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8/11당뇨병 남성의 절반 이상이 발기 부전
발기부전이 당뇨병을 앓는 남성의 50% 이상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 9만 명의 당뇨병 환자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 당뇨병을 앓는 남성의 약 53%가 발기부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을 앓는 남성은 당뇨병을 앓지 않는 남성에 비해 발기부전 가능성이 3배 이상 높았고, 발기부전이 10~15년 더 빨리 나타났다.
프랑스 마리타임병원 유세프 쿠이닷트 박사팀은 2016년 11월까지 평균나이 56세인 88,000명 이상의 남성을 포함해 145건의 연구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1형 당뇨병 환자의 37.5 %와 2형 당뇨병 환자의 66.3 %가 발기 부전을 앓고 있음을 발견했다.
연구의 대부분은 아시아와 유럽에서 시행되었으며, 당뇨병을 앓는 남성에게서 발기부전이 발생한 비율은 국가에 따라 다양했으나 남미에서 가장 높았고, 북미에서 가장 낮았다. 연구팀은 문화적, 심리적, 기타 요인이 발기 부전의 발병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1980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 수는 1억 8백만에서 4억 2천2백만으로 급증했으며, 성인의 유병률은 4.7 %에서 8.5 %로 증가했다. 당뇨병은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발기 부전은 당뇨병의 합병증 중 세 번째로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발기 부전은 40세 이상의 남성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당뇨병이나 심장 질환이 있는 남성의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이 있는 남성에게서 발기부전이 발생하는 이유는 혈당치가 높으면 발기를 유지하는데 관여하는 혈관과 신경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을 입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제2형 당뇨병을 앓는 남성 중 이미 상당수가 진단 시점에서 발기부전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당뇨병으로 고통받는 남성들에게 발기부전 조기 검사를 권장한다고 전했다.
>>인공 감미료, 비만과 심혈관질환 위험 높인다
인공 감미료의 일상적인 섭취가 장기적으로 체중 및 심혈관질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메니토바 대학 Meghan Azad 박사 연구팀은 1003명의 참가자(추적 관찰 6개월)와 405,907명의 참가자(추적 관찰 10 년)를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인공감미료 섭취가 체중, BMI 및 허리 둘레의 증가와 유의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한 다량의 인공감미료 섭취는 고혈압, 뇌졸중, 심혈관계 증상,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실제로 성인 미국인의 40% 이상이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스테비아와 같은 인공감미료를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지만, 이러한 식습관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Azad 박사는 “사람들은 건강을 위해 인공감미료를 선택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도 있다. 미국 최대의 식량 및 영양 전문가 협회인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는 “인공 감미료는 체중과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Azad 박사는 이번 연구 중 많은 부분이 내장 마이크로바이옴(인간의 몸속에 공존하는 미생물의 유전정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인공 감미료가 이 내장 마이크로바이옴을 파괴할 수 있다”면서 “인공 감미료의 일상적인 소비는 체중 증가, 인슐린 저항성 및 혈당 불균형 등을 유발해 신진 대사 방식을 바꿀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Medscape가 보도했다.
>>A형, B형, C형 간염 치료제와 예방법
간염은 바이러스, 알코올, 약물과 자가면역 등에 의해 발생되며, 이 가운데 바이러스성 간염은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 B, C형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B형 간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간염으로 지난해 환자수는 약 36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을 통해 간염의 정의와 종류, 간염치료제 종류와 복용 시 주의사항, 간염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을 알아보자.
A형, B형, C형 간염은 어떻게 구분될까
간염이란 간세포, 간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는데, 6개월 이상 낫지 않고 진행되는 경우 만성 간염이라 한다.
주요 증상은 쉽게 피로해지거나 입맛이 없고 구역, 구토, 근육통, 미열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변 색이 진해지거나 심한 경우 황달까지 발생할 수 있으나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A형 간염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 등 섭취를 통해 감염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깨끗한 환경에서 자라 자연적으로 A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생기지 않은 20∼30대에서 발생이 증가했다.
A형 간염은 일반적으로 급성으로 진행되나 대부분의 환자들은 회복되며, 감염 후에는 면역이 생겨 다시 재감염되지 않고 만성적 형태로 발생하지 않아 간경변이나 간세포암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B형 또는 C형 간염은 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체액이나 혈액을 통해 전염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액 등을 수혈 받거나 혈액 투석, 오염된 주사기, 침의 사용, 성 접촉, 간염에 걸린 산모로부터 태아로의 수직감염 등이 주요 원인이다.
B형 간염은 감염된 성인의 약 90~95%는 회복되어 재감염에 대한 면역이 생기지만, 약 5~10%는 보균자나 간경변, 만성간염으로 진행하여 간세포암종이 발병될 수 있으므로 정기 검진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
C형 간염은 감염된 성인의 약 20~50%는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50~80%는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어 지속적인 간 손상이 유발되고 간경변과 간세포암종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예방이 요구된다.
간염 치료제의 종류 및 부작용은
간염 치료제는 환자의 상태와 바이러스 활동력 등에 대한 의사의 정확한 진단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현재 A형 간염 치료제로 개발된 제품이 없어 백신으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 B형 간염 치료제는 바이러스 합성을 억제하는 라미부딘, 베시포비르, 아데포비르, 엔테카비르, 클레부딘, 테노포비르, 텔비부딘 등이 있으며, 장기 복용시 내성 발생 가능성이 높았으나 최근에 개발된 제품은 내성발생이 줄었다.
만성 C형 간염 치료제는 바이러스 합성을 억제하는 다클라다스비르, 리바비린, 보세프레비르, 소포스부비르 등과 복합제인 소포스부비르/레다파스비르, 아수나프레비르, 엘바스비르/그라조프레비르 등이 있으며 바이러스 유전자형(1, 2, 3, 4형)등에 따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환자상태, 치료제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두통, 피로감, 구역 등이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발생 시 의사 등 전문가와 상의한다.
두통이 생긴 경우 물을 많이 마시고 수면을 충분히 취하며, 속이 울렁거리거나 식욕이 없는 경우에는 식사를 조금씩 나누어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C형 간염 치료제인 리바비린은 임신 중 복용 시 태아 기형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환자와 배우자는 치료기간 중이거나 약물을 복용한 후 6개월까지는 적절한 피임법을 통해 임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복용 시 주의사항 및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간염치료제는 다른 약물과 함께 복용 시 약물 간 상호작용으로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약효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만성 B형과 C형 간염 치료제는 장기 복용으로 내성이 발생할 수 있고 임의적인 치료 중단 등으로 간염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치료 반응 지속, 간기능 상태 등에 대해 정기적으로 검진해야 한다.
지나친 음주는 심각한 간질환의 원인이므로 주의하고 과다한 음주 후 해장술은 간을 더욱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간염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단백질, 탄수화물과 몸에 좋은 지방산을 섭취해야 하며,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적당한 운동을 통해 건강한 간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2017/08/17 충격파를 이용한 새로운 부정맥 치료법 개발
충격파를 이용해 빈맥성 부정맥을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일본 토호쿠 대학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현재 주로 이용되고 있는 부정맥 치료법(절제 치료)에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데, 열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카테터를 이용하여 심근 부정맥의 원인이 되는 부위를 태워 잘라내는 방법이다.
고주파 절제법은 치료 효과는 높지만 심장내막을 손상시켜 혈전색전증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염증 치유 반응을 느리게 해 재발의 우려가 있었다. 반면 이번에 개발 된 충격파 박리법은 이름 그대로 충격파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주파 절제법의 열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한 치료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충격파는 기존의 고주파 절제법보다 깊은 곳까지 효과를 도달시킬 수 있으며 깊이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심장 내막의 손상 정도는 고주파의 경우보다 훨씬 낮으며 염증이 가라 앉는 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심장학회 학회지인 EP Europace 온라인판에 게재되었으며, 일본 이코노믹뉴스 등이 보도했다.
>>눈에 좋은 루테인, 뇌 기능개선에도 도움
중년에 케일, 시금치 등 루테인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노화와 연관된 인지장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일리노이대학 연구팀은 25~45세(평균나이 33.8세, 여성 52%, 남성 48%)의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뇌와 눈 조직에서 관찰할 수 있는 루테인 수치를 망막의 황반색소밀도(Macula Pigment Optical Density, MPOD) 검사로 측정했다. 그리고 이들에게 집중력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한 뒤 뇌활동과 신경반응도를 검사했다. 검사 대상자 중 우울증이나 ADHD와 같은 정신질환이 있거나 임산부인 사람은 제외했다. 그 결과 루테인 수치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간에 ‘주의 억제력’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나이가 많은 사람 중 루테인 수치가 높은 경우에는 신경 반응도가 젊은 사람들과 거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루테인은 눈 세포 다음으로 뇌 세포에서 많이 찾을 수 있는데, 어린아이의 뇌 세포 발달과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테인은 뇌에서 항산화 및 소염역할로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신경세포간 전달물질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돕는다. 루테인은 당근, 귤, 오렌지 등 노란색 과일과 채소에 풍부하며, 케일, 시금치, 아보카도와 같은 녹색 채소에도 많이 들어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루테인이 뇌노화를 방지하고 뇌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평가했다.
>>2017/08/23주 3~4회 음주, 비음주보다 ‘당뇨’ 위험 낮춰
일주일에 3~4회 적정량의 술을 마시는 사람은 비음주자보다 당뇨병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남덴마크대학 보건연구소는 덴마크에 거주하는 성인 약 7만명 중 당뇨병 환자와 임산부를 제외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5년 동안 추척조사를 통해 음주와 당뇨병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일주일에 3~4회 술을 마시는 사람은 비음주자에 비해 당뇨병 위험이 남성은 27 %, 여성은 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술을 주당 14잔 마신 남성은 비음주자보다 2형 당뇨병 발생할 위험이 43 % 낮았으며, 술을 주당 9 잔을 마신 여성은 비음주자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58 % 낮았다.
당뇨와 음주--△ 사진 출처 = 2017 유럽당뇨병학회 저널 ‘Diabetologia’
U 자 모양의 위험 곡선에서 알 수 있듯이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참가자는 당뇨병 발병 위험이 더 높았다. 술을 적당히 마신 사람 (남성 주당 14잔, 여성은 주당 9잔)은 당뇨병 위험이 가장 낮았다. 하지만 남성은 주당 최대 40잔, 여성은 주당 28잔을 넘어가는 경우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았다.
이 연구 결과는 와인이나 맥주에만 적용된다. 일주일에 7잔 이상의 와인을 마신 남녀는 1잔 미만을 마신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병 위험이 25 %~ 30 % 감소했다. 연구팀은 와인의 폴리페놀 성분이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고했다.
맥주의 경우, 일주일에 1~6잔을 마신 남성은 1잔 미만을 마신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병 위험이 21% 낮아졌으나 여성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 보드카나 진을 마셨을 때 당뇨병 위험은 오히려 상승했다. 일주일에 7잔 이상 마시는 여성은 1잔 미만을 마신 여성에 비해 당뇨병 발병 위험이 83% 증가했다.
연구팀은 알코올이 당뇨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더라도 암을 비롯한 50가지 이상의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어 알코올 소비량을 늘리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유럽당뇨병학회 저널 ‘Diabetologia’에 실렸다.
***장내주식에서 보면, 회사가 몰락할 때 거래량0인 경우는 상당히 위험, 반면 잘 나가는 때임에도 거래량0인 경우를 갭상이라함.((이어서 주가가 반등하는 것은 당연...전일 최고호가로 지정하게 됨))
===반기보고서 발표시점 씨엘 2017년 실적 예상==
***[KOTC1부 진입시...평가기준은 회계년도말 사업보고서가 됨]
2016년 연결재무제표상 주당순자산 = 7799629113/56835297 =137.23(137)원......첫날 시초호가범위 최저(-30%)*최고호가(500%)가격 = 96원~685(680)원......하루 변동범위는 하한가-30%, 상한가+30%이므로 ...67원~880원 범위에 형성될 것.....영업이익 흑전 순이익 흑전이면 PSR 2를(시총360억=663원), 연속 흑자 유지면 PSR 3 (시총540억=950원) 적용 원칙으로 볼 것.
[매출액/매출이익]
2017년 예상 매출180억 기준할 때 52억 매출이익 예상(반기기준 매출액45억중 매출이익 13억.....매출이익률 29.5%로 잡고서 계산한 것임)
[판관비].....
판관비 1,2분기는 각각15.1억, 12.3억..3,4분기 판관비도 2분기와 동일할 것으로 보고 계산하면 3,4분기 총24.6억 필요
[영업이익 예상]
1분기 매출14억 매출이익 5억 판관비 15억 영업이익 -10억
2분기 매출31.5억 매출이익 8.4억 판관비 12.3억 영업이익-3.9억.......반기 현재 누적영업손실14억
3분기 매출41.12억 매출이익 8.65억 판관비12.15억 영업이익-3.4억.....3분기현재 누적손실-17.3억
4분기 예상매출액 약100억 규모/매출이익 29.5억/판관비 12.15억 빼면 17억정도영업이익 발생 가능하므로 이미 발생한 누적영업손실17.3억을 빼면 영업이익 흑전이거나 1억 이내 손실 예상...즉 4분기매출이 110억 이상 발생시는 영업이익 흑전 겨우 가능
***연매출액180억 예상을 기준으로 했을 때 1,2분기 45억을 제외하면 나머지 3,4분기 예상매출액 135억규모
-----매출이익률29.5% 적용시 예상매출이익 39.825억 정도
-----3,4분기 판관비 총24. 6억을 빼면 15.225억 정도 남게 될 것
-----한편, 반기까지의 누적영업손실 14억을 커버하고 남는 액수는 1.225억으로서 17년도 예상영업이익은1.225억으로 가까스로 영업이익 흑전 가능할 듯..
[신안사채 100억 중 잔금 41억 변제건..2억 추가 변제]
##2017년 반기보고서상 투자부동산 처분[보고서 내용..12(2)참고 ]
: 전기(2016년)보고서상 장부가49억(토지12.7억 =건물36.5억)....취득원가83억(토지 19.2억+건물63.9억) ==>반기보고서상 부동산처분액 47.4억(토지 처분액12.3억 +건믈처분액 35억)//잔여 부동산 1.87억..............1분기초 시행한 것...신안전환사채 39억 변제를 위한 것...장부가이하로 매각해서 8.4억 손실 기록
##6.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주4) 2015년 07월 31일 제17회 전환사채 10,000백만원을 발행하여 2016년 09월 05일 30억원 상환, 2017년 02월 07일 29억원(총59억), 2017년 07월 31일 2억원을 조기상환하여 현재 39억원이 남아있습니다. --1부 신청 조건 충족 위한 제스처...3분기 현재 전환사채 0 되었음
[향후 전개방향]
18년까지 갚아야 하는 신안사채 39억에 대한 원금과 조정이자 : 이익이 발생되는 만큼 그때 그때 변제, ...
성남우림라이온스밸리는 50+5억 정도의 호가....
새로운 사업장으로 이전시 이전비용 발생 가능, 씨엘 업력상 KT로부터 400-500억 정도까지는 매출발생 가능성...(대표의 역량!!)......금년실적 가다듬은 후 매출력 증대 위한 인력구성에 주력할 필요!!...
9월 1부 가능성 반반...
보호예수에 버금가는 액션 예정..((현재 장기의결주주주식수 1300만주22.8%))
((가능성))**만약 매출증대 위한 인력을 추후 보강해서 계획대로 매출증대 발생시....매출400억/매출이익 88.5억...매출500억/매출이익147.5억....인력 보강후 판관비 80억...영업이익 각각8.5억/67.5억 발생가능..
***>>17-09-13 씨엘 건물 우림라이온스밸리1차12층 49.5억에 (주)카라한에 매각공시 떴네요 현금 유동성 확보에 따른 사채금 상환으로 재무구조 개선 매각금액은 49.5억원 지금 채무 39억. 10억가량 남네요. 입금예정일 9월 말... 이제 3분기 거의 다 끝나가는 시점!!...이는 자사주 소각한 것과 마찬가지 효과의 대형호재!!..혹시 배당도 마음에 두고 있는 건가
KOTC 1부 진입요건은 이제 완비 상태..임총 후 경영진 개선, 계속적기업, 채무를 0으로 만듬으로 인해 모두 갖췄네요. 그러나 1부에서 만족되면 안될듯.. 이제 시작일 뿐... 여러 개의 팩트 중 하나만 나왔는데 회사가 주주들에게 공시한 것은 회사가 정말 주주들에게 노력하는 모습으로 보여 맘에 드네요. 좋은 일입니다. 모두 수익많이 내시길~~
***KOTC 진입시, 반기기준(기재정정)순자산가치2,326,232,474/56835297주 = BPS 40.9 * (1.3~5) =52~200 ::: 시초 호가범위 ==>종가범위36~260원(BPS의 7.5배).......68억 추가시 BPS 160원/1204peak..
==반기보고서 발표시점 포스코플랜텍 실적==
17-1분기 17-2분기/반기누적 3분기
총자산 4754억 반기 4535.6억 4050.8억
현금및현금자산 + 단기금융자산 1665억 반기1540억 1163.3억
총부채 6509억 반기6231억((486억 변제))5532억
총자본 -1755.89억 반기-1695.7억((60억 증))-1481.24억
결손금 -9791억 반기-9730억((61억 감)) -8515.83억
매출액 (전년동분기)/당기 1060억 1161.78억/누적2222.5억 703.87억/2926.4억
매출이익 97.5억/83.2억 110억/누적193.5억(8.7%) 206.1억/399.6억(13.6%)
판관비 38.3억/46억 39.4억/누적85.3억(분기당42,7억) 12.18억/95억
영업이익 59억/37억 70.8억/누적108억 193억/누적301.1억
순금융손익 -27억 -21.22억/누적-48.26억..분기당-24.1억
세전이익 39.5억/4.3억 당분기60.7억/누적61.1억 215.8억/277억
분기순이익 39,5억/3.5억 60.6억/누적60.9억 215.66억/누적276.63억
금융보증계약/금융보증부채 2171억/930억 1730억/605억
1년미만 유동성위험 2274.8억 1931.2억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2085.9억 2017.3억 1121.2억
대손충당금 2055억 2017억 1983.6억
[부채변동추이] 17-1말 17-2말/반기 17-3
총부채 6509.98<-207.51> 6231.41<-278.57> 5532<-699>
유동부채 2270.8 2417,56 1728.5
---매입채무 등 329.1 277.1 161.1
---단기차입금 9.27 10.4 9.2
---사채(유동성) 356.15 351.78 0
---충당부채 24.1 30.9<하자보수 및 상여금>30
---유동성장기차입금 718.34 1134.85 <장기차입금> 좌동
---기타금융부채 307.24 0
---기타유동부채 67.28 71.86
---초과청구공사 458.17 541.69<선수금>
비유동부채 4239.1 3813.84 3803.5
---장기차입금 3291.13 2865.59<-376.6> 2961.8
---사채 180.95 180 79.1
---장기성기타금융부채 605.75 613.73 <금융보증계약수입금..소멸성>598.65
---장기기타비유동부채 2.7 2.79<퇴직급여충당부채가 주종>2.8
---순확정급여부채 100 105 111.27
---장기성충당부채 50.76 54.76 <손해배상소송>49,75
[1년미만유동성위험관리 대응] 17-1분기말 17-2분기말(반기) 17-3
--------3)유동성위험-----------------------------------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329.1 277.2 181.1
금융보증계약 430 0 0
장단기차입금 162.67 1297.2 1301.2
사채 360.93 357.52 2,6
합계 1282.73 1931.96 1485
--------6.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매출채권 1159.67 1154.52 1121
대여금 83.52 81.63 80.4
미수금 770.77 770.58 771.2
미수수익 10.63 10.55 10.7
합계 2024.61 2017.29 1983.66
[금융수지] 16년말 17-1분기 17-2분기 [반기] 17-3
***금융수익 130 7.52 12.38 [반기19.9억] 5/누적17.5
***금융비용(채무이자..분기당34억)446억 34.56억 33.61억[반기66억].. 34/102.9
***금융보증부채 환입(전입) (242.57) 0.56 7.41(0.56)[반기7.41]..7,1/14.5
***순금융손익(분기당24억) (27억) (21.22억)[누적-48.26억)..-22/(-70.9)
[주석]4. 부문정보
연결기업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08호 "영업부문"에 따른 부문별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결기업의 영업부문
영업부문재화 또는 용역 주요 고객 매출액비율(%) 3분기
해양ㆍ플랜트모듈 등(주)포스코 등 1.21 1.84%
ENG사업ENG사업 (주)포스코 등 98.79 98.16%
(2) 영업부문별 구분(당반기)(단위: 천원)
구 분 ENG사업 해양ㆍ플랜트 기 타 연결조정 합 계
[해양플랜트/ENG] 2017-1분기 2017-반기.......2분기 17-3
매출액 20.34억/1040.67억 26.86/2196.19....3.46/1155.7 54/2872.8
영업이익 -27.83/+55.29 -41.62/+149.36...-13.8/+95.. 5/295.64
순이익 -49.9/51.63 -93.69/154.4....-43.69/102.77 -30/292.5
==>이 패턴이면 하반기는 ENG사업만 진행....이럴 경우의 예상매출 하반기 2300억, 영업이익 최소190억 ...연말 매출4500억 영업이익 298억까지도 예상(금융순손실 분기당24억 정도로 보면, 세전이익200억 예상)
[사업내용]6. 수주상황
가. 주요 건설계약 잔액 변동내역 (단위:천원)
구 분 기초 계약잔액 계약잔액 변경(*) 공사수익 인식액 반기말 계약잔액
2017년 반기 389,908,875 154,564,682 (208,362,323) 336,111,234--수주확보가 제일 중요!!
2016년 반기 631,465,54 130,840,778 (156,271,580) 506,034,739
(*) 신규계약액, 추가계약액 및 계약변경액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반기기준 장부상 영업수지]
3.금융위험관리 2)신용위험관리 3)유동성위험관리
***단기(하반기)변제 필요금액 ==총1932억(1년내 지급필요 채무)...매입 및 기타채무 277억, 장단기차입금 1297억, 사채357억//그 외에 금융보증계약 1730억(이로 인해 장기금융부채605억 인식)......
6.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2019년12월31일로 만기유예 협약 체결) 공모채권 480억 및 사모채권39.1억을 합한 회사채미상환잔액 519.15억(1년이하348.23억....2년초과3년이하 170.92억) + 기업어음미상환액20억
6.매출채권 및 기타 채권
***반기말현재 단기수입(예정)금액 2017억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1154억, 대여금 81.6억 미수금 770억 미수수익10.5억......따라서 반기기준 장부상영업수지는 수입초과 356억으로 여유 있음//
[17년연말 실적 예상...최소][17년 영업실적 예상]--가상시나리오
1분기매출 1060.7억//매출이익83,2억//판관비46억...영업이익37.2억
2분기 매출1161.7억//매출이익110.2.억//판관비 39,2억....영업이익70.86억
---->.반기 매출2222.5억/매출이익193.5억.. 판관비85.3억...영업이익 108억...순이익60.9억
***3,4분기 예상매출2400억//매출이익 ..240억...판관비 80억(39.2억*2)...누적영업이익163억
---->매출 4622.5억/매출이익433.5억..판관비 165.3억...영업이익 예상 연말 271억
[평가] 당사주력사업인 엔지니어링 사업은 순이익발생원천으로서 매출 2,196억// 영업이익 149억 // 순이익 154억 , 반면에 해양플랜트사업은 순손실의 주범으로 매출 26억// 영업손실 41억//순이익 손실 93억 기록중 ------거의 종결된 해양플랜트 사업은 이번 반기까지 손실 반영...차후 이익 누락은 사라질 것 반기 실적기준으로 하반기실적을 추정해 보면 영업이익 150억, 세전이익 최소100억, 순이익 최소 77억, 따라서 연말 영업이익270-295억.. 한 해에 영업이익 300억 돌파는 1~2년 안에 달성 가능할 것, 3~5년 안에는 영업이익 500~800억 나올 것으로 추정
***3분기 자산총액 4050.8억//총부채 5532억//총자본 -1481.24억((자본잠식270억 감소))
***3분기 매출703.87억[ENG사업--98.16%//해양플랜트--1.84%]--누적2926.41억//영업이익 193억....누적301.1억//순이익215.66억..누적276.63억......3분기말 계약잔액 3437.4억
[실질부채 및 자본잠식 해결방안]***2016년말 사업보고서18, 2017반기17-2항목 ..실질부채만 따져보면 약4018억/4000억, 부채 해소를 위해 2019년까지 1500억정도는 울산공장자산매각(최소 1000억..1190억 매각예정자산) + 경상이익 발생 등으로 변제 감당 계획... 나머지 2500억은 (감자+채권단출전 배제원칙을 포스코에서 결정했음) 유증으로 해결 예정 (아마도 대주주 및 3자배정유증 2천억+일반주주유증 500억).....이에 더하여 (채권단도 참여가능) 일반 추가유증 1천억 정도면 완전자본잠식도 풀리면서 무차입 경영도 가능하게 될 것/이 금액은 재상장요건충족을 위해서도 꼭 필요....자본잠식을 어떻게든 해결해야 하는데, 17년 반기 현재는 자본잠식해소에 1696억 필요하나 19년도 즈음이 되면 경상이익발생 증가로 인해 잠식이 많이 줄어들어서 결국 (추가)유증1천억정도면 자본잠식까지도 완전해결 가능할 전망
***주석39. 매각예정자산((17-3/29 울산3공장폐쇄 및 매각 결정/확정))
[16년밀]연결회사는 유형자산인 울산 1, 2공장이 매각예정임에 따라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하였습니다. 한편, 당기 중 일부자산을 매각하였으며, 당기말 현재 매각예정자산의 장부금액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천원)
구 분//토지---건물---구축물---기계장치---차량운반구---공구와기구---비품---수목---합 계
[16말]장부금액//
50,228,673--15,262,102--1,291,794--4,468,053--49,290--853,426--433--4--72,153,775
(*1) 당기말 현재 토지, 건물, 기계장치 등 매각예정자산(총 장부가액 66,631,483천원)과 유형자산 (총 장부가액 47,217,633천원)이 신한은행 등에 202,850,000천원 및USD 9,100천, JPY 2,300,000천을 채권최고액으로 하여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주석11,18참고).
(*2) 당기 중 상기 매각예정자산과 관련하여 인식한 손상차손은 12,926,404천원이며기타영업외비용(유형자산손상차손)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연결기업은 울산아파트(기숙사)를 2016년 중 매각완료하였고, 울산공장을 2018년 12월말까지 매각하기로 하였습니다.
[17-1분기] **17-3/29 울산3공장폐쇄 및 매각 결정/확정
50,228,673--15,262,102--1,291,794--4,149,146--49,288--853,426--433--4--71,834,866
[17-반기] **17-7/28 경포풍력 채무인수, 주채무전환 확정
80,955,015--26,412,649--3,696,323--6,845,301--49,291--1,103,808--1,964--4--119,064,355(1190억)
**들어와야 할 금액: (아직도 대손충당금 처리 안했네) 헤비테일공사대금 미수금 2800억은 전정도 횡령금650억은(대손충당금 처리 하기는 했지만)...이것만 합쳐도 3450억원.....매각예정자산과 합하면 4640억원
4) 공동관리 절차의 종결 ---종결사유(아마도 2018년, 상장은 19년 )
1. 협의회에서 승인한 경영정상화계획에 설정된 주요 경영목표를 2년 이상 연속 달성하고 그 달성의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2. 유상증자, 출자전환, 자구이행 및 영업이익 실현 등 재무구조의 현저한 개선이 이루어져 자체신용으로 정상적인 자금조달이 가능한 경우
3. 2년 연속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을 실현하고 향후 안정적인 순이익 실현의 기조가 예상되는 경우
4. 경영정상화계획상의 사업구조조정에 따른 사업의 정리가 완료되었거나, 과거의 경영실패요소가 해소 또는 보완이 이루어진 경우
5. 경영정상화작업의 졸업 후 잔여채무에 대하여 구체적인 상환일정이 명료하게 제시되어 있는 경우
6. 경영정상화작업 기간 중에 결산재무제표 상 부채비율이 200% 이하인 경우
7. 자구계획의 조기이행으로 경영정상화 계획기간의 1/2 이내에 총 자구 계획목표의 50%이상을 달성한 경우
[ 내생각]
**결손금 9730억은 키코 해결시점에서 (키코원금 5100억+ 이자부담액900억) 유입시 완전해결 가능..
@17년 반기 : 실질부채
[사업보고서]17-2...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연결기업의 장기차입금 내역 합계
16년말 4018억<장기차입금 3242.1억+유동성대체776.7억>//17년 반기 4000억<장기차입금 2865.6억 +유동성대체 1134.85억>
-->17년말 자본잠식1700억 + 실질부채2865,6억=4565.6억 최소 필요
-------영업이익외 자금 유입 가능 소스 : 대손충당금설정액2170억중의 전정도횡령금 662억 + 공장/기계 등 매각예정자산 1190억 =1852억.......나머지 필요자금2700억, 이중 2500억 3자배정유증(포스코 및 다른기업들) + 216억 주주배정유증
2017년반기 현재 총자산 4535.6억(유동자산 3408.7억)//총부채6231.4억(유동부채 2417.56억)으로서 1695.8억 정도 부채가 자산을 초과, 완전자본잠식상태이나 반기유동성은 991억 정도 여유있음
2017년말 현재 포플 자산총계 3812.92억(현금성 1174.81억).....부채5327.84억[유동부채 1463.15억 //비유동부채3864.32억((장기차입금3057.95억+사채73.88억=3131.83억))].......총자본 마이너스1505.55억......KIKO 누적 손실액 원금[3538.67억] +이자 1561.33억 = 총 5100억
======================
>>[반드시 단매차익환수해야!!]2014.10.16 법인 단기매매차익 환수율 13.7% 불과==새누리당 김종훈 의원
최근 5년새 단기매매차익 환수율이 13.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새누리당 김종훈 의원은 16일 금융감독원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에서 "2009년부터 올해 6월까지 단기매매차익이 발생해 통보한 금액은 1641억원으인데 이 중 225억만 환수되었다"고 밝혔다. 단기매매차익 반환제도는 미공개정보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지위에 있는 임직원과 주요주주가 해당 법인의 유가증권을 단기매매함으로써 이익을 얻은 경우 해당 법인이 그 이익을 법인에게 제공할 것을 청구할 수 있는 제도다.
지난 5년간 미환수 금액은 통보금액 1641억원 중 615억에 이르며, 확인불가금액은 801억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환수금액은 발행회사가 반환의무자에게 의무이행을 촉구 중이거나 발행회사와 반환의무자간 소송이 진행중인 경우에 발생하며, 확인불가금액은 발행회사가 상장폐지된 경우에 발생한다.
단기매매차익 관련 공시도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증권선물위원회는 단기매매차익의 발생사실을 알게 된 경우에는 해당 법인에 이를 통보해야 하여, 이 경우 해당 법인은 통보받은 내용을 인터넷 홈페이지와 사업보고서 등을 이용하여 공시해야한다.
그러나 지난 5년여간 단기매매차익 취득사실이 통보된 353건의 사업보고서에서 적정하게 공시한 경우는 205건이며, 미기재 41건, 기재미흡 3건, 미제출 104건 등 148건(42%)이 공시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냈다. 미이행 원인으로는 상장폐지에 따라 사업보고서 자체를 제출하지 않고 감독당국이 적극적 관리를 하지 않기 때문으로 지적됐다.
현행 자본시장법에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사업보고서 등 중요사항에 관해 거짓의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한 경우 그 사실을 공고하고 정정을 명할 수 있으며 이를 위반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제척기간이 아직 남아있습니다!! 3분기보고서 [그 밖에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를 보시면 금년12월31일까지입니다.
2018년 씨엘인터내셔널...(자본금 284.23억- 자본총계45.71억)/자본금 284.23억 =83.9% 부분자본잠식..
KOTC-1부 진입시<기준가 주당순자산가치 50원>시초가는 이것의 30~500%범위이므로 최대 250원....상한가는 시초가의 30%이므로 325원이 당일 상한최종가...자본총액2842263974/56835297주 =50원*5=250 *1.3=325원((당일 상한가))...키움1644-6966주문4만*85OK..331000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