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바이오제닉스17_2

@@@바이오제닉스---7천/2천4백주


<요약>생리활성 소재 분야의 특화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고기능 고부가 가치의 관련 제품 및 기술을 제공하는 Technology 기반의 창조적 비즈니스 수행
--바이오제닉스는 생리활성소재의 100년 난제인 순수 비타민C를 안정화 할 수 있는 독창적인 기술을 개발, 현재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국내외 유수의 회사들과 공동 상품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추진 중
-- 한편, 바이오제닉스가 보유하고 있는 핵심기술들은 화장품 분야 뿐 아니라 생활용품, 건강식품, 의약품 및 전자재료 분야에도 직접 응용될 수 있는 다양한 활용성을 가진 특허 기반의 원천 기술들.
-- 이를 통하여 비타민C, ALA(알파리포산) 및 EGCG 등 고난도 항상화제의 안정화 제형을 개발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원천 물질 특허를 확보할 수 있는 슈퍼 항산화제의 합성을 독자적으로 개발.
-- 또한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 등을 융합화하여 새로운 솔루션을 창조..
-- 바이오제닉스를 생리활성 소재가 사용되어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파생되는 여러가지 기술적 난제들을 해결 할 수 있는 혁신적인 Total Solution을 보유 <세계 최초로 김치유산균의 열처리 나노화에 성공한 바이오제닉스코리아의 초미립자 나노형 유산균(nF1) 관련 제품을 홈쇼핑과 면세점에 독점 공급 ::: 폴리비전은 지난달 29일 해당 제품의 온라인 판매 독점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 바이오제닉스는 소재 안정화, 가용화, 캡슐레이션등 3가지 핵심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된 특허만 45개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히트를 친 보정화장품 씨씨 크림은 50%이상을 전세계에 공급하며 국내 화장품회사들<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LG생활건강 등>에 소재들을 공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화장품 브랜드에도 소재들을 공급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화장품 브랜드<시세이도, 로레알, 에스티로더, 레블론 LVMH, P&G. AVON, the Body Shop 등>과 소재 공급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쉽을 맺고 있음.
-- 2011년 스미토모 자회사인 프리스퍼스와 매출대행 파트너쉽을 맺은 바이오제닉스는 세계적인 화장품브랜드들에게 러브콜을 받고 있다. <<스미토모는 65개국의 116개 지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약 900여개의 회사에 투자를 하고 있어 세계적인 네트워킹이 가능한 회사임...이를 통해 마케팅과 회사의 신뢰도 증가와, 원재료의 직수입을 통해 원가율 감소 및 수익성 증가가 가능해짐>>..
-- 전 세계적으로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천연 및 유기농 화장품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음.....바이오제닉스에서 쓰는 생리활성물질은 자연환경 약화와 외부 유해환경 인자들로부터 인체 고유의 보호기능과 향상성을 유지시켜주는 자연유래 천연성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음...
-- 또한 현재 국내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에 나온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현재 국내 수출 화장품 1위는 중국....이번에 기존 중국 정부가 화장품 소비세를 30%씩 부과하였지만 소비세 인하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따라 중저가 화장품에 대한 세금이 폐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는 중저가에 포지셔닝 되어 있는 화장품 회사들의 수혜가 예상되며 국내 ODM 업체와 고가 화장품 브랜드를 보유하는 기업들도 수혜가 전망됨.
-- 바이오제닉스는 ODM 업체로 ODM방식이란 A사는 판매,유통을 영위하고 B사는 개발에서 제조까지 하는 형식을 말함.  또한 아모레퍼시픽의 중국 법인 절반가량이 고가 브랜드인 설화수와 라네즈에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바이오제닉스는 설화수의 원료 생산을 맡고 있는 상황임.


>>2015.06.22...[바이오제닉스]
--코엑스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특화기술 시선 집중 :- 자기장 이용한 딥 클렌징, 자기 진동 마사지 ‘눈길’
화장품 소재 전문기업 바이오제닉스가 6월 15일부터 16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인-코스메틱스 코리아(in-cosmetics Korea)’에 참가했다. 바이오제닉스는 생리활성 소재 분야의 특화된 원천 기술과 환경 친화적인 생산시스템을 바탕으로 고객의 아름다운과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생리활성 소재의 ‘안정화’ ‘캡슐화’ ‘가용화’ 등 3대 핵심 기술로 주로 미백, 주름제거, 항산화 기능을 가진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EGCG의 안정화 및 가용화, 순수 비타민 C의 안정화, 컬러 매스킹 기술을 활용한 매직컬러 시리즈 등이 대표적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마그네틱 마스크팩을 선보여 바이어와 참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마그네틱 마스크팩은 자석에 의해 당기거나 밀어내는 힘인 자기장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자성성분이 코팅된 식용 환원 철분이 피부의 노폐물과 미세먼지, 중금속을 제거해 줘 깨끗한 피부로 만들어 준다. 또 자가 진동 마사지는 노폐물이 제거된 피부에 고급 영양성분 흡수를 촉진시켜 피부 탄력과 피부 혈액순환을 돕는다. 마그네틱 마스크팩에는 바이오제닉스의 화장용 철분 캡슐인 ‘Naturon-100’, ‘Naturon-200’의 역할이 결정적이다. Naturon-100과 Naturon-200은 철분이 산화되지 않도록 캡슐화해 팩제 또는 스크럽제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철분이 갖는 높은 자기장 밀도를 이용해 세정, 해독 효과를 갖는다. 자기장을 이용해 N극 또는 S극과 접촉되면 헤모글로빈의 기능이 활성화돼 산소 운반, 영양 공급과 노폐물 방출이 원활하게 돼 피부 트러블을 예방한다.  바이오제닉스 관계자는 “올해 새로 개발한 화장품 소재를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1..연혁   일  자      -   주요사항
     2006.07.            법인  설립  문평동  사옥   입주
     2007.05.            부설  생리활성소재  연구소  설립
     2007.10.            벤처기업  인증
     2008.10.            ㈜아모레퍼시픽  전략적  투자  유치
     2009.08.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INNO-BIZ)인증
     2012.06.            일본  스미토모  상사  전략적  투자  유치
     2013.12.            시세이도  제품  공급을  위한  실사  완료
     2014.12.            에스티로더  제품  공급을  위한  실사  완료
     2015.03.            LVMH/P&G  UK/ESTEE  LAUDER  제품  코딩  진행중
**** 주주구성 (액분 + 유증 거쳐서 현재 4185300주)     
 김철환 ---   83,279  -  24.67  손태훈  -   62,368   - 18.47  스미토모상사㈜ (Sumitomo  Corporation)*    -  67,528   -  20.00  한국스미토모상사㈜*  -  16,882 - 5.00  대덕이노폴리스특허기술사업화투자조합* - 30,000  - 8.89  ㈜아모레퍼시픽*   -  -20,000 -  5.92  에스케이플래닛㈜*  - 20,000  - 5.92  기타소액주주  - 37,578  - 11.13%


###2.재무현황   
⑴ 실적추이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2년                        2013년                    2014년
 매출액                    3,295                        3,671                       3,292
 영업이익 (손실)       (1,497)                       (757)                       (207)
 당기순이익 (손실)    (2,041)                         26                          (359)
 ⑵ 추정실적 (단위 :백만원) --BEP(손익분기점)는  40억  원이며,  순이익률은  25~30%
  구  분                   2015년(E)               2016년(E)                  2017년(E)
 매출액                    8,052                      13,938                       34,324
 매출원가                 3,611                        6,298                       13,200
 매출총이익              4,441                        7,640                       21,104
 판관비                    2,227                        2,743                       3,447
 영업이익                 2,214                        4,897                       17,657
 당기순이익              2,010                        4,344                       13,765

 주당순이익               480                          1038                         2184


###3.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⑴  사업모델 
---㈜바이오제닉스 (이하   ‘당사’)는  캡슐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가용화 ·나노화  및  안정화  기술을  응용한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현  보유기술과  연관성이  높고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생활용품   및  의약품  소재를  차기 전략사업으로  확보할  계획임
****.사업영역   및  신기술/신제품  개발  현황 
@@보유기술
==  입자제조기술 안정화 ·캡슐화  기술  나노  및  가용화   신소재  합성  

@@사업영역 == 적용  상품   : 

**화장품 ==기능성 (미백,  주름개선) < 자외선  차단제,  색조,  향신료 > 

**식품/음료  == Diet  음료,  기능성  음료,  건강식품 

**생활용품 == 기능성  샴푸,  미백치약

**의약품  == DDS,  신물질

**기타 ==기타  화학소재
@@기술/제품명----- ㈜바이오제닉스  진행상황   
**1>Natural  Magic  Bead :: 천연  색소를  White  masking하는  기술 , 천연물의  불안정성을  안정화  기술로  해결하고  무기색소에서  구현하지  못하는  다양한  칼라  구현

===안료/Active의  두  가지  기능을 부여하여  색조/스킨케어의  다양한 Visual  제품개발이  가능 
**2> Natural  Active  Stabilization ::: 생명  에너지라  불리는  불안정한  엽록소  안정화를  통하여  식품  및  화장품  분야에  Active  소재로  프로모션

=== 가용화 &안정화&캡슐화  설계 기술들은  물질의  특성분석에서 식품  및  화장품  분야 시작,  원인  분석   및  해결  가능한 시나리오   및  솔루션  도출  가능
**3> Self-Tanning  Capsule  :::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Sunless-Tan 은  지속  성장  가능한  시장  Tanning제로서 유일하게 FDA승인받은 DHA는 제형내 불안정성과 냄새문제로 현재까지는 대안 없는 상태

===안정화기술/캡슐성계기술은 물질의 독성분석에서부터 시작, 해결 가능한 아니디어 도출 가능
**4>오일/향기  캡슐 ::: 향기를  Slow-release  하는  기술은 향료회사를  비롯,  모든  화장품 ·세제 ·섬유 유연제  회사들의  오랜  로망이며  현재까지 미  개척  분야

=== 근래  개발된  전하  조절/부착 기술을  시작으로 향  담지  기술을 추가 개발, 본  기술 완성 계획  중
⑵  경쟁사  제품  비교 
**1>제품기술성
--- ㈜바이오제닉스  색소  캡슐 : 색  은폐기술/경도  조절기술  노하우, 화장품의  원료들과의  뛰어난  상용성, 화장품  제조시  높은  안정도 (고온,  고속),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안정된  시스템 

---경쟁사  색소  캡슐 : 색  은폐기술  부족 (진한  외관성상), 경도  약함 (화장품  제조시  캡슐  깨짐)
**2>제품생산성 :
---바이오제닉스 : 친환경  건식  제조  시스템,  낮은  설비투자/대량  생산  시스템
---경쟁사 : 습식공정으로  투자비용  과다, 대량  생산의  한계, 용매  발생 
**3>제품 품질 :                                              
---당사 : 국내  및  USP,  EU  기준에  적합한  품질관리, 엄격한  Lot관리(색차범위, 중금속,  미생물 등)
---경쟁사 :  Lot  색  편차 심함,  화장품 제조시  색   번짐 현상  발생, 흰색 크림 제조 불가능 
**4>  제품  가격   
---당사 : 가격  경쟁력  있음                      
---경쟁사 : 고가
⑶  주요  고객  리스트 (*는 세계30대 화장품 회사)
===국내브랜드 : *이자녹스(LG생건화장품브랜드),  *아모레퍼시픽,  더페이스샵,  미샤,  토니모리,  엔프라니,  소망화장품
===해외브랜드 : *LOCCITANE(프랑스),  *SHISEIDO,  MERUYAMA(일본),  THE   BODY  SHOP(영국),  *AVON (미국),  KIKO(이탈리아) 
===OEM/ODM   :  코스맥스,  코스메카코리아,  한국콜마, *LG생활건강
===진행 중 : *REVLON,  *ESTEE  LAUDER,  *P&G(미국),  *CHANEL,  *CLARINS,  *COTY,  *LOREAL,  *LVMH(프랑스),  *NATURA(브라질),  *UNILEVER,  BOOTS(영국),  WATSONS(중국) 
⑷  당사  소재  적용  화장품
***  화장품  브랜드별  분류 : 고객사  --- 브랜드  --- <제품명>
**1> 아모레퍼시픽
---아이오페 --<슈퍼바이탈  엑스트라  미스트  크림, 카타노  세럼/크림 ,  리뉴잉  스킨필러>
---아이오페/마몽드 <매직이펙터,  프로레티놀NX™세럼 에이지컨트롤  세럼, 타임  리스폰스  스킨  리뉴얼  세럼/젤크림,   타임  리스폰스  스킨  리뉴얼  세럼/젤크림 >
---설화수 < 진설크림세트,  진설아이크림,  진설크림 >
---헤라 <에이지  어웨이  시리즈,   더마  링클클리어  세럼 글램바디  바스트  퍼밍세럼>  
**2>교원L&C ---마무 < 퓨어플랜트  비타세럼>
**3>차앤박화장품  ---CNP <링클  필러,  링클  리프터 >
^^^^LG생활건강,  미샤,  토니모리,  네이처리퍼블릭,  더페이스샵,  소망화장품  등  국내  화장품  회사  뿐  아니라 LOCCITANE,  AVON,   KIKO,  THE   BODY  SHOP  등  글로벌  화장품  회사에도  당사의  매직컬러  기술을  활용한  BB&CC크림을  시중에  판매하고  있음
⑸  마케팅  네트워크  :  스미토모상사㈜
·--현지에서  영업력이  뛰어난  회사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세계  67개국   116개  지사  보유
·--아시아/태평양지역  ---기존  사업부문에서  판매  네트워크  재정비 (일본  도아가세이,  중국  스미토모  차이나  등)
--·유럽  지역    ­ 독일  업체  M&A  2014년  12월  완료,  2015년  프랑스  업체  M&A  계획 + 기존  당사  네트워크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폴란드)
·--북미  지역은   100%  자회사인   Prespers사가  사업  총괄
·--기타   10개국에  기존  대리점  활용  중
***마케팅  네트워크  시너지  효과
**1> 신뢰도  상승  :  스미토모  투자  후  당사에  대한  신뢰도  증가

--- 일본시장에서  빠른  사업  전개  가능

---글로벌  기업과의  사업  제휴  시  유리한  고지  선점
**2>마케팅 강화 :  스미토모의  투자  자회사인   미국,  브라질,  중국  대리점  활용

---당사  제품의  판매가  최우선  과제로  선정

---ESTEE  LAUDER,  LOREAL,  REVLON,  SHISEIDO,  P&G  등 글로벌  화장품  회사와의  마케팅  진척도  상승
**3>원재료  소싱 : 스미토모의  강점인  원재료  공급과  거래처를  활용

---주요  원재료의  직수입으로  원가율  감소,  수익성의  증가
⑹  시장분석
===화장품  원료  시장  전망 -국내  화장품  원료시장은  본격적인  고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 -시장  규모는  2009년  4,000억원  돌파  이후  2013년  약  6,320억원으로  연  평균   11.2%의  성장률을  보이며  화장품  시장과  동반  성장
 *** 국내  화장품  시장  현황;  규모  및  성장률 -국내  화장품  산업의  특성상,  화장품  시장  대비  원료  시장규모는  작은  편이나,  전방산업의  호황으로  원료시장도  구조적으로  동반  성장기에  진입 -2000년대  초반까지  국내  화장품  시장의  성장에  의존했으며,  선진국  대비  낮은  기술력과  R&D  능력으로  인해  수입  비중이  증가하면서  낮은  성장률  기록 -최근  중국  관광객의  국내  화장품  소비  확대,  중저가  화장품의  고성장  및  먹는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 카테고리가  확장됨에  따라,  R&D  능력이  풍부한  국내  화장품  원료  업체들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 
%%%.<당사 핵심기술인  나노 캡슐화- 나노 트랩-나노 포켓기술 적용> 나노소재 화장품  시장  전망 ---①수요층의  다양화,  ②웰빙  및  웰에이징  열풍,  ③복합  기능성  화장품  증대,  ④생명공학  기술의  발달  등 으로  신규  소재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  동시에  제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9.5%,  2015년에는  약 11억 2,400만 달러의  시장규모 형성  예상

---기능성  화장품  산업은  다품종  소량생산,  환경  친화형,  고부가가치,  지식기반산업으로  부존자원이  부족한 국내  여건에  매우  적합한  시장 -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기능성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5년  2조  2천억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
===2012년 세계 나노화장품  시장규모 868  백만  달러 (9,700억원)  평균 성장률 (2011~2015년) 9.5%
===국내기능성화장품 시장규모 : 2012년 1조7740억원 2011-2015 평균성장율 8.1%


###4.종합의견   및  추정  밸류에이션
**1>산업   및  기업동향
---화장품  소재  산업의  트렌드  변화  속도는  가장  느리며,  진입  장벽이  높으나  채택된  소재는  장기간  사용됨 

---산업  특성상  판매관리비 (마케팅  비용  비중  높음)의  지출이  높으며,  이로  인해  지난해  실적은  50%    대의  높은  매출총이익률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  발생 -마케팅  라인을  재정비하여  완제품  회사의  마케팅  전략에  편승,  올해부터  흑자기조  전망
**2>사업구조
---마진이  정해져  있는  OEM  업체에  비해  유리한  조건으로  마진을  가져갈  수  있는  ODM  형태의  업체 

---기본적인  플랫폼은  화장품  소재이나,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사업의  카테고리가  많아  향후  의약품  분야로도  사업영역  확장이  가능

--- 아모레퍼시픽이라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고객사를  통해  시장에서  검증된  안정성  데이터를  확보,  이는 소재의  테스트 마켓으로서  중요한  요인
**3>.매출계획
---지난해   10월  아모레퍼시픽 (헤라)납품,  올해부터  설화수 (에이씨티  물량의   1/3)·시세이도 ·LG생활건강 (이자녹스)  납품  개시 (홈쇼핑)

---중국  로컬  화장품  업계  2위  업체의  부사장 (前  아모레 ·코스맥스  연구소장)을  사외이사로  선임,  올해부터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

---중국  최대  약국  체인점인   ‘Watsons(屈臣氏)’  의  PB(자체브랜드)로  당사의  ‘BioGenic  MagicColor’   를  적용한   BB크림을  검토  중에  있음  ;  2015년  4분기  예정 

 
 *** 2015년  추정순이익기준  주당  평가가액  산출  
2015년  추정당기순이익  2,010백만원 4,185,330주 추정주당순이익480 원 유사회사  평균PER(χ)26  배  주당평가가액 12,480 원 
*** 2017년  추정순이익기준  주당  평가가액  산출
2017년  추정당기순이익  13,765 백만원  *6,300,000주  추정주당순이익2,184 원  유사회사  평균PER(χ)26배  주당평가가액 56,784  원  
주 )  추정치이므로  실제  순이익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주2)  전환사채  전환시에   발행되는   133,330주 (2015년),  유상증자 및  공모주  25%를  모두  가정했을  시 (2017년)
주3)  비교기업  중   비정상적  PER를  제외한  나머지  비교기업  PER  평균  값에  20%  할인율  적용   주4)  추정자료  바탕, 도출된  평가액이므로,  실제  심사청구가   및  공모가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다음글 : 우진엔지니어링15<세무><전망>
이전글 : 파멥신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