아무도 생기지 않도록, 두려운 마음으로 조심하십시오.
2. 그들이나 우리나, 기쁜 소식을 들은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들은 그 말씀은 그들에게는 아무런 유익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그들은 그 말씀을 듣고서도, 그것을 믿음과 결합시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3. 그러나 그 말씀을 믿은 우리는 안식에 들어갈 것입니다. 그것은 "내가 진노하여 맹세한 것과 같이, 그들은 결코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할 것이다" 하고 말씀하신 그대로입니다. 실상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고 모든 일을 끝마치셨으므로, 그 때로부터는 안식이 있어 온 것입니다.
4. 일곱째 되는 날에 관하여 어디에선가 "하나님께서 일곱째 되는 날에는 그 모든 일을 마치고 쉬셨다" 하고,
5. 또 이 곳에서는 그는 다시 "그들은 결코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할 것이다" 하셨습니다.
6. 그러나 어떤 사람들에게는 안식에 들어갈 기회가 아직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기쁜 소식을 먼저 들은 사람들은 순종하지 않았으므로,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7. 그렇지만 하나님께서는 다시 '오늘'이라는 어떤 날을 정하시고, 이미 인용한 말씀대로, 오랜 뒤에 다윗을 시켜서 "오늘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너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말아라"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8. 여호수아가 그들에게 안식을 주었다고 하면, 하나님께서는 그 뒤에, 다른 날이 있을 것을 말씀하지 않으셨을 것입니다.
9. 그러니 하나님의 백성에게는 안식하는 것이 아직 남아 있습니다.
10.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안식에 들어가는 사람은, 하나님께서 자기 일을 마치고 쉬신 것과 같이, 그도 자기 일을 마치고 쉬는 것입니다.
11. 그러므로 우리는 이 안식에 들어가도록 힘을 씁시다. 아무도 그와 같은 불순종의 본을 따르다가 떨어져 나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12.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힘이 있으며, 어떤 양날칼보다도 날카로워서, 사람 속을 꿰뚫어 혼과 영을 갈라 내고, 관절과 골수를 갈라 놓기까지 하며, 마음에 품은 생각과 의향을 가려 냅니다.
13. 하나님 앞에서는 아무것도 숨길 수 없고, 모든 것이 그의 눈 앞에 벌거숭이로 드러나 있습니다. 우리는 그의 앞에 모든 것을 드러내 놓아야 합니다.
예수는 위대한 대제사장이시다
14. ○그러나 우리에게는 하늘로 올라가신 위대한 대제사장이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가 계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을 굳게 지킵시다.
15. 우리의 대제사장은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지 못하시는 분이 아닙니다. 그는 모든 점에서 우리와 마찬가지로 시험을 받으셨지만, 죄는 범하지 않으셨습니다.
16. 그러므로 우리는 담대하게 은혜의 보좌로 나아갑시다. 그래서 우리는 자비를 받고, 은혜를 입어서, 제때에 주시는 도움을 받도록 합시다.
-------------
Hebrews 4 Amplified Bible
==The Believer’s Rest
*1. Therefore, while the promise of entering His rest still remains and is freely offered today, let us fear, in case any one of you may seem to come short of reaching it or think he has come too late.
*2. For indeed we have had the good news [of salvation] preached to us, just as the Israelites also [when the good news of the promised land came to them]; but the message they heard did not benefit them, because it was not united with faith [in God] by those who heard.(말씀가운데에 이미 자신의 영광과-능력-이름-성품을 계시해 주신 하나님을 개인적으로 인격적으로 참되게 믿어 알기에, 선포된 말씀진리에 올인하여 경청한 바 마음에 새기고 그 참된 바를 주께 확인한 바로 그대로 진리안으로 믿어들어가 신뢰-확신-앙망하고 의지함으로써 끝까지 붙들어 하나됨을 실행함 통해 얻는 내적 평강의 하나님나라(창조이전에 이미 예비해 놓으신 바로 그대로 완성하시고 7일째를 맞이하신 것으로 되어 있음)의 안식 누림과 그리스도께 첨여함이 중요함!!)
*3. For we who believe [that is, we who personally trust and confidently rely on God] enter that rest [so we have His inner peace now because we are confident in our salvation, and assured of His power], just as He has said, “As I swore [an oath] in My wrath, They shall not enter My rest,” [this He said] although His works were [a]complet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world [waiting for all who would believe].
*4. For somewhere [in Scripture] He has said this about the seventh day: “And God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s”;
*5. and again in this, “They shall not enter My rest.”
*6. Therefore, since the promise remains for some to enter His rest, and those who formerly had the good news preached to them failed to [grasp it and did not] enter because of [their unbelief evidenced by] disobedience,
*7. He again sets a definite day, [a new] “Today,” [providing another opportunity to enter that rest by] saying through David after so long a time, just as has been said before [in the words already quoted], “Today if you hear His voice, Do not harden your hearts.”
*8. [This mention of a rest was not a reference to their entering into Canaan.] For if Joshua had given them rest, God would not speak about another day [of opportunity] after that.
*9. So there remains a [full and complete] Sabbath rest for the people of God.
*10. For the one who has once entered His rest has also rested from [the weariness and pain of] his [human] labors, just as God rested from [those labors uniquely] His own.
*11. Let us therefore make every effort to enter that rest [of God, to know and experience it for ourselves], so that no one will fall by following the same example of disobedience [as those who died in the wilderness].
*12. For the word of God is living and active and full of power [making it operative, energizing, and effective]. It is sharper than any two-edged [b]sword, penetrating as far as the division of the [c]soul and spirit [the completeness of a person], and of both joints and marrow [the deepest parts of our nature], exposing and judging the very thoughts and intentions of the heart.
*13. And not a creature exists that is concealed from His sight, but all things are open and exposed, and revealed to the eyes of Him with whom we have to give account.
*14. Inasmuch then as we [believers] have a great High Priest who has [already ascended and] passed through the heavens, Jesus the Son of God, let us hold fast our confession [of faith and cling tenaciously to our absolute trust in Him as Savior].
*15. For we do not have a High Priest who is unable to sympathize and understand our weaknesses and temptations, but One who has been tempted [knowing exactly how it feels to be human] in every respect as we are, yet without [committing any] sin.
*16. Therefore let us [with privilege] approach the throne of grace [that is, the throne of God’s gracious favor] with confidence and without fear, so that we may receive mercy [for our failures] and find [His amazing] grace to help in time of need [an appropriate blessing, coming just at the right moment].
==Footnotes
Hebrews 4:3 God “rested” because everything that needed to be done was done—everything was complete, fully accomplished. In human terms this expression is used when a lawyer completes his presentation in a court of law; he “rests” his case—everything is in evidence, there is nothing left to present.
Hebrews 4:12 In addition to “sword,” the word in Greek was used for the knife used by the priests to slit the throats of the sacrificial lambs and for the knife (scalpel) used by a surgeon.
Hebrews 4:12 “soul and spirit” used here to emphasize the whole person, not two separate entities as in other passages.
-----------
Hebrews 4 New King James Version
==The Promise of Rest
*1. Therefore, since a promise remains of entering His rest, let us fear lest any of you seem to have come short of it.
*2. For indeed the gospel was preached to us as well as to them; but the word which they heard did not profit them, [a]not being mixed with faith in those who heard it.
*3. For we who have believed do enter that rest, as He has said: “So I swore in My wrath, ‘They shall not enter My rest,’ ” although the works were finish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world.
*4. For He has spoken in a certain place of the seventh day in this way: “And God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s”;
*5. and again in this place: “They shall not enter My rest.”
*6. Since therefore it remains that some must enter it, and those to whom it was first preached did not enter because of disobedience,
*7. again He designates a certain day, saying in David, “Today,” after such a long time, as it has been said: “Today, if you will hear His voice, Do not harden your hearts.”
*8. For if [b]Joshua had given them rest, then He would not afterward have spoken of another day.
*9. There remains therefore a rest for the people of God.
*10. For he who has entered His rest has himself also ceased from his works as God did from His.
==The Word Discovers Our Condition
*11. Let us therefore be diligent to enter that rest, lest anyone fall according to the same example of disobedience.
*12. For the word of God is living and powerful, and sharper than any two-edged sword, piercing even to the division of soul and spirit, and of joints and marrow, and is a discerner of the thoughts and intents of the heart.
*13. And there is no creature hidden from His sight, but all things are naked and open to the eyes of Him to whom we must give account.
==Our Compassionate High Priest
*14. Seeing then that we have a great High Priest who has passed through the heavens, Jesus the Son of God, let us hold fast our confession.
*15. For we do not have a High Priest who cannot sympathize with our weaknesses, but was in all points tempted as we are, yet without sin.
*16. Let us therefore come boldly to the throne of grace, that we may obtain mercy and find grace to help in time of need.
==Footnotes
Hebrews 4:2 NU, M since they were not united by faith with those who heeded it
Hebrews 4:8 Gr. Jesus, same as Heb. Joshua
----------
NASB]제4장
1. Therefore, let us fear lest, while a promise remains of entering His rest, any one of you should seem to have come short of it.
2. For indeed we have had good news preached to us, just as they also; but the word they heard did not profit them, because it was not united by faith in those who heard.
3. For we who have believed enter that rest, just as He has said, " AS I SWORE IN MY WRATH, THEY SHALL NOT ENTER MY REST," although His works were finish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world.
4. For He has thus said somewhere concerning the seventh [day], "AND GOD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S";
5. and again in this [passage], "THEY SHALL NOT ENTER MY REST."
6. Since therefore it remains for some to enter it, and those who formerly had good news preached to them failed to enter because of disobedience,
7. He again fixes a certain day, "Today," saying through David after so long a time just as has been said before, "TODAY IF YOU HEAR HIS VOICE, DO NOT HARDEN YOUR HEARTS."
8. For if Joshua had given them rest, He would not have spoken of another day after that.
9. There remains therefore a Sabbath rest for the people of God.
10. For the one who has entered His rest has himself also rested from his works, as God did from His.
11. Let us therefore be diligent to enter that rest, lest anyone fall through [following] the same example of disobedience.
12. For the word of God is living and active and sharper than any two-edged sword, and piercing as far as the division of soul and spirit, of both joints and marrow, and able to judge the thoughts and intentions of the heart.
13. And there is no creature hidden from His sight, but all things are open and laid bare to the eyes of Him with whom we have to do.
14. Since then we have a great high priest who has passed through the heavens, Jesus the Son of God, let us hold fast our confession.
15. For we do not have a high priest who cannot sympathize with our weaknesses, but One who has been tempted in all things as [we are, yet] without sin.
16. Let us therefore draw near with confidence to the throne of grace, that we may receive mercy and may find grace to help in time of need.
==========
히브리서 4장 (개요)
전 장에서 유대인의 조상들이 저지른 죄와 그에 대한 형벌을 서술한 바울은 본장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전개하였다.
Ⅰ. 우리가 복음 시대에 그리스도께로부터 받은 은혜는 모세 시대의 유대 교회가 받은 특권을 능가하신다고 설명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은혜를 선용해야 된다고 한다(1-4).
Ⅱ. 바울은 고대 유대인들이 이같은 특권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익을 얻지 못한 이유를 지적하였다(2).
Ⅲ. 바울은 믿는 자와 특권과 계속 믿지 않는 자의 비참성을 확실히 말하였다(3-10).
Ⅳ. 바울은 믿고 복종해야 한다는 적절하고 강력한 논증을 제시함으로 본장을 결론지었다(11-16).
=======
복음에 의해 부여된 특권(히 4:1-10)
Ⅰ. 바울은 복음 시대에 그리스도로부터 받은 우리들의 특권이 위대할 뿐 아니라, 모세 율법 아래 유대 선조들이 누리던 특권보다 더욱 위대하다고 선언하였다.
그는 이 사실을 구체적으로 말하였다. 그것은 우리로 영원한 안식으로 인도하시겠다는 약속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이다.
즉 그리스도와 계약 관계를 맺게 되며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과 사귀게 되며 거기서 성장하여 우리가 영광을 받을 만큼 완전하게 하시겠다는 약속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성서는 이러한 안식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하는 최선의 방법을 우리에게 남겨 주신 약속이기도 하다.
믿는 우리가 할 일은 가장 먼저 우리가 상속자가 됨을 진리따라 참되게 아는 것, 또한 동시에 믿는 우리가 죄와 사탄과 육의 지배로부터 헤어나와 안식과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당당히 주장하는 것이다. 진실로, 사람들의 영혼은 [속임 당해, 자신의 상태에 대해 무감각한 상태로] 진정한 안식을 박탈당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우리가 할 일은 율법과 율법에 대한 번거로운 의식과 섬김의 멍에로부터 자유로워졌다는 것과 하나님의 법도와 섭리 하에 양심에 부끄러움이 없는 평화를 누릴수 있으며 하늘 나라에서 완전하고 영원한 안식을 바랄 수 있게 되었음을 주장하는 일이다.
Ⅱ. 바울은 우리로 유대인들의 조상과 마찬가지로 유리한 입장에 있다는 그의 주장의 옮음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본문에서 그는 "저희와 같은 우리도 복음 전함을 받은 자이다(2절)"라고 말하였다.
사실 신약에나 구약에나 본질에 있어서는 같은 복음임이 증거되고 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구약에 나타난 복음을 신약에 나타난 복음보다 분명치가 않으며 보다 마음 편하게 의존할 수 없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것일 뿐이다.
유대인이 조상들이 누릴 수 있었던 최대의 특권은 복음에의 특권이었다. 구약의 희생 제사와 제의는 그때 당시로 볼 때는 하나의 구원의 복음이었다.
이처럼 만약 복음이 조상들의 최고 특권이었다면, 우리도 결코 그들에게 뒤떨어지진 않는다.
왜냐하면 우리는 조상들과 마찬가지로 복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오히려 그들이 가진 것보다 더 순수하고 명료한 복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Ⅲ. 바울은 이제 다시 왜 유대의 조상들이 다같이 복음의 섭리 하에 있었으면서도 그 섭리에 의하여 유익을 얻은 사람은 소수밖에 될 수 없었는가를 설명한다.
그리고 그 이유는 그들에게 믿음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역주: 율법도 좀 불분명하기는 하지만 일종의 구원의 복음이라고 바울이 말하고 있음을 주의하라).
그러므로 "그들이 들은 바 말씀이 저희에게 유익되지 못한 것은 듣는 자가 믿음을 화합치 아니함이라(2절)"고 본문에서 바울은 말하였다.
다음 사실을 생각해 보자.
1. 말씀이 우리에게 전파된 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 말씀에 의해 유익을 얻고 영적으로 부요해지게 하기 위해서인 것이다.
비유하자면, 복음의 진리말씀은 풍부한 재능과 지혜를 그 언제든지 원하는 만큼 충분히 구입할 수 있도록 우리의 손에 쥐어진 화폐와 같은 것이라 하겠다.
2. 어느 시대나 말씀을 들으면서도 유익함은 얻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지금도 실지로 많은 사람들이 설교와 하나님의 말씀을 들음으로써 듣는 그 자리에서는 많은 것들을 얻은 듯이 보이나 실상은 그들의 영혼은 아무것도 얻지 못하곤 한다.
그리고 진리말씀을 들음에 의해 얻지 못하는 자는 [실지로는 엄청나서 한마디 말조차 못할 정도로!! ] 많은 것을 잃은 자인 것이다.
3. 말씀을 듣고도 유익함을 얻지 못하는 근거는 바로 우리의 불신앙에 있다. ***신앙이란 이렇듯 들은 바 복음진리말씀을 주이름불러 여쭈어 묻고 깨닫게 하신 바 그대로를 가감없이 그대로 신뢰-확신하고 붙들어 말씀하신 대로 바로 그렇게 여기며, JC를 주로 삼아 거룩하게하고(합당히 높여드림)-주를 의뢰-JC이름 부름으로 HS인도따름의 살아생동하는 산 믿음을 지칭...즉, 하나님에 대해 그 영광-이름-능력에 대해 진실로 그러함을 깨달아 알기를 구한 바, 열어 보여주신 그대로 믿고 바로 그렇게 아뢰며 찬양함으로 HS와 동행함
우리는 들은 바의 내용에 살아 생동하는 확신-신뢰-의뢰함의 믿음을 화합시키지 않는다면 참된 유익을 얻지 못한다. 듣는 자가 믿을 때 말씀은 생명력을 나타낸다.
목회자가 복음을 믿고 설교함으로 신자들의 믿음을 깊게 하려고 애쓰며 노력할 지라도 만약 듣는 자가 말씀이 선포되는 바로 그 시간에 선포되는 말씀에 절재덕 갈망의 적극적-능동적-개방적 태도로 화합하려고 하는 [발휘되는, 아멘으로 받는] [열린 마음의 믿음을] 발휘하지 않고 있으면 결코 영혼에게 더 보탬이 되는 점은 없다.
믿음은 모든 말씀 가운데서 역사하여야 하며, 우리가 듣는 동안에도 믿음은 역사 되어져야 한다.
우리가 말씀을 들을 때, 말씀의 진리를 받아들이고, 시인하며, 자비가 베풀어짐을 받아들이고, 우리 자신이 사랑을 가지고 말씀을 실천하면 우리는 전해진 말씀에 의하여 유익을 얻고 많은 것을 얻을 것이다.
Ⅳ. 바울은 위와 같은 여러 가지 근거를 이유로 그가 여러 번 되풀이하여 간절히 권면하고 충고하였던 사실, 즉 복음을 받은 자들이 스스로 주의하여 거룩한 두려움과 열심을 잃지 말 것을 강조한다. 또한 바울은 그들에게 그렇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불신에 의해 말씀의 유익을 상실하고, 복음 안에서 얻을 수 있고 발견되어지는 영혼의 안식을 빼앗길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워할지니 그의 안식에 들어갈 약속이 남아 있을지라도 너희 중에 혹 미치지 못할 자가 있을까 함이라(1절)"고 한다. 여기에서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
1. 복음 안에 거하기만 하면 모든 사람이 은총과 영광을 얻을 수 있다.
복음은 사람들에게 은총과 영광을 주리라는 제안을 한다. 그리고 복음은 그 제안을 받아들이는 자들에게 은총과 영광을 주리라고 약속을 한다.
2. 영광과 은총에 대한 약속을 받았더라도 그 약속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믿음으로 구원을 얻었다고 자부하던 자들도 불신에 의하여 구원에 미치지 못하고 될 수도 있는 것이다.
3. 복음의 약속하는 구원에 미칠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우리에게 두려움을 준다.
즉 그는 스스로 구원의 소망이 상실된 것처럼 여겨질 때 또 다른 사람들이 나를 거룩한 신앙을 잃어버린 것처럼 여길 때 우리는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안식에 미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염려 정도가 이렇게 두려운 것이라면 정말 안식에 이르지 못하게 되면 그건 더욱 무서운 일인 것이다. 참으로 그것은 치명적인 것이다.
4. 우리가 구원에 정말 도달하지 못하거나 또는 구원에 도달하지 못할 것처럼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길은 거룩하고 신심어린 두려움을 늘 마음에 지니는 길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결코 구원에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이 두려운 마음을 지니게 될 때 우리는 방심하지 않게 되며, 근면하고 성실하며 신중하게 된다. 이 두려움은 우리로 자신의 믿음을 시험하게 하며 단련하게 된다. 그러나 두려움이 없는 방심의 태도는 멸망으로 이끄는 대로(大路)이다.
Ⅴ. 바울은 복음을 참으로 믿는 자들에게 축복이 주어질 것을 확신하게 말한다.
1. 바울은 자신의 경험과 다른 사람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말이 진실됨을 확언한다. 그는 본문에서 "그러나 우리는 믿었기 때문에 그 안식처에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그는 또한 말한다. "우리는 그리스도와 합일이 있게 될 것이며 또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 사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우리는 죄를 용서받고, 마음의 평안을 얻으며, 성령 속에서 즐거워하게 되며, 은총은 증가되고 영광은 점점 더욱 밝게 우리 앞에 그 모습을 보일 것이며 죄의 속박으로부터 풀려나오게 되고 우리가 하늘 나라에서 안식을 얻기까지 하나님 안에서 보장된 삶을 살게 된다."
2. 바울은 믿는 자들은 이처럼 행복을 얻으며 안식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다음과 같은 구체적 설명을 통해 보여 준다.
(1) 하나님께서 창조의 사업을 마치시고 안식을 취하신 것과(3,4절) 우리 인류의 시조인 아담과 하와가 일곱 번째 날에 하나님 안에서 안식할 것을 예로 들어 믿는 자들이 누릴 안식을 보증하였다.
이제 하나님이 일을 마치시고 안식에 들어가 계시듯이 그는 믿는 자들을 또한 그들의 일을 끝내고 안식을 누리도록 조처하실 것이다.
(2) 하나님께서 인간이 타락하였음에도 그들에게 안식일을 지킬 것을 명하신 것과 또 구세주를 보내신 사실을 예로 들어 믿는 자들이 누릴 안식이 보증하였다.
유대의 조상들은 일곱 번째 날을 주의 안식일로 지켜야 했다. 그날 그들은 무에서 유를 능력으로 창조하신 그를 찬양하고 은총의 성령에 의해 그들을 재창조해 주실 것을 간구하며 또한 그들로 하여금 그들에게 약속된 구세주 즉 만물의 회복자를 믿도록 인도해 주실 것과 이 믿음에 의해 그들의 영혼이 안식을 얻게 해 주시도록 간구해야만 했다.
(3) 하나님이 믿는 유대인들에게 가나안을 안식처로 주시겠다고 하셨고 또한 그것을 믿었던 갈렙과 여호수아는 살아서 가나안으로 들어갔던 사실을 예로 들어 믿는 자들이 누리게 될 안식을 보증하였다.
(4) 인간이 타락하기 전부터 제정되어 타락 후에까지 계속 지켜져 왔던 안식일과 대부분의 유대인들이 불신함으로 도달하지 못했던 가나안의 안식 외에 또다른 안식이 있음이 틀림 없음을 그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증거한다.
그 이유는 시편 기자가 또 다른 날 즉 또 다른 안식에 대해서 말했기 때문이다. 이로 보아서 여호수아가 유대인들을 이끌어 갔던 가나안에서의 안식보다 더욱 영적이고 훌륭한 안식이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 남아 있음이 틀림 없는 것이다(6-9절)
① 다윗이 아직 실현되지 않은 것으로 말한 이 안식은 복음 교회 시대에 주어진 은총과 안락과 거룩함의 안식이다.
이 안식은 우리가 우리의 구원자이신 주 예수와 함께 누릴 안식이다. 주 예수께서는 피곤한 영혼들과 잠에서 깨어난 인간들에게 이 안식을 주심으로 피곤을 면케 하실 것이다.
② 다윗이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고 말한 이 안식은 영광 가운데 있을 안식이며, 하늘 나라에서의 영원한 안식이다.
이 안식은 모든 것이 완성되는 하늘 나라에서의 안식이다. 이곳에서 그들의 신실함에 대한 보답을 얻게 될 것이요 그들이 바라던 모든 것을 누리게 될 것이다.
(5) 이 안식을 이미 소유한 영광스러운 선두주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들어 믿는 자들이 누릴 안식을 보증하셨다.
바울이 여기서 말하고 있는 선두주자는 하나님과 그리스도이시다. 하나님이 육일동안 세상을 창조하시고 제 칠일에 안식에 들어가셨다는 것은 확실한 사실이다. 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구원하시는 일을 성취하시고 안식으로 들어가셨음도 확실하다. 이 사실들은 믿는 자들이 안식으로 들어갈 것이라는 본보기가 될 뿐 아니라, 확실한 전조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는 하나님이 자기 일을 쉬심과 같이 자기 일을 쉬느니라(10절)"고 하였다.
참으로 믿는 모든 자들은 하나님과 그리스도께서 창조와 구원의 일을 하신 후 안식하신 것처럼 이미 그들의 죄의 행위와 자신의 의를 의지하려는 수고와 율법의 번거로운 제약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Ⅵ. 바울은 믿지 않는 사람들이 비참해질 것을 확신 있게 말하였다.
믿지 않는 자들은 이 세상에서의 은총이나 저 세상에서의 영광과 같은 영적 안식으로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이 맹세로 말씀하신 것이기에 확실히 실현될 것이다. 하나님이 안식에 들어가신 것이 확실한 것처럼 완강한 불신자들이 안식에서 추방될 것 또한 틀림없는 일이다. 믿지 않았던 유대인들이 광야에서 쓰러지고 약속된 땅에 결코 들어갈 수 없었던 것처럼 믿지 않는 자들도 파멸 당하고 하늘 나라로 결코 들어갈 수 없을 것이다.
유대인들의 탁월한 지도자였던 여호수아 자신의 탁월한 용기와 지도력에도 불구하고 유대인들의 하나님에 대한 불신 때문에 그들을 가나안에 들어가게 할 수 없었던 것처럼 우리들의 구세주이신 예수께서도 그의 안에 있는 모든 은총과 능력의 충만함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믿지 않는 자들에게는 영적인 안식이나 영원한 안식을 줄 수 없으리라는 것은 확실한 것이다.
영원하고 영적인 안식은 하나님을 믿는 사람을 위해서만 남겨진 것이다. 믿지 않는 이들은 자신들의 죄로 인하여 스스로 영원히 쉴 수 없는 상태에 몸을 내맡기게 될 것이다.
--------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히 4:11-16)
본장의 뒷 부분에서 바울은 먼저 되풀이하여 수신인들에게 진지하게 권고한 후 수신인들이 자기의 권고를 들어야 하는 적절하고도 강력한 이유를 제시한다.
Ⅰ. 바울의 진지한 권고. 그는 본문에서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지니라"(11절)라고 하였다. 이제 다음을 생각해 보자.
1. 우리의 최종 목표. 그것은 영적인 안식과 영원한 안식이다.
즉 이 세상에서는 은총의 안식을 맛보는 것이요, 저 세상에서는 영광의 안식을 누리는 것이다. 또 다른 말로 하면 이 세상에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안식하는 것이며 하늘 나라에서는 그리스도와 함께 안식하는 것이다.
2. 이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 그것은 꾸준한 수고이다.
수고하는 것만이 안식으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지금 일하지 않으려는 자에게는 훗날 하늘 나라에서의 안식은 결코 없을 것이다. 우리가 한 바를 충실히 다하면 달콤하고 편안한 안식이 뒤따를 것이다. 또한 수고 끝에 오는 안식은 더욱 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힘든 노동을 한 자의 잠은 꿈처럼 달다"고 하였다(전 5:12). 그러므로 우리는 일하자. 모두 일치 단결하여 일하고 서로서로 격려하며, 서로 근면하도록 권고하자. 우리의 동료 그리스도인들이 서성대는 것을 우리가 보면 그들에게 해야 할 일을 깨우쳐 주고 열심히 일하도록 권고해야 한다. "여보시오! 우리와 함께 일하러 갑시다. 우리가 앉아서 쉬고 있어서 되겠습니까? 우리가 빈들거리며 놀아서야 되겠습니까? 자 일하러 갑시다. 지금은 우리가 일할 때요 쉴 때는 아직 아닙니다." 이같이 그리스도인들은 스스로를 일깨우고 또 서로를 권하여 의무를 행하는데 부지런해야 한다. 마지막 때가 가까워 올수록 우리는 더욱 부지런히 일해야 한다.
Ⅱ. 이제 바울은 위에서의 권고를 듣는 이들이 깊이 있게 받아들이게 하기 위하여 그래야 하는 적절하고도 강력한 이유들을 제시한다.
1. 이미 불신으로 인하여 멸망한 사람들의 끔찍한 정황의 예로들어 바울은 히브리인들로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 쓸 것을 촉구한다. 그러므로 그는 본문에서 "옛사람들처럼 순종하지 않다가 낭패를 보아서야 되겠습니까?"라고 말한다.
우리 앞에 이미 멸망한 자들이 많이 있음을 보면서도 우리가 깨닫지 못하면 우리는 우리의 죄를 결코 용서받을 수 없을 것이다. 파멸한 자들의 예는 우리를 크게 깨우쳐 주고 있다. 그들의 버림당하여 방황하는 영혼들은 고통 가운데서 우리에게 그들처럼 죄를 지움으로 비참한 처지에 빠지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2.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여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또 유익을 얻을 수 있음을 이유로 들어 히브리인들로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 쓸 것을 촉구한다.
즉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로 하여금 이 안식을 얻게 하고자 우리의 믿음을 굳게 해 주며 부지런하도록 촉구하시기 때문에 우리도 힘써야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하나님의 말씀은 살았고 운동력이 있다"(12절)고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하나님의 말씀은 말씀(로고스)이신 그리스도라고 볼 수도 있고 <동시에>또 기록된 말씀이라고 볼 수도 있다.
말씀이신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그가 곧 하나님이었다"(요 1:1).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문의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된 말씀으로 이해한다.
이제 이 말씀에 대해서 살펴 보자.
(1) 이 하나님의 말씀이 "살았다"고 하였다.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으며, 생생하면서 만물에 영향을 끼치고, 죄인의 양심을 사로잡으시며 죄인의 마음에 찔림을 주며 영혼의 상처를 싸매 주신다.
하나님의 말씀을 알지 못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죽은 글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는 것이다.
그것은 이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에 비할 수 있다.
또한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소생케 한다. 그것은 생명의 빛이요 조명이기도 하다.
또한 그것은 살아 있는 말씀 곧 ‘존’(2198)이다.
성도들이나 죄인이나 모두 죽지만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이 풀의 꽃과 같으니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며 오직 주의 말씀은 세세토록 있도다"(벧전 1:24, 25)라고 하였으며 또 "너희 열조가 어디 있느냐. 선지자들이 영원히 살겠느냐? 내가 종 선지자들에게 명한 내 말과 내 전례들이 네 열조에게 임하지 않았느냐?"(슥 1:5, 6)라고 하였던 것이다.
(2) 하나님의 말씀은 "능력이 있다"고 하였다.
하나님께서 성령을 통하여 그의 말씀에 임하시면 말씀은 강력한 힘으로 사람들을 설득하고 강력하게 사람들을 개심시키며 강력한 위안을 준다.
하나님의 말씀은 너무나 능력이 있으므로 어떤 견고한 요새도 파할 수 있으며(고후 10:4, 5), 죽은자를 살리시며 귀머거리를 듣게 하시고, 장님이 눈을 뜨게 하시며, 벙어리가 말을 하고, 절름발이가 걸을 수 있게 하신다. 또한 하나님의 말씀은 사탄의 왕국을 멸하시고, 파괴된 사탄의 왕국 위에 그리스도의 왕국을 세울만치 강하다.
(3) 하나님의 말씀은 "좌우에 날선 칼보다도 날카롭다"고 하였다.
하나님의 말씀은 양면에 다같이 날이 있다. 그것은 "성령의 검"이다(엡 6:17).
또 이 말씀은 그리스도의 입에서 나오는 좌우에 날이 선 검이다(계 1:16). 이 말씀은 좌우에 날선 어떤 검 보다도 날카롭다.
왜냐하면 어떠한 검도 뚫고 들어갈 수 없는 장소도 들어갈수 있고, 날카롭게 해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영과 혼을 찔러 쪼개기까지 한다"
즉 영과 그 영의 지금까지의 잘못 길들어진 성격[훼손된 인격]을 찔러 쪼개어 수술해 제거해 내며 [주님 뜻대로] 완치시킨다.
이 말씀은 오래 자만하던 영혼을 겸손해지게 하며 사악한 영혼을 온화하고 순종할 수 있게 한다.
인간의 영혼에 타고 날 때부터 깊이 자리잡고 있었던 죄된 관습을 이 말씀은 식별해 내고 또 베어 버린다.
이 말씀은 인간이 육에 속해 있을 때 하나님을 향하여 인간을 적대적이게 한 무지-오해-착각과 반역심을 베어내 버린다.
이 말씀의 칼은 "관절과 골수" 즉 인간의 가장 은밀하고 내면적인 부분까지도 들추어 내고 잘라 버린다.
이 말씀은 마음의 생각자리만을 찌를 뿐 아니라 폐부, 곧 마음의 숨은 동기까지도 찔러서, 회개함 통해 인간들로 죄를 제거하기 위하여 참기 어려운 수술도 [자원하여 기꺼이 내어 맡김으로써] 기꺼이 받게 한다.
(4) 하나님의 말씀은 "마음의 생각과 뜻을 감찰한다"고 하였다.
즉 말씀은 아무리 은밀하고 아직은 구체화되지 아니한 생각과 계획이라 할지라도 감찰할 수 있다.
이 말씀은 인간들의 여러 가지 생각과 목적, 그들의 비굴함, 그들의 악한 생활신조를 추구하고 있는 못되고 죄악된 목적들을 그들 앞에 드러내 보여 준다.
하나님의 말씀은 죄인의 마음을 들추어 내어서 죄인에게 그 자신의 마음을 보여 준다.
말씀에는 이같은 힘이 있으므로 그것은 우리가 믿음과 순종의 생을 사는 데 크게 유익한 것이다.
3. 바울은 주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함. 즉 그의 인격과 직분의 완전하심을 예로 들어 히브리인들로 안식에 들어가기를 애 쓸 것을 촉구한다.
(1) 그리스도의 인격의 완전, 특히 그의 전지(全知)하심에 대한 고찰.
바울은 본문에서 "지으신 것이 하나라도 그 앞에[말씀이신 그리스도 앞에] 나타나지 않음이 없다"고 하였다(13절).
이 13절은 그리스도께서 그 자신에 대하여 말씀하신 내용 즉 "모든 교회가 나는 사람의 뜻과 마음을 살피는 자는 자인 줄 알지라(계 2:23)"은 것과 일치한다.
어떠한 창조물도 그리스도 앞에서 감춰질 수가 없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는 만물의 창조자이시기 때문이다.
우리가 우리 예배의 대상이시며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 모르게 은밀히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그는 자신의 전지하심에 의하여 우리가 그에게 드리는 희생 제물의 각을 떠서 아버지께 열납되게 하신다.
대제사장이 희생된 제물로 받쳐진 짐승들을 조사할 때, 희생 제물이 진정으로 온전한가를 보려고 등뼈를 가르는 것같이 우리의 대제사장의 날카로운 눈 앞에는 모든 것이 해부된 것처럼 밝히 드러나는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우리의 희생 제물을 시험해 보신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예수는 마침내 그 제물에 의해 우리를 심판하실 것이다.
그리고 그분은 우리의 영원히 처해 있어야 할 운명을 결정하실 것이다.
어떤 이들은 "우리를 상관하시는 자의 눈 앞에"라는 말씀을 "우리가 결산보고를 드려야 하는 분 앞에 라는 뜻으로 번역한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모든 행위를 아신다. 그는 자기를 믿는 모든 사람들을 아신다. 또한 그는 모든 사람에 대하여 아시고 계신다.
우리의 공과는 모두 그의 앞에 밝히 드러나 있는 것이다.
그리스도께서 이같이 전지하시고 또 우리는 그에게 자신의 행위를 보고 할 의무가 있으므로 우리는 그가 우리보고 일을 그만 두라고 멸하실 때까지 믿음과 복종의 생활을 해야 하는 것이다.
(2) 그리스도 직책의 완전성.
특히 우리의 대제사장으로서의 그의 완전하심에 의한 고찰.
바울은 우선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들의 대제사장이 어떤 분이신지 그가 어떤 종류의 대제사장인가를 가르쳤고 그 다음 그들이 그에게 행해야 할 의무에 대하여 가르쳤다.
① 그리스도는 어떠한 대제사장인가?
본문에 보면 "우리에게 큰 대제사장이 있다"(14절)고 하였다. 그러면 그는 어떤 분인가?
첫째, 그는 큰 대제사장이시다.
아론보다는 그리고 아론의 반열의 다른 어떤 제사장들 보다 더 위대한 대제사장이다. 율법 아래서 대제사장들은 위대하고 존경스러운 인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들은 그리스도의 희미한 유형과 그림자일 뿐이었다. 우리의 대제사장이 위대한 점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드러난다.
a. 그리스도는 하늘로 올라 가셨다는 사실에서 드러난다.
율법시대의 대제사장들은 일 년에 한번 사람들이 볼 수 없는 휘장 안으로 즉 하나님의 임재를 표시하는 상징적인 여러 기구들이 있는 지성소로 들어갔다.
그러나 그리스도는 단번에 하늘 나라로 승천하셨다.
그가 승천하신 것은 만물을 그의 통치 아래 두시고 성령을 보내사 그의 백성들로 준비하게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써 지상에서의 대제사장의 임무를 수행해 내셨다.
또한 그리스도는 그의 백성들의 사정을 하나님께 아뢰며 그들이 드리는 제물을 열납하시는 대제사장으로서의 일을 하늘 나라에서 하실 것이다.
b. 그리스도의 위대함은 "예수"라는 그의 이름에 의해 드러난다.
이 이름은 의사라는 뜻이요, 구세주라는 뜻이다. 또한 신성을 지닌 분 곧 영원 전부터 하나님의 아들이시라는 뜻의 이름이다.
이같이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격을 지니셨으므로 그를 통해 오는 모든 자를 하나님께서는 구원하실 것이다.
둘째, 그리스도의 위대할 뿐 아니라 그의 백성들에게 자비로우신 대제사장이시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있는 대제사장은 우리 연약함을 체휼하지 아니하는 자가 아니요(15절)"라고 하였다.
그리스도는 위대하시며 또 우리가 가까이 할 수 없는 훌륭한 분이지만 그럼에도 그는 매우 친절하시며 또 우리에게 깊은 관심을 지니시고 있는 분이시다.
그리스도는 철저히 우리 연약함을 맛보셨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는 타락한 상태에 처한 우리 인간들이 느끼는 감정과 고민을 몸소 겪으셨기 때문이다.
그러하셨기에 그는 우리를 대속할 수 있었을 뿐아니라 우리를 동정도 하시는 것이다.
셋째, 그리스도는 죄라고는 없는 대제사장이다.
"모든 일에 우리와 한결같이 시험을 받은 자로되 죄는 없으시니라(15절)."
그리스도는 사탄에게 시험받으셨으나 죄짓지 아니하시고 그 시험에서 빠져 나오셨다. 우리들은 시험을 받게 되면 무언가를 죄를 저지르고 만다.
우리는 굴복하지는 않더라도 의기가 소침하기 쉽다. 그러나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는 악마와 만났지만 결백하게 죄에서 빠져 나오셨다.
악마는 그리스도에게서 죄도 찾아 낼 수 없었고 또 어떠한 오점도 범하게 할 수도 없었다.
그리스도는 하나님 아버지에 의해서 엄격하게 시험받으셨다. 그리스도는 시험을 받으셨으나 생각이나 말이나 행위로 결코 죄짓지 않으셨다. 이 사실이 하나님을 기쁘게 했다.
그리스도는 행위로 죄를 지은 일이 없었고 그의 입에는 궤사가 없었다. 그는 거룩하고 악의가 없으시며 더러운 것이 없으셨다. 이러한 대제사장이 우리에게 오신 것이다.
이제 우리의 대제사장이 어떠한 것인가를 말한 바울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것을 설명하였다.
② 우리가 그리스도 앞에서 어떻게 처신해야 되는가를 설명하였다.
첫째, 우리는 우리가 믿는 도리를 굳게 잡아야 한다(14절).
우리는 그리스도를 결코 부정하지 말고, 사람들 앞에서 그리스도를 인정하는 것을 부끄러워해서도 안 된다.
우리는 머리로 기독교 가르침을 깨달아 간직해야 하며 기독교 정신의 생기를 주는 원칙을 우리의 가슴속에 간직해야 하고, 우리의 입술로는 누구에게나 공개적으로 신앙 고백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우리의 삶 속에는 기독교 정신이 생활화되고 또 그 말씀에 복종함이 있어야 한다. 이제 다음을 살펴 보자.
a. 우리는 생활 속에서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기본 진리를 지니고 실행해야만 한다.
b.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할 때, 마음의 부패로 인해 또는 사탄의 꼬임이나 악한 세속의 유혹 때문에, 우리가 확고히 하고 있던 것이 흔들릴 염려가 있다.
c. 우리가 신앙 고백의 대상이신 뛰어나신 대제사장이 우리의 그에 대한 배반을 가장 가증스럽고 변명할 수 없는 죄로 간주하신다.
배교는 가장 어리석고 감사할 줄 모르는 비열한 행위다.
d. 그리스도인은 처음에 잘 출발해야 할 뿐 아니라 또 잡은 것을 끝까지 지켜야 한다.
끝날까지 견디는 사람들은 구원받을 것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구원을 못받을 것이다.
둘째, 우리는 우리의 뛰어나신 대제사장에 힘을 의지하여 은총의 보좌로 기운차게 나아가야 한다(16절).
a. 은총의 보좌가 있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다른 말로 예배라고 할 수도 있겠다. 하나님은 은총의 보좌에서 영광스럽게도 불쌍한 죄인들을 만나 주신다.
그러므로 그들은 회개하는 자세와 믿는 마음으로 소망을 가지고 하나님께 다가갈 것이다.
하나님은 엄하고 용서가 없는 재판정을 여시고 그 앞에 소환된 모든 자들에게 그들의 죄에 대한 보응으로 죽음을 선고하실 수도 있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은총의 보좌를 세우시는 길을 택하셨다. 보좌는 권위를 나타내며, 경외와 존경을 상징한다.
또한 은총의 보좌라 함은 아무리 나쁜 죄인에게도 희망이 있음을 나타내 준다. 이 보좌는 은총이 집행되는 보좌이다. 또한 이 보좌는 자유와 능력과 관대함으로 통치되는 보좌인 것이다.
b. 이 은총의 보좌에 나가서 개별적으로 또는 공적으로 예배를 드리며 그를 앙망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이며 권리이다.
우리가 은총의 보좌에 있는 것은 우리에게 유익이 된다.
c. 은총의 보좌에서 우리의 사명과 할 일은 "긍휼하심을 받고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얻는 일이다."
우리는 긍휼과 은혜를 필요로 하는 존재이다. 우리는 긍휼을 입음으로만 우리의 죄를 용서받을 수 있으며 은혜를 입음으로만이 우리의 영혼이 깨끗해질 수 있는 것이다.
d. 일상 생활 속에서 주를 의지하며 그의 도우심을 받는 것 이외에 우리에게는 특별히 하나님의 자비와 은총이 전적으로 요구될 때가 있다.
우리는 이러한 때를 대비하여 미리 기도의 탑을 쌓아 놓아야 한다. 즉 우리는 역경을 만나든지 또는 모든 것이 잘 될 때에조차도 시험을 받게 된다.
특히 임박해 오는 죽음의 그림자를 느끼는 그 때는 우리에게 가장 큰 시련의 시기이다. 이러한 때를 대비하여 우리는 항상 기도해야 하는 것이다.
주님은 죽은 우리가 "마지막 날에 그의 긍휼하심을 받을 수 있도록" 분명히 약속하셨다(딤후 1:18).
e. 긍휼하심을 받기 위해 은혜의 보좌로 나아갈 때, 우리는 겸손하고도 담대하게 나가야 한다.
우리는 아무 것도 의심하지 말고 믿음으로 구해야 된다. 우리는 양자의 영을 받아서 하나님의 자녀처럼 그에게 나아가야 한다.
또한 우리는 공포와 놀람이 아니라 존경과 경의를 지니고 나아가야 한다.
또 우리는 공의의 재판석 앞에 끌려가는 것 같은 태도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긍휼의 자리에 초대받아 가는 사람 같은 태도로 나아가야 한다.
그곳은 은혜로 다스려지며 사랑이 넘치는 곳이다.
f. 그리스도가 우리의 대제사장이시기 때문에 우리는 그를 의지하여 은혜의 보좌에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중보자이신 그리스도가 없었다면 우리는 감히 하나님께 나아가지도 못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죄되고 더렵혀진 피조물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모든 것은 다 더렵혀졌다. 그래서 우리는 단독으로 의해서만 하나님께 나가갈 수 있다.
우리는 오직 중재자의 도움에 의해서만 하나님께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를 통하지 않고서는 우리에게는 그에게 나아갈 어떤 소망도 없다.
우리는 예수가 흘린 피를 힘입어 지성소로 담대하게 들어갈 수 있다.
예수는 우리의 대변자이시다. 그는 믿는 자들을 위하여 간구하실 때, 그는 거저 간구하시지 않으신다.
그는 우리의 영혼이 필요로 하고 있고 또 바라고 있는 모든 것을 사 주실 수 있는 화폐-대속의 보혈-를 지니시고 계신다.
===
==호크마==
=====4:1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워할지니 - '두려워할지니'의 헬라어 '포베도멘'(* )은 헬라어 본문에서 첫머리에 위치하여 그 의미가 강조되었다. 이것은 본서의 수신자인 유대인 공동체가 구약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함을 시사한다(Lane). 모든 사람들이 방심하지 않고 하나님 말씀에 보다 민감한 태도를 지닐 것을 요구하는 저자의 목회자적 관심을 나타낸다(11절;3:12).
>> 그의 안식에 들어갈 약속이 남아 있을지라도 - '안식'의 헬라어 '카타파우신'(* )은 출애굽 세대에게 있어서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가나안에서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는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하였다(신12:9-10). 그러나 세월이 지남에 따라 유대인 사이에서 이 안식의 개념은 주로 회당에서의 가르침과 토론을 통해 형성된 종말론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Lane). 그래서 시95:11의 '내 안식'은 본절에서 종말론적인 의미 즉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이 택한 백성들을 위해 예비하신 영원한 하늘나라에서의 안식을 의미한다(요14:1-4). 한편'약속'(* , 에팡겔리아스)이라 함은 '안식'에 대한 약속을 말한다. 출애굽한 제1세대는 죽었으나 제2세대가 가나안에 들어갔다는 측면에서 안식에 대한 약속이 성취되었다고도 볼 수 있으나 저자는 지역적으로 가나안에 들어갔다는 사실을 약속의 성취로 보지 않았다(Morris). 하나님께서 1차적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약속하셨던 안식은 그들의 불순종으로 이행되지 않았으나 그 약속은 변치 않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믿음의 공동체에게 계속되어 그들이 하나님의 거룩한 약속을 이어받을 상속자가 되었다(1:14;6:12,17;9:15).
>> 너희 중에 혹 미치지 못할 자가 있을까 함이라 - 본절은 '있을까 함이라'로 번역된헬라어 '도케'(* , '판단하다', '가정하다')를 해석하는 차이에 따라 달리 해석된다. (1)혹자는 수신자들 중에 실제로 하나님께서 약속한 안식에 들어가지 못할 자가 있을 것이라는 경고로 해석한다(Moffatt, Stuart). (2)혹자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안식에 자신이 미치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하고 의심하는 자가 있을 것이다'라는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Dods). 두 가지 견해 중 전자가 타당하다. 저자는 비록 안식이 약속되었을지라도 그 약속을 상실한 사람들이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Morris).
=====4:2
>> 저희와 같이 우리도 복음 전함을 받은 자이나 - '복음 전함을'에 해당하는 헬라어'유엥겔리스메노이'(* )는 '좋은 소식을 전파하다'를 뜻하는 헬라어'유앙겔리조'(* )의 완료 수동형이다. 하나님의 좋은 소식은 가데스 광야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해졌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며 그 언약을 잘 지키면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갈 뿐만 아니라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백성이 되리라는 복된 소식을 전해 들었다(출19:3-6;23:20-33). 이와 동일하게 당시 수신자들도 안식에 들어갈 수 있는 구원의 소식을 전해 들었다.
>> 그러나 그 들은 바 말씀이 저희에게 유익되지 못한 것은 듣는 자가 믿음을 화합지 아니함이라 - 신약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나 구약시대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나 하나님께서 주신 복음, 즉 안식에 대한 약속은 동일했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복음을 듣고 믿음으로 화합하지 아니했기 때문에 전혀 유익하지 못했다. '화합지'에 해당하는 헬라어에 대한 독법은 두가지이다. (1)'말씀'(* , 로고스)과 연결되어서 단수인 '슁케케라스메노스'(* )로 읽는다. 이 경우 본문은 '말씀과 이를 들은 자들의 믿음과 화합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2)'저희'(* , 에케이누스)와 연결되어서 복수인 '슁케케라스메누스'(* )로 읽는다. 이 경우 본문은 '이스라엘 백성들과 말씀을 듣고 받아들인 자 즉 여호수아와 갈렙과 믿음으로 화합되지 않았다'라는 의미이다. 두 가지 경우 중 전자가 타당한 듯하다. 왜냐하면 문맥상 여호수아와 갈렙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Morris,Moffatt, Hewitt). 한편 '믿음'의 헬라어 '피스테이'(* )는 본서에서 '순종'과거의 동의어로 사용된다(3:18,19). 따라서 '믿음'은 정적인 신앙이라기보다는 하나님을 향한 동적이며 실천적인 신앙임을 시사한다(Morris).
=====4:3
>> 이미 믿는 우리들은 저 안식에 들어가는도다 - '믿는 우리들'은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간 이스라엘 백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킨다. 저자는 현재의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간다고 밝히고 있다. '들어가는도다'의 헬라어 '에이세르코메다'(* )는 '에이세르코마이'(* )의 현재 중간태이다. 이 단어를 근거로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는 시기에 대해 두 가지 견해가 있다. (1)혹자는 '에이세르코메다'가 현재형으로 이미 믿는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는 것은 미래에 보장된 것이 아니라 현재에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Kistemaker, Lane, Montefiore). (2)혹자는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는 것은 현재이나 그 완성은 미래에 있다고 주장한다(Bruce). 이 두 가지 견해는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지닌다.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안식에 들어가는 것의 완성이 미래에 있을지라도 그것은 그리스도인들이 현재에 누리는 것이다. 한편 본절의 '안식'(* , 카타파우신)은 시95:11의 '내 안식'(* , 카타파우시스)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것은 '하나님이 수여하시는 안식'이라는 뜻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이 즐기시는 안식'을 의미한다(Morris, Bruce). 그러므로 본절의 '안식에 들어간다'는 것은 하나님이 즐기시는 안식에 그리스도인들이 함께 동참하게 됨을 시사한다.
>>그 말씀하신 바와 같으니 내가 노하여 맹세한 바와 같이 저희가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다 하였으나 세상을 창조할 때부터 그 일이 이루었느니라 - 이 구절은 시95:11의 인용이다(3:11).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 받은 하나님의 안식 즉 가나안 땅에 들어갈 수 없었던 것은 그들의 마음이 강퍅하여져서 하나님의 길을 의도적으로 거역한 결과이다. 그들이 안식을 누리지 못한 것은 그들의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로 말미암은 것이지 결코 안식이 폐지되었거나 혹은 안식이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다. 하나님의 안식은 이미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실 때부터 완성되어 있었다(H-ewitt, Morris). 세상 창조 때 완성된 하나님의 안식은 창2:2을 암시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안식이 창세 이후로 지속되고 있으며, 하나님을 거역하지 않고 순종하는 모든이가 참여해서 즐길 수 있는 것임을 시사한다(Bruce).
=====4:4
>> 제 칠 일에 관하여는 어디 이렇게 일렀으되 - 저자는 본절에서 창2:2을 인용하면서(출20:11;31:17) '어디 이렇게'(* , 푸 후토스)라는 막연한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당시 성경에 장,절의 구별이 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구체적인 출처를 밝히는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으며 저자에게 중요한 것은 성경 어느곳에 이 말씀이 기록되어있는가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사실에 있음을 나타낸다.
>> 하나님은 제 칠 일에 그의 모든 일을 쉬셨다 하였으며 - 저자는 창2:1-3에서 나타나듯이 하나님이 하신 일과 그의 안식을 구별하고 있다. 하나님의 안식은 하나님 자신이 행하신 일의 완성과 만족을 시사한다. '하나님이 쉬셨다'는 것은 단순히 아무일도 하지 않는 무위(無爲)의 상태에 들어가셨다는 말이 아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섭리 가운데 인간을 구속하시고 유지하시며 통치하시는 일을 행하신다(요5:17, Hewitt).본절에서 저자가 인용문을 통해 강조하는 것은 하나님의 안식이 미래에 인간을 위해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의 창조 이래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4:5
>> 또다시 거기 저희가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였으니 - '또다시'에 해당하는'팔린'(* )은 앞에서 인용한 문구에 다른 인용구를 첨가시킬 때 저자가 사용하는 독특한 표현 방법이다(1:5;2:13;10:30). 본절은 3절에서 인용한 시95:11의 반복으로서 저자는 이 반복된 인용을 통해서 창조 이후에 취하신 '하나님의 안식'과 '구원받은 인간에게 약속된 안식'을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안식에 대한 약속의 특성을 설명하여 수신자들로 하여금 소망을 갖게 한다(Lane, Schroger). 그래서 본절에서는 시95:11a에 언급된 하나님의 진노가 생략되어 있다.
=====4:6
본절은 앞에서 진술한 내용의 요약이다.
>>그러면 거기 들어갈 자들이 남아 있거니와 - 광야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불순종으로인해 안식에 들어가지 못하였으나 하나님에게 순종하며 의지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는안식에 들어가는 일이 남아 있다. '남아 있거니와'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폴레이페타이'(* )는 '뒤에 남겨두다'라는 의미로(9절) 설사 출애굽한 이스라엘백성이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지 못했을지라도 안식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 아직 유효함을 시사한다(Lane).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갈 자들은 성령의 경고에 주의를 기울이며 하나님의 명령에 믿음과 순종으로 응답하는 자들이다(3:7). 복음 전함을 먼저 받은 자들은 순종치 아니함을 인하여 들어가지 못하였으므로 -본절은 3:16-18과 4:2에 대한 요약이다(Lane). '복음 전함을 먼저 받은 자들'이란 시95:8-11에서 언급된 출애굽 세대를 가리킨다(민13:26;14:9). 출애굽 세대들은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지 못했다(민14:11,12;21-23). '순종치 아니함'이란 하나님의 명령과 말씀을 의도적으로 배척하는 것을 시사한다(11절;3:10;롬11:30).
=====4:7
>> 오랜 후에 다윗의 글에 - '오랜 후에'(* , 메타 토수톤 크로논)는 광야 시대 이후부터 다윗의 때에 이르는 시기를 가리킨다(Robertson). 한편'다윗의 글에'는 인용문인 시 95편의 저자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윗의 글에'라는 표현은 맛소라 본문(Massoretic text)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70인역에는 시 95편의 제목으로 '아이노스 오데스 토 다우에이드'(* , '다윗의 찬양')이라고 기록되어 다윗이 지은 시로 나타난다. 그래서 혹자는 70인역을 따라 '다윗의 글에'라는 구절이 틀림없이 다윗이 쓴 시편임을 가리킨다고 주장한다(Delitzsch).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시편의 저자 문제가 아니라 다윗을 통해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다는 사실이다(Bruce).
>> 다시 어느 날을 정하여 오늘날이라고 미리 이같이 일렀으되 오늘날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너희 마음을 강퍅케 말라 하였나니 - 본절은 시 95:7b, 8a의 인용으로 그초점은 '오늘날'에 있다. '오늘날'이라 함은 하나님의 안식에 대한 약속이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폐지된 것이 아니라 현재까지 유효함을 시사한다(Morris). 따라서 본절은 안식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 과거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현재에도 들려오는 '하나님의 음성'으로서 믿는 자들에게 성취되는 종말론적인 것임을 나타낸다(Lane, Hofius). 그러기에 저자는 본절의 인용문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때 과거 이스라엘 백성이 행했던 과오를 범하지 않도록 권면한다.
=====4:8
>> 만일 여호수아가 저희에게 안식을 주었더면 그 후에 다른 날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리라 - 신명기와 여호수아서에 나타난 '안식'의 개념은 가나안 땅의 정착을 의미했다(신3:20;12:9;25:19;수1:13). 그래서 가나안 정복이 이루어진 후에는 안식에 대한 약속이 성취된 것으로 나타난다(수21:44;22:4). 그러나 본절에서는 구약의 여호수아를 통한 '가나안에 들어감'이라는 전통적인 안식과 시 95편에서의 '내 안식'사이에 차이점이 발생한다(Lane). 전통적인 안식의 개념인 가나안에서의 정착은 진정한 의미의 안식에 대한 성취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실체인 다른 안식을 상징한다. 만일 여호수아에 의해 안식에 대한 약속이 성취되었다면 시 95편에서 안식에 대한 새로운 약속이 필요치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에서 누린 안식의 경험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에게 주시는 완전한 안식에 대한 상징으로서 진정한 안식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될 것이다. 한편 '여호수아'(* , 예수스)라는 명칭은 '예수'라는 헬라식 발음을 히브리식으로 발음한 것이다. '여호수아'는 예수 그리스도와의 상관 관계가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서 처음 '예수'(* , 예수스)는 하나님의 완전한 안식으로 인도하지 못하였으나 나중의 예수 그리스도는 그리스도인들을 완전한 안식으로 인도하심을 암시한다(Morris).
=====4:9
>>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 - 본절은 앞에서 언급된 내용에 대한 결론으로 6a절과 구조적으로 병행을 이룬다(Lane). 결국 본절은 6절에서 내려진 결론을 다시 반복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본절에사용된 '안식'의 헬라어 '삽바티스모스'(* )의 의미에 대한 견해는 세가지이다. (1)혹자는 이것이 영적인 의미가 아니라 지역적이며 세상적인 의미의 안식을 가리킨다고 주장한다(Buchanan). (2)혹자는 '삽바티스모스'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정복을 완수하고 그곳에 정착해서 누리는 안식을 의미할 수 있으나(신25:19), 근본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성취된 영적인 의미의 완전한 안식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Morris, Hewitt, Rendall). (3)혹자는 이것이 미래에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주어질 안식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Justin, Hofius). 여기서는 '삽바티스모스'를 '축하한다'라는 뜻의 동사 '삽바티제인'(* )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아 단순히 '안식'이라는 의미보다 미래에 누릴 '안식하는 즐거움'을 강조한다. 세 가지 중(1)의 견해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성취된 종말론적 의미로서의 영적인 안식을 강조하는 본서 전체의 흐름으로 볼 때 타당치 않으며 그외 나머지 견해는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지닌다. 따라서 '삽바티스모스'는 그리스도인들이 누릴 영적인 의미의 안식으로서(마11:28-30) 그 안식이 기쁘고 즐거운 것임을 나타낸다.
=====4:10
>>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는 하나님이 자기 일을 쉬심과 같이 자기 일을 쉬느니라 -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에 대한 해석은 두가지이다. (1)혹자는 '그리스도'로 해석한다(Ebrard, Alford, KJV, LB). (2)혹자는 '그리스도인들'로 해석한다(Morris, Hewitt). 이 두가지 견해 중 후자가 타당하다. 왜냐하면 본장의 전후 문맥에서 그리스도에 대한 암시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들어간'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이셀돈'(* )은 부정 과거 분사이나 일반적인 사실을 가리키는 것으로 현재형으로 나타난다(for whoever enters God's rest, RSV, NIV, De Wette, Vince-nt).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는 자는 누구든지 안식을 누리게 된다. 이렇게 누리게 된 안식의 시제성은 하나님 나라와 마찬가지로 '이미'(already)와'아직'(not yet)의 개념으로 이해된다. '안식'은 안식일의 주인되신 그리스도께서 오심으로써 '이미' 이 땅에서 시작되었으나 '아직' 완성되지 않은 것으로 하늘나라에서 온전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인들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이미 이 안식을 누리고 있으나 아직 완전한 안식을 누린 것은 아니다. 완전한 안식은 하늘나라에서 누리게 될 것이다(Morris).
=====4:11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지니 - '힘쓸지니'의 헬라어 '스푸다소멘'(* )은 '재촉하다', '열심히 노력하다'라는 의미로 의지를 나타낸다. 이것은 그리스도인들이 의지적인 모든 노력을 기울여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안식에 들어가는 것이 인간의 노력만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간다는 사실이 전제되어 있다(3절, Lane).
>> 이는 누구든지 저 순종치 아니하는 본에 빠지지 않게 하려 함이라 - 본절은 6절과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의 불순종을 암시한다(3:17,18). 이스라엘의 불순종 행위는 현재 그리스도인들에게 교훈을 가져다 주는 모델이다. 여기서 '본'에 해당하는 헬라어 '휘포데이그마티'(* )는 '본보기', '복사본'을뜻하는 것으로 저자는 본절에서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옛 이스라엘 백성들의 불순종한 것을 경계로 삼아 그들의 전철을 밟지 않아야 함을 권면한다.
=====4:12
>>하나님의 말씀은 살았고 운동력이 있어 - '하나님의 말씀'은 앞에서 인용된 안식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가리키고 있으나(Hewitt),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전해진 하나님 말씀 전체를 가리킨다(Robertson, Morris). '살았고 운동력이 있어'라는 표현은 그 '말씀'이 '인격성'과 '역동성'을 지녀서 행위를 동반함을 암시한다. 즉 하나님에게 불순종한 이들에게는 경고와 심판을 행하게 되며 하나님에게 순종하는 이들에게는 그들에게 약속된 말씀을 성취케 하는 말씀이다(Hewitt, Morris).
>> 좌우에 날선 어떤 검보다도 예리하여 - 하나님의 말씀은 출애굽 세대뿐만 아니라오늘날의 수신자들에게도 동일한 효력을 지닌 말씀으로서 말씀에 대한 순종 여부에 따라 안식과 진노를 행한다(Trompf). 그 말씀은 '검'과 같아서 하나님의 음성에 계속 불순종할 때 치명적인 무기가 될 수 있다. 과거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거역하며 가나안 땅에 들어가려고 했을 때, 아말렉과 가나안인들의 '검'(* ,마카이란)에 패배(敗北)하여 도망할 수밖에 없었다(민14:43-45).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 심성에 내재하는 불의, 추악, 탐욕, 악의, 시기, 악독(롬1:29) 등의 온갖 죄악을 예리하게 심판하는 '검'이 된다(Hofius, Lane).
>> 혼과 영과 및 관절과 골수를 찔러 쪼개기까지 하며 또 마음의 생각과 뜻을 감찰하나니 - '혼과 영'(* , 프쉬케스 카이 프뉴마토스), '관절과 골수'(* , 하르몬 테 카이 뮈엘론)는 인간의 구조로 명명되는'삼분법'에 대한 설명이라기보다는 인간 정신의 전체적인 본성을 말하는 수사학적(修辭學的)인 표현이다(Bruce, Morris, Robertson). 한편 '찔러'에 해당하는 헬라어 '디이이크누메노스'(* )는 '꿰뚫다'라는 의미로 인간의 영혼과 육을 분할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이 인간의 깊은 내면을 꿰뚫어 잠재된 의식까지 들춰내는 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Bruce, Robertson). 또한 '감찰하나니'의 헬라어 '크리티코스'(* )는 법정 용어로서 '판단하다'라는 뜻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사람 인격의 가장 깊은 곳까지 통찰할 수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인간의순종 여부에 따라 안식과 진노를 행함을 시사한다(시95:11, Lane).
=====4:13
>> 지으신 것이 하나라도 그 앞에 나타나지 않음이 없고 - '지으신 것'이란 '창조 행위' 혹은 '물질적인 우주'와 '영적인 존재'를 포함한 모든 피조물을(고후5:17;갈6:15) 가리킨다. 한편 '나타나지 않음이 없고'의 헬라어 '아파네스'(* )는 본문에만 사용된 형용사로서 부정 접두어 '아'(* )와 '보이다'를 의미하는 '파이노'(* )의 합성어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역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간의 마음과 뜻을 감찰하시는 능력이 있어(12절) 그 앞에서 모든 것이 드러남을 시사한다. 하나님의 시야에서 모든 창조물들이 벗어날 수 없다는 이러한 사상은 유대인에게 있어서 상식적인 사실이었다(Lane).
>>오직 만물이 우리를 상관하시는 자의 눈 앞에 벌거벗은 것같이 드러나느니라 - '우리를 상관하시는 자'로 번역된 헬라어 '프로스 혼 헤민 호 로고스'(* )는 동사가 없는 구문으로 해석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이것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우리가 밝히지 않으면 안 되는 자에게'라는 의미로(Morris), 우리와 관계를 맺으시고 통치하시는 하나님을 시사한다(Robertson). 한편 '드러나느니라'의 헬라어'테트라켈리스메나'(* )는 '목(* , 트라켈로스)을 뒤로 젖히다'라는 의미로 레슬링 선수가 상대방의 목을 감아 뒤로 젖히는 행위나 짐승을 잡기 위해 뒷덜미를 젖혀서 목이 드러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된 표현이다(Morris). 이것은 모든 피조물을 창조하시고 지배하시는 하나님의 시야에서 어떤 것도 은폐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저자는 12절과 본절의 문맥을 통하여 하나님의 말씀 앞에 드러난다는 것은(12절) 하나님 자신 앞에 드러난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진술하고 있다(Lane).
=====4:14
>> 우리에게 큰 대제사장이 있으니 - 저자는 본절에서 예수를 '큰 대제사장'(* , 아르키에레아 메간)으로 지칭하고 있다. '큰 대제사장'은 '대제사장'에 '큰'이라는 수식어를 붙인 것으로 아론 계통의 대제사장들보다 그리스도가 더 우월함을 나타낸다(Lane).
>> 승천하신 자 곧 하나님 아들 예수시라 - 예수의 우월성은 '승천하신 자'라는 초월적인 표현을 통해 더욱 강조 된다. '승천하신 자'의 헬라어 '디엘렐뤼도타 투스 우라누스'(* )에서 '디엘렐뤼도타'는 '...통하여 지나가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디에르코마이'(* )의 완료 능동태 분사로 그리스도께서 하늘에 올라가셨다는 뜻보다는 하늘을 통과하여 하나님이 계시는 지고(至高)한곳으로 가셨음을 뜻한다(Morris). 아론 계통의 제사장들은 이 땅의 성막에서 하나님께 제사를 드렸으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존재에서 제사장의 사역을 감당하시므로 그들과는 비교되지 않는 사역의 탁월성을 소유하고 있다(Hewitt). 한편 '하나님아들 예수시라'는 예수께서 인간이시며 동시에 신성을 소유하셨음을 나타낸다. 이는 예수께서 인간으로서 인간의 모든 연약함과 유한성을 이해하실 뿐만 아니라 신성을 지닌 하나님의 아들로서 그가 행하신 모든 행위와 약속이 신뢰할 수 있는 확고한 것임을시사한다(Hewitt).
>> 우리가 믿는 도리를 굳게 잡을지어다 - 앞에서 언급된 그리스도의 탁월성과 초월성, 더 나아가 그의 하나님의 아들되신 신성은 '우리가 믿는 도리를 굳게 잡을' 근거가 된다. 여기서 '믿는 도리'에 해당하는 헬라어 '호몰로기아스'(* )는 '고백'을 뜻하는 말인데 이 고백의 내용은 당시 유대인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익히 알고있는 공식화된 고백으로 본절 상반절에서 언급된 '하나님의 아들 예수'를 가리킨다(Lane, Neufeld, Bornkamm). 한편 '굳게 잡을지어다'의 헬라어 '크라토멘'(* )은 '단단히 쥐다' 혹은 '들러붙다'의 뜻으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고백을 끝까지 지키라는 권고이다.
=====4:15
>> 우리에게 있는 대제사장은 우리 연약함을 체휼하지 아니하는 자가 아니요 - '연약함'은 죄의 유혹에 대한 인간의 연약성뿐만 이니라 인간이 지닌 모든 한계성을 함축하고 있는 표현이다(Hewitt). 한편 '체휼하지'에 해당하는 헬라어 '쉼파데사이'(* )는 '함께 수난당하다'라는 의미의 '쉼파스코'(* )에서 파생된말로서 '동정하다'(to sympathize, NIV)라는 의미이다. '쉼파데사이'는 단순히 감정을 공유한다는 의미로서의 '동정'(同情)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도움의 행위를 내포한다(10:34;13:23;4Macc 4:25, Lane). 저자는 '아니하는...아니요'(* , 우...메)라는 이중 부정을 사용하여 예수님 자신이 인간과 동일하게 연약함을 느낀다는 사실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체휼하시는 예수'에 대한 강조는 예수께서 인간과 동일하게 공감하시는 분으로서 능히 인간을 도우실 수 있음을 나타낸다(Schenk). 예수께서 우리를 이해하시고 도우실 수 있는 것은 자신이 완전히 인간성에 참여하셨기 때문이다(2:17,18).
>> 모든 일에 우리와 한결같이 시험을 받은 자로되 죄는 없으시니라 - 이것은 예수께서도 인간과 똑같이 유혹을 받아 범죄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Lane, Cullmann) 예수께서 인간과 같이 되셔서 인간들이 겪는 모든 어려움을 경험하셨음을 나타낸다(Bruce, Morris).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대제사장으로서 인간들을 돕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조건이었다. 한편 '죄가 없으시니라'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라 두가지 견해가 나타난다. (1)혹자는 본문의 내용 즉 예수께서 죄가 없으시다는 점을 부인한다(Buchanan, Williamson). 이들은 '예수께서 본장에서 대제사장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구약시대의 대제사장이 자신의 죄를 사함 받기위해 속죄제를 드리는 것처럼(5:3), 예수도 대제사장으로서 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하나님께 대한 불순종을 통해서 순종해야 함을 알고 모델이 되셨다'(5:8)고 주장한다.(2)혹자는 본문의 표현 그대로 예수께서 인간으로서 죄의 유혹을 받아 범죄할 가능성이 있었으나 범죄하시지 않았다고 주장한다(Hewitt, Lane, Morris, Bruce). 이 두 가지 견해 중 후자가 타당하다. 앞에서 언급된 '모든 일에 한결같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카드 호모이오테타'(* )는 '같은 방식으로'라는 뜻으로 동일성 보다는 유사성 내지는 구별성을 나타낸다(Lane). 예수께서는 인간이셨으나 인간과는 달리 흠이 없으시며(9:14) 지상의 성막에서 제사드리는 대제사장과 같이 자신의 죄를 위해 제사드릴 필요가 없는 분이었다(7:27). 따라서 본절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는 대로 그리스도께서 인간과 똑같은 시험을 받으셨으나 인간들처럼 시험에 넘어진 것이 아니라 그것을 온전히 극복하심으로 범죄하지 않으셨으며 시험을 인간과 동일하게 받으심으로 인간들이 당하는 모든 시험의 어려움을 낱낱이 아심을 나타낸다.
====4:16
>> 그러므로 우리가 긍휼하심을 받고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얻기 위하여 - '때를 따라'에 해당하는 헬라어 '유카이론'(* )은 '좋은' 혹은 '옳게'를 뜻하는'유'(* )와 '시기'를 뜻하는 '카이로스'(* )가 합쳐진 합성어로서 '적절한 시기'를 나타낸다. 그리스도인들이라 할지라도 불완전하여 수시로 죄의 유혹에 넘어지기 때문에 하나님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본절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의 자비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바로 그 때를 아실 뿐만 아니라 시기 적절하게 베풀어 주심을 나타낸다.
>> 은혜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갈 것이니라 - '보좌'의 헬라어 '드로노'(* )는 '왕의 보좌'를 뜻하는 말로서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보좌'나 '그리스도의 보좌'(1:3,8)를 나타낸다. 본절에서는 '하나님의 보좌'로 사용되었다. 이 '은혜의 보좌'는 하나님이 현존해 계시는 장소로서 구약시대의 하나님이 거하시는 상징적 장소인 성막 안의 속죄소와 연관된다(9:5;출25:21,Bruce). 대제사장들은 일 년에 한 번 지성소안에 있는 속죄소에 나아갈 수 있었으며 속죄의 행위가 받아들여졌을 때 지성소 안에있는 그 속죄소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시은소(施恩所)가 되었다(9:5;레16:2-34). 그러나 본절에서 저자가 말하는 '은혜의 보좌'는 더이상 모세가 전해준 율법적인 속죄소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보좌를가리키는 것으로 그 우편에는 그리스도께서 그리스도인들의 대제사장으로 좌정해 계신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갈 수 있다.
-----------
본장은 문맥상 앞뒤 대단원을 잇는 연결 고리 역할을 한다. 즉 그리스도의 우월성을 논증하고 있는 대단원(1:1-4;13)과 대제사장되시는 그리스도의 뛰어난 사역을 증거하고 있는 대단원(4:14-10:18)을 연결하고 있는 부분이 본장이다. 특히 본장은 앞장 후반부(3:7-19)에서 언급하기 시작한 '안식'에 대한 권고를 마감지음과 동시에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의 사역에 대한 서론적 언급을 하고 있다.
본장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저자가 전개하고 있는 '안식의 신학'을 염두에 둔 다음 본장 주제의 진행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1) 안식의 신학. 저자는 앞장에서 시편 95편을 인용하여 광야 생활을 하던 이스라엘 열조가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지 못했음을 설파하였다. 이처럼 저자가 구약성경 본문(70인역)을 인용하면서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것은 옛 계약과 새 계약, 구약 이스라엘과 신약 교회 사이에 연속성이 있음을 전제한다. 특히 저자는 독자들에게 권고를 주고 있는 부분에서 구약성경을 적절하게 인용하고 있다(3:7-11;시95편/5:11-6:12;시 110편/10:32-36;합 2장/12:25-29;잠 3장). 이처럼 저자가 구약성경 본문을 인용하여 권고하는 것은 본 서신의 독자들인 유대인 성도들에게는 매우 친숙한 것이었다.
앞장에서 안식에 들어가지 못한 이스라엘 백성의 불신앙을 실례로 든 저자는 본장에서 그 안식의 약속이 폐지되지 않았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출애굽 세대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안식에 들어가지 못했지만, 그 안식의 약속은 오는 모든 세대의 성도들에게 여전히 적용된다는 것이다.
출애굽 세대에게 주어진 안식의 개념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이었다. 저자에 의하면 이것은 안식에 대한 하나의 유형이었다. 그러념 안식의 원형은 무엇인가 ? 저자는 본장 4절에서 제시하기를, 하나님께서 우주 만물을 만드시는 창조 사역을 마치신 후 제 칠일에 안식하신 것(창 2:2)을 '안식의 원형'이라고 함축적으로 말한다. 하나님께서 창조의 수고를 다하신 후 경험하신 완성과 조화('보시기에 좋았더라')의 상태는 그 이후에 경험되는 모든 안식의 원형이자 목표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선택으로 약속의 자손이 된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주어진 안식(출 20:8-11)은 하나님의 최초의 안식에서 예표되었다.
요약하면, 저자는 하나님의 최초의 안식을 원형(archetype)으로(4절), 여호수아의 영도 하에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정착한 것을 유형(type)으로(8절), 그리고 본 서신의 독자들이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기념하며 안식일을 지키는 것을 대형(antitype)으로 설명하고 있다. 원형과 유형과 대형은 구속사의 연장 선상에 있으며 현재 성도들이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누리는 안식 또한 장차 성취될 하나님의 영원하신 구속 계획의 연장 선상에 있다.
다시 말해서 오늘날 성도들은 하나님께 대한 찬양과 예배로 특징지워지는 안식일을 지킴으로써 하나님의 안식을 부분적으로 경험하지만, 동시에 장차 도래할 하나님 나라의 영원한 안식을 고대한다. 이렇듯 구속과 영원한 안식, 약속과 성취의 중간 기간에 살고 있는 성도는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에 대한 믿음과 순종을 통해서 영원한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써야 한다. 이것은 종말론적인 성도의 삶의 본질이라 하겠다.
(2) 주제의 진행 과정. 본장의 전반부(1-13절)는 앞장 후반부(3:7-19)에서 언급한 '안식에 들어감'에 대한 권고를 계속하고 있으며, 후반부(14-16절)는 큰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논증하는 대단원의 서언적인 언급을 시작하고 있다. 이처럼 양분 되는 본장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볼 때 연결이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전후 문맥에 유의하면 두 개의 단락이 긴밀한 연관 속에서 서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의 사역을 진술하고 있는 후반부는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쓰라고 권고하는 전반부의 근거와 토대를 제공한다. 하나님의 일에 충성된 대제사장으로서 하늘 성소에 들어가신 그리스도는 처음 믿음을 '끝까지 견고히 잡은'(3:14) 당신의 백성이 현재뿐만 아니라 장래에 참되고 영원한 안식을 누리게 되는 보증이요 근거요 통로가 되시는 것이다.
1. 불변하는 안식의 약속(4:1-13)
본문은 3:7-19에서 언급한 안식에 대한 권고를 완성하는 부분이다. 앞장의 권고에서는 이스라엘의 불순종과 불신앙을 강조하면서 독자들에게 그러한 전철을 밟지 말 것을 강한 어조로 말하였지만, 본문에서는 보다 완곡한 어조로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쓰라고 권고하고 있다.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저자의 서술 방법을 유의한 다음 안식의 의미와 그 약속의 불변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1) 서술 방법. 저자는 독자들에게 안식에 대한 권고를 함에 있어 두 가지 서술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설교적인 미드라쉬'요, 다른 하나는 '게제라 샤와'이다.
(가) 설교적 미드라쉬(homiletical midrash). 저자는 본문에서 시편 95:7-11을 인용하고 해석함에 있어 설교적인 미드라쉬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3:7-19 강해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부분을 참조하기로 하자.
(나) 게제라 샤와(gezera sawa). 이는 미드라쉬와 마찬가지로 유대교의 랍비들이 사용하는 주석 방법 중의 하나이다. 저자는 본문에서 인용하는 시편 95편에 대해 더욱 풍성하고 심오한 해석을 하기 위해 시편 95:11을 인용한 후에 바로 이어서 창세기 2:2을 인용하고 있다(3,4절). 그런데 70인역(LXX)의 창세기 2:2에 '안식하시니라'로 번역된 헬라어 '카테파우센'( )은 시편 95편(LXX 94편)11절에 나오는 '안식'의 헬라어 '카타파우신'( )과 동족어이다.
이처럼 저자가 동족어가 들어 있는 구약성경의 두 구절을 나란히 인용한 것은 시편 95:11에서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내 안식'이 창세기 2:2의 '하나님의 최초의 안식'을 원형(原型)으로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유사한 단어들에 주목하여 성경 본문을 인용, 해석하는 방법을 '게레라 샤와'라고 한다(Hofius). 이상에서 설명한 두 가지 주석 방법은 헬라어 성경을 사용하던 본 서신의 독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었다.
(2) '안식'의 의미. '안식'이란 단어는 창세기 2:2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그후 십계명 가운데 '안식일'의 규례가 제정되었다(출 20:8). 출애굽 당시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안식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으로 이해되었다(신 12:9). '땅에 대한 약속'은 일찍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조상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창 12:2,3)의 내용 가운데 포함 되었던 실체적인 개념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서의 저자는 "만일 여호수아가 저희에게 안식을 주었더면 그 후에 다른 날을 말씀하지 아니하였으리라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8,9절)라고 말한다. 이 말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감으로 약속된 안식을 누렸던 것은 앞으로 올 영원한 안식의 그림자라는 의미이다. 이 영원한 안식은 곧 영적 안식과도 통하는 것으로 안식일의 주인 되신 예수께서 십자가에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이미 성취되었으며(마 12:8), 또 장차 일어날 예수의 재림으로 인해 완성될 것이다(계 14:13).
(3) 안식의 약속의 불변성. '약속'은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선택하신 당신의 백성들에게 주신 불변적인 것으로(창12:2,3), 하나님의 임재와 축복과 구원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의미를 지닌다. 하나님께서는 일차적으로 출애굽 세대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안식을 약속하셨고, 당시 이것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했다. 그렇지만 이것은 하나의 예표적인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완성될 영원한 안식의 약속을 의미한다(9절). 다시 말해 본서 저자가 말하는 안식의 약속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택한 백성들을 위해 예비하신 영원한 하늘나라에서의 안식을 의미한다(요 14:1-4). 이러한 의미에서 저자는 안식에 대한 약속이 오늘날에도 계속 유효하다는 사실을 독자들에게 일깨우면서 이 약속의 상속자로서 계속 머물 수 있도록 그 필수적 조건이 되는 순종의 필연성을 강조하고 있다(11-13절).
한편 '하나님의 말씀은 살았고 운동력이 있어'(12절)라는 구절은 말씀의 탁월한 능력(딤후 3:15)을 설명하지만, 지금까지 언급한 '안식의 약속의 불변성'을 강조하는 의미도 내포한다.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말씀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하에 반드시 성취 되며, 모든 세대의 약속의 자녀들에게 그 효력이 미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약속의 자녀된 성도들은 우리를 영원한 안식으로 인도하는 하나님의 살아 있는 말씀에 순종해야 할 당위성을 가진다.
2. 큰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4:14-16)
본문은 그리스도의 제사장적 우월성을 논하는 새로운 대단원(4:14-10:18)의 서두이다. 그런데 여기서 저자는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일에 자비하고 충성된 대제사장이 되셨다'는 2:17의 선언을 이어받고 있다. 2장 강해에서 언급한 바거니와 '자비하고'는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구속 사역을 완성하신 사실을 가리키며, 특히 예수께서 연악하며 죄 많은 인간을 이해하시고 도우시는 분임을 강조한다(2:18). 본문의 강조점도 바로 여기에 있다. 예수는 하나님의 본체시나 종의 형체를 가져 우리 인간과 같이 되셨고(빌 2:6) 인간의 연약함과 시험 당함을 체험하셨다(15절). 이처럼 예수는 시험과 고난을 체험하셨기에 인간들의 연약함을 잘 아시며, 따라서 그들을 능히 도와주시고 약속된 구원에 이르게 하신다. 이렇듯 몸소 인간의 연약함을 체험하심으로써 연약한 인간과 하나가 되신 큰 대제사장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본문의 내용은 우리들에게 한 가지 사실을 일깨워준다.
이는 16절에 시사된 것처럼, 성육신과 시험과 고난을 통해 인간의 상태를 철저하게 아시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구속해 주셨으므로 우리는 마땅히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중재자되시는 그분께 기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저자는 과거에는 하나님께 신실했으나 지금은 안팎의 곤경으로 인해 영적 침체 상태에 빠진 독자들(10:32-34)을 염두에 두고 있다. 본 서신의 일차적인 독자인 유대인 성도들은 비록 그들이 환난과 배교의 위험에 처해 있었지만, 끝까지 성도의 본분과 사명을 다해야만 했다. 이것은 하나님의 무한하신 자비와 때를 따라 도우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바라는 기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
* 그리스도의 직임. 유일한 중보자이신 그리스도는 인간에게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는 선지직과 하나님께 인간을 대신하여 속죄 제사를 드리는 제사직, 그리고 하나님으로부터 우주를 통치하는 권한을 위임받아 발생하는 왕직을 동시에 가지셨다. 이러한 그리스도의 직임은 한마디로 중보자라고 할 수 있다. 중보자는 인간을 대신하여 하나님으로부터 벌을 받아야 하므로 반드시 사람이어야 하고(2:14016), 구원을 위하여 택한 사람들의 죄값을 단번에 지불하며 그들에게 영원한 대속을 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하나님이어야 하며(9:25,26,28), 다른 사람의 죄값을 대신 지불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무죄한 인간이어야 한다(롬 3:10). 그리스도의 중보직은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1) 선지직. 선지자는 성령의 감동으로 하나님의 특별 계시를 받아 인간에게 전달하는 자이다. 이들은 하나님의 세우심을 받아야 하며(렘 1:5), 계시를 받은 것만 전달해야 하는(신 18:20), 수동적 요소와 더불어 하나님의 말씀을 적극적으며 자발적으로 선포해야 하는 능동적 요소를 갖는다(렘 20:8,9). 그리스도의 선지직의 특성과 선지직 수행의 여러 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그리스도의 선지직의 특성. 그리스도는 구약성경에 자주 등장하는 선지자이며(신18:15; 요 1:19-21; 행 3:22,23) 다음과 같은 특수한 면도 갖는다.
(a) 그리스도는 자기에게 임한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는 단순한 선지자가 아니라 자신이 갖고 있는 신(神)으로서의 능력을 대변하는 창조적 선지자이시다(사 61:1).
(b)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종이 아니라 아들이신 선지자이시다(마 1:1-3).
(c) 그리스도는 다른 선지자와는 비견될 수 없는 완벽한 측면에서 유일한 선지자이시다(마 23:8,10).
(나) 선지직 수행의 여러 단계. 그리스도는 성육신 이전과 지상 생애 동안은 물론 승천 후에도 선지직을 계속하신다.
(a) 성육신 이전. 성육신 이전에도 로고스로 존재하셨던 그리스도는 때로는 여호와의 사자로(창 31:11-13; 삿 13:18), 때로는 계시의 영으로 나타나셔서 하나님의 뜻을 전달 하셨다(벧전 1:10,11).
(b) 지상 생애 동안(눅 6:19; 요 8:38,58).
(c) 승천 후. 그리스도는 지상 교회가 전지 사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역사하신다.
(d) 천국에서. 그리스도는 천국의 성도들에게 하나님의 영광을 보여주신다(요 16:25; 17:24; 고전 13:12).
(2) 제사직. 제사장은 하나님 앞에 서는 인간의 대표자로서(출 28:9,10,29) 인간 중 에서 선출되며(5:1) 하나님으로부터 임명받아(5:4) 하나님께 거룩하게 바치도록 성별 되며(레 21:4-6) 하나님께 예물을 드리며 기도하는 자이다(5:1). 그리스도의 제사직의 특징과 그리스도의 헌제 사역 및 중재 대언 사역을 알아보기로 하자.
(가) 제사직의 특징. 구약 제사장은 그리스도의 모형이며 예표였다(8:4,5; 9:23). 그러나 유일한 중보자이며(딤전 2:5) 참 제사장이신 그리스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지닌다.
(a) 무죄하신 그리스도만이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다(롬 3:23).
(b) 그리스도의 제사만이 죄를 제거하는 지속적 효력을 지닌다(10:11-14).
(c) 그리스도만이 하나님과 인간을 화목하게 만들 수 있다(롬 5:10,11).
(d)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전달된다(롬 5:8; 요일 4:9).
(나) 그리스도의 헌제(獻祭)사역. 참 제사장이신 그리스도는 중보 사역과 더불어 제사드리는 사역을 수행하신다. 그리스도의 헌제 사역은 이미 구약에서 각종 제사의 제물과(10:8-12) 유월절 희생양(출 12:1-4)으로 예표된 바 있다(요 1:29; 고전 5:7;벧전 1:19). 그리스도 헌제 사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그리스도는 제사장이면서 동시에 제물이 되셨다(롬 3:25; 엡 5:2).
(b) 그리스도가 드린 제사는 구약 시대 때 하나님을 향한 전적 헌신과 봉사를 의미하는 번제, 충성과 감사를 상징하는 소제, 친교를 나타내는 화목제, 하나님 앞에지은 죄를 용서받기 위한 속죄제, 인간에게 지은 죄와 건계된 속건제 등 5대 제사의의미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c) 그리스도는 단 한번의 제사로 인간의 모든 죄를 영원토록 완전히 사하셨다(10:14).
(다) 그리스도의 중재 대언(중재대언) 사역. 제사장이신 그리스도는 참소자인 사단으로부터 택한 자를 보호하시기 위하여 영원한 대언자가 되신다(6:20; 7:21).
(3) 왕직. 구약성경은 오실 메시야를 왕으로, 그리고 그가 다스릴 나라를 왕국으로 예언하였으며(삼하 7:16; 시 2:6; 사 9:6; 단 7:13,14; 미 5:2; 슥 9:9), 신약성경 역시 이를 수긍하고 있다(마 3:2; 막 1:14,15; 눅 1:31-33). 이와 같은 그리스도의 중보적 왕권은 영적 왕권과 우주적 왕권으로 구분된다.
(가) 영적 왕권. 이는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께서 택한 백성들의 구원을 위하여 행사하는 통치권을 의미하며, 그 영역을 영적 왕국이라 한다. 이 왕국은 이미 현세의 성도들의 마음에 이룩되고 있고(마 12:28; 눅 17;20,21) 그리스도 재림으로 인하여 미래에는 완전히 완성될 것이다(마 7:21; 고전 6:9,10; 15:20; 딤후 4:18; 벧후1:11).
(나) 우주적 왕권.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그리스도에게 주심으로(엡 1:20-22; 빌 2:9,10) 영적 왕국 건설의 기초를 놓으셨다.
====impartation=====
**impart : (가림을)제하다/본래적 생명으로서 받은 바 그 향기를 내뿜어 이롭게 하다 /(근원으로부터 솟아오른 바를) 전이-분배-수여-배가-더하다/<상호>교통하고 확산시키다/옮기다/동료, 동무로 삼다
== koinwniva(2842, 코이노니아) ....교제 fellowship, 참여 participation, 나누어줌 impartation.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명사 코이노니아(Plind. 이래)는 코이노노스(koinwnov", 2844: 동료, 참여자)에서 유래했으며,
(a) '참여' participation,...participate = take part in(가입하다...<세상에서는 이름만 걸어두는 명목상 가입에도 이 용어를 쓰고 있지만, 실지 의미는 명목상이 아니다!!>) 한편, 전존재 기울여, 가입한 그 일에 활동적으로 참되게 참여하는 것을 나타낼 때 partake/partaker(공동으로 함께 떡과 물을 먹고 마심으로써 활동적으로 참여하는 이가 참예자)라는 용어를 사용 함..이 때 주의 만찬에서는 먹고 마심은 그리스도의 몸과 피, 곧 참생명 그리스도의 말씀과 삶 전체를 전이받아 공급함
(b) '나누어 줌, 필요를 따라 상호 함께 나눔' impartation., (c) '친교, 교제, 교통' fellowship. communication (d) '자선품이나 기부금'을 의미.
impartation, 이 단어는 목적 속격(나누는 것), 주격 속격(나누는 사람 또는 물건), 여격(수령자)과 함께 사용되거나 전치사 및 목적 속격(참여하고 있는 자)과 함께 사용되었다.
·인간 생활-나눔은 여러 분야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면 사업, 법률관계, 결혼 등, 또한 헬라인에게 있어서 친교의 최고의 표현이 우정이다. 시민권 또한 중요하다. 왜냐하면 사회의 보존과 실로 세계(cosmos)의 보존은 정치적, 세계적 나눔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제의적 언어-원시 사상에 의하면 먹고 마심에서 신비한 신적 능력을 내적으로 받아들인다. 이런 개념은 제의적인 축제나 심지어 성적인 결합을 통하여 신과 연합한다는 헬라 개념에도 잔존해 있다.
철학은 이 개념을 순화한다. 따라서 플라톤에게 있어서 신과의 교제는 친교의 최고 형태이다. 반면에 완전한 우주에 대한 이상을 가지고 있는 스토아 철학은 인간 사이의 친교와 신과의 모든 인류의 친교를 강조한다.
신비주의는 친교를 합일(union)로 대체한다....[유한한 인간이 무한한 주 하나님과 연합, 하나됨 이루게 하시려는 하나님이 주신, 산 믿음의 신비!]
2. 70인역본의 용법.
명사 코이노니아는 70인역본에서 3회 나오며, 레 6:2에서 '담보'라는 의미로, 지혜서 8:18에서 물질적 참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3. 신약성경의 용법.
명사 코이노니아는 신약성경에서 19회 나오며, 3회를 제외하고는 모두 바울 서신에 사용되었다.
1. 코이노니아는 '함께 나누는 것'을 나타낸다.
(a) ① 고전 1:9에서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아들과 친교하도록 초청받았다: "너희를 불러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로 더불어 교제케 하시는 하나님은 미쁘시도다".
이런 친교에는 [이미, 그러나 아직] 신비적 합일을 온전히 이루었다 함은 아니며 이 친교는 그들의 생명과 그의 생명(그리스도의)과 동일시하는 믿음으로 인한 것이다.
이 친교는 현재 얻게 된다 할지라도 미래에 완성될 것이다(참조: 살전 4:17).
② 빌 1:5에 보면 이 친교에는 복음에의 참여가 수반되며, "첫날부터 이제까지 복음에서 너희가 교제함을 인함이라"(참조: 고전 9:23),
③ 믿음의 교제가 수반된다: "이로써 네 믿음의 교제가 우리 가운데 있는 선을 알게 하고 그리스도께 미치도록 역사하느니라"(몬 1:6).
(b) 고전 10:16 이하에서 코이노니아는 주의 만찬에서 일어나는 교제에 대한 매우 중요한 표현에 사용되었다: "우리가 축복하는바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예함이 아니며 우리가 떼는 떡은 그리스도의 몸에 참예함이 아니냐".
바울은 주의 만찬에서 가지게 되는 친교에 대해 코이노니아를 매우 의미심장하게 사용하였다. 기본적으로 완전히 믿음 안에서 알게된 그리스도에게 참예하는 일은 어떠한 교리와도 연관되지 않은 채 성례전에서, 고양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경험된다.....
주의 만찬에 참여함은 두 가지, 이중적으로 참예함이다.
--그 첫째는 성도가 [개인으로서, 또한 교회 공동체인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그리스도께 참예함이다..
먼저 바울은 주의 만찬을 유대교와 이교의 제사 의식과 구별한다. 고대의 일반적인 신앙에 따를 때 제의적 식사에 참여하는 자들은 그 신과 함께 하는 자들이 됨은 자명하다.
유대의 희생 제물을 먹는 자들은 "제단에 참예하는 자"(고전 10:18)가 된다. ["여기서, 제단"은 분명 하나님을 가리켜 사용된 것이다.] 제단은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내고 보증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교 제사에 참여하는 자들은 "귀신과 교제하는 자"(고전 10:20)들임이 분명하다.
유추적으로 주의 만찬에 참예하는 자들은 그리스도의 동류(동무)들인 것이다.
주의 만찬에서 생기는 진정한 교제는[당연한 의무로서, 절대유밀무이하신 그리스도와의 배타적인 참된 교통/교제를 위해서는 합당한 절대적 성별과 거룩함의 믿음 실행이 요구됨 !!], 그리스도인들이 이방인들의 의무 가운데 하나인 제의적 식사를 피해야만 한다는 매우 당연한 종교적 결론을 수반한다(고전 10:21).
따라서 바울은 주의 만찬의 성격을 그리스도의 인격과의 교제의 견지에서 설명한다. 즉 그의 몸과 피에 참예하는 것(코이노니아)이라고 한다(고전 10:16).
유대의 제단이 하나님의 임재를 보증하는 것이듯이 떡과 포도주(잔)는 그리스도의 임재의 방편이다. 떡과 잔에 참예함은 하늘의 그리스도와 연합(함께함)하는 것으로, 바울에게 있어 높임받으신 그리스도는 몸과 피를 가진 지상의 역사상의 그리스도와 동일하신 분이다.
코이노니아는 내적 합일(연합)을 표현하는 것이다. 바울은 이것을 이 의식에서 중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바울에게 있어서 높임 받으신 그리스도와의 진정한 합일은 그의 사망으로 말미암아 얻으신 용서의 축복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임이 자명하다.
제의적 식사에서 이러한 영적 합일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 그 합일은 영적 진리와 비밀에 속한 일이지만... 그 경험은 영적 실제이다!!...이를 참되게 경험한 믿는 이는 진정 그것을 안다... 이 경험도 추구하도록 열려 있다!!] ..바울은 귀신과의 교제에서도 그리스도인의 교제에서도 우리에게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바울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이 유사한 친교 방식의 성격이 아니라 친교의 사실 그 자체이다.
--둘째로, 고전 10:17절에 삽입된 진술에서 바울은 희생 제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의 만찬에서도 주의 만찬에 참여하는 자들 상호간에도 그리스도의 참생명 교통으로 인하여 참여자들 사이에 친교가 존재한다는 것을 선언한다. 이 교제/교통 또한 그리스도로부터 결코 떨어져 있지 않다. 그것은 그리스도가 한 개의 떡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와의 공통적인 연합에서 생겨난다.
(c) 빌 3:10, "내가 그리스도와 그 부활의 권능과 그 고난에 참예함을 알려하여 그의 죽으심을 본받아". 바울에 의하면 그리스도와의 친교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의 삶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참조: 롬 6:8; 롬 8:17; 롬 6:6; 딤후 2:12; 고후 7:3; 골 2:12-골 2:13; 엡 2:5-엡 2:6).
여기에는 두가지 측면의 교제가 있는데, 첫째는 그리스도의 수치(굴욕)와의 친교이며, 둘째는 그의 높임 받으심과의 친교이다.
바울은 그의 생애와 사역에서 그리스도의 전체 고난에 동참한다(빌 3:10; 참조: 골 1:24). 그러나 그는 마찬가지로 예수님의 영광에도 참여하기를 소망한다(빌 3:10; 참조: 롬 8:17).
(d) 성령에 참여는 그리스도인의 표시이다.
① 고후 13:13,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찌어다".
성령으로 그리스도는 신자들에게 오신다. 우리가 여기서 가지는 것은 성령에 참여함과 상호교통이요, 이로써 비로소 성도간에 교제가 가능해 진다.
② 빌 2:1,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 무슨 권면이나 사랑에 무슨 위로나 성령의 무슨 교제나 긍휼이나 자비가 있거든".
여기서 '성령의 교제'(코이노니아 프뉴마토스)는 '긍휼이나 자비'처럼, 사람에게 있는 어떤 것과 같이 [ JC 믿음 고백 바탕위에서 실행되는] 성령께 안에서 듣고 본 바 대로 친교(교제)이며, 성령이 [닫독적으로 직접] 실행하는 친교(교제)가 아니다.
(f) 요일 1:3; 요일 1:6; 요일 1:7, "
3 우리가 보고 들은 바를 너희에게도 전함은 너희로 우리와 사귐이 있게 하려 함이니 우리의 사귐은 아버지와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함이라 6 만일 우리가 하나님과 사귐이 있다 하고 어두운 가운데 행하면 거짓말을 하고 진리를 행치 아니함이거니와 7 저가 빛 가운데 계신것 같이 우리도 빛 가운데 행하면 우리가 서로 사귐이 있고 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여기에서 코이노니아는 그리스도 및 하나님과의 신비적 결합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JC를 확신-신뢰-의지하고 붙들며 HS인도하심따라 살아 생동하는, 발휘되는 산 믿음] 바로 그 믿음 안의 교제를 언급한다. 이 사귐은 여기서 시작하여 이후에 완성될 동거함(참조: 요일 3:2; 요일 3:24; 요일 4:13)에 의하여 성부 및 성자와의 친교로 시작한다(요일 1:3; 요일 1:6).
이 사귐은 신자들의 가족적 교제를 가져온다(요일 1:3).
그 근거는 역사적 예수님에 대한 사도의 설교와 빛 안에서의 행함과 모든 죄를 씻기시는 예수님의 피에 있다. 따라서 이것은 성육신을 부정하고 죄의 특성을 잘못 전달하는 분파적인 자만심을 배격한다.
2. 코이노니아는 '어떤 것을 나누어 주는 것'을 나타낸다.
(a) 행 2:42에서 코이노니아는 독립적인 의미의 예배 생활의 필수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저희가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하며 떡을 떼며 기도하기를 전혀 힘쓰니라".
코이노니아는 '참여, 함께 나눔(나누어줌), 교제(친교, 교통)'라는 의미에서 보면 '그리스도의 피"(빌 2:1)와 복음 사역에서의 협동(빌 1:5), 가난한 자들을 위한 헌금(고후 8:4; 고후 9:13) 등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코이노니아의 정확한 의미에 관한 다양한 견해가 있음을 기억해 두자.
그것은 행 2:44에 있는 재산의 공유/분배를, 혹은 신자들의 공동체 안에서의 한 마음을, 혹은 친교적 의미에 있어서의 주의 만찬(고전 10:16)을, 혹은 공동 식사에 참여해서 나누는 교제, 혹은 아가페(애찬)를 말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코이노니아는 새롭고 독립적인 어떤 것을 나타낸다. 곧 성령에 의해 전달/전이/분배된 일치와 연합을 나타낸다. 개인은 이 공동체에 의해 완전한 후원을 받았다.
(b) 고후 9:13에서 바울이 예루살렘에 가져온 기부금, 곧 가난한 자들을 위한 헌금은 교회들의 교제를 나타내주는 확실한 표현이다: "이 직무로 증거를 삼아 너희의 그리스도의 복음을 진실히 믿고 복종하는 것과 저희와 모든 사람을 섬기는 너희의 후한 연보를 인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이 기부는 종교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유대인과 이방인을 결합하는 하나의 복음으로부터 발생되었고 바울이 롬 15:26에서 말하는 것과 똑같은 영적이며 물질적인 주고 받음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루살렘에는 실제적인 궁핍이 있었다. 예루살렘 성도들 중에는 가난한 이들이 대다수였다. 예루살렘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영적인 은사들"의 시냇물은 "세상의 선물들"의 마주쳐 흐르는 시냇물로 응답되었던 셈이다. 그러나, 초대 교회의 이 모범은 [현재는] 단절된 유산으로 남게 되었다.
이 모범을 모방하는 것은 [강제로]요구되지도 않았고 행해지지도 않았다. 사유 재산의 보전은 모든 교회들에서 당연한 일로 간주되었다.
...기독교는 새로운 사고 방식과 삶의 태도에 새로운 전환을 가져온 것이지 새로운 사회 질서를 이 세상에 가져오려 함이 아니기 때문이다.(이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1895년의 복음 사회 협의회(Evangelical Social Conference)에서 프리드리히 나우만(Friedrich Naumann)은 '종교의 관점에서 [시작하여 세상의 어떤 구체적] 경제 체계에 이르도록 하려는 것은 [복음에 주어진 역할을 오용함인 바] 가능한 일이 아니다'고 말했고, 반면에 에른스트 트뢸취(Ernst Troeltsch)는 기독교에 독립적인 혁명적 요소가 [분명히!!] 있으나 [세상적 방법을 취하여] 혁명을 선동할만한 뜻은 없다고 지적하였다(The Social Teaching of the Christian Churches, 1, 1931, 3969).
(c) 바울도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모금과 관련하여 이 의미를 사용한다.
이 모금은 두 부류의 기독교인 간의 친교를 보여주는 분명한 형태이다(갈 2:9; 롬 15:26).
이 모금은 신실하고(고후 8:4) 마음에서 우러난 나눔(고후 9:13)으로 섬기는 교제의 의의를 지닌다. 히 13:16에서도 적극적인 나눔을 뜻한다.
(참조: J. Schattenmann; F. Hauck; Walter Bauer; J. H. Thayer).
===섣부르게 안수하지 말라, 안수의 남용을 경게하라!!=====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곧 성도를 합당하게 섬기려 함에 있어서, 모든 성도마다 그 모든 능력의 근원적 원천이신 성령님(=imparted righteousness), 그 충만을 사모함은 당연함며, 그 결과 부어주시는 가장 적절한 은사로 섬기는 것이 JC의 장성한 분량까지 자라가는 데 꼭 필요하며 그 구함은 합당함((교회의 필요를 따라 여러종류일 수 있음)).
..그러나, 육적 사리사욕, 자기자랑과 허영심 만족을 위해 구함이 아닌지 성령을 구하는 자는 반드시 자기 마음의 근본동기를 살펴보아 회개하고 합당한 자세를 견지해야 함!!((행8:9-24)),
<빌립의 사마리아 전도 후 사마리아의 믿는 자들을 위해 사마리아로 내려 간 사도 베드로와 요한..> 사마리아교회에 속한 성도들을[교역자를 세움 + 직분 맡을 자로 살아 생동하는 믿음의 고양을 위해 성령받기를 기도하며 안수함으로써] HS 받는 것을 보고, 자기는 이미 믿고 세례 받았으되 [시류를 따름일 뿐 진정한 믿음이 아니었던 것 같다] 그 자신은 HS 받으려 자원하지 아니하였지만, 다른사람들이 성령 받고 방언하는 것을 목격하고서는 놀라서 , 사도들에게 돈을 써서 자기가 안수하는 자마다 HS임하게 하는 권능을 사려했던 마술사 시몬 마구스처럼 되지 않도록 조심하라!!))
=====
**안수하다 ejpitivqhmi(2007, 에피티데미)
두다, 놓다, 더하다, 주다.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동사 에피티데미(Homer 이래)는 에피(ejpiv, 1909: 위에, 에)와 티데미(tivqhmi, 5087: 놓다, 두다, 정하다, 고정하다)에서 유래했으며,
(a) '~위에 놓다, 두다, 내려 놓다', (b) '더하다, 적용하다, 부과하다, 공급하다, 주다(어떤 이름을), 채택하다, 씌우다'를 의미한다.
2. 70인역본의 용법.
동사 에피티데미는 70인역본에서 약 270회 나오며, 히브리어 숨(7760: 두다, 놓다, 세우다, 배치하다), 나탄(5414: 주다, 놓다, 두다, 입다), 사마크(5564: 기대다, 의지하다, 놓다, 두다, 지탱하다) 등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에피티데미는 70인역본에서 여러가지의 의미로, 곧 회반죽을 '바르다', 병역의 의무나 세금을 '부과하다', 불을 '놓다', 피를 '바르다', 진설병을 '진열하다', 요제를 '흔들다', 음모를 '짜다', 무엇을 '의도하다'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성직에 대한 헌신(민 8:10), 제물의 봉헌(출 29:10), 복이나 영적 은사를 베풂(민 27:18; 창 48:17-18), 저주(레 24:14), 그리고 고침(고후 5:11)을 위해 "안수하다"란 표현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3. 신약성경의 용법.
동사 에피티데미는 신약성경에서 37회 나오며, 그 중 절반은 안수하는 것을 나타내고 그 나머지 용례에서 여러가지 의미를 나타낸다.
(a) 상세히 열거하면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① 양을 어깨에 '메는 것'(눅 15:5),
② 가시 면류관을 '씌우는 것'(마 27:29; 요 19:2),
③ 십자가에 패를 '붙이는 것'(마 27:37),
④ 타격을 '가하는 것'(눅 10:30; 행 16:23),
⑤ 이름을 '지어주는 것'(막 3:16 이하),
⑥ 멍에를 (즉 율법주의의 멍에) '지우는 것'(행 15:28; 참조: 행 15:10; 마 23:4),
⑦ 언어 유희로 계 22:18에서, 요한계시록의 말씀에 다른 것들을 "더하는" 자에게는 하나님께서 이 책에 기록된 재앙들을 형벌로서 '부과할'(더할) 것이라고 하였다.
⑧ 행 18:10에서 중간태로 이 단어는 어느 누구도 바울에게 해를 '가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⑨ 행 28:10에서 이 단어는 필요한 것을 "공급한다"를 의미한다.
(b) 안수 의식은 이 단어에 의해 20회 나타난다. ...치료 목적의 안수와 [성령을 간절히 사모하는]피안수자에게 성령 부어주심 바람의 안수기도로 나눌 수 있을 것!!
==치료 위해 안수하는 것(헬라 종교 세계에서도 이와 유사한 안수치료의식이 있었음), 복을 빌 때<축복 위해> 안수하는 것-특히 세례(침례)와 성례전(= 세례와 주의 만찬<성찬>예식)에서 성령을 부어주기 위한 안수(특별히 구약성경과 유대교에서 전해 내려온 것), 이들 사이에 반드시 구별해야만 하는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편 두 가지 의식은 하나님과 인간의 손이 치료와 축복의 능력을 전달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라는 사실에서 다시 일치된다.
따라서 안수는 능력을 전달하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쓰이는 도구-손을 움직이거나, 만진다거나, 붙잡는다거나 기름을 붓는 방식-가운데 한 형태일 뿐이다.
① 특별히 마가복음에서, 그리고 정도는 덜하지만 누가복음에서 예수님의 안수를 통한 병고침에 대해 언급한다(막 5:23; 막 6:5; 막 7:32; 막 8:23; 막 8:25; 막 16:18; 눅 4:40; 눅 13:13). 하지만 마태복음에서는 단순히 아이를 만지시는 것(마가복음에서)이 축복의 안수가 된다(마 19:13; 마 19:15 및 병행구).
② 사도행전에서는 오직 단 한번 행 28:8에서 안수에 의한 병고침에 대해 말한다.
다른 한편 사도행전에서 안수례는 세례와 관련하여 혹은 세례의 확대와 관련하여 성령을 나누어주는 것으로 이해되거나(행 8:17-19; 행 9:12; 행 9:17; 행 19:6), 혹은 특별한 직무, 집사(행 6:6)나 선교적 사역(행 13:3)에 위임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③ 목회 서신에서 안수는 임직식에 의해 [교역자-감독-장로 및 섬김 직분자들에게 직무수행에 합당한] 성령의 은사를 나누어주는 것과 연관된다(딤전 5:22)....(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C. Maurer).
^^^^
[[초자연적 성경일기..존 파이퍼]]
...내가 이렇듯 강한 확신과 소망을 가지고 말하는 것은 내 자신의 경험 때문이다.
나는 스물두 살 때 읽는 법을 배웠다. 사실, 이렇게 말하면 부모님이나 그때까지 나를 가르쳐 주신 탁월한 선생님들에게는 불공정한 일이 될 것이지만,. 진정한 읽기란 무엇인가에 대한 나의 이해와 잘 읽고 말겠다는 의지가 스물두 살의 나에게 더해지면서 삶에 변화가 찾아왔다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도 그런 일이 일어나기를 바란다.
나는 수동적 읽기와 능동적 읽기의 차이점을 배웠다(모티머 아들러의 도움으로).
읽기의 통상적 목표-다른 사람을 따라 그의 생각을 생각하기-가 얼마나 놀라운 것인지 깨달았다(E. D. 허쉬의 도움으로).
그리고 어떤 종류의 질문들을 해야 하는지 배웠다(대니얼 풀러3의 도움으로).
스물두 살 이전에는 이분들이 쓴 글을 읽어 본 적이 없었다.
내 삶에 변화가 일어난 신학교 시절, 대니얼 풀러 교수가 우리 학생들에게 강력히 요구한 첫 번째는 바라봄으로써-구체적으로는, 성경 본문을 바라봄으로써- 정말로 보는 것이 가능하고 유익하다는 사실을 믿으라는 것이었다.
이 말이 이상하게 들릴 수 있다. 그러나 깨어있는 시간에 눈은 뜨고 있지만 보는 일이 수동적인 상태에 그칠 때가 얼마나 많은지 생각해 보라.
세상을 보면서도 거의 아무 것에도 주목하지 않는다. 늘 뭔가를 듣지만 특정한 소리를 의식하는 경우는 드물다.
적극적으로 보고 듣도록 나를 독려한 사람은 풀러 박사만이 아니었다.
어느 날 설교학 수업시간에 담당 교수가 목사는 예화집이 아니라 실생활에서 사례를 가져와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가 갑자기 말을 멈추었고 그대로 30초 정도 침묵이 흘렀다. 우리는 그가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지 몰랐다. 그 다음 그가 말했다. “들었나?” 우리는 그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 “사이렌 소리 말이야! 콜로라도 대로에서 난 거야. 앰뷸런스군. 우리가 여기 앉아있는 지금, 누군가가 크게 다쳤거나 많이 아픈가 보군.” ....그 순간은 내게 지울 수 없는 인상을 남겼다. 48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일을 기억한다는 사실은 내가 받은 영향이 얼마나 컸는지 보여 준다. 나는 이렇게 생각했다. ‘깨어나! 너는 몽유병자처럼 살고 있어. 보고 듣지만 아무 것도 알아채지 못해. 깨어나!’
이전에 보지 못했던 방식으로 보고 싶은 갈망이 더 커지도록 내게 잊을 수 없는 영감을 준 것이 하나 더 있다. 아가시와 물고기 이야기였다.
이 이야기를 처음 읽었을 때, 나는 완전히 빠져버렸다. 그것은 성경 공부라는 새로운 인생의 지평을 수놓은 환한 폭발과도 같았다. 그 환한 빛으로 성경의 모든 세부내용들이 밝게 드러났다.
갑자기 내가 이전에는 한 번도 보지 못했던 패턴과 상호관계와 사고의 흐름을 보고 있었다. 이 모든 일이 벌어진 것은 어느 교사가 내게 무엇을 봐야하는지 말해 주어서가 아니었다. 누군가가 내게 이렇게 말했기 때문이었다. "바라봐, 바라봐, 바라보라고.(3-23, 464~465p)"
이제 와서 돌이켜보면, 나도 비슷한 간증을 할 수 있어서 하나님께 더없이 감사하다.
한 교수님은 성경이 의미하는 바를 말해 주지 않고 3년에 걸쳐 여덟 과목의 수업에서 매일 “보게, 봐, 보라고!”를 외치셨고 내가 본 것에 대해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하는지 가르쳐 주셨다.
교수님은 수업시간에 오버헤드프로젝터로 성경 본문을 하나 띄운 다음에 우리에게 본 것을 말하게 하셨고 그것이 정말 그 안에 있는 내용인지 시험하셨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는 훨씬 많은 내용을 보게 되었다. 허세 같은 것은 없었다. 본문에 없는 내용이라면, 아무리 근사하고 영적인 소망적 사고를 늘어놓고 여기에는 없어도 다른 본문에는 있지 않느냐고 호소해도 통하지 않았다. "맞는 말일세. 하지만 여기에는 없어." ...우리의 목표는 눈앞의 성경 본문에 있는 것을 보는 것이었고, 우리는 본문을 몇 시간씩 바라보곤 했다.
그리고 아가시가 말했던 것과 똑같이, 많이 보는 것의 차선은 자신이 얼마나 적게 봤는지 아는 것이었다.
다른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나는 별로 보지 못한 날이라도 그랬다. 이것은 우리가 본 것보다 볼 것이 언제나 더 많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그리고 48년 동안 성경을 읽어 온 나는 이것이 사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성경의 풍성함을 보지 못하게 막는 장애물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를 모른다는 사실이 아니라 보고, 보고, 또 보는 끈기가 없다는 데 있다.(1-23, 472p)
성경은 하나님이 만물을 통해 이루시는 궁극적 목표가 영원부터 영원까지-예정, 창조, 성육신, 화목제물, 성화, 완성-그분의 영광을 계시하고 드높이는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이것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은 존재하는 그 어떤 것보다 귀한 최고의 보물이라는 사실이 분명히 드러난다. 즉, (첫 번째 함의가 밝힌 대로) 하나님의 무한한 존귀함과 아름다움은 우주의 궁극적 가치이자 탁월함이다.
하지만 내가 제안하는 성경 읽기의 궁극적 목표는 하나님의 영광-하나님의 존귀함과 아름다움-이 계시되고 드러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거기서 더 나아가, 하나님의 무한한 존귀함과 아름다움이 영원토록 드리는 뜨거운 예배를 통해 높임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하나님의 모든 역사와 말씀의 궁극적 목표가 그분의 존귀함과 아름다움이 최고 로 진실하고 열렬한 예배의 대상이 되는 것임을 암시한다. 다시 말해, 성경 읽기의 궁극적 목표는 하나님의 존귀함이 세계 전역에서 높임을 받는 것만이 아니라, 그분의 백성이 드리는 예배 안에서 뜨겁게 높임을 받는 것이다.(1-1, 70p)
하나님의 존귀함과 아름다움을 지극히 진실하고 열렬히 예배하는 것이 그분이 하시는 모든 일과 말씀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하나님의 존귀함과 아름다움을 지극히 진실하고 열렬히 예배하는 일은 성경-과 성경 읽기-의 궁극적 목적이기도 할 것이다.
우리는 성경을 읽을 때마다 하나님이 말씀을 통해 우리를 그분의 무한한 존귀함과 아름다움을 기리는 영원하고 뜨거운 예배의 중요한 부분으로 만드시기를 지향하고 바라고 기도한다.
성경을 읽으면서 이런 일이 어떻게 일어날까? 이것이 우리가 다음 장에서 다룰 내용이다. 이 일은 성경 속 하나님의 존귀함과 아름다움을 봄으로써 일어난다. 하나님의 경이를 보지 않고는 예배 가운데 드리는 찬양이 있을 수 없다.(1-2, 83p)
요한과 바울 모두 그리스도(하나님의 형상이신 분)의 영광을 그들의 글의 전면에 배치한다. 두 사람 다 자신들이 쓴 글을 읽는 일에 큰 중요성을 부과한다. 두 사람은 예수님을 목격하지 못하고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글을 읽음으로써 그리스도의 영광을 참으로 보고 영생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고 가르쳤다. 이것이 성경의 경이로움이다.
사도들이 예수님의 모습에서 보았던 신적 영광을 그들이 쓴 글을 통해 우리도 볼 수 있다.그들은 우리가 바로 그것을 보기를 원했다. 우리가 보아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그리스도의 영광의 복음의 광채”(고후 4:4). 하나님의 말씀을 읽을 때는 언제나 이것을 보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1-3, 96p)
쓴맛과 단맛을 잘 섞어 단맛을 더 풍성하게 만드는 음식들이 있다. 이것이 우리의 성경 읽기에 의미하는 바는 하나님의 영광을 보는 것이 때로는 그분의 존귀함과 아름다움이라는 달콤함을 먼저 일깨우지 않을 수 도 있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영광을 본 후 죄가 기억나고 우리 마음에 남아있는 부패를 인식하게 되면서 슬픔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 고통스러운 진실을 음미한다는 것은 그것을 부정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환영함을 뜻할 것이다. 꾸지람과 징계가 감사함과 더불어 참회와 겸손이라는 온전한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뜻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인도를 받아 하나님의 자비하심에 이르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은혜가 주는 달콤한 안도에 이르게 됨을 뜻할 것이다.(1-6, 136p)
조나단 에드워즈는 그리스도인이 경험하는 이 감정들에 대해 성경을 제외하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책을 썼다. 《신앙감정론》이다.
이 감정들에 대한 그의 정의는 “영혼의 경향과 의지가 더욱 활발해지고 감지될 수 있게(sensible)이다. 다시 말해, 정말 중요한 느낌은 신체적 감각이 아니라 모종의 보물이나 위협을 감지한 영혼의 흔들림이다."...의지가 어떤 것을 강하게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것이 바로 에드워즈가 말하는 감정이다.
물론 영혼의 느낌과 몸의 감각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이것은 “창조주께서 영혼과 몸에 정해 두신 연합 법칙” 때문이다.
다시 말해,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이 들면 눈물이 날 수 있다. 하나님에 대한 경외 때문에 몸이 떨릴 수 있다.
단순한 몸의 물리적 작용으로서의 눈물과 떨림은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감사와 경외는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본질적인 것이다.
그런 감정이 영적이라면, 거기에 따라오는 눈물과 떨림도 같은 가치를 공유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은 이렇게 말씀하실 수 있었다. “무릇 마음이 가난하고 심령에 통회하며 내 말을 듣고 떠는 자 그 사람은 내가 돌보려니와”(사 66:2).(1-7, 159p)
성경이 인간의 변화와 하나님의 영광에 기여하도록 하나님이 계획하신 방식은 이렇다.
우선 성경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낸다. 하나님이 허락하시면, 성경을 읽는 사람들이 이 영광을 본다. 영광을 보는 것이 하나님의 은혜를 덧입어 다른 무엇보다 하나님을 음미-하나님을 귀하게 여김, 하나님께 소망을 둠, 하나님을 우리 최고의 상으로 느낌, 모든 것을 만족시키는 선으로 그분을 맛봄-하도록 이끈다.
그리고 이 음미함이 우리 삶을 변화 시킨다-이기심의 노예상태에서 우리를 해방시키고 흘러넘치는 사랑으로 다른 이들에게 다가가게 한다.
여기에 하나님의 은혜가 더 해지면 기쁨으로 유지되고 하나님을 높이는 이 사랑의 변화를 다른 사람 들이 보고 그들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된다.
이 과정은 신실한 그리스도의 사람들과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의 자비를 따라 역사를 관통하여 오르내리며 이어져 왔다.(1-8, 194p)
자연적 행위인 읽기와 읽을 때 주어지는 빛이라는 초자연적인 선물이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말할 내용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으로서 가장 중요한 요점은 이것이다. 하나님이 정하신 성경 읽기의 목적은 초자연적인 개입 없이는 이루어지지 않을 거라는 점이다. 그리고 하나님이 개입하시는 통상적인 방법은 자연적 행위로 이루어지는 초자연적 읽기이다.
하나님이 주신 초자연적인 것을 믿는다고 해서 하나님이 창조하신 자연적인 것들을 멸시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이제 살펴야 할 문제는 이것이다. 성경 읽기를 통해 보고 음미하고 변화를 받는 큰 결과들이 우리 자신이 아니라 다른 분의 능력에 결정적으로 달려 있다면, 우리는 성경을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가.(2-15, 342p)
성인이 된 후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했던 질문, 도처에서 끈질기게 맴돌았던 질문 중 하나는 이것이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내가 실제로 살면서도 다른 분-성령-이 내 삶을 통해 결정적으로 살아가신다고 할 수 있을까?
여러 난관을 거치면서 매 시간을 이런 식으로 살아가려면 간단한 전략의 도움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내가 볼 때 이렇게 살아가는 방법을 묻는 질문에 대해 성경이 제시하는 답은 다섯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다섯 단계는 두문자어 A.P.T.A.T.로 내 기억에 남아 있다. 나는 성경을 읽거나 설교할 때 이 다섯 단계를 가장 많이 활용했다.
내 우둔함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말씀 안에 실제로 있는 영광을 보려면 하나님의 도움이 필요했다(엡 1:18).
성도들의 삶에서 그리스도를 높이는 변화가 나타나려면 우선 나의 설교에서 하나님의 능력이 나타나야 했다(고전 2:4).
그래서 다른 분의 능력으로 성경을 읽고 설교하는 법에 대한 질문은 그 시기의 내게 특히 절실한 것이 되었다.(2-15, 344p)
질문과 문제제기는 하나님 말씀의 결함을 보여 주는 증표가 아니다.
하나님이 그분의 성경 “중에 알기 어려운 것이 더러 있”(벧후 3:16)도록 성경의 기록에 영감을 주셨다면, 그것은 우리에게 좋은 일이다.
그 어려움을 짜증스럽게 여길 것이 아니라 우리를 겸손하게 만들고 도전의식을 갖게 하는 요소로 받아야 할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가 금을 찾아 나선 사람처럼 질문하기를 원하신다. 하나님은 새 보물과 옛 보물이 있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이다(마 13:52).(3-24, 491p)
내 목회사역 중에서 한 가지 사례를 제시해 보겠다. 나는 우리 교회 장로님들과 함께 마태복음 18장 15-17절을 공부했었다.
이 대목은 교인 한 사람이 다른 교인에게 죄를 지었을 때의 대응법을 다룬다.
이 과정을 어떻게 진행하고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분명히 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 본문을 실행에 옮기는 고통스럽고 골치 아픈 일이 우리 교회에서 현실이 되었다.
그 적용의 과정 한복판에서 나 는 두세 증인을 데려가 회개하지 않는 형제의 잘못을 지적하는 일과 그의 사건을 교회 전체에서 다루는 그 다음 단계 사이에 일정한 시간이 자리할 수 있음을 미처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본문을 읽을 때 미처 묻지 못한 질문이었다. “화해나 징계로 가는 두 단계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허용될까.”
나는 두 명의 교우와 함께 회개하지 않는 형제를 찾아가 권면할 때부터 그의 사건을 교회로 가져갈 때까지의 기간에 그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 지도 묻지 않았다. 간단히 말해, 성경 본문을 꾸준히 적용하고 순종하려는 노력은 (‘대개’라는 단서를 달아야겠다) 그 본문의 의미에 다시 빛을 비춰 준다. 한 본문의 의미를 적용하려는 노력은 그 본문에 대해 미처 묻지 못했던 질문들을 던지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그 질문들은 우리가 보지 못했던 것들을 드러낸다.
이 사실을 통해 우리는 성경을 읽을 때 해석의 과정과 적용의 과정을 인위적으로 분리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둘은 긴밀히 이어져 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성경을 읽을 때 저자의 의도를 더 많이 알고 싶다면 성경 본문을 실천에 옮기는 상상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그 성경 본문을 적용하는 상황을 머릿속으로 그려 보라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이전에는 물어보지 않았을 많은 질문들을 묻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은 본문에 실제로 있는 것을 보는 일에서 많은 결실을 맺게 할 것이다.(3-27, 539-541p)
성경에 대한 하나님의 뜻은 실패할 수 없다. 그리고 그 뜻은 우주의 궁극적인 가치와 탁월함인 하나님의 무한한 존귀함과 아름다움이 드러나고, 그분의 백성들이 성경 안에서 그 영광을 보고, 그리하여 우리가 하나님의 탁월함을 피조된 모든 보물보다 더 귀하게 음미하고, 하나님을 보고 하나님께 만족함으로써 변화를 받아 영광에서 영광에 이르고, 마침내 그리스도의 신부-모든 시대와 문화를 아우르는 하나님의 가족-의 수가 채워지고 아름다움이 완성되어 영원히 하나님을 예배하기에 이르는 것이다.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이 성육신을 통해 완전한 삶을 사시고 죄인들을 대신하여 죽으시고 부활하여 세상을 통치하게 하심으로 이 큰 구원을 값 주고 사셨고 확보하셨다. 이 위대한 구원 계획을 보존하고 수행하기 위해, 하나님은 성경이 기록될 때 영감을 주시고 성경을 보존하셨다. 그리고 이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자연적 행위로 이루어지는 초자연적 성경 읽기를 추구하게 하심으로 그분의 계획을 이루어 가신다.
당신을 초대한다. 이 대열에 합류하라. 이것이 당신의 삶으로 세상 을 지속적으로 섬기고, 당신이 하는 일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고, 당 신의 영혼이 영원토록 온전히 만족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