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증권시장 상장 순서]
@증권시장 상장을 위해 일반적인 필수 조건으로서는 기존에 정해둔 재무요소의 안정성 확보가 가장 우선시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순이익이 나는 흑자기업들은 상장심사를 청구하여 통과시에 상장자격이 주어진다...
@그러나 스타트업시기의 성장성이 높은 기술회사들의 경우 예외적으로 재무여건확보여부를 따지지 않는, 예외적인 [특례상장 위한]기술성평가 자격심사(기평--대개 만2개월 이내 판정하도록 규정)를 먼저 거친 후, 합당한 자격이 있는 기업들에게 자격을 부여하여서 상장심사청구를 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였다..
@기평을 거치든 그렇지 않든 상장심사청구를 거쳐서 상장심사<승인>을 획득하게 되면, 대개 최단시간 1달이내~최장6개월 이내에 상장하는 것이 보통임]..<이는 시장 상황을 보면서 결정>..[6개월 넘으면 다시 심사과정을 거쳐야 함]
@이 때, 상장공모기준가(공기가)의 결정은 보통은 <감가상각비 지출이 적은 기업들은>비교기업 PER에 따른 산정가치로, 또는 <감가상각비 지출이 많은 기업은> (PER 따른 산정가치 + 비교기업EV/EBITDA에 따른 산정가치)/2 의 방법으로 구한다.. 그 다음 이 가격에서 보통 20%( 15~25% 밴드) 정도 할인한 가격을 기준으로 공모가상하밴드를 설정.. <시장 상황이 좋으면 할인율 기준을 15%, 안좋으면 25% 또는 그 이하로도 내려잡기도 함>..===>그 다음, 기업 IR을 거친후, 기관투자가들의 수요예측을 거쳐서 <최종 공모가>를 확정<때때로 밴드 상단 위, 또는 밴드 하단 밑에서 형성되기도 함>, 그 후에 일반투자자들의 공모참여를 거치고 온라인조사를 통해 상장시초가를 최종결정, 상장당일 아침 고지하고 상장에 돌입..<이 때 상장시초가는 확정공모가의 90~200%범위에서 정하게 되고, 당일 상하한가는 시초가 대비 각30%범위로 규정>.. @***할인율===상장공모시 기관이나 일반투자자들의 공모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일정 수익 보장 수단임.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CAN SLIM>.*먼저 PBR, 그후 PER!.PBR낮은 종목이 수익률 더 낫다
CAN SLIM 원칙
1.C (Current Quarterly Earning per share) : 현재의 주당 순이익 (EPS)를 말합니다
-EPS는 전년 동기대비 최소한 18%~20%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야 한다. 높을수록 좋다. 분기 매출액 증가율도 상승하고 있거나 전년동기대비 상승분이 최소 25%는 되어야 한다.. 당분기의 주당 순이익은 전년도 동기의 주당순이익보다 반드시 높아야 한다. <여기서 윌리엄 오닐은 최소 70%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 여기서 유의해야 할점이 바로 전분기와 비교하지 않고 전년도동기와 비교하는 것인데, 그 이유는 산업마다 계절적 요인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11년 3분기와 12년 3분기를 비교!) - ex) 해운업종의 특징은 3분기가 대체적으로 비수기이기 때문에 3분기의 수익률이 2분기보다 좋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2.A (Annual Earning Increases) : 연간 회기말 주당 순이익(EPS)이 증가해야 한다.
- 연간 주당 순이익도 지속적으로 성장해야 한다. 최소한 최근 3년간은 매년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해왔고, 자기자본 이익률(ROE)도 17%이상이어야 한다.
- 윌리엄 오닐은 과거 평균 성장률보다 24%정도 더 성장률이 초과 달성하는 시점부터 비로소 주식이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는 것 같다고 말한다.
3.N (New product, New Management, New Highs) : 새로운 상품, 새로운 서비스전략, 신고가
- 신제품개발, 새로운 서비스 창출, 또는 경영혁신을 이룬 회사, 즉, 해당 업종에 새로운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는 회사를 주목하라. 아무리 재무구조가 탄탄한 기업일지라도 새로운 상품에 대한 개발을 게을리 하고 있다면 투자하지 말아야 한다. - 일반 적인 수익이 아닌 큰 수익을 얻는 기업들의 95%는 바로 N조건 중 1가지 이상을 반드시 충족시켰다. - ex)애플.
4.S (Shares Outstanding) : 발행주식수
- CANSLIM의 다른 원칙을 총족시킨다면 자본금 규모가 얼마든 대개 관계없다. 하지만 바닥권을 탈출해서 비상하기 시작하는 주식이라면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 상대적으로 유통주식수가 적은 주식이 많은 주식보다 많이 오른다.
- 자사주의 보유 비중이 높은 주식일 수록 위험이 적다. (왜냐하면 그만큼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수가 한정되어있기 때문이다.) - ex) 자사주의 비중이 낮은 삼성전자보다 자사주 비중이 높은 신세계가 더 많이 오름.
5.L (Leaders or Laggard) : 주도주인가 소외주인가
- 상대적 주가강도를 통해서 판단가능. 하락폭은 상대적으로 덜하고 주가상승기에 이르러서는 업종중 제일 먼저 움직이는 시장 주도주를 사고, 소외주는 피하라. 그 분야에서 최고의 회사 주식을 사라. 이 때 주도주 대부분은 상대적 주가 강도 점수가 80~90점, 또는 그 이상일 것이다.
- 한 테마를 구성하는 종목의 경우 그 테마의 대장주를 사야한다.
- 간혹, 대장주가 2등주로 옮겨갈 수 도 있다. 이럴때는 2등주를 사도 괜찮다. 다만, 절대로 3등주는 사서 안된다. (시세의 움직임은 대장주로 시작해서 대장주로 끝난다)
- (이는 단기트레이더의최우선 원칙)
6.I (Institutions Sponsorship) : 기관투자의 여부
- 기관투자가들의 매수가 늘어나는 주식, 그리고 최근 운용실적이 최상위에 랭크된 기관투자가 가운데 적어도 한 두곳이 매수하는 주식,. 경영진이 자기 회사 주식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 - 개인만이 참여하는 주식은 결코 오를 수 없다. 왜냐하면 수요와 공급이 딱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시장을 만들기 때문.
- 그러나 기관은 들어오는 금액이 크기 때문에 들어오거나 나갈때 매우 큰 폭을 그려낼 수 밖에 없다.
- 항상 기관과 함께 움직이자.
7.M (Market Direction) : 시장의 방향
- 매일매일의 주요지수와 거래량의 변화, 주도 종목의 움직임을 통해 시장 전반이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지 정확히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 이는 큰 이익을 거두느냐 손실을 보느냐를 판가름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C'에 해당하는 현재의 주당 분기 순이익이 제일 중요하다. 더 정확히 말하면 '전년 동기 대비 EPS증감율' 이 제일 중요하다. '매출액'이니 '순이익'이니 하는 회사측 표현에 현혹돼, 주당 분기순이익과 같은 정말로 주목해야 할 대목을 놓쳐서는 안된다. EPS성장률이 좋은 종목들을 관심종목으로 모아 놓고, 항상 주시해야 한다. 언제 추세가 시작될지 모른다. - 시장의 방향에 따라 투자하라, 이 부분은 기본적 분석과 가장 큰 관계가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저는 시장의 방향이라고 하면, 경기순환주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라가미 구니오의 4계를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우라가미 구니오의 4계이론 --[주식시장 흐름 읽는법]
#금융장세(봄) : 경기가 침체국면에 빠져 비관적인 경기전망이 지배적일때, 실물경기와는 상관 없이 금리하락을 바탕으로 주식시세가 전반 적으로 높아지는 현상....보통 경기가 최저점이라 생각될때 나타나며, 금융주 (증권,은행)의 반등이 가장 먼저 일어나게 된다.
ex) 이번 QE3때 나타난 현상으로 대부분의 금융주들이 10%대의 급등을 했다.
#실적장세(여름) : 실물경제의 호조로 주가가 상승하는 장세, 상대적으로 경기가 정점을 향해 가고 있으므로, 금리는 계속해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져 실적을 바탕으로 기업의 주가가 올라간다. 재고의 누적이 해결되고, 생산도 늘어나게 되므로 경제는 호황기.
ex) 재무구조가 좋은 우량주나 투자효율감소 소재산업이 강세. 금융장세에 비해 비교적 긴 주가상승 시기
#역금융장세(가을) : 주가가 본격적인 활황국면에 접어들면 기업의 수익은 크게 늘어나고 여유자금으로 설비투자가 활발해진다. 이에 기업의 설비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소비수요도 함께 늘어나게 되므로 경기가 과열되는 양상이 일어난다. 이때 당국에서는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게 되고 금융규제를 하게 되는데, 이때 통화량을 수축시키고 금리를 인상하는 정책을 펼치게 되므로 주식시장에서도 주가가 이미 크게 상승하여 추가 매입하기에 부담스러운 시장...상대적으로 금융주에서 타격이 먼저 오게 된다
#역실적장세(겨울) : 경기가 본격적인 후퇴기를 지나 불황기로 진입하면 경기관련주들의 수익이 악화되므로 큰폭의 적자를 발생, 부채비율이 높고 자본집약적인 산업들의 파산이 일어나고 주식시장에서도 투자자들이 투매하는 현상을 일으킨다. ****우라가미 구니오의 4계이론과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모형만 제대로 이해한다고 하면, 투자자로서의 기본 소양을 갖추었다고 생각. 참고로 이 이론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인 "경기 순환 모형, 혹은 이론"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경기 순환모형으로 보면 금융장세는 불황기-회복기, 실적장세는 회복기-호황기, 역금융장세는 호황기-후퇴기, 역실적장세는 후퇴기-불황기로 이어지는 구간이기 때문.
***업종별 EV/EBITDA, PER PSR PBR 참고 사이트 ---WISEFN http://www.wiseindex.com/DataCenter/Index/G3510 , ::: 좌측 WISEFn Sector Class.에서 WICS클릭 후 우측에서 한글부분업종을 찾아 확인 후 우측상단 search index란에 넣고서 엔터....하면 검색결과 나옴 sector index분류업종을 다시 클리해주면 overview가 나오고 거기서 Ratio를 선택해주면 됨.. ---유가증권시장 (www.sm.krx.co.kr)
@# "P/E Ratio(PER)"로 목표주가 설정하기 유사기업의 선정 기준 (출처 : 금융투자교육원)
1. 사업내용의 유사성
- 표준산업분류표상 중뷴류 이내에 해당하는 업종을 영위할 것.
- 매출비중이 가장 높은 유사회사의 주력품목이 발행사의 주력품목과 유사할 것
2. 일반기준의 유사성
- 유사증권상장법인 및 코스닥상장법인 중에서 2개사 이상을 유사회사로 선정할 것.
- 평가일 현재 상장, 등록 후 3개월이 경과할 것.
- 평가일 현재 최근 2년간 감사의견이 '적정'일 것.
- 평가일 현재 최근 2년간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합병, 영업의 양수도, 분할이 없을 것.
- 평가일 현재 최근 2년간 기업회계기준 위배로 인한 조치를 받은 사실이 없을 것.
- 평가기준일로부터 과거 1년간 투자유의종목 또는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사실이 없을 것.
- 12월 결산법인일 것.
3. 경영성과의 질적 유사성
- 자본잠식이 없을 것.
- 영업이익, 경상이익, 당기순이익 시현일 것.
-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일정수준(예 : 5%) 이상일 것.
- EPS가 액면가액의 일정수준(예 : 10%) 이상일 것.
4. 재무성과의 유사성과 적정성
- 유사회사의 자본금이 평가대상회사의 자본금의 5배를 초과하지 않을 것.
- 유사회사의 매출액이 평가대상회사의 매출액의 5배를 초과하지 않을 것.
5. 이해관계적 적정성 및 주가유의성기준
- 평가대상회사와 특수관계가 아닌 회사로서 가치편의 가능성이 없는 회사일 것. - 일평균 거래량이 저조하거나 지극히 적어 비교가치 산정을 위한 기준주가의 유의성이 낮은 회사가 아닐 것.
@@@ 장기(3-5년) 가치주 투자@@@@@금강철강 한국전자금융 엔브이에이취@
*가치주 투자에서의 종목검색의 선제조건들, 우선순위별로 정리..
1>PBR<1.
2>PSR<0.5-0.8(2.0넘어설 때 매도)
3>PER<5(8)
4>유보율>500% =(이익잉여금+자본잉여금)/자본금
5>부채비율<100%=부채총액/자기자본
6>ROE>10(5)=당기순이익/자기자본
7>매출액>400억.... 매출액이나 순이익을 찾기 위해 손익계산서를 볼 때에는 2분기째까지는 작년매출액을 보통 사용하게 되지만, 3분기 실적발표되었을 때에는 몇가지를 고려해야 한다..물론 제일 좋은 것은 물론 전년도4분기, 당년1, 2분기, 3분기의 매출액을 모두 더한 값이 제일 좋겠지만, 그렇게 제공이 안될 경우에는 대개3분기째 매출액에 4를 곱해서 사용한다.. 이를 이용해서 대개 30-50종목이내로 추리고 너무 적으면 PER을 6, 7, 8로 점차 늘려가면서 30-50종목을 만들면 좋다.
***변법기준:::관리종목, 투자경고/위험종목, 우선주 종목, 거래정지종목은 쳐다보지도 말라..
==>@PBR<1. @PER<8 @ROE>12, @매출액>300억, @영업활동현금흐름>0(또는 영업활동현금흐름+투자활동현금흐름>0) 공식으로 선별하라..
===>그 중에서 @최근3년이상 영업활동현금흐름+투자활동현금흐름>0, @최근3년이상 평균ROE>은행이자율, @최근분기 순이익>전년동기순이익 +최근분기까지의누적순이익>전년동기까지의순이익<이것이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 이 조건이 안되면 절대 매수 말라.>
*5종목으로 압축 선정 : 플러스, 마이너스항목을 따라서 점수가 높은 것들을 고른다.
A>>다음은 절대적으로 제외해야 할 마이너스 항목이다..--무조건 제외하라--
1>대주주지분<20% --대주주가 시세조작 참여 유혹 커짐
2>매출의 대부분을 첨단단일제품에만 의존(기업정보 관련화면의 매출 구성관련 부분으로 확인 가능) -아이리버를 보라..
3>최근 3년안에 대규모(또는 빈번한)유상증자,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발행 --주식수 급증하게 됨
4>계약기간 중에 잦은 회계기준변경 또는 회계법인변경 -- 분식 회계 가능성 증대.
5>최근 2년이내에 대규모 투자 실시 -- 영업자금 압박 가능성 커짐
B>>플러스항목들을 체크해서 가산점을 주어서 비교... 비슷하다면 PBR-PSR-PER수치가 작은 순서대로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
1>지분경쟁
2>(대주주 또는 임원)내부자의 <매도 없는>연속적 매수
3>자산가치의 급등 --부동산가격 급등, 국가적 이벤트 유치. 자산재평가한지 오래된 기업, 유가증권-채권 보유 금액이 많은 기업
4>배당 우수(시황정보에 나온다) --4년간 꾸준히 배당했는가, 시가배당율이 은행의 실제 예금금리보다 높은가,
5>재무 추이 안정성 -꾸준히 또는 대부분의 흑자 경영,
6>독점력(시장지배력)--1,2위 업체에 국한..
7>반복구매상품이면 금상첨화
8>자사주 매입
9>평판이 좋은 경영자/오너 복귀
### 기본가치주는 1>먼저, 자산가치에 바탕을 둔 <빌딩형 가치주>임에 주의하자...
===예를 들면, 빌딩가격현재 150억(=현재 주가), 매년 임대수익료 50억(=주당순이익EPS....따라서 PER=주가/EPS=3, 주가수익률=1/PER=0.33...3년이면 투자금 회수 가능..), 빌딩 헐었을 때의 땅값은 300억(=주당순자산가치BPS...따라서 PBR=주가/BPS=0.5, 즉, 청산가치는 2배)
2>핵심적 관점은 투자결정시점과 그 이후에 갱신되는 최신(분기, 반기, 결산)사업보고서의 EPS, BPS와 함께 SPS(주당매출액) 분석의 적정성이 그 바탕을 이루는 것을 기억하라.. ^^한편, 고급가치주는 이외에도 추가플러스 요인(부동산, <대주주나 임원 등>내부자 매수, 지분경쟁, 자사주 매입 등)에 해당되는 요소를 분석/판단하는 노하우를 통해 잘 걸러졌을 때 나온다..
^^가치투자라 하더라도 <최종고려 사항 적용함으로써 반드시 2종목만을 선정하라>..
===차트를 보아서 주봉60주선 인근에 주가가 위치한, 시세가 상승중인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유리하고(***상승율기준 매입 : 초기 30%, 주가가 매수초기에 비해 10% 상승시 30%, 20%상승시 20%, 30%상승시 나머지20%... ***기간 기준 매입 : 주가변동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초기에 40%, 1주후20%, 2주후20%, 3주째20%로 분할매수--보조적으로 사용),
===주봉(4주-1달, 13주-3개월, 26주-6개월,<코스피 흐름은 20주(5개월-생명, 반등)-33주(7개월-세력, 추세 전환) 의미> 52주-1년, 60주-14개월, 104주-2년 : 장기가치투자에는 13주-26주선(생명선)-60주(세력선)이 가장 중요)으로 그 흐름을 보는데 156주이평선(3년 시세 평균선)을 주봉차트가 갑자기 깨뜨리면서 하강할 때에는, 일시적 돌발상황인지를 판단하기전에 먼저 30% 매도한 후에 가장 빠른 분기 실적발표를 보고서 재매수 할지, 전량매도할지를 결정한다..
===보유중에는 매주, 종목시황-수익률-주가흐름(상승 또는 하락 추세인지)을 확인해야하고, 매월마다 종목의 분석보고서에 뉴스-주가-수익률-주가흐름을 업데이트한다, 분기마다 실적발표를 확인하여서 목표가를 재산정, 수익률, 주가흐름, 매매전략 수정을 업데이트하자..
*<주가 60주 이평선 돌파전후 장기 가치주 조건 검색 예 -대신 사이보스 ->한진해운 우노앤컴퍼니
===== 1>+2>+3>+4>일괄 검색 #.대상 -------1>검색 제외대상 일괄 지정
#.매매신호 :
-----2>돌파 : 단기(1)가 장기(60)을 상향 돌파
-----3>반전 ; (60)이평선 상승반전 -3봉이내범위
-----4>정배열/역배열 : 단기(1), 중기(12), 장기(26) 정배열
@@매도할 때의 시나리오==주가상승기에는 반드시 최신재무자료로만 판단해야 한다..
1>시나리오1 : 다음중 어느하나라도 처음 발생시 물량의 30% 매도
---최근 발표한 PBR>4, 또는 PSR>2, 또는 PER>8, 또는 매수시 정한 목표가 도달시, 또는 매수가격보다 2배이상 상승시(=100%수익률) 2>시나리오2 :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처음 발생시 물량 50% 매도
---적정자산가치에 의해 산정한 목표가에 도달한 경우 또는 적정매출가치에 의해 산정한 목표가에 도달한 경우, 또는 적정수익가치에 의해 산정한 목표가에 도달한 경우
3>시나리오3 : 다음 중 어느하나라도 처음 도달시엔 보유물량 전량 매도
---최근 발표 PBR>8, 또는 PSR>4, 또는 PER>16 ===== 이 경우는 거의 급락한다..
4>시나리오4 : 매수시 미리 정한 매도 원칙에 헤당될 때, 20% 전량매도
---예를 들면 특정 종목에 대해서는 PBR>2에서 매도하기로 계획했으면 그대로 따르라.
5>시나리오5 : 실적발표 악화/돌발상황 발생시
@1.실적발표(분기, 반기, 결산) 대응 ---실적 악화시는 50% 매도, 다음 분기보고서를 기다려서 일시적 요인으로 인한 것 아니면 나머지 전량 매도
@2.실적발표전 돌발급락.........156주 이평선(시세3년추세선, 곧 3년평균값이 됨)을 주봉차트가 깨고 하강할 때, 일시적 돌발상황인지를 판단하기전에 먼저 30% 매도후에 가장 빠른 분기 실적발표 보고서 재매수 할지, 전량매도할지를 결정하는데, 최신실적발표가 오히려 더 괜찮게 나오면 재매수하고, 1회성 요인이면 다음 분기까지 지켜보고, 실적이 악화되고 헤당실적 악화가 일시적 요인이 아니라면 전량 매도..
@@자산가치주 매도목표가 산정(상한선을 의미--4년 평균 PBR, PSR, PER사용)
==항상 최신자료에 근거하여서 반드시 PBR, PSR, PER을 모두 사용하여서 산정.., 또한 항상 최신사업보고자료가 주어지면 다시 목표가를 갱신해서 산정해야 함...
==매수할 때에는 해당 종목 매수의 특별한 근거를(예, 부동산가치 지분경쟁) 반드시 적어두고 매수의 근거가 사라지는지를 확인 후에, 해당 종목을 반드시 매도하고서 재분석하여서 매매전략을 다시 수립해야 함..
1>적정자산가치(목표 가격 상한선) = 현재 주가 X 조정 PBRmax
^^조정 PBRmax -- 최근 4년간의 평균 PBR과 4를 비교하여 큰 값으로 결정
2>적정매출가치(목표 가격 상한선) =현재 주가 X 조정 PSRmax
^^조정PSRmax.----최근 4년 평균 PSR과 2를 비교하여 큰 값으로 결정
3>적정수익가치(목표가격 상한선) = 현재 주가 X 조정 PERmax
^^조정PERmax ----최근 4년 평균 PER과 8을 비교하여서 큰 값으로 결정
예>>현재 주가 1만원 해당종목의 4년 평균 PBR=5, PSR=3, PER=13라면 PBRmax =5 이에 따른 목표가격은 5만원, PSRmax = 3 이에 따른 목표가격은 3만원, PERmax=13 이에 따른 목표가격은 13만원이 된다...====이 가격은 최신실적발표가 나올 때마다 갱신되어야 하며 매도 타이밍은 최신실적을 따라야 함을 기억하자..1차 매도가격대는100% 수익날 때(1차 목표 2만원, 30%), 2차는 적정가치선 도달할 때 PSRmax-PBRmax-PERmax(*PSR 4근처인 4만원이 2차 목표가격, 50%), 3차는 PBR 8근처인 8만원(20%)으로 잡는 것은 물론 때로 매우 보수적 관점일 수도 있다.(총320% 수익).....반드시 이 때 로그차트로 보아 <피저격시점>인지를 확인하고서 매도에 임하라..
<<장기 가치투자에서 매도타이밍 노하우>>
==목표가액 미달시는 목표가액 도달시까지 보유..
==단, 목표가액에 도달하지 못했어도 즉, (1)PBR>1, (2)PER>4, (3)현 시점의 ROE<매수시점의 ROE...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가치의 훼손이 심한 경우이므로 아직 목표가액에 도달하지 못했어도 50%는 매도한다..나머지는 보유한다.. ==매수 시점에서 설정한 목표가액을 돌파하면
--일단 30%는 이익실현한다..
--이 때, 목표가액을 돌파하고서 다음 3조건을 모두 만족하게 되는 시점에 다시 30%를 추가적으로 매도한다.. (1)PBR>1, (2)PER>4, (업종평균 PER이 4이하라면 이 조건은 무시) (3)현 시점의 ROE<매수시점의 ROE
--나머지 40%는 위의 (1)(2)(3)을 모두 만족하면서 동시에 시세를 완전히 이탈하는 경우<월봉차트에서 주가가 10월 이평선을 깨고 하향>에만 매도한다..
@@@ 투자금액의 결정은 반드시 손절매한도를 따라서 미리 결정..
**장기든, 단기든 투자를 선택한 상승종목의 매수에 임하기 전에, 혹시 생길 지 모르는 자산 손실을 최대로 줄이기 위해 손절매 한도를 미리 결정하고서 매수에 임하라..
== 손절매의 개념은 흔히 회자되는 일반적인, 임의의 손절매 개념이 아니라, 투여가능 총자산대비 손실감내액 3% 개념<총자산대비 3%까지만 손실을 감수함>으로 미리 결정해 두고서 <즉, 매수금액의 몇 %까지의 하락시 손절매도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하고서> 매수에 임하라..
@@손절매도 결정 하락폭=매수가격 대비 <하루평균 변동폭 +1%>이상 하락시
@@손실 감내금액= 총매수가능금액 X 손절매도 결정 하락폭.
예1>총1억원 있지만 1000만원까지만 투자 가능하다면 3%, 즉 30만원까지만 손실을 허용하는 원칙이 3% 원칙임.. 투자하기로 선택한, 상승중인 종목의 일중 최대변동폭이 상하9%라면 손절매도하는 하락폭은 9+1, 곧 매수가격의 10%이상하락에서 시행한다..---따라서 총매수 가능금액=손실 감내금액/손절하락폭 =30만원/10% =300만원으로 결정하고 반드시 매수가격에서 10% 하락시는 손절매도를 시행해야 한다.. 예2>총 1억원중 5000만원까지만 투자가능하다면 3%, 즉150만원까지만 손실 허용... 상승 중인 종목의 최대 변동폭이 상하29%라면 손절매도 시행 하락폭은 30%이상 하락시에 시행..----따라서 총매수 가능 금액 = 손실 감내금액/손절하락폭 =150만원/30%=4500만원으로 결정하고, 반드시 30%하락시 손절매도를 시행해야 한다..
<<사업보고서 추가 심층분석 핵심사항들>> 1. 회계기준의 잦은 변경 없어야.. 2. 최근1년간 대규모 설비투자여부..있으면 제외.. 3.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대규모증자 여부...있으면 제외 4. 매출에서 특정단일신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월등한 회사는 제외, 5.최근 1년간 기업내부자(경영자나 임원) 3회 이상 연속매수, 단 매도는 없을것 6. 최대주주지분이 20-40%범위인지..20-40%이면 M&A에 대항하기 위해 추가 지분 확보에 나서게 될 것임.... 7. 총수친인척간 지분경쟁 및 2세의 지분 취득 여부== 2세의 회사에 계열사들이 일감 몰아주기 발생 가능.. 8. 대형투자기관의 최근 12개월간 지분 취득 신고가 있었는지 9. 배당관련지표(시가배당율)가 높은지 확인 10. 부동산의 경우 매입당시 장부가액 아닌 실제시세를 확인... 시총보다 크면 매우 좋다....
<< 가치투자==장기투자시의 매수타이밍 포착 노하우>> : 주봉차트<4주-13주-(코스피)15주-(코스피생명선)20주-26주-(코스피세력선)33주-52주-(가치투자세력선)60주-120주-156주>중의 60주이평선, 156주선, 월봉차트<3월-6월-(가치투자저점=추세전환)10월-12월-24월-(코스피저점=추세전환)60월>의 10월 이평선이 가장 중요함...주봉을 보고 매수시점을 판단함....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60주선을 주봉이 돌파한 전후시점이 제일 좋다..
1.주봉의 주가가 60주 이평선 아래에 있을 때는 매수 유보 원칙
2.주가가 60주선 돌파시 1차 매수(50%), 60주선 돌파후 20%이상 상승시2차 매수(30%), 30%이상 상승시3차 매수(20%) ---일봉차트를 보면 이미 상당히 올라가 있는 경우가 많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서 달리는 말에 올라타자.. 이 때 고려할점을 미리 염두에 두라..
3.손절은 2차와 3차매수분만 하는데 각각의 매수가격에서 20%이상 하락시 매도..1차 매수분은 보유한다..
4.재매수는 2.의 기준을 따른다.
5.이익 실현은 최소 100% 이상에서 한다..
***장기투자를 위한 종목의 실전매수 ===== 데이트레이딩-스캘핑매수법을 응용
===데이트레이딩-스캘핑 대상으로는<주가변동폭이 크고 상승가능성이 높은 종목의 시초가 갭하락>을 공략시 70%이상의 성공율 보임.. <가치투자의 경우에도 그 매수 기법을 원용>
1>거래량300위이내, 주가 움직임이 120선 위의 종목 대상, 박스권을 돌파하여 박스권 상단이 강한 지지대 역할, 2>최근 거래량급증-정배열 초기-주가가 20일이평선상 상승, 또는 5일이평선 상승-눌림목구간-최근 20일 신고가 또는 상한가 종목 3>인기주 또는 상승테마주. 주도주 ==보통 정배열 상승 초기 대량거래 터진후 2-3일째부터 고려.. *데이트레이딩-스캘핑(1분차트 매매)법 이용한 매수 : <오전9시-9시10분 : 시초가 갭하락>1분차트에서 9시-9시10분 사이에 시가 갭하락한 후 대량거래 일어나면서 1차 반등한 후 재하락하여 시초가보다 높은 위치에서 반등 재상승할 때가 매수포인트 --매도주문창의 최저가 시세대로 먹어들어가면서 매수.. 이 때 시초가보다 주가가 더 하락하면 추가하락가능성이 높으므로 매수 금지 .. <오후2-3시 : 신종가>횡보하던 주가가 1분차트상에서 대량거래와 함께 박스권을 돌파하는 흐름 보일 때 매수에 동참..
***스윙매매 대상은 60일선 위에서 움직이는 일평균거래량이 100만주 이상인 강세종목.. 다양한 스윙매매방법으로 주식매수에 적용 가능..
#1><대표적 스윙매매법> 시초가 대비 일단 상승하였던 종목이 시초가 밑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반등하거나, 시초가에서부터 하락 시작하였더라도 반등-재상승하여 10시 이전에 시초가 돌파시, 또는, 어느 때이든지 장중에 하락하던 종목이 거래량 동반하면서 반등-재상승하여 시초가를 돌파시 매수하는 방법, 한편 매수후 이익이 나고 있더라도 오후 2-3시까지 당일 고가를 돌파하지 못하면 다음날까지 보유 않고 매도하는 것이 vV형 <스윙매매>원칙, 일단 보유하는 <당일고가 돌파 >기준에 들어 왔으면 다음날은 10분봉<6-18-33>차트상으로 볼 때 33이평을 깨지 않으면 그대로 보유 지속하여 수익을 극대화 한다, 참고로 활황장이거나 종목 자체의 상승세가 강한 경우는 30분봉 차트<6-12-60>를 보면서 동일하게 대응(주가가 30분봉차트에서 60이평선 하락 돌파시 전량 매도 원칙 적용)... 그 외의 방법들로서
#2>박스권(고점매도-저점매수)매매 -당일의 수익만 목표.
#3>쌍바닥 매매의 응용(다중바닥의 저점들이 점점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높아져 가는 것을 확인한 후 2-4번째 저점에서 반등하는 시점의 5분봉차트<6-12-24-72>상 6-24 GC때 매수하여 당일 고가 돌파시 보유)
#4>신고가(당일고가 또는 박스권돌파)매매의 응용
#5>눌림목매매응용법(대량거래 대양봉으로 박스권돌파후 조정 받는 경우 돌파된 박스권상단 6-7%시점에 이를 때 지지-반등 노린 매수법으로, 이를 응용, 당일고가 돌파시 보유) #6>시가매매의 응용(상승추세종목에서의 하락갭 형성한 시초가부터 세력의 매수 주도에 의해 반등 상승할 때 매수 가담) --- 스캘핑에서는 반등한 후 재하락하되 시초가위에 저점 형성하고서 재반등하는 것 기다려서 매수.
**신고가매매 **대상
----@1>신규상장주 : 상장3일 이내에 최고가 도달 후 하락하여서 최소1개월여이상 지난 시점에[[=세력의 물량 매집 완료 의미]] 전고점을 대량거래와 함께 돌파하며 신고가를 기록하는 종목 -- 이후 상승을 이어가면서는 매물이 점차로 줄어들어야 (세력이 매물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하며 신고가 형성 후 대량으로 매물 출회시는 세력의 수익실현으로 봐야 함
----@2>시총상위 우량주 -- 신고가 여부의 확인은 주봉차트로 확인해야, 더불어 신고가 즈음에 외국인과 기관의 지분 증가, 또는 IR가 이루어질 경우 장기 상승추세를 이어가게 됨...매도는 주봉차트상 20주이평선을 주봉이 깨뜨려서(3%이상) 하향돌파하는 시점..
**시가매매
**대상--시총상위 우량주,
@@1.지난 20일동안 갭하락양봉이 있는(2개이상이면 더 좋다) 갭하락시작양봉 <[5일선 상승주식]>종목이 대상..[항상 양봉거래량>>음봉거래량, 횡보 또는 조정기간이 길수록 시세분출의 응축에너지가 강함].....갭하락시작-종가양봉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세력들의 물량 매집 시도..<장 시작전 허매도수량을 많이 부풀려서>일부러 시가를 전날 종가의 2%이내범위로 갭하락시킨다음 (전날종가보다 갭하락폭이 3%를 넘어서면 횡보 가능성이 많고 5%를 넘어서면 하락조정추세로 넘어가는 것으로 보고 관망.), 시작과 동시에 매수하면서 매도0호가부터 잡아먹어간다.. 따라서 종가는 시가보다 항상 높게 형성됨. [[이 때 유의할것은 시초가는 2%이내의 갭하락이었으나 장중에 시초가를 깨뜨리고 단한번이라도 전일 종가 대비 5%이상 하락하는 경우<또는 전일 종가대비 4%이내에 지지하는 이평선이 있는데에도 불구하고 이평선 깨뜨리면서 이평가격을 3%이상 초과 하락하는 경우>는 스윙관점에서는 손절매 하고 나온다]]..
@@2..비록 갭하락양봉이 형성되었다 해도 그 양봉이 5일 이평선을 3%이상 침범해서는 안됨.(이 때는 매집에 실패하거나 비록 매집에 실패하지 않았다 해도 이 때는 대개 큰 양봉을 내기는 어렵고, 시세를 올리기까지는 앞으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을 의미).....5일이평선이 깨질 때는(즉, 5일 이평선이 깨지고 5일선가격에서 3% 초과하여 더 하락할 때) 매도세력 우위로 인한 하락조정추세의 시작을 의미 ->매수 금지!!!
@@3.<[조정 또는 눌림목 종목]> 양봉발생전에 작은 거래량의 하락음봉이 여럿 (연속적으로 2-3개 ==세력들이 싼 값에 추가매집 위해 의도적으로 가격을 눌러버린것)나올수록 시가 갭하락출발은 대양봉을 낳게 됨. 단, 하락음봉시 거래량이 늘어났다면 이는 세력이탈을 의미.. 하락조정중에서는 음봉다음 음봉이 올때에는 결코 시가가 갭하락하지 않는다(오히려 전날종가근처 보합가이거나 2%이내의 상승에서 시작)는 원칙을 알고 있으면 섣불리 매수에 임하게 되지는 않을 것임. [[매수의 키포인트는 거래량이 감소된 상태로 횡보 또는 하락조정 거쳐서 이평선이 밀집된 상태에 가까이 이르러 형성된 음봉(보통 종가는 최상위 이평선 위 약6-7% 상방 근처), 곧 전일 거래량이 적은 음봉 뒤에 당일에 전일 종가대비 <<조정이 종력되는 시점이기에 이때는>>-4%이상의 갭하락으로 시초가를 형성하는 것을 노려서 적극 매수 가담.]].
**신종가매매 : 시초가 이후 상승후 하락 조정중, 곧 어떤 형태로든지 N자형으로 장중 전고점이 형성된 후 하락조정을 받고 있다가 2시 이후에 전고점을 돌파하면서 만들어내는 비석형 양봉을 잡는 방법.. 매수가격 대비 2%이상 하락하기까지는 버티는 것이 원칙..전날이 처음 비석형 나타나면 다음날까지는 동일하게 발생하는 경우 많다.. <다음 조건>5-20-60이평밀집, 5-20이평이격<4%, 주가 5선돌파-5이평상승, 20이평반전(1-2봉이내), 5>60(1-2봉이내), 거래량200%이상 증가
@@전일종가와 시초가 : 첫30분간은 세력의 시간이다!!! 이때는 매수하고자 하는 종목이 있어도 성급하게 매수 말고 <지난밤의 다우-나스닥지수 미리 참고>대개 장 열리고서 첫10-30분 동안 경과 관찰 후 매수 참여 가부를 판단하자. @----1.전일 종가에 견주어 1-2%의 상승갭 발생하는 경우,
--<상승1.>언덕형 상승패턴 (: 매도가창의 시세로 시초가 깨지지 않는 저점에서 추격매수, 또는 박스권돌파시 매수)
--<상승2.>들린N형 상승패턴( 갭상승으로 시작하여서 상승하다가 하락, 이때 저점은 시초가보다 위에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해야 하고 시초가 유지 안되면 매수말라..<때로 시초가를 깨고 하락하여 전일 양봉의 1/3-1/2까지도 잠식 : 이때는 추세전환을 예고하게 된다> 시초가 위에 저점 형성하면서, 시장상황 호전+주가의 상승탄력이 좋을 경우에만 재상승하여서 <시초가를 3-4틱 이상 상승 돌파하는 것 확인한 시점 또는>전고점을 돌파하는 것을 확인하고 매수 참여) @----2.전일종가보다 7%이상의 상승갭으로 시작하는 경우 - 일단 10분 기다려 본 후 추격매수판단 , 10시, 또는 늦어도 11시 이전에 상한가로 가거나(첫상한가는 상한가매매), 상승했다가 하락하거나, 또는 상승 없이 곧바로 하락추세(특히 이것은 7%이상 갭상승으로 시작하는 경우에서 다발) == 대개 추세의 전환을 의미하는 음봉이나 도지를 형성,
@----3.이미 많이 오른 시점에서 전일 종가보다 하락갭 발생으로 시작 === 거의 하락<조정> 추세로 들어가게됨--관망
@---4.대량거래 동반한 대양봉으로 박스권 돌파후 2-3일째 정배열초기일 때 시초가 하락갭 패턴일 때 --9시10분이내에 대량거래 동반하며 반등한 후 재하락하고 시초가 위에서 반등하는 것을 노려서 매수. 그 후엔 2-3시 사이에 박스권 돌파시 매수 기회.
****<<분차트 설정>>%%1분차트 : 5-10-30-60-120-720, %% 3분차트 : 5(15)-10(30)-20(60)-120(1일) %%5분차트 : 6(30)-12(60)-24(120)-72(1일) %%10분차트 : 6(1시간)- 18((3시간)- 36(1일) %%30분차트 : 6(3시간)-12(1일)-60(1주)
*<<첫상한가 종목 매매 조건 분석>>9시30분경 7%이상 상승종목에서..5봉이내 첫상한가 가능 종목선택.
--- [대상지정]거래대상 제외조건은 일괄제외, [거래량지표] : 1일 평균거래량>10만주
====[매매신호]: 5일선 돌파 + [거래량지표]전일 동시간 대비 거래량 200%이상 증가 + [시스템저장조건]- <상한가매매전략>-상한가 임박종목 : 상한가 대비 -5%이상 -1%이하
%%% 직장인에게 추천되는 <단기-상장주식 눌림목 매매법>
@@@눌림목매매법 :일봉에서 매수타이밍은 항상 5-20-60 이평선 정배열 상태의 20일선 눌림목매매.. 이때는 적어도 7개월이상의 일봉이 한 화면에 떠 있어야 한다.. **매수시점은 60일이평 상향전환(일봉-60일 이평 돌파 양봉 발생 시점), *MACD 디버전스/기준선상향돌파, *주봉이평선(4-13-26-52-104)상에서는 26주선 상향 돌파 시점, *이 때, 20일 평균거래량을 2배이상 대량거래로 돌파 후에 나타나는 눌림목이 매수 포인트로서 6개월이상의 박스권 상단 돌파 후 조정을 받아서 짧은 음봉 2-3개 거치면서 주가가 박스권 상단 7%정도에까지 내려 오는 것을 기다려서 D0때 박스권상단선을 0점기준 삼아서 매수(-2, 0, 2 % 각각 1/3씩)대기 주문 -- 밑을 참고.**5-20-60일 이평선 기준으로 시행할 때, 매매시점은 시장 상황 좋으면 5-20 GC시점 매수(시장상황이 나쁘면 일봉이 60일 이평 돌파, 또는 5-60 GC시 매수) 관점, 매도는 거의 항상 5-60일이평 DC시점에 매도하는 것이 원칙 *MACD지표로는 : 디버전스 매수-컨버전스 매도 시점으로 잡거나 기준선 상향돌파시 매수-하향돌파시 매도
===PBR-PSR-PER-ROE의 조건식보다는 오히려 주식의 조건이 더 중요한데, 약 400여 종목의 중대형주, 즉 코스피200과 코스닥 시총상위20위 이내에서 재무구조가 양호하고 외인매집비율>10%이상이거나 기관이 지분매입공시가 있는 종목이라야 한다....
=== 6개월이상<반드시 6개월 이상이라야 한다..>박스권을 형성하면서 주가가 돌파하지 못했던 전고점이 거래량 폭증(보통 거래량의 5-10배까지 폭증... 최소한 지난20일 동안 평균 거래량보다 최소 2배 이상으로 거래량 증가가 있을 때 신뢰도가 높음..)을 동반하면서 강한 장대양봉 또는 때로 첫 상한가로 돌파된 후에, 음봉(도지 또는 짧은 하락음봉)또는 횡보와 함께 <반드시>거래량 급감을 보이면서 마치 눌림을 받는 형태로 전고점 근처까지 하락접근해서 우상향하는 60일선에 주가가 약 7% 가까이 도달할 때를 기다려라, 거래량의 패턴 중에서, 상승거래량>하락거래량, 동시에 양봉거래량>음봉거래량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다.. === 매수 가격대는 <시장 상황이 좋으면 전고점 가격대의 0, 2, 4%에 미리 1/3씩 매수 주문 넣고서 미리 대기><시장 상황이 안 좋으면 -2, 0, +2*%에 미리 1/3씩 매수 주문 넣고서 미리 대기>하는 식으로 반드시 매수할 것..
--- 손절매는 각 매수진입가격에서 3%하락시에 각각 시행, 한편, 더 이상 하락 않고 재상승시는 맨처음 매수 가격 도달시 그대로 매수를 반복하는 것이 원칙.. 만일 상향돌파 않고 하락한다면 나머지 잔여 수량의 1/3을 매도, 나머지 수량은 매수 가격까지 하락시에 전량 매도
--- 이익 실현은 60선 돌파양봉의 고가근처에서 매수수량의 1/3을 일단 매도, 매도 가격을 넘어서면 다시 1/3을 재매수, 재매수 분량의 손절가격은 재매수가의 3% 하락시로 정함
--- 박스권돌파 양봉의 고가를 상향 돌파한 이후의 매도 시점은 단기의 경우는 5일 이평선 하향돌파시로 한다..<<이런 잡다한 사항에 직접 매달릴 것이 아니라 0.45%의 수수료율을 감수하고서라도 증권사직원에게 미리 주문가격, 종목, 손절가격을 정해주고 주문을 대신 내어 달라고 부탁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대상 종목은 대개 중대형우량주 400개 이내, 즉 코스피200, 기타 외인지분율>10%이면서 재무상태 우량 종목, 코스닥은 시가총액20위이내에서 재무상태 우량하면서 외인지분>10%인 종목만 매매 대상임..
--- 세력의 주식 매집 흔적중에서 거래량만큼은 결코 속일 수 없는 지표임을 기억하라.. 그것은 지난 1년간의 <펀드운영실적 우수기관의 지분매입 공시>, 또는 <외인의 거래량>으로 뚜렷이 알 수 있음..
--- <최소 4회 이상>여러번 박스권상단을 돌파하려는 돌파 흐름이 있을수록 그만큼 더 세력에 의한 매집이 잘되었음을 의미.. 세력의 매집시 그 특징은 박스권내에서도 주가가 상승할 때에는 그와 비례하여 거래량이 증가하게 되고 하락하면서는 거래량이 감소하는 패턴을 반복하게 됨>
*<주가 60일 이평선 돌파후 눌림목 기대주식 조건 검색 예 -대신 사이보스 ->태웅 지엔코
===== 1>+2>+3>+4>+5> 일괄 검색
#.대상 ------ 1>검색 제외대상 일괄 지정
#.거래량지표--2>n봉전 거래량 대비(200%)이상(9000%)이하
#.매매신호 :
-----3>돌파 : 단기(1)가 장기(60)을 상향 돌파
-----4>반전 ; (60)이평선 상승반전
-----5>정배열/역배열 : 단기(1), 중기(5), 장기(20) 정배열
@@@단기 진대박주 발견 노하우....이외에 M&A<인수 합병>소식도 중요한 자극 요인이 된다. 1>거래량 분석법 :
----일평균 거래량의 5배이상 폭증(1000%이상이면 너무 좋다), 보통 6개월 동안의 박스권을 상향돌파시 대량거래 폭증 --며칠내 주가가 보합 또는 하락하면서 거래량 급감 포인트가 매수하는 시점..
----이전에 최소 수개월이상 상승양봉거래량폭증>하락음봉거래량급감 형태를 통한 매집,
2>지분율을 보라
----외인 지분율의 견조한 상승, 또는 1년이내에 대규모기관투자가<펀드 운영회사=한국밸류투자, 신영펀드투자>의 5%이상 지분 취득 공시, 또는 지분 증가 공시를 주목하여 검색하라 : 이 경우, 대개 1년내에 폭등한다..(세력이 개입시 자기들이 손해가 나지 않으려면최소 2배까지는 상승해야 하고- 보통은 10배 이상까지도 급등시킨다... ) 특히 최근 10-30일 내에 기관지분율이 거의 전무했다가 급증하는 것이 포착될 때에 동참하면 특히 좋다..주요기관의 매집가격대를 또한 염두에 두라.
3>저평가 핵심지표 분석
----진대박주는 보통 PBR<2(최대4이하!!!), PER<8, 보유 부동산 시가 총액<현시세로 평가한>보유 부동산 시가 총액>>현 주식 시가 총액에서 나온다 .. 특히, 매년 꾸준히 이익 내면서 PBR<1, PER<3 이면 향후 적정 PER(시장평균 PER)에 도달시까지 보유하라..
----가대박주는 보통 PBR>4, PER>15는 가대박주라고 판단하라..
<<중소형주에서는 특히, 세력의 물량 털기 전법을 파악-숙지하고 그 대책대로 임하라>> ***피라미드전법 : 재무구조 불량.. 투자설명회에서 고수익 미끼<은행이자보다 수배의 수익보장> : 자기 돈은 한푼도 투자 않고, 개인으로부터 직접 투자금액 유치를 받아서<밑천 마련> 점조직 형태의 비밀사조직을 통해서 그 돈으로 계속 주가조작하여 상승시키면서<점조직 운용 시세 조작> 그 수익을 초기엔 약속대로 환원시켜줌으로써 신용 쌓은 후 고가의 물량을 개인에게 넘겨 물량 터는 수법<이익 실현>:::속사정 -은행이자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확실히 보장한다면 그 자신이 그렇게 직접 은행으로부터 빌려서 투자하면 될 것..
***장뻥먹튀전법(보통 수개월 또는 1년여 동안의, 장기간에 걸친, 믿는 만큼 당하게 하는 수법) : 대주주외 결탁한 세력들의 회사를 이용한 공시가 특징--<최근 개발한 신기술의 미래 가치에 대한>또는 <최근 해외 매입한 자원 개발생산량의 미래가치에 대한 >지속 반복적 호재성 장미빛 <공시>가 특징.. 속사정 : ::예상대로 이익이 급증하게 될 경우엔 더 많은 주식 물량 확보 위해 오히려 악재를 터뜨려서 저가 매수하고자 할 것임..
***공포의 폭탄 투척법(장중에 발생) : 보통 대주주나 경영진과 관계된 작전세력들이 미리 매집하고 보통 1-2개월간 급등시킨 후 특정일을 기해 그 기업과는 직접 관련없는 호재성 <루머-찌라시>를 터뜨리거나 <특정 유명회사의 지분 인수 또는 계열사 편입 같은 호재성 공시나 뉴스>를 내보냄으로써 물량 정리 하는 경우 === 한 템포 늦추는 지혜, 상대방회사에 직접 전화해서 반드시 확인해야만 당하지 않음.,,.장중공시에 따른 매매는 금기, 하지만 그날 매수했다 해도 2%이상 하락시엔 반드시 전량 손절하는 원칙을 지킨다..
***녹다운전법 : 대개 주가가 120일, 240일 이평선을 하회하며 지속적으로 하락, 또는 수십일 또는 수개월간 횡보 하는 중에 수년간 적자 지속 기업이 <<특히 전년도 결산보고서가 발표되는 2월 - 4월 사이에>>갑자기 [수익구조 개선] [매출 계약 체결] [감자 또는 증자 통한 재무구조 개선 사실 등]의 허위사실을 유포, 또는 [--공급 계약 체결], [--합작 진행중] [대규모 유상증자 실시] 등의 <허위 공시>나 뉴스를 반복적으로 내보냄으로써 주가 띄우기 시도 ---해당 기업의 오너나 경영진들이 기업 청산 전에 물량 정리하고자 하는 시도임..
***파란똥침전법 : 2시 이후 상한가 진입 종목에서 <데이트레이더> 대상으로 나타나는 물량 정리 수법 ::: 역시 매수하였다면 매수후 2%이상 하락시 전량 손절매도 원칙을 지켜야
**메르스그래프 http://okhi1.iptime.org/mers/grap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