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주식가치평가


@@@주식가치평가모형  --Valuation  

http://blog.naver.com/kiss2y/60055007625


1.주식가치평가모형의 유형
   현금흐름할인(DCF) 모형(계속기업의 가치)
   1)수익가치에 근거한 보통주 평가
    -배당평가모형:정률성장모형, 제로성장모형, 고속성장모형
    -이익평가모형
   2)잉여현금흐름 평가모형(FCF)
  자산가치에 근거한 보통주 평가(청산가치)-주당순자산모형
  주가배수평가모형-PER/PBR모형, PSR EV/EBITDA

2.현금흐름할인모형
투자자에게 돌아오는 미래의 투자수입을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 구하기
1.내재가치=현재가치
미래현금흐름(투자수입)을 현금흐름의 시차와 불확실성이 반영된 요구수익률(=할인율=회사채금리=보통 10%)로 할인한 현재가치를 구하여 내재가치 추정
2.수익가치평가모형
 1)배당평가모형-증권의 내재가치는 영속적인 미래 배당흐름을 요구수익률로 각각 할인한 현재가치로 표시
   (1)정률성장모형
       미래의 배당흐름이 매년 일정하게 성장한다고 가정
       기업의 이익과 배당이 매년 g%만큼 일정하게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요구수익률이(k) 일정하다고 가정
      ---k가 g보다 크다면   
내재가치=d1/(k-g)  (d1 는 1기배당)  성장률 g=b*r  (b 유보율, r 재투자수익률(ROE))
   (2)제로성장모형
      기업이 성장없이 현상유지 (g=0)       내재가치=d0/k
   (3)다단계성장모형 또는 고속성장모형
       예제) A주식의 최근 주당이익은 3,600원이고 주당배당이 1,920원 요구수익률(k)이 9%이다. 앞으로 처음 3년간의 성장률은 20%이고 그이후로는 4%로 일정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경우에 이 주식의 이론적 가치를 구하라.
  2)이익평가모형
       기업의 주당이익을 기초로 내재가치 추정
    (1)성장기회가 없는 경우
        v=E/k  매기의 주당이익이 E수준에 머물 것으로 가정한 것은 기업의 재투자수익률(r)이 요구수익률(k)과 동일하다는 가정
    (2)성장기회를 고려할 경우
       기업의 재투자수익률이 요구수익률을 상회함으로써 일정한 성장기회를 기대할 수 잇는 경우 이론적 주식가치는 상승
       v=현존 자산으로부터의 이익의 현재가치 + 미래 투자 기회로부터의 현재가치(PVGO)
         =E1/k + E1/k*(b(r-k)/k-g)
3.자산가치평가모형
    주주들에세 귀속되는 자산가치에 근거-청산가치, 주당장부가치(BPS)
4.공모주식 발행가격의 결정
  당해년도를 포함한 향후 2년간의 추정재무제표로부터 주식의 자산가치, 수익가치를 추정하여 주식의 본질가치를 산출
  본질가치 = 자산가치*0.4 + 수익가치*0.6
  1주당 자산가치 = 순자산가치/발행주식수
   단, 순자산 = 최근 사업년도의 총자산-(실질가치가 없는 무형고정자산 및 이연자산 + 부채총계 + 법인세 + 임원상여금 + 배당금 + 특별손익 + 퇴직급여충당금...)
  1주당 수익가치 = 주당추정이익/자본환원률
  단, 주당추정이익 = (추정경상이익-(우선주배당조정액-법인세))/발행주식총수
        추정경상이익=기업의 향후 2년간의 추정재무제표 작성에 의하여 산출(향후 1차년도에 3, 2차 년도에 2의 가중치를 부여)
      자본환원율 = 분석당시 금융기관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이자율의 1.5배
3. FCF모형에 의한 가치평가
    영업활동에서 벌어들이는 영업현금흐름에 근거
1.FCF모형의 의의
  1)FCF모형의 개관-예측기간 t기에 걸친 잉여현금흐름을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으로 할인한 현재가치 + 예측기간 이후의 잔존가치(CV)를 WACC로 할인한 현재가치 + 영업외 가치
    주당주식가치(적정주가) = (기업전체가치(V) - 부채가치(B))/발행주식수
  2)FCF의 의의
     잉여현금흐름은 본업활동에서 창출해낸 총영업현금흐름에서 신규총투자액을 차감한 금액
  3)FCF의 구성요소
     FCF = 총영업현금흐름-총투자액
     총영업현금흐름 = 세후영업이익+감가상각비
     총투자액          = 투하자본증가액+감가상각비
     즉, FCF = 세후영업이익 - 투하자본증가액
2.투하자본의 측정
   1)투하자본의 정의(invested capital)
     기업이 영업이익을 벌어들이기 위해 기업의 핵심경영활동 즉, 생산 판매 관리 등의 영업활동에 투하된 자금의 의미
   (영업관련)고정자산 + (영업관련)순운전자본 = 영업고정자산 + (매출채권+재고자산-비이자발생 유동부채)
   2)투하자본의 계산
     대차대조표의 자산을 영업과 직접 관련된 영업자산과 그렇지 않은 비영업자산으로 구분하여 비영업자산을 제외시켜야
3.세후영업이익의 측정
  1)NOPLAT의 측정
    영업이익(EBIT)에서 EBIT대비 조정된 법인세를 차감, EBIT대비 조정법인세란 손익계산서상의 법인세액이 아니라 영업이익 기준으로 산정한 법인세
    NOPLAT=EBIT-EBIT대비 조정법인세(영업이익*법인세율) + 이연법인세대 증가액 + 감가상각비
4.FCF의 측정
  FCF=총영업현금흐름-총투자액
       =(NOPLAT + 감가상각비) - (운전자본증가액+고정자산증가액)
       =(NOPLAT + 감가상각비) - (투하자본증가액+감가상각비)
  FCF 변동을 초래하는 요인은 ROIC(투하자본세후영업이익률)를 분해분석함으로써 밝혀짐
ROIC = NOPLAT(세후영업이익)/IC(투하자본)
        =(영업이익/매출액) * (매출액/투하자본) * (1-유효법인세율)
5.자본비용의 추정
 1)자본비용의 의의
    조달된 자본액에 대해서 자본사용의 대가로 치르는 지급대가
자본비용 = 지급대가 / 조달자본액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 원천별 자본비용에 그 자본조달원의 조달비중에 따라 가중한 것
WACC = kd(1-t)*(B/(B+S)) + ke*(S/(B+S))
단, kd세전부채비용  ke자기자본비용  t법인세율 B부채의 시장가치  S자기자본의 시장가치
 2)부채비용의 측정
   (1)만기수익률의 계산
       당해기업이 발행하고 잇는 채권의 만기수익률은 결국 채권자의 기회투자수익률을 뜻하므로 만기수익률을 부채비용으로 사용가능
       만기수익률의 계산은 채권의 현재 시장가격과 채권투자수입(정기적 이자수입과 만기시의 원금액)의 현재가치를 일치시키는    내부수익률
  (2)무위험이자율에 일정한 스프레드를 더해서 계산
      부채비용=무위험이자율 + 유사 회사채 신용등급의 스프레드
  (3)지급이자/이자지급부채의 계산
     이자지급부채는 매입채무와 같은 무이자부채를 제외, 리스계약과 같은 부채성항목은 포함
     부채비용은 세후기준 측정   부채비용=세전부채비용*(1-t)
  3)자기자본비용의 측정
     자기자본비용은 주주의 자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지급대가
  (1)배당평가모형의 이용
   정률배당성장모형이 적당하고 현 시장가격을 균형가격(p0)이라고 가정시
    p0 = d1/(ke-g)   에서  ke = d1/p0  +  g  다시말해 배당수익률(d1/p0)과 이익성장율의 합이다
  (2)이익평가모형의 이용
      성장없다 가정   ke = E/p0  당해기업의 PER의 역수
  (3)CAPM의 이용
      ke = Rf + (E(Rm)-Rf) * 베타
      Rf 장기국공채수익률  시장위험보상률(E(Rm)-Rf)은 역사적 시계열 자료에서 측정
      베타는 개별증권수익률과 시장수익률 비교(민감도), 산업평균 베타를 사용할 수도잇다
 4)목표자본구조 

6.잔존가치의 추정
 1)명시된 예측기간의 설정
잔존가치(continuing value)란 명시적 예측기간 이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명시적 예측기간의 장단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길면 명시적 예측기간의 FCF의 현재가치는 커지나 잔존가치는 작아진다
-예측기간을 설정하는 기준
 ㄱ.경쟁우위유지가능 기간
  ㄴ.ROIC = WACC 되는 시점
 ㄷ.고속성장후 안정적 성장수준을 유지하기 시작하는 시점
 2)잔존가치의 추정방법
   (1)예측기간이후 FCF가 g%만큼 정률로 성장한다고 가정하면
   CVn = FCFn+1/(WACC-g)
    (2)예측기간 최종 수년간(n)의 FCF의 평균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시
   CVn = FCF 최종수년간 평균/WACC
    (3)에측기간 끝 시점에서 예상되는 대체원가, 청산가치를 잔존가치로 보는 방법

7.적정주가의 추정
 전체기업가치는 각기 잉여현금흐름(FCF)의 현재가치들의 합에 잔존가치의 현재가치를 더하고 영업외 가치를 더하면 된다
최종적인 적정주가는 P0 = (V0-부채가치)/발행주식수         V0는 전체기업가치
 1)영업외 가치
   기업의 핵심경영활동 이외의 부문에서 지니고 있는 가치, 시장성유가증권, 투자자산 등 영업외 자산
 2)부채가치의 계산과 적정주가의 추정
  부채가치 = 회사채, 차입금의 시장가치, 우선주의 시장가치, 외부주주지분, 운영리스, 스톡옵션 등의 합
   주당주식가치 = (V0-B0) / 발행주식수
4.주가배수 평가모형
1.PER 평가모형
  1)PER의 의미
  2)PER을 이용한 이론 주가의 추정
     P(주가) = PER * E(주당이익)
    정상적 이익승수 PER을 구하는 방법
     ㄱ.동류위험을 지닌 주식들의 PER을 이용하는 방법
     ㄴ.동종산업의 평균 PER을 이용
     ㄷ.과거 수년간의 평균 PER을 이용하는 방법
     ㄹ.배당평가모형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
        P0 = d1/(ke-g) = E1(1-b)/(ke-g) 에서
        P0/E1 = (1-b)/(ke-g)    또는 P0/E0 = (1-b)*(1+g)/(ke-g)
  3)상대적 PER평가
     해당 주식의 과소, 과대평가 여부를 판단. 개별증권의 PER과 증시전체의 평균 PER 내지는 산업평균 PER을 상호비교하여 주가상승 혹은 하락의 상대적 수준을 평가한다
4)PER의 유용성과 한계점
 PER 모형의 한계
배당할인모형은 이론적으로는 매우 우수한 모형이기는 하나, 미래의 배당을 예측하고 적절한 할인율을 추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주식평가에 실제로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에 대안으로서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PER 모형이다. PER 모형은 주당순이익(EPS)을 이용하여 주식의 내재가치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이익평가모형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PER 모형은 이론적으로 매우 단순하면서 실무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주당순이익(EPS)과 같은 회계자료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PER모형에 의해 주식평가를 할 경우 이러한 한계점에 유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① PER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주당순이익(EPS)는 회계적 이익으로서 시장가치가 아니라 장부가치이다. 따라서 EPS는 시장가치 개념에 의한 기업의 수익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② 역사적으로 볼 때 PER는 높은 인플레이션 시기에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PER는 인플레이션과 어느 정도 반대로 움직인다.
③ PER는 경기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추세적으로 EPS가 낮은 연도에는 PER가 커지고, EPS가 높은 연도에는 PER가 낮아진다.
2.PBR평가모형
1)PBR의 의의
   PBR = 주가/주당 순자산 = 주당 시장가격 / 주당 장부가치
2)PBR의 투자결정에의 이용
 P0 = PBR * BPS
단, PBR 정상적 주가순자산비율   BPS 주당순자산
정상적 PBR 추정방법
PBR = 자기자본시장가격/자기자본장부가격
       = (순이익/자기자본장부가액) * (자기자본시장가격/순이익)
       = ROE * PER
3.PSR, EV/EBITDA,PCFR 평가모형
P/S = 주가 / SPS(매출액/발행주식수)
닷컴 기업 같은 벤처산업에서는 처음 수년간 이익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PER모형 또는  PBR모형을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들 기업들은 초기에 외형의 성장이나 빠른 시장점유확보가 장기적 이익창출로 이어진다는 가정에서 주당매출액을 중시하는 것이다.
P0 = (P/S)  *  S
고마진, 저P/S 주식은 저평가, 저마진 고P/S주식은 상대적으로 고평가된 것으로 판단
 EV/EBITDA  = 기업가치/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차감전 이익
EV(기업가치) : 주식의 시가총액(=주가*발행주식수) + 순차입금(=총차입금-현금-투자유가증권)
EBITDA : 이자비용, 법인세비용, 유무형자산감가상각비 차감전 순이익
           = 영업이익(EBIT) + 비현금성비용 항목인 감가상각비를 합한 것     즉,세전영업현금흐름
EV/EBITDA 는 현금흐름의 크기를 감안할 경우 기업가치가 상대적으로 얼마나 높은지를 평가할 수 있다.
PCFR = 주가/주당현금흐름
현금흐름(CF) : 당기순이익+현금유출없는 비용(감가상각비 등) - 현금유입 없는 수익
현금흐름을 감안한 상대적 주가수준을 평가. 감가상각비가 많은 장치산업의 주식평가에 유용
감가상각비가 많은 기업은 순이익이 과소계상되어 PER이 왜곡되어 높게 나온다


[출처] 주식가치평가모형|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ss2y&logNo=60055007625 http://cafe.daum.net/ebmfund/N4aV/18q=%BD%C5%BF%EB%B5%EE%B1%DE%BA%B0%20%B0%A1%C1%DF%C4%A1%20%B9%DD%BF%B5%20%B3%BB%C0%E7%B0%A1%C4%A1&re=1


&&&세전주당순이익-현재가/(초기투자수익율-ROE-안전마진율) 비상장주식가치=(순자산가치*2 +수익가치*3)/5 <저평가율>&&&


에스아이플 3691-4300/(85.8-40-87.56) : 총자본117766036/13586=8668x2=17336 EPS 3458(10374), 454(908), (-2842) =1406.6x3=42200 ***11907<63.88>

필옵틱스 4377-6600/(66.33-58.8-82.9) 총자본30406530/4573=6649x2=13298 EPS 3763(11289)-1245(2490)-1050 =24715x3=74145 **17488<62.26>

================
위비스 17949-78000/(23-24.5-53.4) 69974621/1036=67543x2=135086   16743(50229)  9875(19750)  8481  13076X30=392280  **105477<26 >

플러스기술 1446-7000/(20.6-21.6-42.66) 33932747/5000=6786.5x2=13573   1313(3939) 1221(2442) 1143 1254X30 =37500  **10238<31.6>

두원중 7316-27000/(27.3-16.4-52.6) 156482563/3133=49946x2=99893   5707(17115) 5441(10882) 7474  5911X30=177355  **55449.6<51.3>

오리온테크 669-3000/62.66 (22.3-11.9-45.1)  15811305/3078=5136.87x2=10273  518(1554)  898 1124  745.66x30=22370   ***6528 <54 >

한국CNT 694-3300/(21-9.6-40.3) 129148240/22285=5795.3x2=11590      539(1617)   474(948)   197  460.33x30=13810   ***5080<35 >

디섹 842-4200/(21.84-8.3-49.2)  173145032/14200=12193.3x2=24386    973(2919) 446(892) 1647  914.16x30=27425  **10362.2 <59.4>

선재하이텍 466-3000/(15.5 -6.5 -33.1) 20607314/2982=6910x2=13821    449(1347) 933(1866)  1811   837.3X30=25120   **7788.2<61.4>

효성캐 3956-20000/(19.78-8-57) 338823889/9067=37368x2=74737   3027(9081) 1018(2036) 2727  2307.3x30=69220  **28791<30.5>

이츠웰 1262-7100/(17.7-51.5-54.1)   19511739/6525=2990x2=5980   1547(4641) 747(1494)  612 1124.5x30=33735  **7943<10.6>

뉴파워플라스마 1050-5500/(19.1-12.3-43.47) 44914392/5685=7900x2=15801  973(2919) 439(878)  389 696.5x30=20895  **7339<25 >

=========

쏠라사 <2014당순14억>336-2300/(14.6-   -42.95)  =

=======
테크로스525-4500/(11.6-17.5-39.9) 56732147/25222=2249.3x2=4498   749(2247) 1433  303   902.66x30=5505.6<18.2>

미르기술 580-4000/41.4 (14.5-14.7-31.6) 18562479/5219=3556.7x2=7113   354(1062) 1193(2386) 642   681,66x30=20450 **5512.5<27.4>

서진캠 497-3350/(14.8-11.2-19.8) 95237279/17069=5579x2=11159   418(1254)   649(1298) 476  504.66x30=15140  ***5259.8<36.3>

==================
코엔스3233-15000/(21.5-44.1-45.8)  29644425/4950=5988x2=11977  EPS 2790(8370) 1490(2980) 989 20560x3 =61695 **14734 <-0.01>

프렉코 769-3800/(20.25-24.3-56.1)  10245145/4001=2560x2=5121   866<2598 > (-498<-966>) 770 400x30=12000 **3426 <-10.9>

파인텍 1214-5250/(24-26.8-49.1) 14232330/3900=3649x2=7298  1018(3054) 272(544) (-556) 507*30=15210  ***4501 <-16.6>

========
ALT 6984-35000/(20-16-44.5) 23270720/5916=3933x2=7867  629(1887) 618 289  568.6x30=17060 ***4985.4<-600.2> 이버로지텍 10511-45000/(23.3-12.78-50.8)  33545881/  9146 (13240) (13515)   =================

KDB생명<2014순익-655억:세후주당순534> 620-2010/(19.2-6.9-62.4)

한국증권금융 2622-12650/(20.7-9.7-38.9)

===============
LS산전 467-37050/46.1(1.2-12.2-2.5)

현캐 5199-38500/(13.5-11.8-37 -0.5)

부강테크 666-4500/(14.8-14.5 -(-5)

포스코건설 4241-66900/(6.3-3.3-(-156)) 

픽셀플 3054-35000/(8.7-19.7-(-36.1))

옵티스 580-4050/(14.3-6.7-(-57))   

KT파워텔 411-4430/(9.2-4.4-(-40))

현대카드 1363-15500/(8.7-6.8-(-52.4)) 

동부생명 794-9250/(8.5-4.4-(-38.4))

에프엔에스테크105-1750/(6.0-2.5-(-75))

엑시콘 459-9000/(5.1-9.2-(-91.4))

다음글 : 내재가치.세금.해외.진료실스피커.무선마우스
이전글 : 돌연사의 원인이 되는 부정맥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