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바이오프로테크16넥17닥^

@@바이오센서 전문기업 바이오프로테크 <379만6629주/500원, 6500/72백원-14백주>


1. 바이오프로테크 기업소개
바이오프로테크는 2000년 설립되어 13년 네오플럭스가 15억을 투자하였으며, LB인베스트먼트, NHN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등 여러 기관에서 우선주로 투자를 하였음. 작년 유상증자 보통주를 주당 약 4,000원선에서 실시하였음.
ISO,CE, FDA, 일본 후생성 승인 등 각 국가의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글로벌 다국적기업인 3M과 바이오프로테크 제품인 심전도 측정용 바이오 센서에 대해 전략적 제휴 체결 후 15개국에 바이오센서 공급(PL로 납품)을 하고 있으며 바이오프로테크와 3M은 앞으로 세계시장의 10% 수준인 1조원의 점유를 목표로 하고 있음. 전략적 제휴는 3M측에서 심전도 측정센서에 대해 1년간의 테스트기간을 거쳐 품질을 인정한 뒤 이루어진 것임. 동종업계로는 바이오넷, 휴레브, 켐트로닉스 등이 있음.

*확정,15매출 20,000 영업이익  2,040 순이익1,568 (백만원)-EPS 413원..매수단가7200원=PER17.43

**비교기업 : 메디아나 아이센스 뷰웍스 세운메디칼 -- 평균PER 35
**공모시 25% 신주발행 가정시 발행주식수는 총480만주
**15년 추정당기순익 1980백만원/480만주(EPS-412) *35=14400(할인율 배제값임)
**16년 추정당기순익 4151백만원/480만주(EPS-864) *35=30240(할인율 배제한 수치)

실질할인율 0.2391--->밴드중간가격 0.7619 밴드상하단가(0.7119~0.8119)
*14400 =10971(10251~11691) ***11690/7200=1.623배
*30240 =23039(21527~24551) ***24550/7200 =3.4배
**기업가치평가 ===⑴  추정실적 (단위 : 백만원)
                             2015년                2016년                2017년
  매출액                   24,000                 35,000                45,000
  영업이익                  2,760                  5,495                  8,010
  법인세차감전이익       2,057                  4,697                  7,413
  법인세등                      77                    546                    731
  당기순이익               1,980                  4,151                  6,682

***^^^Key  Point
-현재까지  당사  측에서  집계한  해외  매출은  2015년  30억  원 (6월  기준),  2016년은  195억  원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15년  대비  2016년  매출은  급증할  것으로  전망
-EMG&EEG(근전도   및  뇌전도  측정전극)은  그  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으나,  당사가  국내  최초로  내수화에  성공하여  낮은  가격으로  판매가  가능하므로  수입대체효과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 
-2016년  1분기  코넥스  상장  예정이며,  지정자문인은  NH투자증권으로  2016년  실적  결산  이후  2017년  코스닥  이전상장  루트를  밟을  계획 
-삼성과  공동으로  개발하여  납품하는  제품은  u-Healthcare로서  첫  제품이  될  것으로  전망.
-기존  FDA  인증  이력 (현재  4건  보유  중)으로  추후  개발되는  SpO2(산소포화농도  측정기)의  FDA-GPO  입찰의  경우  Precommit  Member(입찰  승자의  제품을  무조건  수용하는   Member  병원으로,  M/S는   15%  차지)보다   Non-Precommit  Member(입찰  승자가  Sampling을  통해  승인을  얻어 변경하는  Member  병원으로  M/S는  85%  차지)의  공략에  따라  성장  모멘텀이  커질  가능성  존재 

2. 체외진단기기
##체외진단기기(IVD) 시장현황 및 전망
==체외진단기기는 질병 진단 및 예후, 치료반응 평가를 위해 인체로부터 채취된 검체를 이용한 검사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의료기기 또한,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융합을 기반으로 현재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음.
==체외진단기기(IVD) 산업의 세부 기술별 시장 점유율을 보면 면역화학적진단 분야가 가장 크고, 자가혈당시장측정분야,POCT분야, 분자진단 분야의 시장 순이며, 이중 자가혈당시장측정, POCT,분자진단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
==타 의료기기 산업과 마찬가지로 IVD 산업은 높은 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산업이나 안정성과 신뢰성을 중시하여 후발업체의 시장진입이 어려움.
==현재 IVD시장은 태동단계에 있으며, 기술변화 주기가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임. IVD 시장은 2014년 500억달러로서 계속 성장하는 시장임. 체외진단기기시장 분야별 매출 규모를 보면 면역화학 시장이 35.8%의 시장점유율이 가장 큰 시장이고 다음이 자가혈당측정 시장이 20.5% POCT시장이 11.8%의 시장 점유율로 시장을 구성하고 있음.
==2012년 시장규모는 미국이 가장 큰 154.9달러 규모이며 그다음 서유럽지역이 138.4억달러 아태평양지역이 79.5달러 규모 형성 향후 아태평양지역이 가장 높은 년평균성장률 11.5% 향후 큰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현장검사(POCT)는 질병에 대한 즉각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며, 시장규모는 2012년 59.2억 달러로 전체 IVD시장의 13%를 차지하고 있고 2017년까지 87.4억달러 8.1% 높은 성장률을 보일것으로 전망됨. 지역적으로 서유럽에서 다른 진단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비용 문제, 규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분야로 각광받고 있으며 저비용의 장점으로 개발도상 국가에서도 역시 수요가 증가함.


##IVD시장의 기회요인 ****전세계적 인구고령화(IVD진단기기 및 치료법 이용 인구 증가)****전세계적 신종바이러스 출현 다발로 매출규모 상승 ***저렴해지는 IVD테스팅가격+자가측정기기확대로 더 많은 인구 적용 가능***질환치료에서 예방으/건강보건증진으로 패러다임 변화추세***치료법간의 네트웍ㄱ개선-원격모니터링-데이터관리들로 인한 IVD테스팅 빈도 증가***새로운 진단치료법에 대한 수요자의 니드 증대 ***차세대염기서열분석 및 기타 독창적 유전체분석기술 저굥 분자진단을 통한 IVD시장 증가***정부의 보건의료분야중심 미래먹거리 시장활성화 개혁정책의 일환으로 IVD시장 투자 증대***신흥개발도상국가들의IVD이용 빈도 증대
==현장검사(POCT)분야는 특히 빠른 검사결과가 필요한 검사종목들을 비롯해서 숙련된 인력이 아닌 검사자가 수행해도 오류가 없도록 기술을 개발하여 다른 종목들로까지 확대되는 추세이므로 앞으로도 급속하게 늘어날 전망임.
##현장검사(Point of Care Test) ====현장검사 분야중 가장 큰 분야는 혈당 측정 분야로서 그밖에 임신여부, 콜레스테롤, 혈중가스 측정, 자택용 혈액응고 테스트 분야 등이 있음
##기타 현장검사===· 최근 헬스케어 시장은 빠른 진단과 그 진단 결과에 따른 치료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맞는 진단기기의 종류도 많아지고 있고 심장질환 바이오마커, 약물중독 테스트, 성병 진단용 테스트 기기로서 임신진단, 콜레스테롤수치, 혈중 가스 농도측정기, 심장질환 바이오마커 등이 있음===· POCT 기기가 폭넓게 사용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성능은 빠른 테스트 결과이지만, 현재 기술적인 문제로서 POCT기기의 50% 이상이 수동인 점, 정보시스템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 테스트에 따라 완전히 다른 기기가 필요하다는 점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따라서, POCT 기기의 급속한 성장을 위해서는 자동화, 소형화 기술, 무선기술, IT와의 컨버전스 등이 함께 발전할 것으로 예측됨 ====· POCT 기기 시장은 다수의 업체가 한가지 테스트 기기에 특성화를 이루고 있으며, 2007년 전체 매출의 4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시장은 2007년과 2008년 Inverness Medical Innovation이 적극적인 인수합병 전략으로시장의 23% 이상을 점유하는 등 큰 변화를 가져왔음 질병관리 차원에서 비용절감에도 효과적인 홈테스트를 선호하는 의사들이 많아지고 있음


3. 바이오센서
바이오센서란 생체 성분 및 인체에 침투한 병원균을 감지하는 물리화학적 진단기로 분석대상 물질이 수용체와 반응한 결과를 신호변환기로 전송하고, 신호변환기에 표시된 결과를 통해 대상 물질의 존재유무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대상물질(생체 감지 물질)에는 항체, 효소, 미생물, 세포, DNA 등이 있으며, 이를 증폭하여 신호변환기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전기 화학, 열전기, 압전기, 중량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바이오센서는 질병의 초기 진단 및 치료, 개선결과 모니터링에 주로 이용되며, 기존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진단 장비와 달리 미량의 물질로도 개인별 신속검사가 가능하며, 비용 효율과 맞춤의료가 가능해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바이오센서는 미국 1962년 Clark교수가 개발한 포도당센서를 시작으로 기술이 발달하였으며, 현재 휴대용으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음.  바이오센서 기술은 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며, 식품 내에 있는 중금속, 농약 등 잔류물을 측정하여 식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환경분야와 독극물 등 화학무기 감지에 이용되는 국방분야 등에서도 이용이 가능함.
바이오센서 시장 점유율은 북미(미국) > 유럽 > 아시아,남미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바이오센서 분야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볼 때 미국 및 유럽에 기반을 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이 전체 매출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2003-2008년 사이 연평균9.5% 성장, 그후 2016년까지는 11.5% 성장예상)


4. 바이오프로테크
바이오프로테크는 심전도 측정전극(텔렉트로드, 프로탭, 프로네오)과 고주파수술 접지전극(프로 플레이트), 저주파 치료전극(프로텐스)혈중산소포화도 측정센서(옥시프로)가 제품으로 있음. ===심전도용 생체전달 신호전달 센서는 심전도 검사시 심방과 심실의 운동 상태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로 기존의 센서에 비해 순수하고 정확한 값을 나타내며, 혈액내 산소함유량을 측정하는 센서인 옥시프로,뇌파센서는 뇌세포활동시 전류에 의한 전이차이를 유도하여 뇌파의 파형 기록 및 뇌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센서이며, 근전도 센서는 근육의 활동 전이를 기록하는 센서로 손상된 근육을 진단할 수 있는 센서가 있음.


>1. 텔렉트로드(심전도 측정용 바이오센서전극=monitoring ECG electrode)---생체신호인 심전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PMS(환자감시모니터)에 연결 사용함. 전기전도성과 인체에 점착력이 우수한 HydroGel을 사용, 격렬한 동작에도 안정된 전기신호 전달
바이오프로테크에 생산하는 심전도용 생체신호 전달 센서를 텔렉트로드라 부르며, 모든 텔렉트로드는 각종 심전도 검사에 쓰임. 최적의 감도능력을 가진 염화은을 감지소자로 사용하고 있으며 점착소재로 하이드로젤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잡음의 움직임을 최소화. 텔렉트로드는 Gel 자체에 점착력을 매우 강화시켜 환자의 피부와 감지소자를 더욱 밀착, 흔들림과 떨림에도 강한 장점을 나타내며 인체 무해성 강 점착제를 사용하여 땀과 열이 많이 발생하는 Stress Test 나 24시간 Holter Monitoring에도 사용 가능함.
>2. 프로탭(일회용 심전도 측정 바이오센서전극=Resting ECG Electrode )
Resting ECG Electrode 즉, 일회용 심전도용 생체신호 전달 센서로 최장 1시간 이내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센서임. 최적의 감도능력을 가진 염화은을 PET지에 코팅하며 점착소재로 하이드로젤 만을 사용, Gel 점착력만으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며 우수한 생체신호 전달을 위해 염화은과 함께 카본잉크를 사용하였음.
%%%. 프로네오(심전도 측정 바이오센서전극=High resolution Tab electrode)--인체의 심전도를 감지하여 심전도 측정용 계측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 기존의 심전도 측정센서에 비하여 더욱 정확하고 순수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음 --인큐베이터에서 미숙아의 심전도 측정을 위해 모니터로 연결되는 전선이 전극에 달려 있으며, 전극에는 하이드로젤이 도포되어 있으며, 염화은은 노이즈가 없는 우수한 심전도 파형을 제공, 프로네오는 모든 방사전검사에서 전극을 제거하지 않고 검사를 진행할 수 있음.
>3. 프로 플레이트(고주파수술 접지전극=E.S.U.electrode)---수술 중 사용되는 고주파 발생용 의료기기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위한 환자접지용 1회성 소모 제품이다.
수술용 접지 패드는 전도성이 높은 Gel 과 Aluminum Plate를 사용하여 사용 중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흔히 발생하는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해주어 안전성이 매우 높음.
>4. 프로텐스(저주파 치료전극=TENS electrode)---저주파로 신경 혹은 근육 손상을 가져온 부위에 자극을 주어 간접적 운동효과를 창출해 신경 및 근육의 기능을 재생, 치료하는데 사용되어지는 전극으로써 통증 완화용 장치의 기계적 전기를 인체에 전기적 자극으로 전달하는 역할의 저주파 치료용 소모성 제품이다.
저주파 치료용 전극이며 TENS기기와 연결하여 기기에서 발생된 저주파전류를 전극을 통해 피부에 전달하며 근육의 통증 완화, 신경재활 치료,미용, 비만치료등에 사용됨.
>5. 옥시프로(혈중산소포화도 측정센서=SpO2 Sensor) --혈액 내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용 계측기로 전송하는 감지센서 일회용과 다 회용으로 구분되며 본사는 이 2가지는 물론 중간용을 최초로 개발. Silicon 소재를 사용하여 안정성과 원가 절감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신개념의 센서
****기타 : AED electrode, BP transducer


&&바이오테크의 모든 제품은 주요 모니터 제조사의 제품과 호환성을 갖으며 생체신호 측정능력을 최대화 하기 위해 고품질의 LED센서를 사용, 생체적합성 점착제를 사용한 밴드를 채용하여 알러지 등 피부 반응성을 줄였으며, 4가지 유형의 밴드로 환자의 체형에 맞게 설계되었음.
&&바이오프로테크는 그동안 수입에만 의존해 오던 심전도 측정용 전극(ECG Electorde)을 자체 개발해 심전도 측적용 전극의 개발로 선진형 소모성 의료제품의 국산화에 기여했고 빠르게 시장을 키워나갔으며 미국, 일본, 유럽 국가가 장악하고 있던 바이오센서 시장에 제 3세계국가 최초로 진입하는 쾌거를 올렸음. 무엇보다 주력제품 대부분이 일회성 소모제품으로 재구매가 빠르게 되풀이 되는 점이 있음. ---기본적으로 선진 시장의 의료용 소모품 시장 규모는 밝혀지지 않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많아 병원 내 감염 우려로 소모품을 사용하는 추세인데, 선진국의 경우 특히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음.
&&바이오프로테크의 하이드로겔 생산기술은 지금까지 모두 수입에 의존해 온 원자재 수입대체 효과와 수익률 향상이 기대되며, 그동안 수입해 오던 자재들을 모두 자체 제조하여 사용할 것이 목표이고 이 하이드로겔 생산기술은 다른 제품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공장기까지 활동이 가능함. 타사 기술과의 비교평가에서 우위를 보였으며, 가격도 약 30% 이상 저렴함.


<기업개요>
회 사 명 바이오프로테크   업    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홈 페 이 지
www.protechsite.com 대 표 이 사 박익로                                                                 주 소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동화리 1654-7 동화첨단의료기기 산업단지                                     

주식현황 주 식 수 3,796,629 액 면 가500  자 본 금 2,100백만원  주 권 구 분-일반주권
<주주현황 > ::::::::: 주 주 명--주식수(주)--- 지분율(%)
박익로 --1,122,888 --29.58 

KoFC-LB Pioneer Champ 2011-4호 투자조합 --511,495 --13.47 

한국산업은행--333,333 --8.78 

(주)NHN인베스트먼트--300,000--7.90 

KoFC-Neoplux Pioneer Champ 2010-7호 투자조합--300,000 --7.90 

한국투자파트너스(주)--150,000 --3.95 

티에스2012-5 세컨더리투자조합--150,000 --3.95 

한국투자파트너스벤처조합11호--75,000 --1.98 

(주)바이오프로테크--66,090 --1.74

기타--787,823 --20.75 

합계--3,796,629 --100.00


==디지털 혁명을 통하여 급변하는 21세기에 첨단제품으로 철저히 무장하여 세계의 높은 바이오제품장벽을 뛰어 넘으려 연구와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바이오 메디칼 제품의 세계화 첨병인 ㈜바이오프로테크 입니다. 본 ㈜바이오프로테크는 1998년 10월 이후 그동안 수입에만 의존해오던 바이오센서중 하나인 심전도용 생체신호 전달 센서를 자체개발하여 시판에 성공함으로써 그동안 미국, 일본 및 유럽국가의 전유물이던 바이오센서 시장에 제3세계 국가로는 최초로 진입성공하는 쾌거를 올렸습니다. 첫번째 상품인 심전도용 생체신호 전달 센서의 대대적인 성공에 힘입어 역시 100% 수입에만 의존하던 수술용패드 및 저주파 치료용 패드, 산소포화도측정용센서등 차기제품을 연차적으로 개발에 성공하여 그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수출로써 외화 가득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초기에 수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매출의 20%로시작하여 현재는 70%이상을 수출하고 있고, 향후로도 수출에 지속적인 박차를 기하여 국가의 수출전략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입니다. 기존 제품뿐 아니라 신규로 개발되어 출시하는 전 제품에 대하여 국내인증은 물론 국제적 인증인 CE Mark와 미국의 FDA인증을 마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는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있습니다. 연구개발에만 많은 시간과 투자를 아끼지않는 바이오업체에 비해 연구 개발의 중요함을 같이 인식하면서 또한 그 제품의 마케팅 차원에서의 판로 등에도 많은 투자를 아끼지않는 ㈜바이오프로테크의 미래는 밝다고 아니할 수 없습니다. 현재도 수입에만 의존하고 있는 근전도용 생체 신호 전달 센서 및 각종 의료용 센서류를 연구개발하고 있는 ㈜바이오프로테크의 연구진은 끊임없이 매진하여 세계를 놀라게 할 제품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연혁>
>2000...04 수술용 접지전극 연구 및 개발  05 (주)바이오프로테크 로 법인전환 06 자본금 1억에서 3억으로 증자  07 벤처기업 지정 : 서울 기술평가센타의 신기술 기술평가  08 수술용 접지전극 양산체계 구축 및 내수판매 개시  10 중소기업진흥공단 Internet 지원업체 선정 후 Home Page 구축  10 저주파 치료용 전극 연구 및 개발 
>2001..01 ISO 9001/13485 인증획득 04 CE Mark 획득 04 저주파 치료용 전극 양산체계 구축 및 내수판매 개시 04 자본금 3억에서 7.3억으로 증자  05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정 (중소기업청)  06 미국 3M 과 심전도용 전극 OEM 공급계약 (아시아 16개국)  06 구로공단 제2공장 매입 및 생산 Line 구축  08 기업부설연구소 개소 10 혈중산소포화농도 측정용 센서 연구 및 개발 개시 12 일본 고바야시 의료그룹과 공급계약 체결 12 미국의 의료용품 유통업체와 공급계약 체결
>2002...04 본사 및 생산공장 원주의료기기산업기술단지로 이전  07 INNOBIZ기업 선정 (중기청)  11 3M Business 남미지역으로 확대  12 미국 FDA 등록 완료  
>2003...02 독일 TMP 사 및 프랑스 Euromed 사와 지역 대리점 완료  03 이태리 Fiab 사와 공급계약 체결  11 미국 LA 현지법인 설립(Torrance) 12 수출 200만불 달성 
>2004...01  심전도용 생체신호 전달전극(Tab 전극) 개발완료 및 양산체계 구축, 판매 개시  02 ISO9001인증2000ver. Update  04  혈중 산소포화농도 측정용 센서 개발완료 및 양산체계구축, 판매 개시  11 Defibrillation(AED) Pad 개발 
>2005...03 우량기술기업인증(기술신용보증기금)  12 수출 300만불탑 수상 및 국무총리/산자부장관표창
>2006...06 제조소 품질관리적합인정서 획득(산업기술시험원) 08 중국내 현지 생산법인 설립 08 자본금 7.3억에서 8.9억으로 증자 11 수출 500만불탑 수상 및 산자부장관표창
>2007....03 TENS Unit 개발 09 문막 동화의료기기단지로 이전(사옥신축) 11 수출 1,000만불탑 수상
>2008...02 TENS Unit FDA 인증 획득 06 EMS Unit 개발 


<재무정보>   
 구 분        2014                       2013

자 본 총 계 14,336,669,159        12,087,073,925
부 채 총 계 20,917,656,071        20,341,106,074
이익잉여금 463,172,096                 319,590,632
자본잉여금 11,383,987,160          9,615,425,540
자본금      2,100,869,000            1,878,313,500
매출액      18,608,506,153        18,054,767,283
영업이익   896,053,158               (582,943,912)
당기순이익 143,581,464             (1,419,357,863)


<<바이오프로테크의 개요>>
===자본금 21억 원 매출액 186억 원 영업이익 8.96억 원 당기순이익 1.43억원
주요제품===바이오 센서(심전도생체신호 전달센서, 저주파 치료용 전극 등)
위에서 언급한 대로, 바이오센서, 더 정확히 말하면, 의료용 소모품(제품사용주기가 짧은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자본금은 2,100,869,000 원(21억 86만 9천원)으로, 총 주식 수는 약 380만 주입니다. 현재의 소재지인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원주동화첨단의료기산업단지' 로 이전한 시점은 2007년 11월로, 국내 매출보다는 해외 수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영국에 현지판매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에는 자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


여기서 잠깐, 바이오프로테크의 해외법인 현황을 보도록 해볼까요

명칭---회사와의 관계----회사의 지분율 <당기/전기>
BIO PROTECH USA INC. --종속회사--78%--78%
BIO PROTECH YANTAI INC. ---종속회사---100%--100%
Guangzhou Bo Hui Jinshu Zhipin Co.,Ltd. --종속회사--100%--100%
MEDIMAXTECH UK LIMITED ==종속회사--100%--100%
바이오프로테크는 중국 연태(산둥성 북동부), 광저우(광둥성 성도), 그리고 영국과 미국에 해외 법인을 두고 있네요. 우선 중국법인, 즉 중국 자회사의 경우 원재료 조달과 원가절감을 위해 설립을 했으며, 영국과 미국은 의료기기시장 규모가 Top 10에 들만큼 어마어마한 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전략적으로 설립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게다가, 매출의 대부분은 미국 및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법인에서 약 16%의 비중)


그렇다면, 바이오프로테크의 주요주주 현황은 어떨까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주명----주식수(주)----지분율(%)---비고
박익로 1,122,888 --29.58--대표이사/보통주
KoFC-LB Pioneer Champ 2011-4호 투자조합 511,495 --13.47--우선주
한국산업은행 333,333 --8.78--보통주
㈜NHN인베스트먼트 300,000 --7.90--우선주
KoFC-Neoplux Pioneer Champ 2010-7호 투자조합 300,000 --7.90--우선주
한국투자파트너스㈜ 150,000 ==3.95==우선주
티에스2012-5 세컨더리투자조합 150,000 --3.95--우선주
한국투자파트너스벤처조합제11호 75,000 --1.98--우선주
㈜바이오프로테크 66,090 --1.74--우선주
기타 787,823 --20.75--보통주
합 계 --3,796,629 --100.00
한국산업은행, LB인베스트먼트, NHN인베스트먼트, 네오플럭스, 한국투자파트너스, 티에스인베스트먼트...상당히 많은 기관투자자들이 참여했는데요, 여기서 눈여겨 봐야 할 것은 대부분 우선주로 투자했다는 것입니다. 우선주는 보통주로 전환하기 전까지는 유통할 수가 없고, 매각하더라도 매매주체는 대부분 기관끼리입니다. 한국산업은행은 보통주를 보유하고 있으나, 특성상 시장에 주식을 푸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정황상 장기 보유를 할 듯 합니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조합 2개 계정으로 참여한 것인지, 아니면 조합 1개, 고유계정 1개로 참여한 것인지는 확인이어려우나, 만약 고유계정으로 참여한 것이라면.....상당히 메리트 있는 상황입니다. 왜 고유계정은 자신들의 자금이니까요.. 다른 LP(소위 돈줄)로부터 받은 돈이 아니라, 자기 돈으로 투자를 했다면 그 기업의 미래가치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불분명하므로.....경우의 수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네오플럭스는 2013년 경에 렉스진바이오텍(현 노바렉스)를 투자하면서 바이오프로테크의 신주를 인수했습니다.규모는 약 15억 정도 된다고 하니....9~10배수(4500~5000원) 정도로 계산되네요. 여기서 포인트는 대부분의 기관투자자들이 우선주(신주)로 참여했다는 것이고, 바이오프로테크도 자기주식을 우선주로 보유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음은 실적추이인데요....
구분   ------ 2012년 2013년 2014년
자산총계        31,815  32,428  35,254
부채총계        17,721  20,341  20,918
자본총계        14,095  12,087  14,337
자본금             1,878    1,878   2,101
매출액           18,007  18,055  18,609
영업이익(손실)  2,093     (583)     896
당기순이익(손실)1,201 (1,406) 144   <주 : 백만원 단위>
최근 3년간 실적추이를 기록해봤습니다. 매출액은 3년 연속으로 증가했으나, 2013년에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이 발생했네요...굳이 원인을 따진다면....매출원가 상승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고, 무형자산상각비와 대손상각비 계정에서 큰 금액손실이 발생한 것이 두 번째 원인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의료기기라는 것이 재료 포함하여 단순하게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이 아니고, 원재료는 대부분 해외 수입에 의존하기때문에....이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닐까...생각해 봅니다. 조금 더 간단하게 풀어서 이야기하면...2013년의 바이오프로테크 영업은 잘 되지 않았다....정도가 될 것같습니다. 아마 2013년도에 기관투자를 받았을 때 상장 계획을 세웠을 것인데....당시 주간사는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이었고, 연말 정도에 심사청구를 할 것이라는 계획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실적부진으로 일단 상장은 연기된 것으로 파악됩니다....그리고 2014년 흑자전환에 성공합니다. 실적 상승 폭이 상당하죠...물론 2012년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합니다만...1년 만에 적자폭을 낮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는 것이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영업외수익의 증가도 한 몪 했습니다만..물론 흑자전환은 일시적일 수도 있으나, 영업이익 상승이 커진것이 주요인이라 생각되는데, 영업외비용이 영업외수익을 오히려 상회하고 있다는 점...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외에 법인이 많은 만큼 환위험에 노출될 위험이 많겠죠...하지만, 실적추이에서는 1년 만에 턴어라운드를 했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중요한 것은 바이오프로테크의 강점과 주력 제품이 무엇인지 알아야....기관투자자들이 참여한 이유에 대해 알 것 같은데요...
2013년 실적 부진 이외에는 딱히 나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산업군이 그렇지만, 전자의료기기 시장은 특히 국내보다 해외 시장규모가 월등히 큽니다. 거기에 영국, 미국 법인을 갖추고 있고, 원재료조달과 원가절감을 위해 중국에도 2곳의 해외법인이 있다라....상당히 좋은 인프라를 갖추고 있네요....


2. 사업의 내용
바이오프로테크는 전자의료기기를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요 제품 라인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텔렉트로드 : 심전도용 생체신호 전달센서, 그러니까 심전도 측정기입니다.                      

인체에 무해한 강 점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Stress Test(운동부하 심전도 ; 부정맥, 심근경색 등  심혈관 관련 질환의 분석), Holter Monitoring(24시간 심전도 체크)에 사용가능한 제품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Stress Test와 Holter Monitoring은 땀과 열이 많이 발생하여 센서가 쉽게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강 점착제를 사용하면 이러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프로탭 : 1회용 심전도 생체신호 전달센서(심전도 측정기)입니다. 최장 1시간 이내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데 쓰입니다. 텔렉트로드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무해한 강 점착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프로네오 : 인큐베이터에서 미숙아의 심전도를 측정할 때 사용합니다.
텔렉트로드, 프로탭, 프로네오 모두 심전도 측정기인데요, 측정기가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생체적합성하이드로겔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PMS(환자감시모니터, Patient Monitoring System)에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 프로텐스 : 저주파 전기 수술용 전극입니다. 신경이나 근육 손상 부위에 자극을 주어 간접적 운동 효과를 창출, 기능을 재생,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전극입니다. 1회성 소모성 제품입니다. ##프로플레이트 : 고주파 전기 수술용 전극입니다.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의료기기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환자접지용 제품으로, 역시 1회성 소모성 제품입니다.    
㈄ 옥시프로 : 혈중산소포화도 측정센서입니다. 혈액 내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용 계측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1회용과 다회용으로 구분되는데, 바이오프로테크는 1회용, 다회용 이외에 '중간용' 을 업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실리콘 소재를 사용하여 안정성과 원가 절감 효과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았습니다.뿐만 아니라, 기존 측정센서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순수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주요 모니터 제조사의 제품과 호환성이 높으며, LED센서를 사용해 생체신호 측정능력을 최대화시켰습니다. 고품질 대비 가격 효율성이 높은 편입니다.
심전도 측정기가 메인 제품이며, 환자 유형(성인/유아)에 따라, 그리고 검사 정도(24시간/특수)에 따라 용도별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계측기가 아니라, 연결 센서이기 때문에 사용 주기도 좀 더 짧습니다. 굳이 따지자면 소모성 의료용품이겠네요.
여기서 포인트는 FDA 인증을 이미 완료한 상태라는 점입니다. 인증대상은 ECG Electrode(심전도 측정기), TENSElectrode(저주파 전기 수술용 전극), TAB Electrode(심전도 측정센서), ESU Plate(고주파 전기 수술용 전극)...일단 주요 제품은 전부 FDA 인증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기관투자자들의 구미를 당겼을() 투자 포인트를 짚어보겠습니다.
ㄱ. 바이오프로테크는 법인 설립 전인 1998년 10월, 심전도 측정센서를 자체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전까지는 전량을 수입해왔으나, 바이오프로테크의 심전도 측정센서는 제3세계 국가에서는 최초로 세계 시장 진출에 성공했습니다. 이 말은 곧,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말이 되겠는데, 우선 가장 기본적인 요건은 만족시킨 듯 합니다.
ㄴ. 심전도 측정센서는 출시한 지 6개월만에 국내시장 점유율 1위 달성을 이룩했고, 2013년까지 전체 매출의 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단 국내 뿐 아니라 미국, 유럽, 중국 유통망을 통해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기업의 성장은 결국 마케팅 싸움입니다. 기술력이 받쳐줘도 판매가 되지 않아 주저 앉는 기업이 많은데, 바이오프로테크는 국내/외 유통망을 보유하였고, 시장의 성장성 또한 높은 편입니다.
ㄷ. 최근 의료용 소모품 시장 규모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의료기술의 발달과 비례하여 생기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들로 인한 감염 위험 덕분에 아직 성장 잠재력이 풍부합니다. 실제로 선진국은 감염 우려로 인해 1회성 소모품의 사용이 늘고 있습니다. 시장 트렌드를 역행하지 않는 아이템(헬스케어, 1회성 의료용 소모품)도 바이오프로테크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도록 만드는 요인 중 하나라고 봅니다.
ㄹ. 주기적인 연구개발활동 또한 투자 유인이 될 수 있는데, 바이오프로테크는 3년 동안 연구개발비용을 투입해 히드로겔생산기술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히드로겔 역시 해외에서 수입해왔으나, 이 개발을 통해 수입대체 효과가 발생한 것입니다.
위의 4가지는 '내가 만약 기관투자자라면 어떤 점을 보고 투자했을까' 에서 도출된 주요 포인트들입니다.
원천기술, 유통망, 브랜드 파워, 아이템, 연구개발 등의 요인이 바이오프로테크를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여기까지, 바이오프로테크의 사업 내용에 대한 추적이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바이오프로테크의 향후 상장 계획, 그리고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흐름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천기술, 유통망, 브랜드 파워, 아이템, 연구개발 등의 요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을 꼽으라면 필자는 개인적으로 '유통망' 을 꼽고 싶네요. 다른 분들도 각자 한 번씩 생각해 보셨으면 합니다. 이번 회에서는 바이오프로테크의 비교기업과 향후 상장계획에 대해 추적해보겠습니다.


3. 비교기업 선정
바이오프로테크와 비슷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선정해봤습니다. 물론, 실제 IPO시 반영될 기업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 단위 : 백만원, 배, 원>


기업명  --자본금---매출액--- 영업이익----당기순이익---PER---현재가
뷰웍스      5,000     70,811      13,256 1       0,587           28.2   29,550
인바디      7,312     48,940      10,095         8,879           56.39  36,650
아이센스   4,549      95,608      18,123        14,339          33.79  53,600
인트로메딕 3,530     10,942       838           1,225           76.29  13,350
세운메디칼 4,380     52,871      10,351         6,115           51.31  7,030
코렌텍      4,241     26,582        (198)         (1,466)        (100.84) 17,950
피제이전자 5,000     104,702     7,367          6,640           11.75   7,800
메타바이오메드 9,468 61,364      (155)         (4,773)         (23.67)   6,710


 메디아나 이전상장 시 비교기업을 참조했습니다. 여기서 비정상적 PER가 도출되는 기업(음의 값과 극단값)을 제외하면 42배 정도가 도출됩니다. Forwarding PER(미래값)이므로, 35~40 정도로 잡아두겠습니다. 가장 최근에 상장한 기업은 메디아나인데, 메디아나의 PER는 48배(28,500원)입니다.


그렇다면, 비상장기업 중에는 비교할 만한 기업이 있을까요 현 시점에서 직접적인 비교는 불가능할 수 있으나, 흐름을 따라가면 비슷한 기업이 하나 포착됩니다.<주) 단위 : 백만원, 원 주) 해당 연도의 유통가격은 직전년도 실적에 근거>
             2014                2013              2012             2011            2010
자산총계  48,485              41,563          20,319          13,127         10,470
부채총계  7,723                8,937            2,335            4,719          3,627
자본총계  40,761              32,626          17,803            8,407          6,842
매출액    30,701               22,888          18,063           10,948          8,441
영업이익    8,924              5,711            5,600            1,487           1,759
당기순이익 8,587              5,830            5,476             1,265           2,311
유통가격   25,000            14,000            4,000 -
어느 기업의 재무제표일까요 바로 바디텍메드의 재무제표입니다.

2011년 실적이 바이오프로테크의 2012년 실적과 비슷합니다. (순이익 기준) 2012년에 바디텍메드 물량이 유통되었는데, 주당 4,000원(2011년 실적 기준)이었습니다. 그리고 2012년 실적을 바탕으로 14,000원까지 시장가격이 상승, 지난해 하반기부터 바이오/헬스케어 붐과 스팩합병 이슈 등 호재를 거쳐 현재는 10만원까지 거래가가 형성되었습니다. 실적이 받쳐준 것도 있지만, 바디텍메드의 유통가격이 1년 사이에 3배 이상 상승한 요인은 유통물량의 희귀성도 존재했습니다. 특히 그 주체가 기관투자자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4. 상장 계획 및 기타
하반기에 코넥스 상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특별한 결격사유가 없다면 코스닥 이전상장도 무리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반기 코넥스 상장일정에 맞춰 기관에서 추가 유상증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기관의 유상증자인데, 기업의 유상증자 단가가 시장의 기준가가 되는 경우가 많고, 이후 시장에서 거래가가 높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최근의 예로는 아리바이오와 전진바이오팜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다시 한번 다뤄보겠습니다. 한편, 코넥스에서 코스닥 이전상장 관련해서는 지난해 아진엑스텍, 테라셈, 메디아나, 랩지노믹스, 하이로닉, 아이티센이 지난해 이전상장을 완료한 바 있는데, 아진엑스텍/테라셈/아이티센은 업종이 다르고, 메디아나와 랩지노믹스, 하이로닉 정도가 큰 범위에서는 유사한 사업군으로 꼽힙니다.


ㄱ. 메디아나    - 14년 10월 6일 상장, 공모가 6,200 원    상장 후 3개월인 15년 1월 7일 11,000 원     상장 후 6개월인 15년 4월 13일 27,000 원
1) 14년 10월 6일 이전상장, 데브시스터즈와 비슷한 시기에 청약을 실시하여 다소 소외됨
2) 14년 10월 13일 최저점 이후 상승하여 10,000원대 돌파 (10월 27일 종가기준)
3) 이후 저점을 낮추면서 15,000원 돌파
4) 실적 공시 이후 가파르게 상승하여 15년 3월 11일 20,000원대 안착
5) 미국 FDA 승인 공시 후 30,000원 대 안착, 최고가 33,000원
메디아나는 당시 하반기 코스닥 최대어라고 불리는 데브시스터즈와 맞붙는 바람에 기관수요예측 86 대 1, 개인청약경쟁률 12.88 대 1을 기록하면서 다소 씁쓸하게 코스닥에 데뷔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데브시스터즈의 주가를 역전, 현재는 비슷한 수준의 주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데브시스터즈 31,100원, 메디아나 28,600원)


ㄴ. 랩지노믹스     -14년 12월 16일 상장, 공모가 13,200원     -상장 후 3개월인 15년 3월 20일 36,000원
1) 14년 9월 24일 코스닥 이전상장 신청
2) 14년 11월 6일 코스닥 이전상장 승인 이후 코넥스 거래가 상승
3) 14년 12월 16일 코스닥 이전상장, 기존 물량 출회 후 주가 상승하여 15년 1월 16일 25,000원대 안착
4) 15년 1월 16일 이후 20,000원대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15년 4월 30일 최고가 43,200원 기록
랩지노믹스는 특별한 악재 없이 이전상장 과정부터 상장 이후까지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이전까지 '상장락(코넥스에서 코스닥 이전상장 이후 주가가 떨어지는 현상)' 에 대한 공포가 있었으나, 랩지노믹스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하이로닉의 경우는 코넥스 거래시기부터 상장 후 3개월까지 한번도 꺾이지 않고, 그야말로 '랠리(Rally)' 한 희귀한 케이스이므로 제외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직 짚어야할 포인트가 더 있으므로 외전(Spin-Off) 편에서 다루지 못했던 것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회에서는 '기관투자자의 유상증자가 거래가에 미치는 영향' 과 '유통물량의 중요성' 에 대해 다룰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필자는 이 부분이 장외시장에서 가장 중요하고 생각됩니다. 결국 수급과 가격의 문제이기 때문이죠..


4. 기관투자자의 유상증자가 미치는 영향
앞서 '코넥스 상장 일정에 맞춰 추가 증자를 계획 중' 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기관투자자의 유상증자가 호재인가 사실 잘 와닿지 않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기관투자자들의 유상증자 단가가 중요합니다. 기관들의 투자단가가 시장 거래가의 기준이 되고, 여기서 시장 매수가 한꺼번에 붙으면 거래가 상승 효과가 있습니다.
필자가 기억하는 사례 중 '아리바이오' 가 가장 드라마틱하지 않았나 싶습니다.2014년 초반에만 해도 3,000~4,000원 정도의 거래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 아이템은 괜찮았지만, 사실 시장에서 그렇게 알려진 종목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다 서서히 아이템(무중력배양화장품 에포라, 기타 건강기능식품)이 빛을 발하기 시작하면서 6,000원 정도에 거래되더니, KTB네트워크 및 기관투자자로부터 투자 유치를 받는다는 이야기가 시장에 돌면서 서서히 가격대가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현재 거래되는 가격은 13,000원대로 파악하고 있는데, 지난해 초반, 시장 거래가가 3,000~4,000원 대였다는 것을 감안하면2~3배 가량 상승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리바이오는 기관투자 이전과 이후가 극명하게 갈리는 종목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5. 유통물량과 거래가의 상관관계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단가 못지않게 중요한 부분입니다. 시장에 유통물량이 판을 치느냐, 아니면 꽁꽁 싸매고 있느냐...
자, 우선 신규상장주식의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보호예수(매도금지)물량과 유통가능물량이 있는데, 상장 첫날 유통물량의 비율이 많다면 어떻게 될까요
게다가, 대개 보호예수물량이 아닌 주식은 기관투자자들이 2년 이상 투자한 지분입니다. 상장 전에 장외에서 블록딜로 움직이는 물량도 있겠으나, 초점을 상장 첫날로 맞춰보면 이 주식의 시세차익을 얻으려고 물량을 풀겠죠 유통가능물량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상장 첫날 물량이 출회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각을 해보면 상장 첫날 많은 물량이 풀리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수급이 뒷받침되고, 장외가격이 받쳐준다면야....최근 상장한 제노포커스처럼 2연상은 갑니다만, 그런 경우가 근래 들어 보기 힘들기 때문에 가능한 상장 첫날에 매도물량이 많습니다.
이제 이 이야기를 대입해보겠습니다.
장외에서 'A' 라는 주식을 매입한 주체들이 모두 같은 가격에 매입했을까요 어떤 주체는 5배수, 또 다른 주체는 7배수...이런 식으로 매입단가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게다가, 팔려는 사람은 비싸게 팔고 싶어하고, 사려는 사람은 싼 값에 주식을 매입하고 싶어합니다. 그리고 그 중간에 딜러나 브로커가 있습니다. 만약 'A' 라는 주식의 물량이 대량으로 풀려버리면, 그 주식을 받으려는 주체들이 가격을 낮게 받으려고 하겠지요 그 물량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거래가는 자연스럽게 하락합니다. 그리고 다시 소화가 완료되면 다시 가격은 조금씩 떠오릅니다. 반대로, 주식이 나올 구멍이 없다면, 소위 말해 '레어 아이템' 이라면 프리미엄이 붙겠지요.
필자가 기억하는 종목 중에 '테고사이언스' 라는 종목이 있었습니다.

매수를 원하는 주체들은 득시글한데, 매도 물량이 없었습니다. 조금 더 쉽게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한정판(Limited Edition)' 은 일반판보다 더 비싸게 나오죠 희소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테고사이언스는 매출이 어느 정도 받쳐주고, 아이템도 괜찮았습니다.(줄기세포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한 피부조직) 그리고 주주들 대부분이 기관투자자였습니다. 거기에,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단가도 높은 편이었습니다. 타이밍 또한 좋았습니다. 장외에서 바이오/헬스케어 붐이 불기 시작하는 찰나에 기관 대상으로 수요예측이 진행되서 높은 공모가를 받았고, 2014년 11월 6일 공모가 13,500원으로 시작해 3거래일만에 3배 가량 상승했습니다. 심사 청구에서 승인, 그리고 상장 직전까지 테고사이언스의 거래가는 16,000원에서 18,000원 이상 형성되었습니다. 게다가, 거래량도 극히 드물었습니다. 결국, 유통물량이 적으면 적을 수록 시장 거래가가 높게 형성된다는 겁니다.


이번 회에서 필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기관들의 유상증자 참여 시 투자단가는 시장 거래가의 기준이 되거나 혹은 거래가를 상승시킬 확률이 높다.
2. 시장 내에 물량이 많이 풀리지 않을수록 희소가치(프리미엄)로 인해 거래가격은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저 두 가지 요인이 바이오프로테크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코멘트를 달지 않겠습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회원 여러분들이 어떻게 보시느냐에 따라 바디텍메드를 능가하는 기업으로 볼 수 있고, 아니면 그저 그런 시장에서 나오는 하나의 종목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주식은 미래지향적입니다. 내재가격은 과거의 실적을 바탕으로 형성될지 몰라도, 시장가치는 미래를 바탕으로 나타납니다.

@@@주요제품
⑴  ECG  Electrode  :  심전도  측정용  전극
-용도   :  생체신호인  심전도를  감지하여  심전도측정용  계측기 (PMS)에  전송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
-종류   :  General(외래/입원환자)/Wetgel(움직임이  많은  환자)/TAB(1회성  제품)/Neonatal(신생아용)
-특징   :  전기전도성과  인체에  점착력이  우수한   HydroGel을  사용하여  인위적  움직임  최소화  HydroGel을  당사  자체  개발로  진행,  대외  경쟁력  및  가격  우수성  현실화  진행  중 생산자동화  설비로  대량생산  시스템  구축
⑵  Cutaneous  Electrode  &  Unit  :  전기자극기용  전극  및  기기
-용도   :  저주파 ·중고주파  전류를  신경  및  근육  손상을  가져온  부위에  자극을  주어  간접적  운동효과  창출 신경  및  근육의  기능을  재생하고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①  소모성  전극  및  ②  의료기기
-특징   :  재사용  점착력과  저항을  최소화하여  최고의  품질경쟁력  유지 타사  Premium  대비  당사  제품  성능이  매우  좋음을   미국  현지  물리치료사로부터  인증  받음                미국시장  맞춤형 (처방전에  의한  구매가능,  기능성  및  견고성  중시)  저주파  자극기  개발   국내업체  일반  TENS전극과  차별화   및  FDA  인증  취득  노하우로  빠른  시장진입  실현  가능
⑶  E.S.U.  Electrode  Plate  &  Pencil  :  고주파  전기  수술용  전극  및  펜슬
-용도   :  ①  수술  중  사용되는  고주파  발생용  의료기기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환자접지용 1회용  소모성  전극 ②  수술  중  사용되는  고주파  발생용  의료기기로부터  전기적  출력을  인가  받아  환자의  피부 절개  및  지혈을  할  수  있는  1회용  소모성  전극
-종류   :  General(일반적인  수술에  사용,  일회용/다회용으로  분류) Smoke  Evacuation(고주파  수술  시  발생되는  인체  유해  연기를  흡수)
-특징   :  ①  당사  개발  Gel을  사용하여  가장  큰  진입장벽인  IEC  시험과  독성시험  모두  통과 ②  Smoke  Evacuation은  특허  출원  후  현재  미국  FDA  진행  중 깊숙한  환부에도  절개가  가능하도록  길이가  자유롭게   변형
⑷  EMG  &  EEG  Electrode  :  근전도   및  뇌전도  측정전극
-용도   :  ①  인체  근육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적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전극 ②  뇌의  신경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이는  전극
-종류   :  ①  표면전극  및  침상전극 ②  다회용 (금  또는  은  소재)  및  일회용 (은  또는  연화은  소재)
-특징   :  ①  자사의  표면  전극은  전기적  성능과  점착력이  우수한  HydroGel  사용 침상  전극은  환자  피부에  삽입  시  통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코팅  소재  사용 ②  피검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디자인,  Signal이  우수한  소재  사용
⑸  Hydro-Gel  :  하이드로젤
-용도   :  의료용  전기전도성,  점착력,  생체적합성을  갖는  고분자  하이드로겔 그외  약물  전달용  패치,  화상  치료제,  마스크팩,  인공각막  등  다양한  의료분야  적용
-특징   :  생체신호  전달을  위한  이온전달  특성의  보유 피부  점착  후  요구된  시간동안  점착력을  일정하게  유지 --젤이  쉽게  건조되지  않도록  보습성  보유, 부  적용을  위한  생체적합성  보유, 요구된  의료기기에  적합한  전기적  성능  보유
*하이드로겔  제조기술  보유에  따른  기대효과
-기존  심전도  전극의  하이드로젤  수입대체   (수입증대  효과)
-자사  제품 (ECG,  TENS,   ESU  PLATE  외)에  적용
-원자재  비용절감으로  가격  경쟁력  상승   (수입절감  효과)
⑹  제품인증  현황  
                          KFDA(국내)   FDA 501K(미국)  CE  mark(유럽) Health Canada                    
 심전도용  전극                 O               O               O               O
 전기저극기용  전극            O               O               O               O
 전기자극용  의료기기         O               O                -              O
 산소포화도측정  센서          O                -              O               O
 고주파전기수술용  전극       O               O               O               O
 고주파전기수술용  펜슬        O               O               O               O
  뇌전도  전극                    O               O               O                -
 근전도  전극                     O                -              O                -
 자동심장제세동기용  전극      O                -              O                -
@@@시장현황   및  전략 
⑴  대내/대외적 시장환경  -당사의  제품시장을  둘러싼  대내/대외적  요인은  다음과  같음.
①  미국  의료개혁
-2010년에  승인된  의료보험  개혁법안인   ‘환자보호   및  부담적정보험법 (PPACA)’  은  미국내  3,200만 저소득층  무보험자를  건강보험에  가입시키고,  중산층에  보조금을  지급해  의료비  부담을  낮추고자 하는  정책이며,  건강보험금은  가구당  가족  수와  소득을  기준으로  정부가  차등적  지원
②  모바일  헬스케어
-최근  의료/헬스케어  신성장동력  육성  계획을  발표한  삼성이  모바일  기술을  기반으로  병원과  의사, 환자를  실시간  연결하거나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응용기술  개발에  주력
-이를  위해  정부와  협력하고  병원,  보험사,  제약사와  합작을  추진하는  등  광범위한  관계  구축
-의료업계에서는  IT,  모바일기술과  의료,  헬스케어를  접목한  모바일  헬스케어시장이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
③  이머징국가들의  의료시장  확대  가속화 
-중국  CFDA  진행  중으로,  9월  중  등록  완료  예정
-인도는  CFPA(무역협정)으로  관세  36%에서  5%로  하락하여  경쟁력  상승,    의료보험  확대로  인한  수요증가
④예방의료인  진단의료의  증대 
-2015년  이후  연  평균  성장률 (예상)은   12% 
⑵  세계시장  규모 --  구분       규모   (단위  :  백만달러)       Market  Leader
            ECG/TAB                       792.2                       Tyco  Group  /  3M
           TENS  전극                       405.4                    Axelgaard  /  Unipatch
      ESU  PLATE  &  Pencil              880.2                      Valleylab  /  Conmed
              SpO2                          1,681.2                       Nellcor  /  Philops
           TENS   Unit                       810.0                     EMPI  /  Chattanooga 
              EMG                            476.2                          NATUS  /  ABBU
               EEG                            285.7                          NATUS  /  ABBU
              합  계                           5,330.9
  *  시장규모는  약  5,330.9M[$],  원화 약  6조  이상의  시장  규모가  형성되어  있음 
@@@마케팅전략            
^^GPO...美  의료기기  구매대행업체   === -메이저  5개사   (현재는  2개사가  합병하여  3개사)에  납품권  획득 
^^ FIAB   ====-이탈리아  최대  규모의  유통회사 현재  ESU  Plate  구매  중이며,  과거  2002~2006년에  구매했던 -ECG의  재구매  시작,  내년부터  TENS와   Pencil에  대해  추가진행
^^삼성  === -삼성전자  모바일사업부,  의료기기사업부와  각각의  프로젝트로  진행 모바일사업부는  애플사와의  경쟁에  필요한  제품이  개발  완료되어 2015년  양산  계획  중 -의료기기사업부에서는  2015년  의료기기  등록  등을  완료,  2016년 삼성에서  판매가  예정됨 ^^EMSI  in  USA  === -당사의  미국지사에서  진행  중,  7월부터  TENS전극  및  기계  구매 
^^MMT  UK ==-당사가  개발한   EMG/EEG는  유럽  병원으로부터  품질평가   1등급을 받은  바  있음 -당사의  EMG/EEG는  중국   및  타  국가에서  완성된  바  없는  전자 의료  소모품으로  유럽,  미국을  제외한  국가에서  최초로  개발  완료
^^NATUS ==-세계   1위  제조   및  유통업체로,  모든  의료장비  및  소모품을  동시에 제조/유통하고  있음.  매출  대비  영향력이  매우  높음 (미국  최대) -당사의  제품  OEM  협의  중이며,  내년부터  매출  발생
^^국내 ==-EMG/EEG는  최초의  국산화  제품이며,  수입제품  대비  50%  낮은  가격으로  판매  가능하므로  가격  경쟁력  및  수요  확보  예상 -매출총이익률은  60%를  확보
^^GE  Healthcare ==-당사와  진행하던  ECG  및  모든  소모품  라인이  연  매출  40조를  기록 하고  있는  전세계  의료용  소모품  제조   1위  업체  ‘BD’  로  매각됨 -추후  Key  Product로  격상시켜  BD의  타  소모품과  세계  주요  입찰 참여  계획
^^중국시장  ==  -CFDA  획득  후  중국시장  진출  계획


@@@16-9/27<266666 >, 10/5<166667 >전환상환우선주 6000원에 발행....코넥스상장16-12/8

@@@신제품  개발계획  :  삼성  공동  개발  프로젝트  
ⅰ.복합헬스패치
-모듈에  대한  PCB  제작  완료  및  1차  금형  작업  완료된  형태,  임상을  위해  Trial  Sample  준비  진행,     임상  진행  시  VIP   및  삼성  내부  VVIP시연을  위한  고급  포장을  요청하여  제작  진행  중
-삼성에서  등록하고  있는  사항은  생체현상측정기기로,  품목군은  홀터심전계로  2등급  진행사항 Premium  Market을  위한  제품으로  검토  중
ⅱ.웰리스패치
-초소형,  유연성의  극대화를  목표로  개발  중,  현재  2차  Working   Mock-Up  완료로  당사에  관련  패드 제작  요청  중
*핵심  과제  :  당사의  기술력으로  해결
-모바일을  통한  모니터링  외에  의료기기로서  심폐  활동을  진단,  이에  필요한  인증가능한  센서의  필요성
-미세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우수한  하이드로젤  필요   :  우수한  신호  전달력을  위해  센싱  파트와  피부  밀착을  최대화하기  위한  전도성과  점착력  보유
-형상  구현을  위한  액상젤의  필요성
@@@Key  Point
-현재까지  당사  측에서  집계한  해외  매출은  2015년  30억  원 (6월  기준),  2016년은  195억  원을  예상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15년  대비  2016년  매출은  급증할  것으로  전망
-EMG&EEG(근전도   및  뇌전도  측정전극)은  그  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으나,  당사가  국내  최초로 내수화에  성공하여  낮은  가격으로  판매가  가능하므로  수입대체효과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 
-2016년  1분기  코넥스  상장  예정이며,  지정자문인은  NH투자증권으로  2016년  실적  결산  이후  2017년 코스닥  이전상장  루트를  밟을  계획 
-삼성과  공동으로  개발하여  납품하는  제품은  u-Healthcare로서  첫  제품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기존  FDA  인증  이력 (현재  4건  보유  중)으로  추후  개발되는  SpO2(산소포화농도  측정기)의  FDA-GPO  입찰의  경우  Precommit  Member(입찰  승자의  제품을  무조건  수용하는   Member  병원으로, M/S는   15%  차지)보다   Non-Precommit  Member(입찰  승자가  Sampling을  통해  승인을  얻어 변경하는  Member  병원으로  M/S는  85%  차지)의  공략에  따라  성장  모멘텀이  커질  가능성  존재   

 

다음글 : **BCD16/9넥^ 에이프로g
이전글 : 휴마시스16상 **큐브피아17^ 시그넷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