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프로셀제약

@@@프로셀제약(2100만주/500원-자본금92.79억원)-462.5*2 440*2->451.25*4(1805)

^^금년 IPO예정..2대주주는 삼성벤처 50억  + 3자배정유증13억(주당1250원)--총63억(주당6천원)25%지분율 ***세포투과기술(MITT)와 피부투과기술(PIISKIN)바탕으로 [바르는 보톡스(주름개선) 미다스킨], [탈모방지 샴푸 수진] 개발시판ㅡ 동제품은 제품가격이 30만원대이지만 그 효과가 탁월하여 2015베스트셀러제품으로 지정되었슴, 더불어 비만치료제--항암제--혈관신생억제제-뇌질환치료제 연구개발 중 ==>1차목표가3천원--2차목표가6천원--3차목표가 1만원--4차 5만원

>>2016-01-22 프로셀 아직살아있다-세계적 원천기술력 보유 모근세포 성장 모발 굵기 증가 
[코스인코리아닷컴 손현주 기자] 세계가 주목하는 원천기술인 세포투과 기술(MITT)와 피부투과 기술(PII-SKIN)을 보유한 프로셀테라퓨틱스의 ‘피투스킨 수진(PII-SKIN Su:JIN)’ 헤어케어 세트가 2015 베스트셀러로 선정됐다.
프로셀테라퓨틱스는 ‘인류 건강증진을 위한 혁신적 의약품 개발’을 목표로 세계 유수의 글로벌 제약사(Sanofi, Roche)와 연구소(Curie Institute)가 함께 약물전달 원천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외 30여건의 개발 기술 특허를 출원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프로셀테라퓨틱스 관계자는 “2015 베스트셀러에 선정되어 기쁘다”며 “탈모로 인해 고통받는 많은 분을 위해 앞으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프로셀테라퓨틱스의 피투스킨 수진은 모발 성장인자와 영양물질을 두피 내로 깊숙이 침투시켜 모발 관리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다. 발모촉진 성장인자가 모근 세포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모발을 더욱 굵게 만들어 준다.
그중 피투스킨 수진 샴푸는 탈모방지와 모발굵기 증가, 비듬제거, 두피진정 효과가 있는 제품으로 의약외품으로 허가를 받았다. 덱스판테놀(Dexpanthenol), 비오틴(Biotin),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진크 피리티온(Zinc Pyrithione)을 주성분이다.
또 항염과 진정작용이 있는 감초 추출물과 발모를 촉진시키는 검은콩 추출물을 비롯해 인삼, 고삼, 어성초 등 두피와 모발 관리에 효과적인 21종의 식물 추출물이 함유됐다.
프로셀테라퓨틱스의 특허 기술인 PⅡ-SKIN™이 적용된 헤어토닉은 모낭과 모근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C-IGF1, PC-FGF1 & FGF2, PC-VEGF, PC-PDGF2을 주성분으로 한다. 이외에도 헤어토닉에는 13종 식물 추출물이 첨가되어 모낭 활성화, 말초 혈관 재생 등의 효능이 있다.
특히 헤어토닉은 대한피부과학연구소의 피부과테스트를 통해 ‘무자극’ 인증을 받아 민감한 두피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프로셀테라퓨틱스 관계자는 “기존의 탈모 억제 혹은 발모제에는 사용자의 편의성, 효능등에 문제점이 존재했다”며 “하지만 피투스킨 수진 헤어케어 세트는 사용자 편의성과 고효율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탈모로 고통받는 모든 분이 만족할 때까지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프로셀제약은 2006년 설립된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 기업... 독자 개발한 인체 항암 단백질에 거대분자 세포 내전송기술 (MITT)를 접목, 세포투과성 항암단백질인 'PC21'을 개발. ---- 3회에 걸친 국내외 동물 항암효력시험에서 대장암에 대해서 [PC21]은 탁월한 효과를 보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국과 미국에서 본격적인 전임상 임상을 실시하였음..
===프로셀제약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으로서는 펩타이드항암제, 혈관신생억제제, 세포내 표적지향 항체,그리고 siRNA가 있음. 

===MITT란  대규모 분자이기 때문에 세포 내 전송이 어려운 항암제 등을 MTD를 매개로 하여 세포막투과성을 높여 줌으로써 효능물질을 세포내로 이송시켜주는 기술인데, 2001년, 2005에 네이처 논문에 발표되었고, 이 기술을 응용하여 항암제와 파킨슨병치료제 등, 질병특이적 치료제들을 개발 중.

----설립이후 지금까지줄곧 MITT 원천기술의 개량과 이를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 항암제 분야에서 역량을 집중하여 지속적 연구를 하고 있는 기업으로 세계 유수의 제약기업과도 공동연구를 진행 중임.

----신약개발과 더불어 회사의 중단기적 성장동력으로 최근 MITT 원천기술을 이용, 피부투과기술을 혁신적으로 개량,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향장원료사업에 진출하여 사업 다변화를 시도 중...

----원천기술 MITT는 약물 또는 생리활성물질의 세포내 이송에 있어서 세포내로 전송하는 특수한 도메인과 연결시켜서 세포내로 전달하는 약물전달기술인데, 원천기술의 근간인 MTD는 세포막 투과효율, 세포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도구로 평가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MITT는 기존의 화학합성 의약품 이외에도 펩타이드, 단백질, si-RNA에서 속하는 치료용 약물을 MTD에 연결하여 세포내로 안전하게 이송시킴으로써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 난치병-불치병치료제개발<효력발현물질Cargo란 항체 재조합단백질 펩타이드 siRNA및 유전자 저분자화합물 나노입자를 의미> ===Cargo의 세포내이송에 <거대분자전송도메인 MTD-Macromolecule Transfer Domain-를 결합시키는 기술>인 거대분자세포내전송기술MITT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개발중

[[신약파이프라인 ]]
@<폐암-췌장암-대장암-유방암 치료 목적> 세포투과성 펩타이드이드항암제CargoMTD peptide, 
@세포투과성 혈관신생억제제(엔도스타틴),
@세포투과성 세포내표적항체치료제,
@세포투과성 siRNA신약 ::: 현재 개발중


[[기타 약물 및 기술 개발]]
@세포투과성 미백물질(pII SKIN-항노화, 주름, 미백) <피부투과성MTD에 미백물질(p-cumaric acid)을 결합시킴> -- 이미 개발 완료/특허출원..750.38)
@1개월지속형말단비대치료제 : 파일럿임상, 캐나다 임상시험 완료
@첨단당뇨병치료제(PT302)-약효지속성 당뇨병치료제  : KFDA, 캐나다 임상시험 완료 :: 러시아-호주-남아공-베트남-인도-일본-중국-캐나다-말련 특허 획득/등록, 유한양행에 기술 이전,
@정신분열병치료제, 비만치료제 개발 중,
@약효지속성치료제 제조기술  : 유럽특허 취득,
@약효지속성 미립구 <분산성 및 주사투여능을 향상시켰음>: 인니-중국-베트남-인도-일본 특허 등록


@@@[[펩타이드생산]]시스템 :

***펩타이드 자동합성기 히트블록 반응장치 : 미국 특허, 

***펩타이드 하이브리드 구축 

***줄기세포활성화 펩타이드 소재 개발

***펩타이드 화장품 소재 미국 특허,

***펩타이드 결합 안정화 비타민C유도체  :일본-미국 특허,


@@@[[MTD라이브러리]]

***1세대 MTD라이브러리 구축<완료>(표적단백질발굴-프로테오믹스. 바이오인포메틱스. putative MTDs. 구조변경. 기능적 측정 : 2012.11.특허등록)

***2세대 MTD개량<완료>(구조개량 통한 최적 MTD선별, MTD소수성감소 통한 용해도 향상과 전송능 향상, MTD적용범위 확대 : 2013.3.특허 등록)

***3세대 <개발중>(MTD서열개량 통한 전송속도 향상 및 물성개선. 3차구조 분석 통한 MTD와 카고의 연관성 이해. organ-sp.MTD개발, 암특이적 MTD개발)


@@@[[SiRNA]]..

***small(또는 short, silencing) interfering RNA-(작은=미소, 짧은=단)간섭 RNA라고도 한다. 자연에서는 RNA바이러스 또는 전이인자(transposon)유래인 긴 이중나선 RNA가 Dicer로 절단되어 생성됨, 양사슬 3′말단이 2염기 돌출한 20~25염기쌍의 2중나선 RNA로서 상보적 배열을 한 RNA의 특이적 절단을 유도. 즉, 특정한 전령 리보핵산(messenger RNA; mRNA)의 염기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한 다음, 그 mRNA를 분해해버림으로써 해당된 단백질 생산을 막는다.<=RNAi경로 과정 --실예 : UCP에 대한 작은 간섭 리보핵산(UCP-siRNA)은 UCP의 mRNA만을 특이적이고 효과적으로 분해해 세포안에 UCP 단백질 형성을 막는다.>

***MTD-SiRNA결합체 이용 SiRNA치료제 연구--RNA간섭(RNA interference, RNAi)이란 siRNA가 이와 상보적 mRNA(타겟)를 인식, 컷팅시켜서 mRNA가 이후의 해독과정 거쳐 단백질 발현되는 것을 억제시켜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차단하는 것--그러나, SiRNA는 생체내에서 음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 음전하를 띠는 다양한 단백질들로 쌓여 있는 세포막을 통해 세포질로 전달되는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음이온성 거대분자인 SiRNA가 세포막을 효율적으로 투과하여 세포질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달체가 시급. 기존 바이러스성 전달체가 아닌 비바이러스성 전달체를 이용한 SiRNA치료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양이온성 지질이나 고분자를 이용하여 SiRNA를 전달하는 경우, 바이러스 벡터에서 나타나는 면역반응 극복 및 유전적 변형 등으로 인한 부작용 우려를 줄일 수 있음. 다양한 양이온성 지질들이 연구중이며, 세계적으로 SiRNA치료체를 임상 실험중이지만 아직까지 체내 안정성이 높고 전달 효율이 높은 SiRNA전달체의 개발은 초기 연구 상태임. ====또한 SiRNA치료제는 망막 퇴행-알츠하이머병-파킨스씨 병-신경성 통증 등 난치병에 대해서도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알려져 다국적 제약 회사들은 기존의 SiRNA치료제 관련 회사들과 합병하거나 관련 특허권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는 등 SiRNA시장을 선점하려고 있는 추세)..,


>>표적화된 암 요법의 강도를 높여주는 새로운 화학 기술 (후성유전학적 치료)
2015-05-26   http://mirian.kisti.re.kr/gtb_trend/pop_gtb_v.jsprecord_no=256445&site_code=SS1021 
요약: 새로운 화학적 기술이 암 단백질들을 단순히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파괴하기 위해서, 암 세포 자체의 단백질-분해 기전을 사용한다. 연구자들이 “약물로 겨냥할 수 없는” 단백질들의 억제제를 개발하고 표적화된 요법의 흔한 단점인 약물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번 전략을 개발했다. 내성은 원래 특정한 요법에 반응했던 종양이 그 약물의 효과를 피해서 그 성장을 재개할 수 있게 될 때 발생한다.
암을 위한 표적화된 요법의 새롭고 보다 강력한 형태를 예고한 연구에서, Dana-Farber 암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현재의 약물들이 하는 것처럼, 종양 세포들에 있는 악성 단백질들을 무력화시키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파괴하는 화학 기술을 고안해냈다. 잡지 Science에 5월 21일 온라인으로 실린 연구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이 전략은 암 성장을 이끄는 단백질들을 분해하고 파괴해버리기 위해서 종양 세포 자체의 단백질을 자르는 기작을 이용한다. 백혈병 세포들의 실험실 시료들과 인간과 같은 백혈병을 가진 동물들에서 시험했을 때, 그 접근법은 전통적인 표적화 요법들보다 암 세포들을 훨씬 더 빨리 죽게 했다.
연구자들은 “약물로 처리할 수 없는” 단백질들의 억제제들을 개발하고 표적화된 요법들의 흔한 단점인 약물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전략을 개발했다. 내성은 원래 특정한 요법에 반응했던 종양들이 그 약물의 효과를 피하여 그것들의 성장을 재개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일어난다. “내성이 발생하는 이유들 중의 하나는 암과 관련된 단백질들이 종종 세포 안에서 다중의 기능들을 가지고 있는데, 전통적인 표적화된 요법들이 그러한 기능들 중의 하나나 몇 가지만을 억제한다는 것”이라고 그 논문의 선임 저자인 Dana-Farber 연구소의 종양학자이며 화학자인 James Bradner가 말했다. “우리는 표적 단백질들을 단순히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해체하게 하는 접근법을 고안하기 시작했다”고 그는 말을 이었다. “우리가 화학적으로 억제제 약물을 분해제 약물로 바꿀 수 있다면 매우 강력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그렇게 하는 것은 세포의 자연적인 단백질-제거 체계를 조정하는 것과 연관될 것이다. 써서 낡거나 필요가 없는 단백질들은 유비퀴틴(ubiquitin)이라고 불리는 단백질을 그것들에 붙이는 효소에 의해서 폐기를 위해 표지된다. 표지된 단백질들은 그 다음에 단백질 분해효소 복합체(proteasome)라고 불리는 구조로 보내지는데, 여기서에 그것들은 갈아지고 재활용된다. 세 가지 효소들이른 바 E1, E2, E3이 그 표지들을 붙인다. 암 단백질들의 파괴를 위해서 이 체계를 이용하기 위해서, Bradner의 팀은 표적화된 약물 단백질에 붙는 화학적 어댑터(adapter)를 생각해냈다. 이 어댑터는 작은 트레일러 걸쇠처럼 작용해서, 이 약물이 세포의 단백질-분해 기작을 직접 관심을 가지고 있는 단백질로 끌고 가게 할 수 있다. 일단 이 단백질에 붙으면, 그 약물-단백질 분해자 조합이 기본적으로 그것을 파괴한다.
연구팀은 자신들이 “degronimids”라고 이름붙인 이 기술을 백혈병 세포의 실험실 시료들에서 시험했다. 그들은 암 성장 유전자들의 발현을 총괄하는 단백질인 BRD4를 억제하는 약물 JQ1을 가지고 시작했다. 그들은 프탈리미드(phthalimide)약물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의 화학적 유도체를 가지고 어댑터를 만들고 그것을 JQ1에 붙였다. 프탈리미드는 (Cereblon이라고 불리는) 단백질-분해 효소 E3에 편하게 붙게 고안되어서, 트레일러 걸쇠로 이상적이게 해준다.
조사자들이 백혈병 세포들을 dBE1이라고 불리는 JQ1과 프탈리미드 “접합체”로 처리했을 때, 그 세포들 안의 BRD4 단백질이 한 시간 안에 분해되었다. 그러한 빠르고 광범위한 분해는 접합체들이 암 세포들이 표적화된 요법에 내성을 발달시키는 것을 예방하거나 막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연구자들은 말했다. “이 접근법의 강도, 선택성, 그리고 신속성특이적으로 BRD4로 나아가는 능력은 단백질 분해에 대한 임상적 접근법들에 전례가 없었다”고 Bradner는 말했다.
dBET1이 실제로 얼마나 선택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처리 후 한 시간과 두 시간 지난 다음에 백혈병 세포들에 있는 모든 단백질들의 수준을 측정했다. “우리는 전체 세포에서 7000가지 이상의 단백질들 중에서 단지 세 가지만 분해되었다는 것을 알고는 놀랐다: BRD2와, 3, 4JQ1의 의도된 표적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지시된 놀라운 정도의 선택성”이라고 Bradner는 말했다. “그것은 마치 dBET1이 표적화된 단백질들에 단백질을 분해하는 기계를 전달하도록 레이저-유도된 것과 같다”고 Bradner는 덧붙였다.
조사자들은 그 다음에 인간 백혈병의 널리 퍼진 공격적 형태를 가진 쥐들에서 dBET1을 시험했다. 실험실 세포 시료들에서와 같이, 알아차릴 만한 부작용이 거의 없이 종양 세포들에서 BRD4의 빠른 분해와 강력한 항-백혈병 효과가 있었다.
JQ1 이외의 화합물들을 접합체를 위한 유도 체계로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FKBP12라고 불리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SLF라고 불리는 화합물에 단백질-분해 기계를 잠그는 일련의 분자들을 만들었다. 그들이 암 세포들을 SLF로 처리했을 때, 그들은 그것이 몇 시간 안에 그 세포들에 있는 FKBP12의 대부분을 분해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들 결과들에 고취되어서, 연구자들은 인간 환자들에서 약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dBET1의 유도체를 만들기 다른 암들과 다른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질병들의 치료를 위해서 그 접합 전략을 확장하기 위해서 일하고 있다.“우리는 이 화학적 기술이 많은 암 약물 분자들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줄지도 모르며, 또한 이 전략이 암을 뛰어넘어 다른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들의 치료를 위해서 의미를 가진다는데 매우 흥분하고 있다”고 Bradner는 말했다. “dBET1과 dFKBP12 화합물들은 현재 암과 미-악성 질병 둘 다에서 치료제 개발을 위해 선도물질 최적화의 후반 단계에 있다”고 Dana-Farber 연구소의 책임 연구 사업 개발 관리인 Prem Das는 말했다. “화학적 플랫폼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이들과 다른 추가적인 표적화 제제들에 대해서 물질의 조성과 사용법 특허 출원을 신청했다. 표준적인 Dana-Farber 관례에 따라서 적절한 회사에 상업화를 위하여 그것들을 허가할 것”이라고 Das는 덧붙였다. 잠재적인 동업자나 투자자들은 Dana-Farber 혁신을 위한 Belfer 사무소(Belfer Office for Dana-Farber Innovations)에 있는 Das에게 연락할 수 있다.
Journal Reference: Georg E. Winter, Dennis L. Buckley, Joshiawa Paulk, Justin M. Roberts, Amanda Souza, Sirano Dhe-Paganon, and James E. Bradner.Phthalimide conjugation as a strategy for in vivo target protein degradation. Science, May 2015 DOI: 10.1126/science.aab1433 

  





 

[[혈관신생억제제]]


----Endostatin은 혈관생성억제작용이 있으나, 항암효과가 낮고 지속성이 짧아서 경제성이 낮아지는 단점때문에 혈관신생억제 항암제로서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음....MITT원천기술을 이용하여 Endostatin<혈관신생억제> + MTD<세포투과성 및 표적세포 지향성을 강화, 암조직 심부 투과, 암세포 특이적 친화성을 부여> + Fc융합 <지속성향상> 의 결합을 통해서,  높은 항암효능 및 항체치료제 수준의 지속성을 보유, 그 결과 경제성을 강화시킨 개량형 Endostatin혈관신생억제제를 개발중임...


###개량형 Endostatin의 특징 **1>세포투과성 부여 **2>항암효능 향상 **3>지속성 향상** 4>낮은 부작용 **5>재조합단백질의 경제적 제조기술 확보 **6>항암치료제 활용성 증대 **7>항암치료제 적응증 확대

 





다음글 : 솔젠트15^
이전글 : 뉴젠팜16