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ECS1

<이온화학스크리닝: ElectroChemicalScreening=에너지생산-대사-환경 검사>


####ECS 결론 http://www.ecs.or.kr/Contents/invest.phpco_id=Totalcare_02


1. 키--체중 (    --      ), 체온(     )C : 비만 갑상선저하
2. EC/SR전기전도율/염기저항률
---UC(UCR) 소변
<신장 독소배설저하(혈액내독소축적=심장/신장 부담)>--<신장재흡수장애(부신저하=AI/영양소실)>
---SC(SCR) 타액
<간담장 독소배설저하(간내독소축적=장누수증후군/에스트로겐우세)>--<장흡수장애(AI/영양결핍)>
3. REDOX 산화환원력
---UrH2 에너지 생산력: <적절>---<부적절:(무산소대사경로, 급성 스트레스) -- (TCA이상/AI==>BQMgZnMn ) >   
---SrH2 제독력 : <적절>--<부적절:(급성스트레스, LGS, THM 축적-->FOR증가/ACESe항산화제부족)---(AI-ETC 이상 )>
4. 제독되어 독성이 약해진 독소의 배출 능력 :
---UpH : 소변의 산도 =소변으로 내보내는, 신장의 독소 배출력
<적절>--<부적절:(산성=혈액완충기전 작동 상태, 비타민C과잉 또는 단백 섭취과다, 케톤산혈증-고혈당, LGS초기)/(알카리= 근육세포 파괴, 비타민D과잉, 세균감염, 저혈당. 진행된 LGS)>  
---SpH : 타액의 산도=대변으로 내보내는, 장의 독소 배출력
<적절>--<부적절: (산성=위산과다, 설사. 초기 LGS) /(알카리=위산저하, 췌장효소 분비/활성저하, 변비. 진행된 LGS)>
5. UREA 단백이용도 : Total Urea<증가 : 질소 독성> -- <적절> -- <저하> IN단백흡수량,  OUT단백분해배출량
--- IN : <6 (동화상태, 아미노산흡수저하 + 미네랄흡수저하 심각, 편두통-갑상선저하-지용성비타민 부족)
--- IN : >9 or NO3>NH4(단백섭취과다/위산저하-단백분해 이상-장내에 과다증식한 세균진균기생충의 단백부패산물/독소 흡수) : 세균총이상(Dysbiosis)/소장내세균증식(SIBO)=과민성대장
--- OUT :<6 (운동부족/동화상태=>갑상선저하/부신저하, 근육위축-마른 비만), OUT :>9 or NO36. BRIX 복합당(2-5.5) : 3이하 또는 4.5이상시 HOMA-IR을 체크. 자당-미네랄-염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UC 상승이 없을 때는 그대로 판단 가능
--- >4.5 : 고혈당성IR (식후저혈당=식곤증) : 대개 low UpH와 관련, 부신항진
--- <3    : 저혈당성 IR (공복저혈당) :대개 high UpH와 관련, AI
7. MemP 신체대사 <동화---이화> : box로 확정시에만 적용, 나머지는 변화 도중 상태임.
--- 동화(=위축) Anabolic  : AI,   UC감소 부교감신경우세, 대체로 low BRIX + lowUrea or NR-UREA(lowNH4 or NO3>NH4)
--- 이화(=항진) Catabolic  : 부신항진 즉, UC증가 교감신경우세, 대체로 highBRIX + highUrea or NR-urea(highNH4 or NO38. ANS 자율신경우세 <교감신경우세---부교감신경우세>
--- Parasymp, 부교감신경우세 : 부신저하와 관련. 현훈증/타액과다-알레르기/비염-천식 유발
--- Symp, 교감신경우세 : 부신항진과 관련. 부정맥/발한과다
9. EnP 에너지생산의 주된 경로 : <지방산beta-oxidation> --- <포도당TCA >
10. 비타민 C <5이하: 충분---6이상: 부족>


####ECS 요약 : 비만  저체온  수분섭취부족


1.에너지 생산 : (적절---저하<무산소대사경로/구연산회로이상>)
  독소제독력( 적절--저하<항산화제부족/전자전달계이상>)   
2.호르몬 활성
 ---부신호르몬 활성: ( 항진---저하---),  갑상선호르몬 활성: (항진---저하--)
3.소화기관의 상태
 ---장운동 /흡수력이상 : (있음 ---없음----),
 ---췌장/담즙 소화효소 분비-활성 등 소화력 이상 : (있음---없음---)
 ---장내세균총 이상/장누수증후군 : (있음---없음 ---) 
 ---독성 장 증후군/독성 대장 : (있음---없음 ---)
4.간 제독/신장 독소배출 능력 이상 : (있음---없음 ---)  
5.미네랄 부족 : (있음---없음 ---)
6.심혈관계 질환 및 뇌졸중 발생 가능성 : (있음--- 없음 ---)
7.인슐린저항성(과다증)/에스트로젠 우세 가능성 : (있음---없음---)
8.면역기능이상 가능성 : (있음---없음---)
9.추가 진단적 검사 :
**인슐린저항성검사  **활성산소---암세포 메틸DNA검사(유난자전폐유위대췌)
**모발 미네랄검사  
**타액 부신스트레스호르몬 및 성호르몬 검사 
**더불어 필요한 검사들
----- : 세포 건강도/영양상태검사(BIA) 및 체성분검사(BCA)/골다공증검사
----- : 심폐기능검사/위-대장 검사/복부초음파-심장초음파-갑상선초음파-뇌혈류초음파
####치료법 :1.- 3. 자가치료 4.-7.병원치료
1.자율신경우세형에 따른 생활리듬 조절
---교감신경우세상태에서는 명상 등 쉼/휴식을, 부교감신경우세일 때는 영양 보조 개선과 함께 걷기부터 시작
---허약한 때 영양 보조 개선 :  필수아미노산주사/마이어스칵테일/철분-미네랄주사/태반주사/푸르설타민주사/교미노겐주사/태반주사-부신/신경증상/간 해독 보조
2.식단 조절 :
: 탄수화물40-60%(잡곡밥30%, 야채-과일30%)---단백질30-50%(두부-생선-계란-순살코기)---지방10%(올리브유, 포도씨유>>, 참기름.콩기름 등 식용유)
: 녹즙, 클로렐라-스피룰리나, 초유 추천
: 평소에 가능한한 금지 :
***알콜-캔디 등 단순당과 정제소금 금지
***밀가루(글루텐)함유식품을 3-6개월간 금지 : 장에 진균감염우세/LGS등을 촉발.(**밀가루 음식중독=글루텐 Exorphine(GE) 중독유발, Hgb<10의 빈혈도 발생)
***요구르트를 제외한 유제품(=카제인 Exorphin(CE) 함유)을 피하라,
***트랜스지방산 함유식품(튀김류)을 피하라.  직화구이보다는 수육을 선택하라
***인스턴트식품-정크푸드를 피하라
***화학첨가제를 피하라
3.물 섭취부족시에는  하루 2리터 정도 적절히 마시기. 이는 독소배출 목적이다.
---대사유형에 따라 기본적 보충제인 비타민-미네랄-조효소를  섭취하고 글루타민-유산균-식이섬유-소화효소제-필수지방산 섭취를 시작하고,
---이틀간격 사우나/땀 내며 걷기 45분 정도 부터 운동을 시작..
4.ECS 소견 교정 :
---에너지생산저하 : 비타민BCEW3CoQ10 )+ZnMn+알파리포산+엔테론+MgMal(이화)/MgKAspCarn(동화)
---활성산소 생성과다 : ACESeQ-알파리포산-엔테론-W3
---부신호르몬 활성 이상(교감신경 우세 때는 쉼/명상, 부교감신경 우세 때는 적당한 운동을) : BCMgKZnMn-B5-감초/홍삼
---SpH :상승시엔 MgLactate-Duphalac-유산균제-식이섬유-소화효소제와 함께 세균-진균-기생충제거, 저하시 위산과다/위산분비 자극 상황-과도한 비타민 C/변비치료제 사용 유무 확인하여 교정
---UpH :상승시엔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 UTI없다면 비타민C-CaLactate, 저하시엔 비타민D-CaCarbonate(칼디 또는 애드칼)을 고려
---Urine Urea 소견에서 :
*****UREA>20이면서 일단 부신항진 시사 소견이면 응급 EDTA를 , 
*****UREA수치가 12-18 이면서 또는 12이하일 때 : NO3상승시는 (NO3 >NH4) 세균진균기생충제균과 함께 BCAA를(UpH상승시) , NH4 상승시에는(NO3< NH4) BCAA 투여 고려
---BRIX 소견에서 :
*****낮은 BRIX + Clini test 음성이라해도 체중과다인 경우 반드시 HOMA-IR을 판단하여 인슐린감수성촉진제(Metformin+Januvia) 사용여부 결정
5.통증/염증 조절 (: 비타민 D, MgMal or MgKAsp, Hydrocortisone po.) 수면장애 (: Stilnox/Depas ==> Melatonin/5-HTP, or PhophatidylSer/H-sone)
6.장-간-신장 해독 치료/EDTA킬레이션 치료
7.윌슨체온증후군에 대한 치료


###ECS 상세설명
#1. 소변의 전기전도율=UC 과  타액의 전기전도율=SC <물질의 흡수-순환-배출의 적절도>
  ****UC: 신장배설 및 재흡수능력. 수용성 물질(물-전해질-수용성비타민-포도당-아미노산-수용성 독소) : 심장-신장-부신호르몬의 상태 반영
<과잉>: 혈액농축상태나 물 섭취 부족 또는 신장재흡수능력이상-다른 면에서 볼 때 혈액내 독소 및 전해질 과다/과다한 스트레스로 부신호르몬기능항진-심부전증/신부전증/뇌졸중 유발 가능
<부족>:전해질부족 또는 신장배설능력저하/물 섭취과다/부신기능저하
****SC: 간-담도의 독소배설력 및 지용성물질로 대표되는 소화분해 최종 산물의 장흡수력을 본다. 장에서 지용성물질(지용성 비타민-지방산/글리세롤-지용성 독소) 흡수/ 간-임파 내의 지용성 독소 축적-순환-담즙으로 배출 상태와 신장을 통한 배출 장애로 인해 간-임파로 역류되는 수용성독소 상태도 동시에 반영 :
<과잉>: 간해독과정에 문제 - 독소축적/간내 호르몬대사 저하(ED/IR 유발), highSC+highUrea=자가면역질환/음식알러지 가능성 의미
<저하>:장점막의 소화흡수저하, 이 때는 Urea소견에서 Prot.IN도 낮아진다면 이는 K등 미네랄공급결핍 시사(=갑상선호르몬 활성저하, 탈칼슘화-골다공증, 근골격계통증질환 유발).


#2. 소변의 산화환원도=UrH2 <세포호흡=에너지 생산율의 적절도>
--<상승>: 급성스트레스/무산소대사 항진 또는 Bcomp-B5-B1 부족(=피루브산이 구연산회로내로 유입장애, 설탕-밀가루 중독과 관련), 섬유근통-암 빈도 높아짐
--<저하>: 관여 요소들 : 유산소대사 과정 장애. 체온/pH이상, TCA회로 구성요소 이상,
-----(전자탈취현상)독성중금속-활성산소-장 유래 독소, (효소원료/에너지원 부족)아미노산 결핍, (조효소 부족)비타민B군-Mg/망간 등 미네랄-NAD/FADH-코엔자임큐10, -----SC감소(+_Brix감소)와 동반시는 AFS 의심, 
***UrH2-SrH2 모두 상승 : 급성스트레스 상태+항산화제부족,
***모두 하강 : AFS +WTS,
***UrH2정상이거나 상승-SrH2저하 :전극이상,
***UrH2저하-SrH2상승 : 만성스트레스+항산화제부족


#3. 타액의 산화환원도=SrH2 <간-임파의 항산화 제독능력의 적절도>
<상승>: ROS과다발생 ::항산화제 필요량 증대, 중금속축적 가능성.
<저하>: 단독 발생시엔 주로 항산화물질 과다복용으로 인한 환원물질 과다 상태나 때로 electrode failure, UrH2 감소와 동반시는 전자전달계이상 시사,
****에너지생산 중 발생된 활성산소/장 유발 독소/기타 독소 등을 1차-2차에 걸쳐 제독하는 간-임파의 제독 능력의 적절성을 평가(예 : 상승=지용성 독소를 수용성으로 만드는 1차 제독과정, 독성이 덜한 보다 더 안전한 물질로 만드는 2차제독과정의 문제 의심), 소변과 타액의 both low-rH2의 경우는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일어난 전자탈취현상 때문에 <전자전달계를 통한 ATP 증폭생산 과정>에 장애 발생 시사.
#4. 소변의 산도=UpH <신장의 제독- 배출 기능의 적절도>
****간의 1차-2차 제독 과정을 거쳐서 독성이 덜한 수용성으로 변화된 독성물질들과 신장 자체에서 제독 소멸되는 물질을 소변과 더불어 배출하는 신장의 3차 제독- 배출 기능의 적절성 판단.
@@@소변의 산성편향pH-타액의 알카리편향pH 사이의 간격이 클수록 알레르기-비염-부비동염, 요로결석과 요로감염 빈도 높음
****산성pH : 대부분 독소의 bicarbonate renal buffering과정은 잘 되고 있지만 혈액내수용성독소는 축적, 지방산대사-케톤산혈증, 단백질/비타민C섭취 과다 등을 시사, 골다공증빈발
****알카리pH : 비타민 D 과다복용, 암모니아발생 세균감염, 아세타졸아미드 등 혈액알카리화시키는 약제 복용, 이들 경우가 아니라면 근육세포의 글루타민분해-암모니아생성경로를 통한 에너지 생산 및 (혈액내 buffer고갈에 따른)NH4+ buffer가동시사= 독성장상태로서  대개 Urea 소견은 NH4>9 or NH4>NO3.


#5. 타액의 산도=SpH <장관의 소화/흡수-배설력 평가>
****장운동/흡수력은 장운동 곧 혈액순환정도와 에너지생산율UrH2과 관계됨, UrH2저하시 이상이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더불어 소화효소의 분비/활성도는 pH/체온에 직접 좌우됨(적정범위에서 벗어나서 위산의 상승/하강시 췌장효소-담즙소화효소의 분비 및 활성도가 저하)
----정상 범위보다 산성이나 알카리성으로 치우친 상태에서<특히 위산저하로 인한 알카리성인 경우에서 많다> 대장에서는 유해균/진균/기생충 증식되고 유산균은 감소하는 장내세균총이상(Dysbiosis) 발생하며 이로 인해 소화흡수가 불충분한 단백질의 부패-발효산패가 일어나게됨. 질산질소(NO3-)는 핵산에서 유래하며 육류단백질의 최종분해산물임.
==>대장에서만 일어나던 Dysbiosis와 산패 및 발효가 소장내로 확장하여 소장내 세균증식 유발되면(SIBO= NO3-, NH4+ 동시에 증가 소견) 과민성대장증상이 더불어 발현되고 이로 인해 소화흡수가 불충분한 단백질의 부패-발효산패가 소장에서도 일어나게되어 장-간순환으로 단백 산패-발효분해산물인 암모니아가 유입되고(NH4+증가) 이는 간에서 요소로 전환되어 총 요소가 증가하게 됨. 이 위에다 활성산소SrH2 증가가 있으면 융모 건조 손상+ 염증으로 인해 점막세포사이의 치밀결합 느슨해짐=장점막누수증후군(LeakyGutSyndrome)유발되고  : 세균-진균-기생충의 독소-내독소, 균체, 고분자영양물질의 점막하 침습과 혈류내로 유입순환되며, 이로 인한 전신 항원-항체반응/ 폭발적 염증반응으로 전신증상이 야기됨. 한편 대사 결과 일어난 혈액내 산성화는 탄산염을 비롯한 혈액내 버퍼의 작용으로 중화가 일어나는데 이 결과 소변은 산성화가 촉진됨. 즉, 소변의 산성화가 지나치면 수용성독소의 배출이 감소하게되어 혈액내 독소가 축적되기는 하지만  거꾸로 볼 때 혈액내 버퍼기전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소변의 알카리화는 소변의 알카리화 야기 물질 섭취를 배재한다면, 근육세포파괴- 글루타민분해과정을 통해 혈액의 산성화를 중화시키기 위한 암모늄버퍼를 얻기위한 목적이거나 당분-지방질 등 에너지원 고갈에 따른 추가에너지원 공급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이 때 NH4+증가=독성대장 상태)
==>아토피-건선-여드름, 약제부작용, 화학물질민감성/음식알러지, 알레르기비염/천식(특히 부교감신경 우세형에서 빈발), 류마치스/루푸스/섬유조직염/섬유근통증후군/강직성척추염, 백내장, 담낭결석/요로결석, 갑상선염 등의 자가면역질환 유발 가능
****Toxic Colon에서처럼 장-간 재흡수 및 Dysbiosis/SIBO-IBS/LGS 유래 장독소는 간 해독작용에 부담을 가중시켜서 정상적으로 간에서 일어나던 호르몬/약제 대사에 이상이 발생하여 간내 독소 축적-간 손상 유발 (: SC상승)==>지방간염-비만-에스트로젠우세증(ED) 유발 :


@@@독성대장(Toxic Colon:TC)
--Dysbiosis나 LGS로 인해 위나 소장 자체도 손상을 입게되는데 위 질병 들 즉 만성위염-위궤양-위암-LGS 외에 대장까지 손상을 입는 상태, 독성 대장TC의 범주에 속한 질환에는 과민성대장증후군, 염증성장증후군, 크론씨병, 궤양성대장염, 대장게실증, 대장암 등이 포함됨 :
-- 점막하로 유입된 독소는 혈류속으로 들어가서 간의 제독과정에 이미 심각하게 과도한 부담을 주는 상태임..
-- 대개 중금속축적이 동반되어 있고, 점막의 1차방어막인자인 분비형 IgA 부족, Dysbiosis, 점막염증-건조로 인해 중금속 유입축적이 일어나고, 알레르기가 대개 동반,
==정상범위를 벗어난 SrH2가 이미 있고 정상 범위로부터 벗어난 SpH변화가 반드시 존재하고(=LGS소견 : Uric Acid와 Alk.P상승) 대개
--------(Urea증가>18:이화상태) NO3->9로서 세균진균기생충 감염/단백질섭취과다로 인한 상대적 질소독성이나, 또는 근육세포파괴를 시사하는 NH4+>9의 절대적 증가가 있거나
--------(Urea감소<12:동화상태) UpH알카리화 + NO3


@@@장상태 판정시 최소 충족조건들(혼돈 초래 가능한 복합적 상황들  분별 필요: V,varible)
    high conditions                  UpH                  SpH      NO3>9 or NO3>NH4    NH4>9 or NO3 <NH4 Malabsorpton                        high,V                                                                low
Dysbiosis-SIBO(IBS)              high,V                +++                                            low
Leaky Gut Syndrome              high,V                +++                   +++,V                  high    high,V
Toxic  Colon                        high,V                +++                   +++                     high    high,V


@@@에스트로젠 우세증(Estrogen Dominance)
= 폐경의 경우, 비록 프로제스테론, 에스트로겐 분비가 모두 저하되지만 총 EST은 40-50%정도임에 비해 P4는 90%까지 감소하고
= 제독력이 손상된 간에서 E2의 2차제독이 불완전하여 소멸되지 못하고 E1으로 대사되어 장내로 배출, 에스트론E1이 다시 장-간 재순환에 따라 축적되어 총EST수치의 저하는 프로제스테론 수치 저하보다 덜하기에 발생하는 상대적 ED임,
 -반면에 폐경전에는 장-간 재순환 효과와, 제대로 생산되는 EST생산 위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PhytoEST-XenoEST-피임제등으로도 유발되는 절대적 ED이 겹침,
= 코티솔과 DHEA가 동시에 높은 젊은 여자에게서는 PCOS가  유발될 수도 있다.
= 독성대장TC소견 위에, 약간 상승된SrH2나, 약간 상승된SC가 때로 존재+++, 체온저하 생리불순/비만 동반+++


#6. 자율신경계 안정성=ANS: 이화/동화 호르몬 변화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성격/심신의 변화.
==맥압(수축기혈압-확장기혈압)이 가장 중요 --맥압이 37이하면 부교감우세, 46이상이면 교감우세. 이에 더불어 맥압을 호흡수로 나눈 값이 교감신경우세의 경우는 >3, 부교감신경우세인 경우는 <2로서 확증한다.
<교감신경 우세형>: Ca-Mg-Zn-콜린-이노시톨-Tau-GABA-Cys-Met-Carn-RNA-DNA, 바이오플라보노이드,담췌소화제/명상이완 필요
: 이화 호르몬인 NE/Epi, TH, cortisol과 인슐린이 주로 관여, 혈압 오르고 빠른 어조. 급성스트레스로 증가된 에너지 요구에 대한 심신의 반응-충동적-조급-일중독-초조-과민-땀 차고 긴장, 호흡 빠르고 소화장애 유발
<부교감신경 우세형>:포타슘공급/적절한 운동/BCE, 육류, 갑상선호르몬 부신호르몬 필요
: 동화호르몬인 아세틸콜린-PTH-췌장소화효소,담즙,소장액효소-성호르몬(특히 남성호르몬)-오렉신(수면부족과 관계된 인지기능악화 개선)이 주로 관여, 혈압 낮고 호흡 늦고 손발 차고 한숨 내쉬며 이명-기립현훈 동반, 부신-갑상선기능저하 시사. 만성스트레스로 인한 에너지 공급 부족/소진-위축-침체-자포자기, 부신호르몬 검사 필수. 알레르기-비염-부비동염-천식 빈발.


#7. 에너지생산의 주된 경로=EnP<주된 에너지 원료로 쓰이는 것>
--호흡멈춤시간과 호흡수, pH로 더불어 확증한다. : 당대사시에는  대사되는 속도가 빠르기에 그 결과 CO2축적으로 인한 호흡수 증가, 호흡멈춤시간 감소, UpH저하(혈액pH반영)가 나타남
--Brix와 UpH의 변화를 먼저 확인해 본다.
Brix는 대개 포도당으로의 전환속도를 표현하기에 그 수치의 상승과 함께 UpH 저하는 과다인슐린혈증성IR=지방산경로우세=지방우세형을, Brix하강은 포도당경로우세(아미노산의 당신생경로 포함)=당질우세형을 짐작케 한다.


#8.신체 대사=세포막투과도MemP <세포 내외의 물질이동성과 대사관여호르몬의 증감 상태: 세포 내외의 영양분-독소의 배출/유입>(이화:개방--동화:폐쇄)
****CATABOLIC(이화) : 세포자체를 방어하는 세포막의 안정성이 적절한 수준보다 지나치게 저하되어 영양분-산소-외부독소 반입, 세포내 자가발생독소의 반출이 과다항진된 상태 ; 세포는 외부독소로부터 공격을 많이 받는상태가 됨--급성스트레스로 인한 에너지 요구에 맞추기 위해 갑상선/부신호르몬이 생산과다하게 되고, 아드레날린-글루카곤증가하여 UC증가, 교감신경우세, 복합당이용도와 단백질 이용도는 보통 상승하는 쪽으로 치우침
****ANABOLIC(동화) :세포막의 안정성을 지나치게 강화하여 세포막경화를 유발한 결과 영양분-산소의 세포내 반입 및 세포내 독소의 외부로의 반출이 떨어지는 상태 : 세포는 내부에 자가발생 독소가 쌓이고 굶는 상태가 됨--갑상선기능저하/부신기능저하, 인슐린-성호르몬증가, UC감소, 부교감신경우세, 복합당이용도/단백이용도 하강


#9. Brix<소변복합당> : 상승(4.5/5.5/6이상)----적절(3.75기점:2-5.5)----저하(1.2/2/3이하)
----비만자의 경우엔 반드시 HOMA-IR을 검증하라. 당분은 뇌의 유일한 에너지원임. 당뇨병-인슐린저항성과 관련됨. 뇨중복합당은 융모에서 흡수된 모든 cane-sugar(사탕무우당:포도당-과당복합체:설탕전구물질)/salts/mineral complex를 뜻하며 식물성 복합과당(또는 자당)대사를 반영함. 균형일 때는 흡수-동원-이용의 적절함을, BRIX상승 때 UC상승을 배제한다면 복합당이용도(포도당으로 전환)의 감소를(고혈당-IR), 저하는 흡수-동원의 저하를(저혈당/저염-AI) 의미
----더불어 UpH변화가 산성편향시 BRIX증가는 FFA대사를, 알카리편향시 BRIX감소는 당대사우세형을 시사.
----과다상승(>6)이나 과다저하(<1.2)시 저혈당성/ 고혈당성 인슐린저항성(인슐린과다증), 과다저하시 부신스트레스호르몬검사가 필요하며 과다저하시에도 과다체중인 경우는 HOMA-IR을 의심해봐야 한다..
----Brix저하 때는 공복시 반사성저혈당증/단순당 갈망증이나 밀가루 음식 탐닉증, 상승시는 식후에 머리가 아프거나 멍해지는 식곤증 발생가능.


#10. ProtU<단백이용도> =소변의 요소Urea : (과다상승(19이상) -----적절(12-18)-----저하(12이하))
**** NO3(식이질소산화물)는 육류식이 단백에서 유래된 성분, 부족(6이하)시는 단백흡수력이상, 상승(9이상)시는 과다한 육류섭취를 의미하거나, 섭취된 단백식이가 소화흡수안되거나(위산저하) 세균진균기생충 증식에 따른 독소유입(Dysbiosis)을 의미.
****NH4(암모늄)는 글루타민에서 유래한 요소 성분, 부족(6이하)시는 동화상태=갑상선저하/부신저하/운동부족을 의미, NH4 수치 상승(9이상)시는 아미노산의 당신생을 통해 추가에너지생산원료로 전환되어 쓰기 위해 또는 혈액내 버퍼 고갈로 인해 과다한 산성독소를 중화시키기 위한 최종기전으로써 근육세포가 파괴되고 있음을 의미. 혈액은 산성이 중화되어가지만 소변 pH는 암모늄이온때문에 알카리가 됨.
**** Urea가 12-18로서 적정 수치라 해도 NO3>NH4인 경우에는 LGS/Dysbiosis의 염증성-독성 전신증상들 곧, 자가면역질환/결석/백내장 들이 잘 나타나며 진균기생충>세균감염, NO3--- Urea는 대개 이화상태에서는 영양분의 장흡수촉진 결과 또는 에너지 요구 증대로 인해 잘 상승하며, 이 때 상승된 NO3는 특히 UpH와 SpH가 이중알카리 + highUrea의 경우에서 NO/ONOO- 형태의 독성질소산화물(Peroxynitrate) 생산을 촉발시키고 뇌의 시상부에서는 이를 잘못 판독하여 NO를 더욱 상승시켜서=> 산화스트레스 과다증가-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 NF-kappa B/염증성cytokines/vanilloid/NMDA 활성 등 전신적 염증반응 결과 섬유근통-만성피로-다발성화학민감성 등이 유발됨. 
----Urea는 보통 동화상태에서는 저하되는데, 이는 동시에 아미노산과 지방산/글리세롤 흡수이상을 뜻하며, 12이하로 저하시는 갑상선기능저하-칼륨 포함하여 미네랄 결핍-편두통-지용성비타민 부족증이 함께 나타남.


#11. 요당 검사 =Clini Test 신장역치의문제를 고려할 것.
<양성>: BRIX상승 동반시, 신장역치의 문제가 배제된다면 IR/당뇨병 발생 의미
<음성>: 이 때 비만과 더불어 과다상승된 Brix 소견 있을 때는 인슐린저항성을  의심.


#12. 비타민 C 결핍 : 6이상 <유>----5이하<무)>
조직의 성장과 보수, 골절치료에 필요한 콜라겐의 기본물질이며 항산화제의 대표, 스트레스호르몬과 인터페론생성을 돕고 부신기능을 회복시킴, 칼슘-철분 흡수 조절, 중금속제거에 관여, 콜레스테롤 하강, 고혈압조절에도 유용

다음글 : ECS2
이전글 : Resveratrol과 종양억제유전자p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