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약 메시마]]
메시마는 버섯의 일종인 목질진흙버섯(학술용어) 혹은 상황 (생약명)으로 불리는 Phellinus linteus Yoo의 자실체로부터 얻은 순수한 균사체를 대량으로 배양하고 이를 추출 정제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단백다당체를 성분으로 한 항암 면역기능 증강제이다.
1976년 일본 동경 국립암연구 센터의 Chihara 박사등의 연구팀에 의해 상황의 열수 추출물이 sarcoma 180 고형암의 성장을 고도로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단백질·핵산·효소, 59권 p155-157).
아래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마우스에 sarcoma 180 종양을 이식한 다음 27종의 버섯 열수추출물을 복강주사하여 종양의 성장 저지율을 조사한 결과 상황 (Phellinus linteus) 열수추출물이 96.7%로 다른 버섯 종에 비해 놀라운 억제효과를 보였다.
***목질진흙버섯 Phellinus linteus 종양저지율 96.7% 종양완전퇴치율 7/8 [버섯 열수추출물의 항종양활성 ( 고형암 Sarcoma 180 /마우스, ip법)]
상황은 100년이 넘는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며 자실체 자체가 약용으로 사용할 정도로 되려면 30-40년을 성장하여야 하고 습도, 온도, 빛 등의 성장조건이 까다로워서 자연계에 매우 희귀함으로 자실체를 수집하여 복용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또한 그 진위 여부에 대하여 불분명하다. 또한 중약대사전에 따르면 천연 자실체에는 중추신경계를 자극하고, 심한 구토와 설사를 일으키는 agaric acid 라는 독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직접 식용한다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한국신약에서는 한국 내에 자생하는 상황 자실체를 수집하여 순수한 균사체를 분리하고 이를 유전자 확인을 통하여 상황임을 입증하였다. 순수하게 얻어진 균사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한국신약이 공동으로 과학기술부 주관의 국가 연구과제인 G7 project를 10년간 수행하면서 대량배양에 성공하고 약효가 인정되는 물질을 분리하여 "메시마"라는 의약품으로 개발하였다. 메시마는 면역증강제로써 보건복지부 식품의약안전청에서 허가된 전문 의약품으로 생산 공급하고 있다. 이는 세계 최초로 상황이 지니는 약효성을 제품화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메시마는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연구센터 (GLP 공인연구소) 임상 독성실험 결과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강한 항암면역증강효과를 지니며 국내외의 전임상 실험 및 임상 실험을 거친 끝에 이미 알려진 화학요법제인 항암치료제와는 달리 인체내의 자연스러운 치료 기능인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암과 싸우게 함으로써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개념의 항암 면역기능 증강제이다. 특히 화학요법제인 항암제와 병용 투여시는 화학요법 항암제의 독성을 현저히 줄여 주고 약효가 배가하는 효능이 있는 면역성 항암제이다.
1) 상황버섯이란
상황버섯은 곰팡이중 약용 및 식용균류가 대부분인 버섯류 (담자균류, Basidiomycetes)중에 민주름버섯목 (Aphyllop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한다.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는 것으로 학명으로는 Phellinus linteus (Berk. et Curt) Aoshima 라 불리운다. 한국명으로는 학술적으로 목질진흙버섯으로, 생약명으로는 상황으로 되어 있다.
상황은 학술적으로 논란이 많은 것으로 P. igniarius (L. ex Fr.) Quel, P. yucatensis (Murr.) Imazek., Fomes yucatensis Murrill., Pyropolyporus yucatensis Murr.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혼용되고 있다.
상황은 중국의 "신농본초경"에는 상이, 당대 견입언의 약성론에는 상황, 상신, 단성식의 유양잡조에는 호손안, 찬요기방에는 상황고, 명대 이시진의 본초강목에는 상이, 상황,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상이, 일명 상황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중약대사전(상해과학출판사)에 버드나무, 뽕나무, 닥나무, 느릅나무의 줄기에 자생하는 버섯이라 하여 상신(桑臣), 상이(桑耳), 상황고(桑黃枯), 호손안(胡孫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총괄하여 Phellinus igniarius 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류파(劉波, 산서인민출판사, 1978년 출간)가 지은 "중국약용진균"이라는 전문책자에는 진정한 상황은 뽕나무의 줄기에 자생한 버섯만이 상황이라 하였고 그 학명은 Pyropolyporus yucatensis Murr. 라고 하였다. 한편 川村淸一이 지은 원색일본균류도감 제1권(風間書房, 1975)와 今關六也등이 지은 원색일본신균류도감 제2권(保育社, 1987)에 의하면 Pyropolyporus yucatensis Murrill, Fomes yucatensis Murrill은 일본명 메시마코푸 Phellinus linteus (Berk. et Curt) Aoshima의 이명이며 이 메시마코푸는 뽕나무에 자생하며 버섯 표면을 제외한 부분이 황색이기 때문에 한자어로 상황이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Phellinus igniarius는 진정한 상황의 학명은 아니며 Phellinus 속의 광범위한 학명으로 해석되고 Phellinus linteus (Berk. et Curt) Aoshima가 진정한 상황의 학명이다.
2)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기술
한국신약은 Phellinus linteus 균주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조건을 탐색하여 최적화 하고 scale-up을 통하여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보다 좋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진흙버섯속에 속하는 상황(桑黃, Phellinus linteus)은 자연계에서는 매우 희귀종으로 자실체를 구하기가 대단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사체를 분리하여 인공 배양 하기도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최근들어 자실체를 인공 배양에 성공했다는 보고는 있으나 그 진위가 불분명한 상태이며 항암면역증강제로써의 효과는 일찍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대량 생산 기술개발은 국내외 적으로 아직 미진한 상태이므로 상황버섯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생산공정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주)한국신약은 1991년에 Phellinus linteus 중에서 활성이 강한 양질의 균주를 고체배양 및 액체배양하여 항암효력이 일정하도록 개발한 메시마를 특허 등록과 의약품으로 제조하는 허가를 획득하여 항암치료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3) 새로운 상황버섯 균주개발
1968년 일본 국립암센터에서 상황의 놀라운 효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상황 자실체의 희귀성과 균사체 대량배양의 어려움으로 일본에서는 연구가 중단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한국신약의 끊임없는 노력과 과학기술부에서 주관하는 G7 project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유익동 박사팀과 공동으로 10여년간 연구한 결과 항암면역증강 활성물질을 생산하는 균사체의 대량배양과 약효성분의 대량생산이 세계 최초로 가능하게 되었다.
한국신약에서는 G7 project를 수행하는 동안 상황버섯 우수 균주를 확보하였으며 그중 항암면역증강활성이 가장 높은 Phellinus linteus Yoo를 개발하였다.
강한 항암면역증강물질을 생산하는 Phellinus linteus Yoo균주는 유전자 해석을 통하여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활성이 확보된 Phellinus linteus Yoo균주로 특허를 획득하였다. 한국신약은 메시마의 약효능의 증가와 품질이 우수한 메시마 제품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새로운 메시마 생산 균주의 개발 등의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그러한 일환으로 상황 균주를 수집하고 유전자 해석을 통하여 그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진위 여부를 통해 선발된 상황 균주는 이미 습득되고 안정화된 고도의 대량생산 기술을 통해 균주의 안정성과 항암면역증강물질의 생산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메시마 생산 후보 균주로 선발한다.
선발된 균주는 현 메시마 생산 균주인 Phellinus linteus Yoo와 약리 효능과 생산성등을 고려하여 새로운 균주로 확보할 것이다. 한국신약은 보다 나은 메시마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과정을 끊임없이 연구할 것이며 계속해서 연구 투자함으로 메시마가 지금 현재에 멈추지 않고 보다 더 나은 우수한 항암면역증강제가 되도록 개발할 것이다.
메시마 성분에 관하여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식물체에는 인간의 질병에 치유 효과를 갖는 활성성분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왔고 현재까지도 전 인류의 75%가 건강 유지 목적으로 여전히 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20세기 후반 들어 현대의약으로 그 치료가 어려운 만성질환의 증가, 체질성, 심인성 질환의 급증 및 합성의약품의 심각한 부작용 등으로 인하여 식물체유래의 생물활성 물질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게 하였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약물은 열수로 추출하여 이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추출물은 대부분 고분자 다당체이다. 하지만 모든 다당체가 활성을 갖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입체구조를 갖는냐에 따라 활성이 전혀 없는 것도 있는가 하면, 특이적인 활성을 갖는 다당체가 있을 뿐 만 아니라 많은 종류의 당을 갖는 고분자이기 때문에 다당체의 평가는 천차만별이라 할수 있다. 대표적인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체로는 담자균(버섯)에 존재하는 단백다당체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담자균류의 항종양 단백 다당류는 항암화학요법제와는 달리 정상 세포에 독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숙주의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항암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할 경우 그 치료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담자균류에서 추출된 다당체는 일종의 생물학적 반응 조절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담자균류중에서도 특히 상황은 매우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가지며 상황 균사체 추출물인 메시마는 153kD의 항암면역활성 산성다당류인 α-(1,6)-헤테로글리칸(heteroglycan)과 갈락토만노글루칸 (galactomannoglucan)의 유효성분을 갖고 있다.
메시마의 유효성분의 하나인 갈락토만노글루칸 구조의 한 부분으로서 이러한 구조가 수십개 결합을 하여 3차원적인 입체구조를 띨 때 항암활성을 나타낸다.
연구에 의하면 메시마에 함유한 다당체중 가장 활성이 강한 부분을 단리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아미노산함량과 glucose, galactose, mannose, xylose, arabinose가 21.1, 24.1, 44.2, 3.7, 7.0의 비율로 구성된 분자량 153kD의 신규 산성 단백다당체임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기기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메시마는 단당류와 단백질이 특이하게 결합된 단백 다당체이며, 특이하게 만노스와 아라비노스가 많이 들어 있고, 필수 아미노산도 상당수 포함하고 있다.
1) 인체 내의 면역체계의 강화
면역(免疫)이란 인체가 외부의 침입 (예를 들면 바이러스, 세균 및 해로운 화학 물질 등)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한 생체 방어 군대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내의 방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면역 요법이라 한다. 즉, 면역 요법은 기능이 약해진 면역 능력을 향상시키고 생체 내에 들어온 이 물질 및 암과 같은 질병들에 대항하여 면역세포들을 증가시키거나 활성화시켜 이를 퇴치하는 요법이다.
이러한 면역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들로는 면역반응의 보조, 암세포와 같은 이물질 세포의 파괴 및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T 세포, 외부 물질이 침투하였을 때 이에 대항하기 위한 물질을 생산하는 항체 생산을 하는 B 세포, 외부에서 들어온 바이러스와 같은 작은 이 물질을 직접 소화 분해 시키는 대식세포(macrophage)와 바이러스와 어떤 암세포들을 직접적으로 인지하거나 파괴시키는 자연 세포 독성 세포 (Neutral killer cell)등이 있다.
면역 요법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이러한 면역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 시키거나 그 세포수를 증가 시켜 외부에서 침입한 암세포와 같은 물질들을 퇴치하는 것이다. 현재 항암 치료 요법에는 외과적인 절제수술, 방사선 조사 방법, 항암 화학요법제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심한 부작용과 위험이 따르고 있다.
메시마는 항암 치료를 함에 있어서 화학 요법 및 방사성 치료로 인해 약해진 생체내의 여러 가지 기관들의 기능을 부활시키거나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화학요법제의 치료에서 따르는 구토, 체중 감소, 오심, 탈모등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및 암부위의 절제 수술같은 외과적인 처치로 생체내의 약해져있는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으로서 외부로부터 침입한 이 물질들과 암세포들을 퇴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체 조절 물질이다.
메시마의 주요 항암 면역 작용은 자연 세포 독성 세포 (Neutral killer cell)의 활성을 약 2배정도 증가 시키고, 면역반응의 보조, 암세포와 같은 항원보유 세포 파괴 및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T 세포의 활성을 3 배 증가시키며, 외부 물질이 침투하였을 때 이에 대항하기 위한 물질을 생산하는 항체 생산을 하는 B 세포의 활성을 129배나 증가 시킨다. 그리고, 생체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면 최전방에서 싸우는 대식세포(Macrophage)의 활성도 3배에서 5배까지 증가시킨다.
메시마는 위의 설명처럼 암을 공격하는 면역세포들을 활성화함으로써 부작용없이 암 세포의 성장 혹은 전이를 억제한다.
항암제의 세포독성부작용(발열, 구토, 탈모 등)억제 +면역세포 공격력 증강(마크로파지 3~5배, NK세포 2배, T세포 3배, B세포 129배 활성 강화) 통한 암성장 및 전이를 억제함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
2) 암을 극복한다
암(癌)이란 생체에는 개체의 필요에 따라 규칙적이고 절제 있는 증식과 억제를 할 수 있는 정상세포와 달리 조직 내에서 필요 한 상태를 무시하고 무제한의 증식을 하는 미분화 세포로 생체 조직 구석구석에 발생하는 종양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생체 내에 침입한 암세포들이 무절제적이고 불규칙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생체 내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들을 깨워서 이들을 퇴치하게 된다.
이렇게 생체내의 정상적인 자기세포가 아닌 비정상적인 암세포를 항원으로 인식, 판별하는 면역 기구들을 증가 시키거나 활성화 시켜 암세포의 계속적인 분열 및 증식을 억제키는 것이 메시마인 것이다. 암세포가 이식된 동물실험에서 메시마를 투여한 동물군에서는 화학 요법제 처리군에서 발견되었던 부작용들이 나타나지 않고 암세포들이 줄어들거나 동물들의 생명이 연장되어 삶의 질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항암제(ADR, Adriamycin) 통상의 1/10 투여, 항암제(ADR, Adriamycin) 통상의 3/10 투여
그림. 항암제(ADR, Adriamycin)와 메시마의 병용투여에 대한 생존률 연구
(홍남두, 김환묵 등, Immunopharmacology(1999년)에서 발췌)
상기 그림들은 암세포가 이식된 동물실험에서 메시마를 투여한 동물군에 화학요법제 adriamycin (ADR) 처리군에서 발견되었던 부작용들이 나타나지 않고 암세포들이 줄어들거나 동물들의 생명이 연장되어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암세포가 이식된 동물들에게 함암제 ADR 와 메시마를 병용 처리한 집단에서도 항암제 ADR 만 투여한 집단보다도 생존률이 현저히 높았다.
항암제(ADR, Adriamycin)를 일반 투여량보다 1/10과 3/10으로 투여하고 메시마를 함께 각각 투여한 경우 암을 이식한 후 60일 지난 후에 각 40%, 90%의 높은 생존률을 보였다.
사람 유래 폐암을 이식한 후 메시마와 항암제(ADR, Adriamycin)을 투여했을 때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암 이식 후 종양의 크기가 점점 증가되었으나 항암제(ADR, Adriamycin)와 메시마 혹은 이들을 병용투여 했을 경우에는 종양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메시마와 항암제 (ADR, Adriamycin)에 대한 진행 중인 폐암의 전이 억제연구에서 항암제를 단독 처리한 집단에서는 항암제의 용량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암의 전이가 약하게 예방이 되었지만 메시마 혹은 메시마와 항암제를 병용 투여한 집단에서는 암의 전이가 상당히 억제된 것으로 연구, 보고되었다.
메시마와 항암제 (ADR, Adriamycin)에 의한 폐암의 전이 예방
(홍남두, 김환묵 등, Immunopharmacology(1999년)에서 발췌)
3) 성인병의 간접적인 치료 효과
현대인들인 생활의 편리와 더불어 온갖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더욱이 성인들인 이런 저런 이유로 해서 심한 스트레스와 운동부족 등으로 성인병으로 고생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 자극들과 주변 환경으로부터 오는 환경요인들로 인하여 우리 생체내의 면역 기능이 약해지고 있다. 우선 그러한 환경 요소들로 면역 기능이 약해지면 비만, 당뇨와 그로 인한 합병증, 관절염, 알레르기 질환, 혈관 질환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과 관련 질환 등으로 고생을 하게 된다. 특히 생체내의 혈당량을 조절하는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내의 베타세포에 대한 자가 면역반응으로 생기는 제Ⅰ형 당뇨병(IDDM)에 유효하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메시마는 이러한 환경에의 자극으로 인한 면역 기능의 감소와 약화를 막아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에 도움을 주어 삶의 질을 향상 시켜줄 생체 조절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메시마의 체내작용의 시그널
(홍남두, 유익동등이 발표한 Int. J. imunopharmacology (1996년) 자료에서 발췌)
그림. 메시마의 혈당량 조절 효과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2000-7137, PCT 국제출원 번호 : PCT/KR00/00897)
1) 임상효능 사례
메시마는 항암면역조절제로써 다양한 임상 효능을 지니며 특히 소화기계 암에 있어서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앞에서 전술한 면역조절기능에 의하여 메시마는 인체내에 자생하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시키고 부작용이 많은 항암 화학제제와 함께 치료를 받을 시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을 감소시키므로 치료 효과를 배가시킨다. 메시마의 임상 효능 사례는 일본의 Yamana 선생 (西條中央病院), 한국의 충남대, 전남대, 서울대, 연세대등의 전문 의료진에 의하여 입증되었다.
임상사례 1.
장기간 메시마 면역요법하에 위암 효능 (일본 西條病院 山名征三 선생, 일본 진료와신약 학술지 발표자료, 1988년)
치료대상
78세 남자 ( 위암 말기 환자로 위 전체에 암세포가 퍼져 있은 상태로 수술불능이며 남은 수명이 2 내지 3개월임 )
치료약물
메시마를 1일당 2g씩 투여
치료효과
1. 통증이 사라지고 양호한 전신상태 유지
2. 식욕부진, 악액질이 관측되지 않음
3. 간의 직경1cm의 LDA, 폐의 腫瘍影 소실
4. 1년 6개월후 갑작스런 하혈에 의해 사망하였으나, 하혈이 없었다면 수명 연장이 기대되었음.
임상사례 2.
위암 수술환자에 대하여 메시마의 면역화학요법의 평가 (일본 西條病院 山名征三 선생, 일본 진료와신약 학술지 발표자료, 1990년)
치료대상
Stage IV 위암(말기)으로 진단된 환자 22명을 대상(主病部 수술대상 10 증상예, 개복은 하였으나 主病部를 수술하지 않은 대상 12 증상예)
치료약물
메시마 1일당 3g 사용
치료효과
식용항진, 부종경감, 체중증가, 얼굴색 개선, 암에 의한 내피반응의 증강 NK 세포활성의 항진
위 그림은 화학요법제 mitomycine C (MMC)와 후토라후르, 메시마를 병용처리시의 말기 대상 환자에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로써 메시마 투여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명 연장이 됨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이 그림은 Target cell로 k-562 세포를 effector cell로 사림의 말초 임파구를 사용하여 NK 활성을 조사한 결과 메시마 투여후 28일 째 활성이 급상승함을 입증하는 자료로 메시마의 면역증강활성 기능이 임상에 적용됨을 쉽게 알려주는 결과이다.
임상사례 3.
면역 메시마 다당류의 각종암환자에 대한 사용경험 (일본 西條病院 山名征三 선생, 일본 진료와신약 학술지 발표자료, 1990년)
치료대상
말기위암환자 6명, 폐암 4명, 간암 6명, 식도암 2명, 직장암 5명등 총 남자 16명과 여자 14명의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메시마 추출물을 1일당 1-6g을 사용하였다.
치료결과
통증경감, 식욕개선, 체중유지, 의욕항진, 암에 대한 내피반응의 증강
메시마 투여환자 임파구의 PHA, Con-A 반응
메시마의 각종 암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효능의 결과로 위의 그림은 임파구의 증식에 영향을 주는 mitogen인 PHA와 Con-A에 대한 메시마 투여환자 모두가 미치료암환자보다 훨씬 더 정상인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므로 인체내에서 메시마가 면역반응을 증강하여 항암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임상사례4.
위암 수술후 항암제와 메시마 병용투여에 대한 임상적 관찰 (충남대 의대 정현용 교수, 일본대체의료학회발표자료, 2000년)
치료대상
제3기 진행 말기 위암환자
치료약물
수술후 메시마 3g, 후루툴론(Furtulon, doxifluridine) 600㎎을 매일 2년이상 경구투여
치료결과
치료기간중 재발하여 사망한 예는 3예(전체의 3.2%)였다. 그 외 90예는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치료를 계속하고 있다. 치험례의 경우 전이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치료대상 환자중 재발율
1. 위암의 내시경사진 사진으로 우측 윗부분이 병반
2. 추적조사에 의한 간장에 암전이 판명
3. 메시마에 의한 간장의 전이암이 소실됨
토혈의 증세로 내원한 64세의 남자로 내시경검사에서 Borrman type III의 궤양성 병변이 있고 궤양저에 두꺼운 혈괴가 있습니다(사진1). 수술 전에 임파절의 전이가 있었다. 수술 후의 병기는 제III기 후기로 항암제인 ELF로 3차 보조치료를 하였으나 간전이가 판명되었다(사진2).
그 후 항암제(시스플라틴과 5-FU)를 4회 투여한 후 2000년 3월부터 메시마와 후루툴론을 투여하여 7개월 이후 간의 전이가 소실되었습니다(사진3). 분명히 이는 메시마의 효능에 의한 것이라고 주치의는 단정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메시마는 위암 수술 후 보조치료의 일환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면역치료제로 사료되며 또한 간 전이에 대한 우수한 치료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항암제와 메시마를 병용투여함으로서 부작용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인 암 치료법의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임상사례 5.
제3기 위암환자에서의 근치적 위절제술 후 투여한 면역치료제인 메시마(MesimaR)의 면역항진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대 의대 김진복 교수팀, 대한암학회지 발표자료, 1997년)
치료대상
위절제술을 받은 말기 위암 환자 : 남자; 26명, 여자: 14명
치료약물
제 1군 ; Mesima-Ex 1g씩 1일 3회 식후 30분마다 경구투여+ MMC, 5-FU (10명) 제 2군 ; 1군과 동일한 성상의 Placebo 투여+ MMC, 5-FU (6명)
치료결과
위절제술을 받은 말기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메시마를 투여한 후 T 림프구의 수를 조사함으로 면역 회복능을 평가한 결과 T림프구의 총수, 조력 T림프구의 수의 회복율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요법제 처리구 보다 메시마 병용 처리구가 더 빠른 결과를 보였다.
수술전에 T3 림프구수 대비
수술 7개월 후 T3 림프구 수율 수술전에 T4 림프구 대비
수술 7개월 후 T4 림프구 수율
제1군 Mesima +MMC + 5-FU 88.9% 78.7%
제2군 MMC + 5-FU 63.5% 64.8%
메시마와 화학요법제 Mitomycin-C(MMC)와 5-FU를 함께 투여한 후 환자의 면역 회복능
임상사례 6.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위암 환자에서 상황(메시마엑스)의 항종양효과 ( 연세대 의대 김주항 교수팀, 한국내과학회지 발표자료, 1996년)
치료대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진행성 위선암 환자 67명
치료약물
항암 화학 요법 및 메시마엑스 투여 대조군 : 5-Fluorouracil + Adriamycin 투여군 : 5-Fluorouracil + Adriamycin + 메시마엑스
치료결과
메시마를 화학용법제와 함께 투여한 투여군과 화학요법제만 투여한 대조군과의 위절제수술 후 진행성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자연살해세포 (NK cell)의 활성 정도와 항체의존성 세포독성 (Antibody-dependent cell mediated cytotoxicity)를 조사한 결과 2개월, 4개월 후 모두 메시마를 함께 처리한 투여군이 활성능이 기본 수치(baseline)에 비교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메시마의 면역증강효과에 의한 뚜렷한 생체내 반응으로 위절제수술후 화학요법제와 메시마를 함께 투여하는 것은 암을 극복하는 데 뛰어난 효능 효과가 있음을 보인다.
Group 투여군 (N=30) 대조군 (N=37)
(%) 자연살해세포능 항체의존성
세포독성능 자연치사세포능 항체의존성
세포독성능
Baseline 26 38.6 28.1 53.0
2 months 28.9 42.1 27.3 47.4
메시마엑스 투여군과 대조군의 치료시작시와 치료 2개월 후의 면역 활성도 비교
Group 투여군 (N=21) 대조군 (N=26)
(%) 자연살해세포능 항체의존성
세포독성능 자연치사세포능 항체의존성
세포독성능
Baseline 30.1 45.4 29.0 50.6
2 months 43.4 57.7 38.1 53.9
메시마엑스 투여군과 대조군의 치료시작시와 치료 4개월 후의 면역활성도 비교
위절제수술후 메시마엑스 투여군과 대조군의 재발 억제율
또한, 메시마 투여군과 대조군에 대한 위절제수술후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통하여 재발 여부를 조사한 결과 메시마 처리구가 미처리구에 비해 77%로 재발율이 적었다. 이는 메시마의 복용에 따른 면역항진효과 (지속적인 효능효과) 에 의하여 재발이 억제된 것임을 알 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임상사례 7.
메시마엑스산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 의대 김삼용 교수, 대한암학회지 발표자료, 1991년)
치료대상
위암 9명, 간암 3명, 원발생부위가 불명확한 암 2명, 대직장암 2명, 기타 6명을 포함한 말기 암환자 총22명으로 남자 16명과 여자 6명을 대상으로 함.
치료약물
A. Cyclophosphamide + 메시마엑스산 ( 수술후 보조면역요법으로 혹은 행동능력이 ECOG III에 해당하는 진행암등에서 cyclophosphamide를 제1일에 정맥주사하고 제4일부터 17일가지 메시마엑스산을 경구투여하여 4주를 주기로 반복치료)
B. 항암요법과 메시마엑스산의 병용 (진행암에 대한 복합화학요법 또는 수술후 보조요법으로 화학요법을 실시할 경우 화학요법과 함께 매일 메시마엑스산 3g을 3회 분할하여 경구투여함)
치료결과
1. 말초혈액 보조 T 림프구가 치료전 35.8±3.0%에서 치료후 40.5±2.5%로 상승하였고 CD4/CD5 비도 치료전 1.1±0.12 치료후 1.4±0.13으로 상승
2. PHA 자극시 림프구 증식반응은 치료전 17009±6009cpm이었고 치료후 51682±9846cpm으로 상승하였다. 림프구 자극지수도 치료전 11.5±2.9에서 치료후 29.8±5.5로 상승하였다.
3. 면역검사가 시행된 15명 중 12명(80%)에서 면역기능이 개선되었다.
4. 진행암 9례중 1례에서 부분반응을 8례에서 안정반응을 보였고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에 메시마엑스산을 병용한 13례는 모두 재발없이 생활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메시마 엑스산이 각종 암환자에게 면역기능의 증강효과를 크게 보이며 부작용이 적고 간접적인 항암작용이 우수한 약물임을 입증하고 있다
2) 병을 이기고 예방하자
버섯류는 기능성에 관련된 성분으로 식품 본래의 역할인 영양소재 공급원으로 단백질, 당류, 유기산, 비타민, 지방(특히, 불포화 지방산류)등이 있으며, 음식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색과 향기 성분, 그리고 GMP, AMP와 같은 핵산관련물질등의 맛과 관련된 지미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어 식품 첨가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버섯류는 저칼로리이며 체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어 줌으로 체중 조절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건강 다이어트 보조식품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섭취시 다양한 생리적 특성을 보이는데 외부로부터 침입한 이물질(세균, 곰팡이등)과 내부에 잔재하는 이물질 (암세포등)에 대한 생체방어작용을 촉진하는 면역조절기능, 생체내에서 생리적 작용에 관여하는 효소반응등의 작용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항상성 작용, 동맥경화와 같은 성인병 유발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항혈전 작용 및 혈당 강하작용, 그리고 항종양작용등의 약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새로운 건강식품소재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새로운 생체반응조절제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BRM)의 개발 소재원으로 미국, 일본등의 선진국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버섯류의 성분으로서는 다당류로 이미 의약품으로 개발 시판되고 있다.
특히 다른 버섯류에 비해 위의 내용과 같이 상황의 균사체로부터 생산하는 메시마의 경우 면역촉진효과 뿐 만 아니라 성인병 예방 치료 효과를 지닌다. 메시마는 항암면역증강치료제인 전문 의약품으로써 가치 뿐만 아니라 버섯류가 지닌 다양한 기능성을 복합적으로 지녀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현대인의 건강식품으로 알맞다.
메시마의 평상시 꾸준한 복용은 질병의 치료보다 예방의 기능을 우리 인간의 몸에 강화함으로 병을 이기고 건강한 생활을 누리게 할 것이다.
제품의 특성 및 구입방법
1) 메시마의 특징
1. 암 증식억제 및 연명효과
면역활성효과가 뛰어난 항암다당체를 다량 함유하여 마크로파지, T임파구, B임파구, NK세포 등의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줍니다. 동시에 암 환자의 체력저하, 식욕부진, 권태감, 체중감소 등을 개선하여 줍니다. 따라서 암 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높여주고 생존기간을 연장하여 줍니다.
2. 전이억제효과
인체의 면역을 자극하여 면역세포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암의 전이를 막아주고 재발을 방지하여 줍니다.
3. 항암제와 병용투여에 의한 상승효과 및 부작용 경감 효과
항암제와 병용투여할 경우 암의 치료효과를 보다 높여줍니다. 또한 백혈구감소, 식욕부진, 구토, 발열, 탈모 등 일반적인 항암제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다소 경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4. 암 예방효과
메시마는 암세포를 억제하는 인체의 면역을 증강하여 주기 때문에 암의 발병 이전에 메시마를 복용하면 암을 예방할수 있습니다.
5. 기타 특징
경구로 투여하는 항암제입니다.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암 치료제입니다. 면역을 증강하기 때문에 기타 감염증에 대하여 예방효과가 있습니다. 당뇨병 등의 자가면역질환의 발생을 예방하며 개선하여 줍니다.
에이즈 등 면역결핍증에도 효과가 기대됩니다.
2) 제품관련문의
(주)한국신약 메시마 사업부
대전시 서구 내동 220-11외 2필지 더리치빌A 제104동 제 지하1층, 제103호, 제104호
Tel. 042-545-8530 Fax. 042-545-3670
E-mail : hsp@hsp.co.kr
* 메시마는 의사의 처방이 반드시 필요한 전문의약품입니다.
메시마와 다른 유사 제품과는 무엇이 다른가
메시마는 대한민국 과학기술부에서 주관하였던 연구기획과제로부터 산출된 결과물이며 효능 및 메시마 생산 균주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 입증 자료가 충분하다. 상황이 고문헌에서부터 현재까지 약효가 널리 알려지면서 유사한 버섯류를 마치 상황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다.
(주)한국신약에서는 일찍부터 자연계에서 희귀한 자실체로부터 순수한 균사체를 얻어 대량배양을 체계화하여 상황 균사체 추출물인 "메시마"를 양산하고 있다.
(주)한국신약은 메시마 제품의 선두주자로 많은 KNOW-HOW와 특허들을 갖고 있으며 대량배양중에 올 수 있는 시행 착오가 전혀 없도록 철저하게 생산 관리하고 있다. 균사체를 이용한 대량배양의 가장 중요한 점은 생산 균주에 대한 관리이며 (주)한국신약에서는 생산균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유전자 해독을 통해 상황 균사체의 진위를 판단하고 있다.
(주)한국신약과 공동으로 일본의 金泯大學 생약학 교실의 Oda 교수가 메시마와 유사품에 대하여 "RAPD법에 의한 시판(일본, 한국) 상황의 유전적 관련성의 해석"이란 제목으로 일본 생약학회에 발표한 바 있다. 그 결과는 한국신약의 Phellinus linteus yoo 균주는 미국 균주 기탁기관인 ATCC에서 공인된 Phellinus linteus ATCC 26710와 동일한 유전자 양상을 지니는 것으로 구별되어 상황 균주로 판독되었다.
그 외의 상황으로 알려진 유사품들은 상황버섯과는 다른 양상의 유전자 양상을 보이는 놀라운 결과를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다른 유사품의 상황이란 진위 여부를 떠나 (주)한국신약에서는 정확한 상황 균주로 메시마를 생산하고 있다는 충분한 근거 자료이다 (새로운 상황버섯 개발의 유전자 모식도 참조).
PCR법에 의한 Phellinus 속 균주 및 유사종의 유전자 구별법 (일본 생약학회 발표자료, 2001년)
>>[Enoxaparin]
The potential benefits of low-molecular-weight heparins(Enoxaparin) in cancer patients
Francisco RobertEmail author
Journal of Hematology & Oncology20103:3
DOI: 10.1186/1756-8722-3-3© Robert; licensee BioMed Central Ltd. 2010
Received: 9 September 2009Accepted: 14 January 2010Published: 14 January 2010
Abstract
Cancer patients are at increased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due to a range of factors directly related to their disease and its treatment. Given the high incidence of post-surgical venous thromboembolism in cancer patients and the poor outcomes associated with its development, thromboprophylaxis is warranted. A number of evidence-based guidelines delineate anticoagulation regimens for venous thromboembolism treatment, primary and secondary prophylaxis, and long-term anticoagulation in cancer patients. However, many give equal weight to several different drugs and do not make specific recommendations regarding duration of therapy. In terms of their efficacy and safety profiles, practicality of use, and cost-effectiveness the low-molecular-weight heparins are at least comparable to, and offer several advantages over, other available antithrombotics in cancer patients. In addition, data are emerging that the antithrombotics, and particularly low-molecular-weight heparins, may exert an antitumor effect which could contribute to improved survival in cancer patients when given for long-term prophylaxis. Such findings reinforce the importance of thromboprophylaxis with low-molecular-weight heparin in cancer patients.
[[Alpha-lipoic acid]] proM
is unique among biological antioxidants, because it is soluble in both water and lipids. This allows it to neutralize free radicals just about everywhere in the body, inside and outside the cells. Due to its unique sulfur-containing structure, alpha-lipoic acid can scavenge several types of free radicals, such as the highly reactive hydroxyl, and singlet oxygen free radicals. It is also capable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in the first place, since alpha-lipoic acid chelates transition metals, such as iron and copper. Because alphalipoic acid is involved in so many different antioxidant functions in virtually all body tissues, it has been called the universal antioxidant.
Besides being a universal free radical scavenger, alpha-lipoic acid can also recharge other antioxidant systems throughout the body. As mentioned earlier, it can extend the activity of vitamins C and E. In addition, alpha-lipoic acid can also regenerate glutathione.
[항암보조치료]
[경구 메트로노믹] CTX 50mg/day + MTX 2.5mg twice daily(day#1 day#4)
[항암보조치료.] 메시나(상황버섯) + 항암칵테일요법=Celebrex/DCF-Asp-CMTD/PPI-Simvatatin-Metf-Mebendazole-Inderal-Doxy :::신생혈관증식 억제에 탁월
==Survival Terrminal camcer..Ben A Williams PHD + 윌리엄 리 박사의 TED 강연
==Metronomic CTX regimen selectively depleteles CD4 CD25 regTcells and restore T&NK effwctor functions in end stage cancer pt.
==Low-dose “metronomic chemotherapy” with oral cyclophosphamide and methotrexate in metastatic breast cancer: a case report of extraordinarily prolonged clinical benefit
[만성염증 줄이기] 진짜음식(Real Food..슈퍼푸드)먹기--운동--마음 해독....
[만성염증관리식단..균형] **야채-과일 섭취늘리기//포화지방산-트랜스지방 피하기//생선-견과류로 W3FA섭취량 늘리기//정제탄수화물-정제식품-가공식품 피하기//충분한 전곡류//향신료 즐기기
[암세포 굶겨죽이기] Can We eat to Starve cancer -
대두추출물-아티초크-파슬리-딸기류(베리)-마늘도 암신생혈관억제작용 탁월
녹차 딸기(블랙베리-라즈베리-블루베리) 오렌지 자몽 사과 파인애플 적포도(적포도주) 배추 케일 대두 인삼 잎새버섯 감초 강황 육두구(NutMeg) 아티초크 라벤더 호박 해삼 참치 파슬리 토마토 다크초콜렛 올리브오일(포도씨유..항상 조리 끝난 후 사용)
--------------------------------------------
DCF(디클로페낙)/아스피린 : 종양절제수술전 투여시 암세포전이와 사망위험도 감소//화학요법-RT병행시 항암치료효과 상승((신생혈관형성 억제/면역시스템 강화))
CMTD(시메티딘) : 혈관신생억제-세포사멸유도-NK세포/수지상세포/Tc임파구 활성화-항종양면역*Th1)강화
스타틴 :: 종양발생-증식 억제(세포사 유도)-전이 억제--방사선치료민감도 증강 효과
메포르민 : AMPK 활성차단 + 순환인슐린 감소/인슐린/IGF1수용체로 활성되는 PI3K 경로 억제/저혈당 유도.
Doxycycline and Azithromycin 암세포의 원발장기조직형이 어떠하든지에 상관없이 암줄기세포내 미토콘드리아 증식 차단 기전 통해 암세포복제 및 전이를 막게 됨..(breast, DCIS, ovarian, prostate, lung, pancreatic, melanoma, and glioblastoma (brain))--erythromycins, the tetracyclines, the glycylcyclines, an anti-parasitic drug, and chloramphenicol // azithromycin, doxycycline, tigecycline, pyrvinium pamoate, as well as chloramphenicol, as proof-of-concept.
----------------------------------
[Proposed drug combinations with MBZ(알벤다졸) for specific indications.]
Disease------------Targets-------------------------Drug Combination
Malignant Melanoma---------Microtubule disruption, inhibition of autophagy, anti-angiogenic and immunomodulation---Hydroxychloroquine (NCT00962845) Diclofenac or Celecoxib [24] Oral cyclophosphamide [39]
NSCLC---Microtubule disruption, AMPK/mTOR, Hedgehog signalling, COX-2 inhibition ----Metformin (NCT01997775) Itraconazole [40] Diclofenac or Celecoxib (NCT00520845)
Adrenocortical Carcinoma------Microtubule disruption, anti-angiogenic, Hedgehog signalling------Itraconazole Oral cyclophosphamide [41]
Glioblastoma Multiforme-----Inhibition of autophagy, microtubule disruption, Hedgehog pathway inhibition, anti-angiogenic----Hydroxychloroquine (NCT00224978) Itraconazole
Colorectal Carcinoma----Microtubule disruption, AMPK/mTOR, immunomodulation, anti-histamine, COX-2----Metformin (NCT01941953) Cimetidine [42] Diclofenac Oral vinorelbine [43]
Osteosarcoma/ Soft-tissue Sarcoma---Microtubule disruption, AMPK/mTOR, IGF-I, Hedgehog pathway inhibition, tumour vascularity, anti-angiogenic----Metformin Itraconazole Losartan Oral cyclophosphamide [44]
Acute Myeloid Leukaemia---Microtubule disruption, induction of apoptosis---Albendazole or oral vinorelbine [45] Diclofenac
Breast Cancer (ER+ invasive ductal carcinoma)----Microtubule disruption, AMPK/mTOR, anti-angiogenic----Metformin (NCT01929811) Oral cyclophosphamide and/or oral vinorelbine (NCT00954135)
Ovarian Carcinoma---Metformin (NCT02050009) Itraconazole Diclofenac (NCT01124435) 아미오다론 이버멕틴 리토나비르 비스포스포네이트 CO/HCQ
-----------------------------
베타차단제 NFkB, VEGF, COX-2 Down regulation 차단기전으로 작용....함께 사용시 시너지 COX-2/PGE2 inhibitors and a range of chemotherapeutics at both metronomic and standard dosing :::::***clinical trials of PRO, in combination with other agents, in the following cancer types: Angiosarcoma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Pancreatic cancer Neuroblastoma ***peri-operative use of PRO in combination with ketorolac or etodolac : Osteosarcoma Head and neck cancers Oesophageal cancer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Non-small Cell Lung Cancer Pancreatic cance===ALL : MMP2발현 억제/VEGF억제//유방암 : COX-2억제제와 함께 사용시 NK세포 활성 증강 시너지//악성흑색종//난소암//혈관육종(유아혈관종) : 암세포 증식-전이차단-사멸 촉진//신경아세포종//전립선암//췌장암//대장암...위암, NSCLC
---Repurposing Drugs in Oncology (ReDO)—Propranolol as an anti-cancer agent
BBK (NSAID인 DCF와 비슷한 효과)==증식-이동-침습-세포사-신생혈관생성-치료반응민감도증강-면역력증강효과-스트레스감소-악액질 감소효과 탁월/특히 수술전후 NSAID와 함께 투여시 효과up : 백혈병-비소세포폐암-악성흑색종-유방-췌장-전립선암-난소암-대장암-혈관육종-신경아세포종-두경부암
((항암메트로놈과 함께))• Angiosarcoma • Breast cancer • Ovarian cancer • Pancreatic cancer • Neuroblastoma
((수술전후DCF, ketorolac or etodolacrhk gkaRp)) • Osteosarcoma • Head and neck cancers • Oesophageal cancer • Breast cancer • Ovarian cancer • Non-small Cell Lung Cancer • Pancreatic cancer....[Repurposing Drugs in Oncology (ReDO)—Propranolol as an anti-cancer agent]
스타틴 :::HMGCoAR은 메발론산경로의 rate-limiting step으로서 이 과정이 차단되면 암세포발생-증식에 필요한 세포막 온전성, 시그날링, 단백합성, 세포증식사이클 차단으로 인해 암줄기세포로부터 암세포발생-증식-신생혈관발생-전이가 억제되고(VEGF효과 차단, metalloprotease분비억제) 함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반응성이 증가하게 되고 암세포사멸이 촉진됨-대장암/난소암/유방암...The statins as anticancer agents.
이트라코나졸 : 배아줄기세포의 발생경로이상(기저세포암) 차단-암신생혈관증식억제-암세포자가탐식작용 증강-다중약물내성 극복
항암제와 병용한 로자르탄-안지오텐신 차단제 효과,,유방암/췌장암] 종양내부 혈관의 과도한 수축을 풀어부어 종양내부혈류량의 증가 유도--종양관련 섬유모세포 증식결과 올라간 종양내 콜라겐과 히알우로난(젤라틴양 물질) 등의 분비를 억제시킴으로써 종양내부혈관 수축을 차단함으로써 종양내 혈류량을 증가,,
메벤다졸 : 세포내 구조물을 지탱하고 세포분열시에 관여하는 microtubules인 spindle구성 기능을 억제하여apoptosis유발
CQ/HCQ..autophagy inhibition.. - lysosomalPH target =Inhibit autophagosome fusion with lysosomes and autophagosome degradation (유방-대장-식도암, 신경교아세포암, 간세포암, 백혈병 /mantleCellLymphoma, 비소세포폐암 췌선암 전립선/신세포암, 난소암) ..[Autophagy and chemotherapy resistance: 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for cancer treatment]
CMTD-((all GI cancer)) 면역증강, 종양세포의 접착-침투-전이억제//H2R차단 통해 직접 암세포독성 발현...히스타민은 종양 발생 성장( 증식, 분화, 사멸))진행 조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조절인자로서 악성흑색종-소세포폐암-유방암-내막암-대장암에서 Histamine decarboxylase(HDC)와 함께 상승 --- monofluoromethyl histidine 또는 specific HDCantisense oliginucleotide 은 실험실 투여 결과 악성흑색종세포 감소 유도,..[Anticancer effects of cimetidine]
PPI(lanstone.
Prilosec (omeprazole), Prevacid (lansoprazole), Nexium (esomeprazole), or Protonix (pantoprazole).
)인체종양세포는 암세포자체에서 H 펌프를 확발하게 가동(vacolar type V-type H(+)-ATPase expression이 상승)함으로써 암세포주변환경을 산성화상태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정상세포증식을 막는 방식으로 성장하기에 PPI(lanston)투여시 H펌프가 차단되어 암세포내 pH경사가 산성화됨으로써 항암제민감성 증가, 암세포사멸 및 증식억제 작용이 발현됨((
흑색종 선암 임파종 간모세포암)) [
Proton Pump Inhibitors in Cancer Ca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