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펜타시큐15 오코스 GIT15

@@펜타시큐리티-2014<5500 >2014 EPS-639X(이니텍, 업종PER46.3*0.8)=23670

*유자-11773805 투자-883690 영이-3052190.4 유부-6182077 비유부-2404994 ===><약식>8548.4
*총본-6866560<3902주> --> BPS-1759.7 ROE=36.5 EPS = 639 113 519 가중평균EPS-443.66  ===><본질>3365.----><평균>5899  -->*0.6=3540 <4500-23.7%>


[[주주구성]]<총3945650 주/500원>자본금1973백만원 ***국내 웹방화벽보안1위업체
대표이사 및 특수관계자 1,506,250 38.17 %  펜타린크(주) 889,300 22.54 %  기타 1,550,100 39.29 %


[[재무제표]]              2014                   2013
자산총계               15,766,333,632       11,988,901,046
부채총계                 8,636,120,971        7,153,776,450
자본금                    1,972,825,000        1,967,025,000
자본잉여금                 391,400,765           372,003,791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097,730)           (4,097,730)
기타자본                      12,497,133            13,169,857
이익잉여금                4,757,587,493         2,487,023,678
자본총계                   7,130,212,661         4,835,124,596
자본및부채총계          15,766,333,632        11,988,901,046
매출액                    20,486,577,529         18,113,009,719
매출총이익                16,371,694,145        12,744,875,178
영업이익                    3,077,815,168           466,322,14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765,528,554           240,494,799
당기순이익                  2,547,459,194           327,685,326
기본및희석주당이익              646                      84


[[연혁]]
**2015>>06 클라우드 기반 웹방화벽 서비스 “Cloudbric” 국내 런칭  04 IoT융합보안연구소 설립, WAPPLES V-Series G클라우드 최적화 버전 출시  03 “이미지 파일 암호화 솔루션” 출시 01 클라우드 기반 웹방화벽 서비스 “Cloudbric” 글로벌 런칭
**2014>>10 클라우드 기반 웹방화벽 서비스 “Cloudbric” 시범서비스 개시 07 미국 현지 법인(Penta Security Systems Corporation)설립 03 국내 최초 차량통신 보안 기술 확보 (IEEE 1609.2 전체 규격 구현 및 테스트베드 적용)
**2013>>11 WAPPLES Frost IQ 보고서 “2013 아시아 퍼시픽 웹방화벽” 부문 챔피언 그룹,  엔진레벨 암호화 솔루션 MyDiamo, MariaDB 지원 10 일본 클라우드형 웹방화벽 서비스 WCSP (WAPPLES Cloud Service Platform) 시작  07 웹방화벽 실시간 점검 서비스 WMP (WAPPLES Management Portal) 시작  03 MySQL 전용 엔진레벨 암호화 솔루션, MyDiamo 출시  01 펜타시스템테크놀러지(주) SSO솔루션 ISign+ 국내 총판 계약
**2012>>11 D`Amo for SAP 일본 특허 획득  08 인도네시아 (ACA Pacific) 총판 계약  05 (주)키미데이타 DB암호화솔루션 D`Amo 국내 총판 계약  04 WAPPLES 일본 특허 획득  01 D`Amo 일본 특허 획득
**2011>>12 VMWare Solution Provider 자격 획득,  KT, WAPPLES V-Series를 이용한 클라우드 웹방화벽 서비스 시작, D’Amo 미국 특허 획득  04 DB암호화 키관리 서버 D`Amo SG-KMS 출시   03 싱가폴(Quantiq) 및 태국(BlueZebra) 총판 계약 
**2009>>01 일본 현지 법인(Penta Security Systems K.K.) 설립  
**2008>>10 GS 칼텍스 SSO 및 DB 보안 시스템 구축   07 D’Amo for DB2 출시  05 D’Amo SG 출시  04 일본 QUEST사, WAPPLES 대리점 계약
**2007>>04 D’Amo, 일본 니콘시스템 공급  03 외교통상부 전자문서유통 DB 암호화 구축
**2006>>10 D’Amo for SQL Server 출시  07 일본 현지 사무소 설치 05 (주)대신정보통신 웹방화벽 WAPPLES 국내 총판 계약  03 PKI 기반 보안 라이브러리 SCP 출시
**2005>>09 D’Amo, 일본 우정성본부 공급  04 웹 방화벽 WAPPLES 출시
**2004>>12 일본 사업 진출 (D’Amo 일본 대리점 계약)  03 DB 통합 보안 솔루션 D’Amo 출시
**2003>>08 CIS,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의 FIPS 암호 인증 획득
**2002>>09 정부 행정전자서명(GPKI) 체제 구축
**2001>>09 EAM 솔루션 ISign 출시
**1999>>07 국내 최초 DB 보안 사업 수행 (고객 인증 정보 암호화)
**1998>>08 펜타보안기술연구소 설립  08 침입탐지시스템 Siren 출시  01 PKI 솔루션 ISSAC 출시
**1997>>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연 정보보안기술 연구 협력  07 펜타시큐리티시스템(주) 설립


2013-11-29>>장외주식 [펜타시큐리티] "내년 코스닥상장…2016년 매출 1000억원"
보안솔루션업체인 펜타시큐리티시스템이 요즘 잘나간다. 펜타시큐리티는 27일 의미있는 수상을 했다. 바로‘2013 대한민국 IT Innovation 대상’ 시상식에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표창을 수상한 것.펜타는 97년 설립된 보안솔루션 전문회사. 점유율 국내1위..펜타시큐리티는 보안솔루션 기술개발 및 다양한 산업에 적용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펜타시큐리티는 데이터 암호화 및 웹 보안 분야에서 핵심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대표 정보보호 전문솔루션 개발회사다.
데이터 암호화 분야 '디아모'는 수준 높은 보안성 및 기능성을 국정원 암호모듈 인증, CC 인증, GS(57,000원 △1,100 1.97%) 인증, SAP 인증 등 국내외 주요 인증기관들이 요구하는 기준을 모두 통과함으로써 충분히 검증 받았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웹 보안 분야 '와플'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공격까지도 정확하게 탐지하고 자동으로 차단해준다. ‘와플’은 이와함께 시스템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지능형 탐지 엔진 ‘COCEP(Contents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Processing)’ 개발 등 독창적인 R&D를 바탕으로 웹 보안 기술의 대중화와 저변 확대에 기여한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있다.
펜타시큐리티는 내년 코스닥상장에 이어 향후 △시장 커버리지 확대 △서비스 사업과 채널 사업 부분 강화 △해외 시장 확대 △운영시스템 강화 라는 네가지 커다란 전략으로 2016년 매출 1000억원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해외에서는 특히 일본에 지난 10월 클라우드 웹방화벽 서비스 WCSP WAPPLES Cloud Service Platform)를 출시했고, 11월에는 MySQL과 MariaDB에 완벽하게 지원하는 엔진레벨 암호화 솔루션 ‘마이디아모’를 출시하는 등 일본 현지 상황에 맞는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해 해외에서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는 상황.
또 올해 미국 유통업체, 태국 정부기관 및 금융기관, 인도네시아 정부기관 납품을 완료했고, 남아메리카 주요 국가에도 납품을 추진 중이다.펜타시큐리티 이석우 사장은 "국내에 머무르지 않고 세계 최고의 정보보안 기업으로 도약하는데 도전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4-02-28 >>펜타시큐리티시스템(대표 이석우)이 DB암호화 솔루션 디아모(D’Amo) 와 연관된 모든 로그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디아모 SG-LMS(통합 로그관리서버)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디아모 SG-LMS는 DB 암호화 솔루션인 디아모의 로그를 HW장비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펜타시큐리티 측에 따르면 디아모 SG-LMS는 자체 개발 국정원 검증필 암호모듈을 탑재해, 안전한 로그 암호화를 통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또한 저장된 로그에 대하여 별도의 검증 기능을 포함하여 로그 위변조를 방지하고,대용량 로그 암호화를 통해 인가된 사용자만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HW 장비 이중화를 통해 높은 서비스 가용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기적 로그 백업 등의 편리한 관리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기능들은 함께 제공되는 GUI 기반의 관리도구로 편리하게 조회/설정이 가능하며, 접근제어 및 감사 기능을 강화해 정보보안 법규준수를 위한 안전한 로그관리 고민도 해결해준다.
김덕수 펜타시큐리티 보안기술연구소 상무는 “통합 로그 관리서버 디아모 SG-LMS는 법규 이슈를 해결함은 물론, 보안성을 기본으로 성능과 편의성을 모두 고려한 제품”이라며 “금융기관들에 도입됐으며 공공기관, 일반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도입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4-04-10>>제품별 로드맵 및 파트너 동반성장 정책 발표
암호화 및 웹보안 전문기업 펜타시큐리티시스템(대표이사/사장 이석우,
www.pentasecurity.com, 이하 펜타시큐리티)는 지난 3월 20일 국내 총판 및 파트너와의 모임을 개최했다. 여의도 63 컨벤션에서 ‘Value Delivery Expansion: Products, Solutions & Cloud’를 행사의 테마로 진행 된 국내 총판, 파트너사 모임에 90여개사 총 130여명이 참석해 제품별 로드맵 발표, 기술지원 서비스 소개와 파트너 정책을 발표하고 정보를 공유했다. 그리고 2014년 우수 영업대표와 엔지니어를 선정, 수상하고 축하하는 시간을 가졌다.또한 디아모 10주년을 맞아 디아모 발전에 기여한 외부 인사에게는 공로패를 수여하고 격려했다.
펜타시큐리티 이석우 사장은 환영사에서 “지난 한해도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 준 총판 및 파트너들의 노고에 감사 드린다”며 “최근 급증하는 보안 위협과 정보 유출 사고로 보안에 대한 관심과 투자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협력사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로 만들어 가기 위해 최고의 제품, 솔루션, 그리고 클라우드를 포함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2014-04-16>>펜타시큐리티시스템(대표 이석우, 이하 펜타시큐리티)는 가비아에 클라우드 웹방화벽 와플 V시리즈를 공급하기로 했다.  와플 V시리즈는 지난 해 한국데이터통신 공급을 중심으로 꾸준히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펜타시큐리티는 이번 가비아 공급을 통해 클라우드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해 나갈 방침이다. 조석일 펜타시큐리티 부사장은 “이번 가비아를 통한 클라우드 웹방화벽 공급을 통해 웹보안이 필요하지만 고가의 장비투자와 운영인력 배치 등에 부담이 있는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중소 사업자들도 저렴한 비용과 손쉽게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4-04-17>>[펜타시큐리티시스템] 암호화 전문기업 펜타시큐리티 "상장 타이밍 조율중"
이석우 펜타시큐리티시스템 대표이사는 코스닥 상장 계획에 대해 "준비는 완료했지만 (적합한) 시점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펜타시큐리티는 지난해부터 주간사를 선정하는 등 상장 준비를 진행해왔다. 16일 펜타시큐리티의 DB(데이터베이스)암호화 '디아모(D'Amo)' 출시 10주년를 맞아 열린 간담회에서 이석우 대표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점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성공적인 코스닥 시장 입성을 위해서 '급격한 성장이 필요하면서 동시에 기업 가치가 올라간 시점'을 찾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펜타시큐리티가 계획했던 올해 상반기 상장계획은 보류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마이디아모 등 새롭게 시작한 사업들이 (그 성과가) 가시화되는 시점'을 적절한 시점으로 보고 있다. 매출 혹은 이익을 더욱 끌어올린 후 상장에 도전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펜타시큐리티는 암호화 및 웹보안 전문기업으로 1999년 국내에서 처음 DB보안사업을 시작했다. 연결감사보고서 기준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과 비슷한 약 181억원인 반면 당기순익(4억4380만원)과 영업이익(5억8444만원)은 전년대비 60~70% 가량 감소했다.하지만 펜타시큐리티는 출시 10주년을 맞은 국내 최초 DB암호화 상품인 '디아모'를 기반으로 암호화 시장에서 자사가 높은 성장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디아모는 2011년에서 작년까지 나라장터 조달구매 평균 점유율 46%를 웃도는 등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김덕수 상무(CTO)는 "단순 DB암호화가 아니라 키관리서버를 중심으로 여러 레벨에서 암호화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펜타시큐리티의 강점"이라며 "자동차나 사물인터넷(IoT) 등에도 디아모가 확대·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특히 암호화 키관리는 국내외 DB뿐 아니라 금융인프라, 비즈니스솔루션, 타 암호화솔루션과의 키 연계 및 관리 분야로 발전시켜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인해 암호화 시장이 각광받자 온갖 관련 상품이 출시, 잘못된 정보가 유통되면서 보안성을 떨어트리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며 "디아모를 중심으로 암호화 보안에 대한 올바름 인식이 시장에 제대로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14-04-25>>[펜타시큐리티시스템] 웹방화벽, 전년비 20% 이상 판매량 증가
- 해킹 및 정보유출 사고 막기 위한 관심 높아져
펜타시큐리티시스템(대표 이석우)는 25일 자사 웹방화벽 와플(WAPPLES)의 올해 1분기 판매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20% 이상 성장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20 전산대란’과 ‘6.25 사이버공격’ 등 주요 해킹 사고와 연이어 발생하는 정보유출 사고가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으로 알려지면서, 웹방화벽에 대한 관심과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웹 공격 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점차 웹 공격 시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공공, 금융, 기업 등 다양한 고객들이 웹방화벽을 도입하고 있다는 것.
펜타시큐리티 조석일 부사장은 “연이은 해킹 사고로 인해 기업에서 정보보안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웹방화벽에대한 구매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며, “제조, 게임, 서비스, 호스팅 업체를 포함한SMB에서도 정보보안 인식이 강화되면서 보안에 대한 자발적인 강화 움직임이 회사 규모에 관계없이 확대되고 있다. 하반기에도 SMB 시장에서의 고객층 확대와 클라우드 웹방화벽에서의 고객증가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2014-06-10>>펜타시큐리티시스템] "DB암호화 시장 확장할 것"
펜타시큐리티시스템(대표 이석우)가 지난 6월 13과 14일, 디아모 국내 총판 및 파트너를 대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채널 정책 강화로 하반기 DB암호화 시장을 견인해 나갈 것이라고 16일 밝혔다.
강원도 춘천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는 국내 총판인 키미데이터와 파트너 등 30여개 사에서 총 60여명의 임원 및 실무진이 참석해 상반기 성과를 공유하고 하반기 전략을 발표했다. 이석우 펜타시큐리티 사장은 환영사에서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디아모는 상반기에만 통합로그관리서버, POS시스템 보안 솔루션, 자바프레임워크 전용 솔루션, FIPS 인증 Level3 암호화 키 관리서버, 금융권 대외연계 보안을 위한 솔루션 등을 출시하는 등 꾸준한 R&D 투자와 기술력 향상을 기반으로 디아모 만의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며 “IoT 시대에 발 맞추어 IT시스템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에 대한 암호화 제품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오코스모스 기업사항


>>>(2011-10-28) 오코스모스 'OCS9'
국내 태블릿PC 전문업체인 오코스모스는 윈도7 홈 프리미엄 OS를 기반으로 한 ‘OCS9’를 선보였다. 인텔 태블릿 전용 CPU인 오크트레일 1.5㎓가 내장돼 있다. 10.1인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탑재했다. 두께는 11.9mm. ----모바일환경, TV 등 윈도우의 게임, 멀티미디어, 웹 컨트롤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오바’ 통합컨트롤러가 장착돼 있다. 스마트오바(O-Bar)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한 오모스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통합컨트롤러로 2개의 입력키와 6축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적용됐다. 스마트오바는 인터넷이 되는 지역에서 본체와 블루투스로 연결돼 모바일 인터넷전화(m-VoIP) 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출시기념으로 16GB 69만8000원, 32GB 78만9000원에 판매 중이다.


>>>(2012-08-04) 오모스 인터퍼페이스 부분 세계적 국내외 기업과  제휴및 공급계약체결 진행중---이미 계약한 부분도 상당히 있고 지속적인 계약성사와 제휴에 관한 사항이 공지될듯 합니다.  이제 오코스모스의 독창적인 기술이 진가를 발휘하는 시점에서 제품계약과 로열티계약이 성사되었으며 추가적인 로열티 계약 및 제품계약 등 7개부문 72개사와의 다각적 업무추진을 통해 올해 10개회사 이상과 계약 달성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인정받은 기술력과 탄력받은 제품계약으로 본격적인 오코스모스의 진가가 서서히 윤곽을 나타 내고 있습니다..그동안의 제품개발과정의 진부한 시간의 고리를 끊어내고 이제는 성과의 단계에 이르렀으니 전에 주가가7000원부터 1만원대를 넘나들던것을 생각 한다면 지금의 시점에서 과히 주식 매수는 안정성과 이익성의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듯 합니다


>>>오모스모스 경과 사항(2012-08-04)
===전기 : 2005~ 휴대폰다방면 입력장치 연구개발
===초기 : 2009~2010 ----오모스인터페이스(다방면입력장치)개발 및 스마트폰 태블릿 적용을 위한 제품연구 개발, 투자금 마련 주식발행
※오모스 : 스마트폰, 태블릿, 인터넷TV, 모션게임 등 입력 및 조작을 위한 최적의 동전크기만한 장치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모션 등 기능의 모든 수행이 가능하며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컴퓨터와 가깝게 또는 그 이상의 기능 수행 및 조작이 가능한 입력조작장치로 국내외 특허를 이미 확보해 놓은 상태이며 향후 스마트폰 태블릿 등 IT 분야의 필수 입력 조작 장치로 부각 될 것임   (터치기능의 한계를 극복한 장치로 터치와 자판, 조이스틱, 마우스기능이 작은 키로 특히 입력 조작이 편리해 해외에서의 필요성 증대)
※주식발행 2009년도 당시 사업성만을 가지고도 만원이상 상당의 금액으로 발행, 국내외 여러 대기업과 제품 개발 돌입
===중기 : 2010~2012 상반기 --  인텔과의 공동개발을 통한 태블릿제품 OCS9 초기제품 생산 양산
※제품의 보완 및 오모스키의 호환성 연구에 중점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실질적인 적용을 위한 사업진행..  다양한 분야에 오모스키 적용, 제품의 완성, 국내외 대기업과의 접촉
===현재 : 2012 하반기~:   제품의 완성을 통한 실질적 사업의 진척기로 계약체결 및 제휴 제품의 본격적 생산과 판매 돌입..  국내외 다수의 기업과 계약체결의 실질적인 도약을 위한 단계임.. 
@@진행사항 (공지 위주로)
당사는 올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소기의 성과를 이루어 냈으며 최고의 성과를 내기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태블릿 공급계약으로 생산중, 로열티계약 등(크고작은 다수업체)  ----태블릿 사업과 관련 윈도우태블릿의 가치는 업무용 시장에서 더욱 확고해 졌으며 MS사의 태블릿과 통합os를겨냥한 시장의 관심도가 높은 제품의 가치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당사의 독자적인 기술이며 주력사업인 “오모스” 인터페이스의 필요성과 가치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으며 다양함분야의 적용이 가능 하여 비로소 때를 맞이하고 있음
@@사업진행
오모스인터페이스 : 노키아 등 전세계 7개부문 72개 회사에 사업진행 올해10게 이상의 회사와 제휴 및 공급계약체결 === 태블릿 PC : 최종 완성품의 양산 가능 (이전보다 훨씬 수준높은 제품 생산가능
@@공급계획 : B2B체널공급 및 로열티공급 관련 크고작은 계약체결 및 공급 건 진행 -----대부분 시장업체간 경쟁이 치열한 시장으로 통상적 거래대상업체가 대기업임을 감안 신제품 발표나 본격적인 시장공급전까지 경쟁회사들에게 비밀유지를 위해 홍보 시점 조율중
@@ 사업진척 --현상황 : 로열티 계약체결,  국내외 다수 업체와 계속적인 추가 로열티 계약 진행
%%OCS9 태블릿 : 최성능 향상 태블릿 오모스인터페이스 탑재예상 --현재 생산중 곧 공급 예정 특히 MS사의 윈도우태블릿 공급 관련 윈도우8 탑재시 오모스키의 위력발휘 예상 이미 이루어진 계약에 대한 사항은 상대방의 신제품 일정이 확정되는 시점에서 공지..국내외 많은 업체들의 추가적인 계약성사를 확신함..8-9월중 많은 업체들과의 계약이 예상됨
@@  결론 및 투자의견
--오코스모스가 그동안은 제품의 연구개발 제품의 완성도를 위한 활동 등으로 초기 애플을 잡겠다는 목표에 늦어 지기는 하였지만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일반화된 시점에서 더욱더 그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오모스인터페이스의 완성은 IT분야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다
그동안의 여러역경과 긴 시간으로 초기 1만원을 상회하던 주가가 현재 천원대를 상회 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계약과 제품생산 그리고 오모스의 적요분야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국내외 대기업과의 계약이 성사되는 시점에서 주가는 곧바로 상승할것으로 보임


>>>(2012-09-25) 중소기업들이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한 사업들을 활발히 펼칠 수 있도록 중소기업클라우드연합이 발족된다. 오의진 오코스모스 대표는 25일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더 클라우드 2012행사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등 다양한 중소기업들이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해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합을 추진하게됐다며 내달 중으로 출범식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기클라우드연합은 방송통신위원회 산하의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KCSA)에 소속된다. KCSA가 클라우드 SW관련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중심이 된다면, 중기클라우드연합은 SW와 HW를 아우르는 중소기업들이 참여하게 될 예정이다..이들은 내달 출범식을 거쳐 공동브랜드 개발 등을 진행할 계획이며, 우선 게임분야에 특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SW와 HW결합 모델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연합 출범 준비위원을 맡고 있는 오 대표는 기술을 가진 다양한 중소기업들이 서로 분야를 살려 클라우드 시대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날 행사는 방송통신위원회와 행정안전부가 공동 주최했으며 아시아 클라우드 국제 포럼 모바일 클라우드 컨퍼런스, 방송통신융합정책연구센터 클라우드 심포지엄 등의 행사가 진행됐다...신용섭 방통위 상임위원은 "클라우드 컴퓨팅은 ICT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있는 핵심 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며 "클라우드 컴퓨팅이 가져올 가능성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산ㆍ학ㆍ연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13-08-03)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KCSA) 와 함께  인도네시아 클라우드 전문로드쇼를 26일 개최하였다. ===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 우정국,텔콤 등 현지 주요사업자들이 클라우드를 신성장동력으로 여기고 있어 국내 기업들이 적극적인 시장진출을 노리고 있는 곳이다.  이번 클라우드 로드쇼에는 틸론, KINX, 오코스모스, 오제이월드 등 10여개 기업과 한국ICT협동조합(UICK)이 함께 참가하여 포럼,전시,현지 기업 방문등을 진행하였다.   대표이사(오의진) 4번째  오코스모스 클라우드 게임(오모스인터페이스)   오코스모스 부스(오바 게임구동 장면)...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KCSA), 한국ICT협동조합(UICK), POS 인도네시아는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시티 구축사업(가칭 믕아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3자간 LOI(투자의향서)를 체결하였다.... KCSA는 인도네시아가 세계 인구 4위의 ICT 성장 잠재력이 큰 나라로, 이번 협력사업을 통해 한국 ICT기업들의 세계 선진기술 확보와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ICT 인프라 선점 구축이 가능하며, 특히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시스템으로서 한국 ICT기업들의 지속적인 수익창출과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시장진출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UICK는 동 사업을 위한 공동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POS Indonesia를 비롯하여 인도네시아 정부 등과의 업무협의를 후속적으로 진행 예정이며, 국내에서는 동 사업의 추진을 위한 총괄사업추진단과 산·학·연 컨소시엄 구성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UICK 남철희 이사장은 “한국ICT협동조합은 중소기업 자립, 해외시장에서의 중소·대기업간 상생협력체계 구축 및 개방과 참여를 통한 민·관, 산·학·연, 기업 간의 강력한 입체적 협동생태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민간시장에 사업권 배분과 금융권과의 협력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 및 만간자금조성과 함께 참여 중소기업드의 브랜드 강화와 공정분배를 위하여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믕아완(MENGAWAN)’ 프로젝트는 한국 ICT 기업들의 우수한 기술력과 해외 선진기술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에 스마트워크, 스마트홈, 스마트에너지, 스마트물류, 스마트건설 등 12개 분야와 클라우드 융합을 통해 선진 스마트 ICT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며, 또한 양국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운영을 위한 공동합작법인 설립, 생산거점사 등의 전진기지 구축과 민·관 협력생태계 구축도 포함되는 등 사업규모가 11조원에 달할 정도로 국가의 기간산업을 혁신하는 프로젝트이다.


>>> 2013-08-08
당사는 입력장치 개발로 스마트기기 전 분야에 사용성을 확장시키는데 주력하여 왔고, 2012년부터 창조경제의 주력산업인 스마트산업 분야에 가정용과 산업용 전 ICT산업에 적용하게 되는 통합컨트롤러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한국ICT협동조합과 공동 협력하여 ‘믕아완(Mengawan)’ 프로젝트를 협약체결하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습니다.
현재 산·학·연 협동체계로 사업추진단을 구성 중에 있으며, 산업계와 학계의 반응도 뜨겁습니다.
또한, 통합컨트롤러(OMOS-key)를 스마트TV의 콘솔박스와 연동으로 적용하여, 여러분들의 안방에서 통합컨트롤러 OMOS-key의 편리성을 즐길 수 있는 제품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8월 중순경 미래부 산하 사단법인인 모 협회와 한국ICT협동조합과 중국 심양시가 진행하는 심양 신도시 U-city화 추진사업에 참여하여 일정을 마치고 9월중 여러분을 모시고 간담회를 개최 하고자 합니다.


>>> 2013-12-11
이번에 당사에 세계인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만 되는 안드로이드용 멀티 컨트롤러를 새로이 출시하게 되어 기쁜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완성된 제품은 오모스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드디어 상용화되고 있는 시기에 맞추어, 기존 PC의 WINDOWS용 기능에 추가하여 안드로이드를 채택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렛, IP TV 등에서 필수적인 컨트롤러입니다.
본 제품은 국내 3대 이동통신사(LG, SK, KT)와 유선방송업체(CJ헬로비전, 티브로드, C&M, HCN 등 지자체별 1,000여개), 게임 및 e-스포츠 업체, 교육용 컨텐츠 시장에 적용될 수 있어서 당사는 이들 시장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습니다. 아울러 조만간 여러분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또한 당사는 그동안 주주분들께서 가장 힘들어하셨던 소통의 문제를 원활하게 하여 주주와 회사가 함께 발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마트 생방송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실시하게 되는 생방송 시스템은 당사에서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제품 설명과 시연, 사업설명회 등을 주주분들의 스마트폰에서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스마트 생방송 시스템이 도입되면 그 동안 단절되었던 당사의 소식들을 여러분들에게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본사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지방 또는 가정에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회사의 진척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2014-04-17  추 진 사 항
시장현황 : 국내외 이통사와 스마트TV, 케이블방송사, 게임컨텐츠, 교육컨텐츠등 다양한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그동안 다음과 같은 추진성과를 올리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국내
1. 셋탑박스 제조사인 대기업 A사와 O-Bar를 스마트TV 및 셋탑박스용 멀 티컨트롤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용 셋탑박스를 제공받아 호환작업을 완 료하였고, 컨텐츠개발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2. 서울, 대전, 광주, 대구, 전남에 유성방송을 공급하는 방송사인 B사와 O-Bar를 스마트TV 및 셋탑박스용 멀티컨트롤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 용 셋탑박스를 제공받아 호환작업 및 컨텐츠개발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3. IP TV공급사인 국내 굴지의 C사와 O-Bar를 스마트TV 및 셋탑박스용 멀티컨트롤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용 셋탑박스를 제공받아 호환작업 및 컨텐츠개발제안을 받아 진행 중입니다.
4. 컨텐츠개발을 위하여 모바일스포츠게임 제작사인 D사, ○○게임 제작사인 E사와 차별화된 스마트TV용 게임공동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2014-07-07
금번 당사에서는 스마트폰 게임패드 (프로젝트명 : MCI Project 1)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당사의 사업파트너인 ㈜엠씨아이테크(2014년 2월 25일 계약)와 공동으로 아래와 같이 계약을 체결하였기에 이를 공지합니다.   -아 래-
1. 프로젝트명 : MCI Project 1
2. 사업명 : 스마트폰 게임패드 제조생산 및 판매유통
3. 계약일시 :
---------1차 J사 : 제품디자인부분 2014년 6월 17일
-------- 2차 Y사 : 판매유통부분 2014년 6월 30일
---------3차 H사 :제조생산부분 2014년 7월 2일
4. 판매수량 : 연 30만대 이상
5. 시판계획 : 제품양산 후 즉시 유통 예정
6. 광고 및 홍보계획 : 시제품 발표회 및 언론매체 홍보


>>>2014-10-08
(주)오코스모스의 혁신적인 기술은 한중뷰티엑스포 등의 전시회를 통하여 국내외 각계로부터 호응을 받아 스마트TV시장은 물론 게임시장에 이르기 까지 획기적인 접목이 계속 이어지고 있고 이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하여 본사는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주요 대기업은 물론 무안경 3D-TV 개발업체인 (주)스카이미디어와도 제휴협력관계를 맺어 기술공동화작업 및 무안경 3D-TV에 맞춘 전용 컨트롤러 개발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지난 공지를 통하여 당사와의 관계를 천명해 드린 바, 새로운 시장 환경에 적응하고 업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당사가 추진한 전반적 기술협력, 개발협력 및 마케팅 협력관계를 맺은 전략적인 파트너쉽 업체인 (주)엠씨아이테크와도 차질 없이 긴밀한 협력관계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마케팅 환경과 시장적응력을 크게 높여 나가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런 가운데 당사는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10월 14일부터 17일까지 나흘간 개최되는 제45회 한국전자전(Korea Electronics Show 2014)에 무안경 3D-TV 개발업체인 (주)스카이미디어와 공동으로 참가하여 무안경 3D-TV에 적용한 다양한 게임 등을 멀티컨트롤러 ‘오바’로 직접 현장에서 시연할 예정입니다.




@@@지아이티

@@지아이티- <8100 >9225주=74722500.. 총본-69325020/9225주=*BPS-7515X2=15030 *ROE=23.3  *EPS-1751, 722, 888 --->*가중평균EPS=1264.4 X30=37932 ***본질=10593  *영이=15208663 유산=61422699 투산=10752857 유부=15801777 비유부=1626010  ***약식(사업)=223428410/9225=24220 ***평균주당기업가치=17406<53.4> EBIT = 세전순익+이자비용=16688427  순고산=고산-감상=9747503-3684566=6062937  운본=유산-유채=61422699-15801777=45620922<합=51683859>  시총-74722500.. ROC=16688427/45620922=36.6% EVR=16688427/74722500=22.3% PBR=ROC*0.09=3.3 ===>시총*3.3=74722500*3.3=246584250/9225주=26730<주당내재가치의 상한>


세계 최고수준의 차세대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지아이티 --지아이티는 자동차진단기, 차량진단스캐너, GDS지디에스, G-Scan,Hi-DS, 모바일스캐너를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현재 국내외 자동차 진단 및 정비서비스 시장은 스캐너로 대표되는 진단기 시대에서 첨단기술과 온라인 네트워크를 결합한 최신기술의 진단시스템 시대로 변화해 가고 있습니다.
고객들은 최신 진단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차 진단 및 정비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기술정보를 손쉽게 활용하여 작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터넷 망을 통해 최신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정비관련 현장지식(Know-How)을 실시간으로 서로 공유함으로써 자동차 사후관리 서비스의 수준은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있습니다.
1980년대 후반부터 국내차량에 장착되기 시작한 전자제어시스템 계통의 진단을 위해 당사는 OBD-I 급의 스캐너장비 국산화를 시작으로, 국내 표준진단 시스템인 Hi-DS群의 진단기기를 개발하여, 현재 국내 자동차 정비서비스 시장에서 최고의 진단시스템 개발 및 공급 회사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였습니다.
이러한 20여 년간의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제적 표준(Global Standard)이라 불릴 수 있는 차세대 진단 시스템인 GDS(Global Diagnostic System)를 현대/기아자동차와 공동으로 개발하여, 2005년 말부터 미주지역 보급을 시작으로 유럽 및 일반지역을 포함한 전세계 현대/기아자동차 서비스 네트워크에 공급해 오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8년 이후 해외 After Market의 성공적 진출을 통해, 더욱 치열해지는 세계 시장의 경쟁 속에서도 진단솔루션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입니다.
1997년 5월 설립된 지아이티는 자동차종합진단기등의 개발, 제조및 판매와 관련한 업무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1980년 후반부터 국내차량에 장착되기 시작한 전자제어시스템 계통의 진단을 위해 당사는 OBD-1 급의 스캐너장비 국산화를 시작으로 국내 표준진단 시스템인 Hi-DS군의 진단기기를 개발하여, 현재 국내 자동차 정비서비스 시장에서 최고의 진단시스템 개발및 공급 회사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였습니다. 지아이티는 20여 년간의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제적 표준이라 불리는 차세대 진단 시스템인 GDS(Global Diagnostic System)를 현대/기아자동차와 공동으로 개발하여, 2005년 말부터 미주지역 보급을 시작으로 유럽및 일반지역을 포함한 전세계 현대/기아자동차 서비스 네트워크에 공급해 오고 있습니다.
1980년대 후반부터 국내차량에 장착되기 시작한 전자제어시스템 계통의 진단을 위해 지아이티는 OBD-I 급의 스캐너장비 국산화를 시작으로, 국내 표준진단 시스템인 Hi-DS의 진단기기를 개발하여, 현재 국내 자동차 정비서비스 시장에서 최고의 진단시스템 개발 및 공급 회사로서의 지위를 확보한 기업입니다.
이러한 20여 년간의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제적 표준(Global Standard)이라 불릴 수 있는 차세대 진단 시스템인 GDS(Global Diagnostic System)를 현대/기아자동차와 공동으로 개발하여, 2005년 말부터 미주지역 보급을 시작으로 유럽 및 일반지역을 포함한 전세계 현대, 기아자동차 서비스 네트워크에 공급해 오고 있는 기업으로 앞으로의 전망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현황, 산업툭성
===국내 자동차 점유율의 70%이상을 차지하는  현대/기아차의 자동차 진단장비단독 공급업체--차세대 진단시스템(GDS:Global Diagnosis System)   개발 및 전세계 현대/기아차 해외딜러 공급개시--해외A/M 시장진출 및 해외차종DB개발을 위한  해외진단기 회사  제휴--2005년 미국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한 북미,유럽 및  중국 등 Global Network 구축
===자동차 시장의 성장 추세와 같이 하는 성장구조--기술력 및 경험 축적도에 따라 성패가 결정되는 산업특성 ---자동차 Maker와 긴밀한 관계가 전제되어야  하는 특징으로 인해 높은 진입장벽 형성
국산 ․ 수입차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자동차 종합 진단 시스템 연구개발과 고객 만족 편의 서비스에 헌신하는 기업, 당신에게 필요한 단 하나의 차세대 진단 시스템 보유 기업인 '지아이티'에 대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지아이티는 1997년 설립하여 자동차 종합진단 시스템 연구개발, 국내사업 및 해와사업 시장개척 및 판매, 자동차 진단장비 생산 및 제조, 인터넷 정비 포탈사업등의 체계적인 사업 영역망을 구축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현재 국내 자동차 점유율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현대 / 기아 자동차의 자동차 진단장치 단독 공급업체로 자리매김 한 지아이티는 차세대 진단시스템인 GDS를 개발 및 전세계 현대 / 기아 자동차 해외딜러 공급을 개시했습니다.
^^^실패할 수 없는 업종의 특성 그 3가지 이유-자동차 시장의 성장 추세와 같이 하는 성장구조-기술력 및 경험 축적도에 따라 성패가 결정되는 산업특성-자동차 Maker와 긴밀한 관계가 전제되어야 하는 특징으로 인해 높은 진입장벽 형성
***지아이티, 끝을 알 수 없는 위상과 전망
※위상 : 2001년 4월 현2001년 4월 현대.기아자동차는 지능형 차량정비시스템인 "하이-디에스"(HI-DS,Human Intelligent Diagnostic System)를 자동차 진단시스템 전문 벤처기업인 (주)지아이티와 공동 개발,우선 전국 43개 직영사업소에서 운용한다고 29일 밝혔습니다. 또한 등록된 약 10개의 기술특허 외에도 기술특허를 신청해 심사가 진행중인 것도 10여개에 달합니다. 지아이티의 가장 큰 강점은 프로그램이 웹(web)기반으로 설계돼 있어 정비사가 작업에 필요한 각종 기술정보나 회로도 등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전망 : 지아이티는 일찍이 국내 최초로 휴대용 스캔툴을 개발한 바 있으며 2004년에는 현대/기아자동차 전세계 딜러망 보급용 차세대 진단시스템을 개발 및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005년에는 미국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한 북미, 유럽 및 중국 등 Global Network를 구축하였습니다. 2007년 10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여 일본 Intersupport사를 인수하는 쾌거를 이룩하기도 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2008년 G-scan 일본시장 공급을 개시하였고 2011년에는 중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였습니다. 끝으로 지아이티는 40억원 이상의 개발비를 들여 컴퓨터가 안내하는 작업절차에 따라 고장원인을 찾아내 필요한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2014--  모바일 진단시스템의 GDS Mobile(현대)/KDS(기아) 글로벌 네트워크 공급
2013-- 유럽지사(GIT Europe GmbH) 설립 (독일 Frankfurt),  20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G-scan2 출시 
2012-교통안전공단 검사장비 공식지정 및 초도보급,  현대모비스 모듈전장검사 시스템 전공장 공급 
2011-중국현지법인 설립,  Simulator Mobile Version 출시
2010-일반 정비사업자용 GDS 출시,  전장품 자동검사 시스템 공급 (현대/기아자동차 국내외 전 생산라인 설치)
2009- 교육용 시뮬레이터 엔진 (Hi-DS Simulator) 출시,  벤처기업대상 국무총리표창 수상 
2008-  G-scan 일본시장 공급 개시,  인터넷 정비소 수레닷컴(
www.surae.com) 오픈 
2007-  일본 Intersupport사 인수, 10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상용 GDS 내수 공급 개시  
2006-차세대 진단시스템(GDS) 유럽 및 일반지역 현대/기아차 전 딜러 공급개시, 3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2005-북미지사(GIT America Inc.) 설립 (Santa Ana, Califonia), 차세대 진단시스템(GDS) 북미 현대/기아차 전 지사에 공급개시 
2004-하이-디에스 워크스테이션 (Hi-DS Workstation), GM Daewoo자동차 보급,  로드테크II 출시 및 해외 보급시작,  현대자동차 전세계 정비망에 서비스정보를 지원하는 GSW(Global Service Way) 구축완료,  현대/기아자동차 전세계 딜러망 보급용 차세대 진단시스템(GDS) 개발 계약체결 
2003-로드트레이서 (Hi-DS ROAD-TECH), 르노삼성자동차 보급,  현대/기아자동차 A/S기술정보 시스템 개발,  기아자동차 유럽지역 지원 Technical Hot Line시스템 구축 
2002-전국 9개지역 고객지원센터 설립,  고성능 계측 기능 Hi-DS Scanner Gold 출시,  하나은행 유망 중소기업 선정 
2001-차세대 인간지능형 종합진단 시스템 ' Hi-DS ' 출시,  중국 시장 진출 및 Good Design(GD) 마크 획득 (Hi-DS 및 Hi-DS Scanner), 제36회 서울 국제기능올림픽 공식장비 지정 (Hi-DS 및 Hi-DS Scanner)
2000- 자본금 4,495백만원으로 증자 (현대모비스 외), 휴대용 스캔툴 ' AUTOSCAN (現 Hi-DS Scanner) ' 출시 
1999-간헐적 고장진단기 ' D-RECORDER (現 Hi-DS Road-Tech) ' 출시 (대우자동차 납품), 노동부 산하 직업훈련원 지정장비 선정 (AUTOMASTA 및 D-RECORDER), 전국기능경진대회 공식장비 선정 (AUTOMASTA), 산업기능요원 업체 지정 (병무청), 세계 최초 종합진단 시스템 ' AUTOMASTA ' 일반 출시 
1998-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 ' 자동차 고장원인 추적 시스템 개발 ' 선정 (산업자원부),벤처기업 승인 (중소기업청), 국내 업계 최초 현대자동차 ECOS 사업 획득,  국민 벤처펀드 1호업체 지정 (중소기업진흥공단), 병역특례 연구소 지정 (과학기술처) 
1997-(주) 지아이티 설립,  기업부설연구소 승인 (과학기술처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주주구성]]2014.12.31.현재 <계 9,225,000주> .주주명- 보유주식수(주)-지분율
㈜티에이치엔 3,331,386 36.11%  현대모비스㈜ 900,000 9.76% 한국산업은행 715,250 7.75% 케이비인베스트먼트㈜ 471,117 5.11% 신한케이투세컨더리투자조합 390,100 4.23% 기타 3,417,147 37.04%


[[재무제표]]                    2014                2013
자산총계                  86,752,809,287   66,500,057,121
부채총계                  17,427,788,353   12,489,649,762
자본금                      4,612,500,000   4,612,500,000
자본잉여금                 1,233,836,342   1,233,836,342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72,767,896)   (346,380,439)
이익잉여금                63,651,452,488   48,510,451,456
이익준비금                      470,475,000   369,000,000
기업합리화적립금              192,901,046       192,901,046 
미처분이익잉여금           62,988,076,442   47,948,550,410 
자본총계                    69,325,020,934   54,010,407,359
부채와자본총계             86,752,809,287   66,500,057,121
매출액                        58,613,103,113   43,899,448,882
매출총이익                   34,727,938,214   22,949,410,813
영업이익                      15,208,663,450   6,126,152,293
영업외수익                     4,998,491,381   2,809,432,01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9,688,427,411    7,987,618,126
당기순이익                   16,155,751,032    6,662,486,409
기본주당순이익                  1,751원/주          722원/주

다음글 : daybyday
이전글 : 퀀텀텍 얍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